KR200410118Y1 -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 Google Patents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118Y1
KR200410118Y1 KR2020050036053U KR20050036053U KR200410118Y1 KR 200410118 Y1 KR200410118 Y1 KR 200410118Y1 KR 2020050036053 U KR2020050036053 U KR 2020050036053U KR 20050036053 U KR20050036053 U KR 20050036053U KR 200410118 Y1 KR200410118 Y1 KR 200410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
vehicle
elevating table
b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권
Original Assignee
창림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림정공(주) filed Critical 창림정공(주)
Priority to KR2020050036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1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2Washing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승합차량에 다양한 크기의 간이 욕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간이 욕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지면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및 중증의 지체부자유인의 목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 차량을 제공한다.
간이욕조, 테이블 리프트, 승하강 테이블, 욕조프레임, 유압실린더, 엑스바아

Description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A movement bath vehicle for the handicappedd pers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차량에 설치되는 간이욕조 승하강 부재의 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간이욕조의 하강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간이욕조의 승강이 진행중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간이욕조의 승강이 완료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테이블 리프트 11; 제 1 레일홈
20; 높이조절부재 21; 유압탱크
22; 파워팩 23; 유압실린더
24; 크랭크샤프트 25; 엑스바아
30; 승하강 테이블 31; 제 2 레일홈
32; 록킹부 40; 욕조프레임
100; 간이욕조
본 고안은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중증의 지체부자유인의 목욕을 편리한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반 설비를 승합차량(예; 2.5톤 탑차)에 효율적으로 탑재하여 이를 통해 주택의 인근에서 매우 편리하게 지체부자유인을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한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약자나 신체가 불편한 중증의 지체부자유인의 경우 주로 병상에 누워있는 시간이 길다. 때문에 신체의 청결을 유지시켜 주기위하여 자주 씻겨 주어야만 하는데 거동이 불편한 지체부자유인의 경우 일반 입욕시설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또, 다수의 인원이 주택의 실내에 설치된 욕조로 지체부자유자를 이동하여 목욕시키는 데에도 욕조의 구조가 구조적으로 매우 불합리하다.
특히, 인적이 드문 농촌이나 양로원 그리고 기타 사회복지단체 등 타인의 도움으로 목욕을 해야만하는 노약자나 지체부자유인의 경우에는 목욕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게 되며 이에따라 일부 자원봉자사가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여 간단한 목욕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온수공급이 용이치 않고 또, 경험이 부족한 자원봉사자에게 있어서 신체적인 무리가 따른다.
이에 종래에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 시설이 마련된 차량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시설은 특정크기의 욕조가 고정되어 있는 구조인 관계로, 신체조건을 달리하는 지체부자유인을 모두 수용하지 못하는 등 그 사용에 상당한 제약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통상의 승합차량에 다양한 크기의 간이 욕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간이 욕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지면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및 중증의 지체부자유인의 목욕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 차량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의 측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차량에 설치되는 간이욕조 승하강 부재의 구조를 보인 전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간이욕조의 하강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간이욕조의 승강이 진행중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간이욕조의 승강이 완료된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합차량내에 급수관이 마련된 급수 탱크와 상기 급수관에는 배수구가 마련된 간이욕조(100)의 급수관을 연결하는 지체부 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을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테이블 리프트(10);
상기 테이블 리프트(10)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부재(20);
상기 높이조절부재(10)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 테이블(30); 및,
상기 승하강 테이블(30)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기의 간이욕조(100)가 모두 수용되도록 상기 간이욕조(100)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상기 승하강 테이블(30)에 고정되는 욕조프레임(40); 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20)는,
소정량의 유압을 저장하는 유압탱크(21);
상기 유압탱크(22)에 저장된 유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파워팩(22);
상기 유압의 공급제어로부터 구동하는 유압실린더(23);
상기 유압실린더(23)의 피스톤에 축 결합되어 승하강 테이블(3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24); 및,
상기 크랭크샤프트(24)의 양측에 하단부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단부의 일측은 승하강테이블(30)의 양측에 축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크랭크샤프트(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개와 접힘이 이루어져 승하강 테이블(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엑스바아(25);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테이블 리프트(10)에는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엑스바아(25)의 상단부 타측이 축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 레일홈(11)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승하강 테이블(30)에는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엑스바아(25)의 하단부 타측이 축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2 레일홈(31)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승하강 테이블(30)에는 욕조프레임(40)을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록킹부(32)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압탱크(21)와 파워팩(22) 및 유압실린더(23)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압호스를 통해 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더불어 본 고안에서는 높이조절부재(20)를 유압방식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압실린더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합차량의 바닥면에 제 1 레일홈(11)을 가진 테이블 리프트(10)를 견고하게 고정한 후, 상기 테이블 리프트(10)에는 유압호스를 통해 연결되는 유압탱크(21), 파워팩(22), 유압실린더(23),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23)의 피스톤에 축 결합되는 크랭크 샤프트(25)는 물론, 엑스바아(25)를 포함하는 높이조절부재(20)를 구성하여 둔다.
이때, 상기 크랭크 샤프트(24)의 양단에는 엑스바아(25)의 하단부 일측을 고정한다.
즉, 상기 엑스바아(25)의 하단부 일측은 크랭크샤프트(24)의 양단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크랭크 샤프트(24)의 끝단부를 테이블 리프트(10)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한편, 상기 엑스바아(25)의 하단부 타측은 상기 테이블 리프트(10)의 양측부에 마련된 제 1 레일홈(1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축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엑스바아(25)의 상단부 일측은 승하강 테이블(30)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상기 엑스바아(25)의 상단부 타측은 승하강 테이블(30)의 양측부에 마련된 제 2 레일홈(31)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축 결합하여 둔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 테이블(30)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간이욕조(100)가 모두 수용되도록 상기 간이욕조(100)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상기 승하강 테이블(30)에 록킹부(31)를 이용하여 욕조프레임(40)을 고정시킨다.
그러면, 상기 욕조프레임(40)에 간이욕조(100)가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간이욕조(10)는 상기 욕조프레임(40)과 결합된 승하강 테이블(30)의 승하강으로부터 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파워팩(22)을 이용하여 크랭크샤프트(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23)로 유압탱크(21)에 저장된 유압의 공급과 회수를 반복 실시한다.
그러면, 상기 유압의 공급과 회수의 반복으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23)의 피스톤은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에 축 결합된 크랭크샤프트(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크랭크샤프트(24)의 양측부에는 엑스바아(25)의 하단부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크랭크샤프트(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엑스바아(25)의 상단부 타측부위는 승하강 테이블(30)의 양측부에 마련된 제 1 레일홈(31)을 따라 유압실린더(23)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엑스바아(25)의 상단부 일측은 상기 승하강테이블(30)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엑스바아(25)의 하단부 타측부위는 테이블 리프트(10)의 양측부에 마련된 제 1 레일홈(11)을 따라 유압실린더(23)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 또한 최종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러면, 상기 엑스바아(25)의 수직 세워짐으로부터, 상기 엑스바아(25)를 통해 테이블 리프트(10)와 연결되고, 상면으로는 욕조프레임(40)이 록킹부(32)에 의해 록킹된 승하강 테이블(30)은 상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하강 테이블(30)의 위에는 욕조프레임(40)이 위치하고, 상기 욕조프레임(40)에는 간이욕조(10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간이욕조(100)의 높이 또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 상승이 이루어진 간이욕조(100)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먼저 파워팩(22)을 이용하여 크랭크샤프트(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23)로 유압탱크(21)에 저장된 유압의 공급과 회수를 반복 실시한다.
그러면, 상기 유압의 공급과 회수의 반복으로부터, 상기 유압실린더(23)의 피스톤은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에 축 결합된 크랭크샤프트(2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크랭크샤프트(24)의 양측부에는 엑스바아(25)의 하단부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크랭크샤프트(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엑스바아(25)의 상단부 타측부위는 승하강 테이블(30)의 양측부에 마련된 제 1 레일홈(31)을 따라 승하강 테이블(30)의 중심부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는 수평으로 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엑스바아(25)의 상단부 일측은 상기 승하강테이블(30)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엑스바아(25)의 하단부 타측부위는 테이블 리프트(10)의 양측부에 마련된 제 1 레일홈(11)을 따라 테이블 리프트(10)의 중심부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 또한 최종적으로 수평으로 누워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엑스바아(25)의 수평 누워짐으로부터, 상기 엑스바아(25)를 통해 테이블 리프트(10)와 연결되고, 상면으로는 욕조프레임(40)이 록킹부(32)에 의해 록킹된 승하강 테이블(30)은 테이블 리프트(10)로 수납되는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하강 테이블(30)의 위에는 욕조프레임(40)이 위치하고, 상기 욕조프레임(40)에는 간이욕조(10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간이욕조(100)의 높이 또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목욕이 완료되면 간이욕조(100)내에 공급된 물을 배수시켜주어야 하는 데 이러한 물의 배출은 간이욕조(100)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구(미도시)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호수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승합차량에 다양한 크기의 간이 욕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간이 욕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지면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및 중증의 지체부자유인의 목욕을 편리하게 진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승합차량내에 급수관이 마련된 급수 탱크와 상기 급수관에는 배수구가 마련된 간이욕조의 급수관을 연결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목욕차량에 있어서,
    차량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테이블 리프트;
    상기 테이블 리프트에 마련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 테이블; 및,
    상기 승하강 테이블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기의 간이욕조가 모두 수용되도록 상기 간이욕조에 대응되는 크기로서 상기 승하강 테이블에 고정되는 욕조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소정량의 유압을 저장하는 유압탱크;
    상기 유압탱크에 저장된 유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파워팩;
    상기 유압의 공급제어로부터 구동하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축 결합되어 승하강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 및,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양측에 하단부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단부의 일측은 승하강테이블의 양측에 축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개와 접힘이 이루어져 승하강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엑스바아; 를 포함하 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리프트에는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엑스바아의 상단부 타측이 축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 레일홈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테이블에는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엑스바아의 하단부 타측이 축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2 레일홈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테이블에는 욕조프레임을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록킹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KR2020050036053U 2005-12-22 2005-12-22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KR200410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053U KR200410118Y1 (ko) 2005-12-22 2005-12-22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053U KR200410118Y1 (ko) 2005-12-22 2005-12-22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118Y1 true KR200410118Y1 (ko) 2006-03-06

Family

ID=4176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053U KR200410118Y1 (ko) 2005-12-22 2005-12-22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1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04B1 (ko) * 2014-11-24 2015-04-21 김휘욱 이동형 유아 목욕 장비
KR20230093970A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조영산업 이동 목욕 차량용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욕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904B1 (ko) * 2014-11-24 2015-04-21 김휘욱 이동형 유아 목욕 장비
KR20230093970A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조영산업 이동 목욕 차량용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발열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94B1 (ko) 욕조를 구비한 침대
US10506899B2 (en) Movable bathtub assembly
KR200410118Y1 (ko) 지체부자유인용 간이 이동 목욕차량
KR20100039700A (ko) 이동목욕차량용 욕조
JPH019561Y2 (ko)
KR100993938B1 (ko) 이동식 욕조 장치
JP4435902B2 (ja) 収納式特殊入浴装置
JP6348777B2 (ja) 入浴装置
JP2557453Y2 (ja) 入浴介助装置
JP2004236871A (ja) 入浴介助装置
CN219896193U (zh) 一种带有洗浴功能的护理床
JP2001079045A (ja) 昇降機を取付けた入浴、トイレ兼用の介護ベット
JP3044038B1 (ja) 伸縮式浴槽
JP6232103B1 (ja) 寝浴座浴両用入浴装置
JPH11197194A (ja) 油圧式昇降機を取り付けた入浴、トイレ兼用の介護ベッド
AU777283B2 (en) Foldable lift bathtub
JP3048179U (ja) 浴槽兼用ベッド
JP2005237578A (ja) 重錘付リフト浴槽
JPH11318999A (ja) 介護システム
JP2526899Y2 (ja) 移動式浴槽装置
JP2001269386A (ja) 床昇降式浴槽
WO2001072191A1 (en) Foldable lift bathtub
KR200293459Y1 (ko) 환자용 침대
JP2000070321A (ja) 入浴補助用身体支持具並びに浴槽
CN108713985A (zh) 一种多功能移动式沐浴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