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645Y1 - 진동교통신호기 - Google Patents

진동교통신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645Y1
KR200409645Y1 KR2020050034705U KR20050034705U KR200409645Y1 KR 200409645 Y1 KR200409645 Y1 KR 200409645Y1 KR 2020050034705 U KR2020050034705 U KR 2020050034705U KR 20050034705 U KR20050034705 U KR 20050034705U KR 200409645 Y1 KR200409645 Y1 KR 200409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ibration
diaphragm
traffic signal
vibr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범
Original Assignee
안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범 filed Critical 안승범
Priority to KR2020050034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6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vibrator);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자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는 진동전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진동판, 진동전달축, 진동전달보조축, 외장프레임, 점자블록, 태그, 조명기구, 보조발판

Description

진동교통신호기{Traffic Signal Apparatus of Vibration}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는 점자블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4은 각도조절나사봉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10:가이드실린더
120:조명기구
200:진동자
300:진동판
310:점자블록 315:태그(Tag)
320:우수막이판
400:진동전달축
410:진동전달보조축 415:스프링
500:외장프레임
510:지지실린더
520:각도조절나사봉 525:잠금너트
530:보조발판 535:연결편
기술분야
본 고안은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vibrator);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자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는 진동전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교통신호기를 살펴보면 적색 및 녹색 신호등과 함께 음성안내를 담당하는 음성신호기가 설치되어, 보행신호가 점등되면 이와 연계하여 음성신호기에서 음성신호가 발생되고 시각 장애인들은 그 음성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교통신호기는 보행신호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반복 적으로 음성신호가 발생되어 시각 장애인이 아닌 일반 보행자들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예외없이 보행신호가 점등된 상태에서는 음성신호가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교통신호등이 설치된 주변지역의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를 신호등 지주에 설치하여 시각 장애인이 스위치를 한 번 눌렀을 경우에만 보행신호 시 음성신호가 발생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에도 시각 장애인이 스위치를 찾기 어려우며, 사거리의 경우 횡단보도마다 구분되는 음성신호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일률적인 내용의 음성신호를 발생시켜 어느 횡단보도의 보행신호가 점등되었는지 여부를 시각 장애인의 입장에서는 용이하게 판단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더구나 청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음성신호를 들을 수 없어 안전한 보행이 불가능한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 장애인은 물론 청각 장애인 및 노약자, 일반인도 안전하게 건널목을 횡단할 수 있는 교통신호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교통신호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무선인식 수단을 구비한 교통신호기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 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vibrator);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자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는 진동전달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동판의 진동을 보행자에게 직접 전달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은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200),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판(300), 및 진동자(200)와 진동판(300)을 연결하는 진동전달축(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진동판(300)의 상부면에는 점자블록(310)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진동판(300)의 하부면에는 진동전달축(400)과는 별개로 진동전달보조축(410)이 더 구비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진동전달보조축(410)을 수용하는 가이드실린더(110)가 구비되고, 스프링(415)이 가이드실린더(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진동전달보조축 (410)의 하단부를 탄성지지한다.
하우징(100)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진동판(300)이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외장프레임(500)이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진동자(200)에서 발생된 진동신호는 진동전달축(400)을 통하여 하우징(100)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판(300)에 전달된다.
진동자(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신호는 주로 상하로 진동하며, 진동자(2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판(300)도 상하로 진동하여 진동판(300) 위에 올라가 있는 보행자에게 진동신호를 전달한다.
진동판(300)의 하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전달축(400)과는 별도로 진동전달보조축(410)이 구비된다.
진동전달보조축(410)은 진동전달축(400)과 마찬가지로 진동판(30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실린더(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스프링(415)은 가이드실린더(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진동전달보조축(410)의 하단부를 탄성지지하여, 보행자가 진동판(300) 위에 올라서는 경우에도 보행자의 무게에 의하여 진동판(300)이 하향이동하는 정도를 최소화하고, 진동전달축(400)에 의하여 전달된 진동신호에 따라 상하진동을 하는 과정에서도 안정된 움직임을 유도한다.
사용되는 스프링(415)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주로 압축코일스프 링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진동전달보조축(410), 가이드실린더(110), 및 스프링(415)은 진동판(300)의 규격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량이 설치될 수 있다.
진동판(300)의 가장자리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우수막이판(320)이 더 구비된다.
하우징(100)의 상단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막이판(3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인 바,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동판(300)의 상부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블록(310)이 다수 개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점자블록(310)은 시각 장애인들이 진동판(300)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점자블록(310)은 그 내부에 무선인식장치(RFID)의 태그(315)가 내장될 수도 있다.
태그(315)가 내장되는 경우 보행자는 자신이 휴대하는 무선인식장치를 통하여 태그(315)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보행신호를 포함한 각종 교통정보를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상단에는 조명기구(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조명기구(120)는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램프, 광섬유, LED 등이 다양하게 선택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야간에 진동판(300)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이 야간에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진동판(3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고강도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외장프레임(500)은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부에 별도로 설치되고, 외장프레임(500)의 상부에는 지지실린더(510)가 구비된다.
각도조절나사봉(5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하우징(100)의 하부에 각도조절나사봉(520)을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방법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너트를 이용하는 경우 볼트너트를 조여주어 회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즉,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볼트너트를 조여주어 각도조절나사봉(520)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각도조절나사봉(520)에는 잠금너트(525)가 체결되고, 각도조절나사봉(520)의 하부는 지지실린더(5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바, 잠금너트(525)가 지지실린더(510)의 상단부에 걸쳐져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각도조절나사봉(520)은 진동판(300)이나 하우징(100)의 규격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량이 설치될 수 있는데, 잠금너트(525)를 회전하게 됨에 따라 각도조절나사봉(520)의 상단부와 외장프레임(50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고, 각도조절나사봉(520) 상단부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외장프레임(500)에 대하여 하우징(100)이 소정의 각도와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절할 수있다.
하우징(10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경우 하우징(100)과 진동전달축(400) 및 진동전달보조축(410)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300)의 각도도 함께 조절된다.
따라서 보행자가 서 있는 지면의 상황에 맞추어 진동판(300)의 상부면이 주변의 도로면과 일치되도록 적절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보조발판(530)은 진동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데, 보조발판(530)은 수직하향 절곡된 연결편(535)을 구비하여 외장프레임(500)과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첨부도면에 도시된 구체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설계변경의 결과물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과 함께 이미 알려진 관용적 기술(예를 들어, 별도의 음성신호발생기를 통한 교통신호 안내)을 추가적으로 부가하는 것도 본 고안의 실질적 기술내용을 이용하는 것에 해당하는 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 장애인은 물론 청각 장애인 및 일반인(노약자, 어린이)도 안전하게 건넌목을 횡단할 수 있는 교통신호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음성신호기와는 달리 바닥면에 설치되는 진동판의 진동을 감지하는 바 시각 장애인은 물론 청각 장애인 및 일반인(노약자, 어린이)도 보행신호를 감지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건넌목을 횡단할 수 있어 원활한 교통흐름과 보행권을 보장함은 물론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불필요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교통신호기를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진동을 이용하여 직접 보행자에게 보행신호를 전달함을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바, 반복적인 음성신호에 기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여 쾌적한 주변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셋째, 무선인식 수단을 구비한 교통신호기를 제공하여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교통신호를 보행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인식장치의 태그가 본 고안의 점자블록 내부에 설치되어 보행자는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무선인식장치를 통하여 태그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교통정보(위치, 방향)를 전달받을 수 있는 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보행신호를 포함한 교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인식장치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에 내장되어 휴대 및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8)

  1.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자(vibrator);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자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는 진동전달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2. 제1항에서,
    상기 진동판의 상부면에 돌출된 점자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3. 제2항에서,
    상기 점자블록의 내부에 무선인식장치(RFID)의 태그(Tag);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진동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진동전달보조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전달보조축을 수용하는 가이드실린더; 및,
    상기 가이드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전달보조축의 하단부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5. 제4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외장프레임;
    상기 외장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실린더;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나사봉; 및,
    상기 각도조절나사봉에 체결되는 잠금너트;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나사봉은 상기 지지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잠금너트가 상기 지지실린더의 상단부에 걸쳐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6. 제5항에서,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가 수직하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우수막이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가 상기 우수막이판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7. 제6항에서,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보조발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 조발판은 수직하향 절곡된 연결편을 통하여 상기 외장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8. 제7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단에 조명기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교통신호기.
KR2020050034705U 2005-12-09 2005-12-09 진동교통신호기 KR200409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05U KR200409645Y1 (ko) 2005-12-09 2005-12-09 진동교통신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05U KR200409645Y1 (ko) 2005-12-09 2005-12-09 진동교통신호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143A Division KR100848332B1 (ko) 2006-12-06 2006-12-06 진동교통신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645Y1 true KR200409645Y1 (ko) 2006-03-03

Family

ID=4176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705U KR200409645Y1 (ko) 2005-12-09 2005-12-09 진동교통신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6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383B1 (ko)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계한 보행자 안전시스템
KR102146254B1 (ko) 다방향 조립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스마트 폴
KR200494486Y1 (ko) 스마트 가로등
KR100848332B1 (ko) 진동교통신호기
KR100813301B1 (ko) 가로등 기초 덮개
KR200403486Y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KR100907078B1 (ko)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102237412B1 (ko) Iot 스마트 비상벨장치
KR102086691B1 (ko) 친환경 목재 가로등
DE59107370D1 (de) Vorrichtung zum Anbringen und Ausrichten von Verkehrseinrichtungen, einschliesslich Verkehrszeichen, und/oder Beleuchtungseinrichtungen an Verkehrsflächen
KR200409645Y1 (ko) 진동교통신호기
KR101073692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장치
KR20130098555A (ko) 경계라인 조명용 볼라드
KR101797716B1 (ko) 노면용 메시지 표시장치
KR200443453Y1 (ko)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
KR200364667Y1 (ko) 가로등의 안전보호장치
KR101941146B1 (ko) 센서 연동을 통한 보행자 통행 감지 안내 시스템
CA2406345A1 (en) Stair module support and leveling system
KR20070105531A (ko) 시각장애인 및 어린이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의 안전대기장치
KR100470041B1 (ko) 가로등의 안전보호장치
KR102029322B1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102625803B1 (ko) 스마트 IoT 기반을 이용한 다양한 영상정보, 조명 및 다양한 음원의 출력 소리정보를 알리는 다양한 멀티장치 표출솔루션 경관조명 멀티브라켓
CN206582730U (zh) 交通运输用照明灯具
KR100814316B1 (ko) 스쿨존 라이트 및 설치 방법
JP2002356820A (ja) 高機能情報柵および情報発信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