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396Y1 -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 - Google Patents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396Y1
KR200409396Y1 KR2020050031927U KR20050031927U KR200409396Y1 KR 200409396 Y1 KR200409396 Y1 KR 200409396Y1 KR 2020050031927 U KR2020050031927 U KR 2020050031927U KR 20050031927 U KR20050031927 U KR 20050031927U KR 200409396 Y1 KR200409396 Y1 KR 200409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sensor
identification
samp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양
야신 주앙
신니 린
쉬치에 샤오
Original Assignee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헬쓰 앤드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50031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식별 능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에 관한 것으로, 절연성을 갖춘 제 1, 제 2 기판이 그 주요 구성 요소가 되며, 해당 제 1 기판은 제 2 기판 위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제 1 기판 상에 전극 및 식별 전극 구역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전극 및 식별 전극 구역은 제 2 기판 상으로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식별 전극 구역은 도전 특성을 지닌 재료를 도포하여 완성하였고, 여기에 사용된 각종 도전 재질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른 테스트 용도나 혹은 다른 테스트 기계에 맞춰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 시, 시료편을 감측기 내에 삽입할 경우, 식별 전극 구역의 도전 재질에서 발생하는 저항값이나 혹은 전극과 식별 전극 구역 사이의 저항값을 이용해 그 값이 감측기에 미리 설정된 저항값의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값이라면, 즉시 에러 메세지를 생성하여 잘못된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범위 내에 포함된 값이라면, 즉시 생물 검사 측정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 결과, 공장에서 생산할 때 필요에 따라 식별 전극 구역 상에 각기 다른 도전 재질을 도포하는 신 고안 기술을 기존의 시료편을 각기 다른 용도와 규격의 감측기 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극의 위치와 규격을 변화시키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했을 때, 제조 원가를 대폭 절약할 수 있을 뿐더러 그 사용 방법 역시 상당히 간편하다고 할 수 있다.
시료편, 감측기, 미세 처리기, 식별 전극, 혈당 측정기

Description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BIOSENSOR STRIP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ND ITS SENSOR}
도 1a는 WO제0171328호 특허안의 도식1이다.
도 1b는 WO제0171328호 특허안의 도식2이다.
도 1c는 WO제0171328호 특허 안의 도식3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시료편의 입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시료편의 분해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시료편의 작업/참고 전극와 식별 전극 구역의 대응 위치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시료편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제에 관한 입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시료편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제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시료편의 또 다른 하나의 작업/참고 전극와 식별 전극 구역의 대응 위치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감측기 도식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제 1 기판
12: 제 2 기판
13: 식별 전극 구역
14: 측정 구역
15: 작업 전극
16: 참고 전극
20: 유기체
21: 모니터
22: 측정부
221: 측정점
본 고안은 일종의 식별 능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에 관한 것으로, 각기 다른 도전 재질은 각기 다른 저항을 갖는 특성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도전 재료를 시료편의 식별 전극 구역상에 도포하여, 시료편의 식별 전극 구역 위치가 변할 때마다 감측기 상의 식별 설비 규격을 수정할 필요가 없어 원가 절약을 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 감측기에 설정된 저항 과 시료편의 식별 전극 구역의 저항을 비교하여, 만약 해당 감측기의 측정용 시료편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경우, 측정을 진행할 수가 없게 되어 있어; 측정을 진행하는 사람이 잘못된 판단이나 잘못된 사용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정 건강 관리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빠르고 저렴하고 전문요원이 필요 없는 건강 자가 진단 상품 역시 나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혈당측정기, 전자 귀 체온계, 전자식 혈압계 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고, 이 중 혈당측정기 상에 사용되는 일회용 혈당 시료지는 전화학 생물 감측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체내의 혈당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현재 시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혈당, 콜레스테롤, 간세포 안의 과잉 아미노산 (asparagine)을 당으로 전환시키는 효소(GOT), 간세포 안의 효소로 과잉의 아미노산 (alanine)을 당으로 전환 시키는 효소(GPT)등을 측정하는 측정기는, 그 시료편의 크기가 작고, 생김새나 형태가 비슷하여 소비자가 혼돈하기 쉽고 가끔 잘못사용하여 아예 측정을 하지 못하거나 측정 결과가 잘못 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혈당치를 측정하고자 하는데, 콜레스테롤의 시료편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은 상황이 그에 해당된다.
상술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1a、1b、1c 도식을 참조해보면, 이는WO 제0171328 특허안이며, 그 주요한 내용은 전화학 생물 감측기 시료편에 관한 것으로, 혈당、콜레스테롤 및 기타 혈액 중의 성분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분석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것이다. 해당 전화학 생물 감측기 시료편50의 한 끝에 식별 전극 부위60를 설치하고, 해당 식별 전극 부위60은 테스트의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 상에 설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a도식을 참조해보면, 그 식별 전극 부위60는 왼쪽에 설치되어 혈당 측정기의 보조 역할을 하고 있고, 이어서 제1b도식을 참조해보면 그 식별 전극 부위60는 오른쪽에 설치되어 콜레스테롤 측정기의 보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제1c 도식을 참조해보면, 그 식별 전극 부위60는 양 끝에 가 로로 걸쳐져 있어 간세포 안의 과잉 아미노산 (asparagine)을 당으로 전환시키는 효소(GOT) 및 간세 포 안의 효소로 과잉의 아미노산 (alanine)을 당으로 전환 시키는 효소(GPT) 측정기의 보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비록 식별 전극 부위을 시료편의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각기 다른 감측기와 같이 사용하면, 상술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제품 생산 제작 시, 각기 다른 형식의 시료편을 제작할 때마다 생산 라인을 전부 교체 해야하고, 감측기 역시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식별 설비를 생산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생산 제조업자들에게 경제적 측면에서 불합리하고 원가 절감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 역시 작은 크기의 시료편과 그 보다 더 작은 면적의 식별 전극 부위로 인해, 식별 전극 부위의 위치가 바뀌어도 그 변화를 크게 느낄 수 없어, 측정 시 감측기의 시료편이 식별 부위에 정확히 일치되었는지 구분하기 어려워 측정 결과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술된 종전 기술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종의 각기 다른 저항을 갖는 재질을 개발한 것으로, 각기 다른 도전 재질을 필요에 따라 시료편의 식별 전극 구역상에 도포하여 측정 시, 감측기에 미리 설정된 저항값과 시료편의 식별 전극 구역의 저항값을 비교하여, 만약 해당 감측기의 측정용 시료편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할 경우, 측정을 진행할 수가 없게 되어 있어; 측정을 진행하는 사람이 잘못된 판단이나 잘못된 사용을 하는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안에서는 일종의 실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 측기 시료편을 제공하고, 절연성을 갖춘 제 1、제 2 기판이 그 주요 구성 요소가 되며, 해당 제 1 기판은 제 2 기판 위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제 1 기판 상에 작업, 전극 참조 및 식별 전극 구역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작업/전극 참조 및 식별 전극 구역은 제 2 기판 상으로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식별 전극 구역은 도전 특성을 지닌 재료를 도포하여 완성하였고, 해당 도전 재질은 각기 다른 테스트 용도나 혹은 다른 테스트 기계에 맞춰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제1기판 상의 작업、참고 전극 구역은 서로 연결 접촉되지 않고, 또한 해당 제 1、제 2 기판의 다른 한 끝에 측정 구역을 설치하여, 해당 측정 구역과 작업、참고 전극 구역이 서로 연결되게 하였다. 사용 시, 시료편을 감측기 내에 삽입할 경우, 식별 전극 구역 상에 도포된 각기 다른 도전 재질에서 각기 다른 저항값이 생성되는 특성을 이용해, 각기 다른 측정 조건에 부합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장에서 생산할 때 필요에 따라 식별 전극 부위 상에 각기 다른 도전 재질을 도포하는 신 고안 기술을 기존의 시료편을 각기 다른 용도와 규격의 감측기 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극의 위치와 규격을 변화시키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했을 때, 제조 원가를 대폭 절약할 수 있을 뿐더러 그 사용 방법 역시 상당히 간편하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감측 시료편에 보조되는 감측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당 감측기는 공장에서 생산될 때, 보조 시료편의 저항값에 의거하여 일정한 범위 내의 저항 값을 설정하게 되며, 그 결과, 측정 진행 시 해당 감측기는 시료편의 식별 전극 구역상의 각기 다른 도전 재질에서 생성되는 각기 다른 저항값을 이용해 그 값이 감측기에 미리 설정된 저항값의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값이라면, 즉시 에러 메세지를 생성하여 잘못된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범위 내에 포함된 값이라면, 즉시 생물 검사 측정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 결과 측정 결과 오류 발생등과 같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측정 결과가 상당히 정확하며 측정기가 느리게 반응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일종의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에 관한 것으로, 제 2 도식 및 제 2a도식을 참조해보면, 본 도식은 평면식 전화학 시료편의 일종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며, 해당 시료편10 상에 서로 대응되는 제1、2기판11、12을 설치하고, 해당 제1기판11은 제 2 기판12위에 설치되어있고, 해당 제1、2기판11、12은 평평한 판자 형태로 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해당 제1、2기판11、12의 경계면은 양 끝 부분을 제외한 기타 대응되는 면에 아교질 접착제를 사용해(본 고안의 실시 예제에서 사용된 방법. 본 기술과 관계된 기술자들은 다른 방법으로 이 부분을 처리할 수 도 있다.) 제1、2기판11、12을 서로 접착 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부분은 측정용 생물활성 물질을 가지게 되고, 또한 해당 제1기판11은 제2기판12 밖의 한 끝에 설치된 식별 전극 구역13 상에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고, 해당 식별 전극 구역13은 도전 재료를 도포하여 완성하였 으며, 그로 인해 각기 다른 도전 재료로 완성된 식별 전극 구역13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도전성 카본 잉크(Carbon Ink ) 혼합 재료(각기 다른 혼합 비율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나타낸다. 400Ω(옴)~800Ω(옴)이 한 종류의 시료편의 저항값 구간, 1Ω(옴)~3Ω(옴)이 다른 한 종류의 시료편의 저항값 구간...), 혹은 귀금속 합금(백금、팔라튬 합금) 혹은 단일 귀금속(금、은、백금등) 혹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등으로 완성된 도전 재료는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갖게 된다.
그리고 해당 제1、2기판11、12의 다른 한 끝에는 밖으로 돌출된 측정부14 가 설치되며, 또한, 해당 제1、2기판11、12 사이에는 하나의 작업 전극15와 하나의 참고 전극16이 삽입 설치되고, 해당 작업 전극15와 참고 전극16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또한 해당 작업 전극15와 참고 전극16의 한 끝은 측정부14에 깊이 설치되고, 다른 한 쪽은 식별 전극 구역13과 함께 제 2 기판12 밖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다.(제2a 도식 및 제 2b도식과 같음)
그 결과, 시료편을 감측기에 삽입했을 경우, 식별 전극 구역13 상의 각기 다른 도전 재료에서 생성되는 각기 다른 저항값 혹은 그 중 하나의 전극(작업 전극15 혹은 참고 전극16)과 식별 전극 구역13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값을 통해 각기 다른 측정 조건이나 각기 다른 형식의 감측기를 식별해 낼 수 있고, 이로 인해 각기 다른 업체의 각종 필요 조건을 만족 시킬 수 있으며, 생산 제조 업자들 역시 각기 다른 사용 조건에 의거하여, 식별 전극 구역13 상에 각기 다른 도전 재질을 도포하는 신 고안 기술을 기존의 시료편을 각기 다른 용도와 규격의 감측기 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극의 위치와 규격을 변화시키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했을 때, 제조 원가을 대폭 절약할 수 있을 뿐더러 그 사용 방법 역시 상당히 간편하다고 할 수 있다.
제 3 및 제 3a 도식을 참조해보면, 본 도식은 본 고안 기술을 입체식 전화학 시료편에 응용한 다른 한 가지 종류의 실제 예로서, 해당 시료편10 상에 하나의 제1기판11 및 제1기판11 양 측에 위치한 제 2 기판12를 설치하고, 해당 제1 기판11은 제 2 기판 12상에 설치되며, 또한 해당 제1、2기판11、12은 평평한 판자 형태로 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해당 제1、2기판11、12의 경계면은 양 끝 부분을 제외한 기타 대응되는 면에 아교질 접착제를 사용해(본 고안의 실시 예제에서 사용된 방법. 본 기술과 관계된 기술자들은 다른 방법으로 이 부분을 처리할 수 도 있다.) 제1、2기판11、12을 서로 접착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부분은 측정용 생물활성 물질을 가지게 되고, 또한 해당 제1기판11은 제2기판12 밖의 한 끝에 설치된 식별 전극 구역13 상에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고, 해당 식별 전극 구역13은 도전 재료를 도포하여 완성하였으며, 그로 인해 각기 다른 도전 재료로 완성된 식별 전극 구역13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도전성 카본 잉크(Carbon Ink ) 혼합 재료(각기 다른 혼합 비율은 각기 다른 저항값을 나타낸다. 400Ω(옴)~800Ω(옴)이 한 종류의 시료편의 저항값 구간, 1Ω(옴)~3Ω(옴)이 다른 한 종류의 시료편의 저항값 구간...), 혹은 귀금속 합금(백금、팔라튬 합금) 혹은 단일 귀금속(금、은、백금등) 혹은 인듐주석산화물 (Indium Tin Oxide. ITO) 등으로 완성된 도전 재료는 각기 다른 저항값을 갖게 된다.
또한, 해당 제1기판11과 제 2 기판12사이에 하나의 작업 전극15와 하나의 참고 전극16이 삽입 설치되고, 해당 작업 전극15와 참고 전극16은 해당 제1 기판 11에 의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또한 해당 작업 전극15와 참고 전극16의 한 끝은 측정부14에 깊이 설치되고, 다른 한 쪽은 식별 전극 구역13과 함께 제 2 기판12 밖으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다.(제3a 도식 및 제 3b도식과 같음)
제 4 도식을 참조해보면, 본 도식은 하나의 감측기 이며, 해당 감측기 상에 하나의 유기체20을 설치하고, 해당 유기체20 상에 하나의 모니터21을 설치하며, 또한 해당 유기체20 상에 하나의 미세 처리기를 설치하고, 해당 미세 처리기는 하나 의 측정 부위와 하나의 아날로그/ 디지털 전환 부위, 모니터21, 저장 부위 및 전원 연결 부위(도식에는 표현되지 않음)로 구분되어지며, 사용 시, 측정 부위에서 생물 신체를 측정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전환 부위를 통해 수치 자료로 전환한 후, 동시에 모니터를 통해서 수치 자료를 표현하게 되고( 이 부분은 종전의 기술 구조로 본 고안 기술에서 특허 신청으로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가 아님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해당 유기체20의 한 끝에는 하나의 측정부22를 설치하고, 해당 측정부 상에는 시료편10과 대응되는 측정점221을 설치하며, 해당 측정점221은 감측기의 통제 시스템(도식에는 표현되지 않음)과 서로 연결되어 있어, 본 실시 예에서 해당 측정점221은 식별 전극 구역13을 감지 측정할 수 있거나, 혹은 기타 전극(작업 전극15 혹은 참고 전극16) 이나 식별 전극 구역을 감지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2、3、4 도식을 참조해보면, 측정을 진행하기 전에, 우선 시료편을 측정부22에 삽입하여, 식별 전극 구역13 혹은 식별 전극 구역13과 그 중 하나의 전극(작업 전극 혹은 참고 전극)과 측정점221을 서로 접촉시킨 후, 전환 처리 과정을 거쳐, 감측기는 시료편의 식별 전극 구역13상의 각기 다른 도전 재료에서 생성되는 각기 다른 저항값 혹은 식별 전극 구역13과 그 중 하나의 전극(작업 전극 혹은 참고 전극)간에 생성되는 저항값으로, 그 값이 감측기에 미리 설정된 저항값의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값이라면, 즉시 모티너21 상에 에러 메세지를 생성하며 그 결과, 잘못된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측정을 진행하는 사람이 잘못된 판단이나 잘못된 사용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고안은 그 물품、형상、구조、 구성 등의 내용이 처음 고안된 것에 속하며, 종전의 기술이 가진 단점을 개선하여 그 사용상의 효과를 대폭 증진하였고, 실용화에 적합함으로 고안 특허 신청 요건에 부합되는 명실상부한 이상적인 고안이라고 할 수 있다.

Claims (8)

  1. 일종의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으로서,
    하나의 전기 절연성 기판, 해당 기판 중 하나의 작업 전극 및 하나의 참고 전극이 설치되고;
    하나의 식별 전극 구역이 해당 기판의 한 끝에 설치되며, 해당 식별 전극 구역에는 도전 재질을 도포하고, 해당 도전 재질은 저항값에 따라 각기 다른 물질로 대체되며; 하나의 측정부가 기판의 다른 한 끝에 설치되고, 해당 측정부는 작업 전극과 참고 전극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도전 재질은 도전성 카본 잉크(Carbon Ink)인,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3. 제 1 항에 있어서, 그 도전 재질은 귀금속 합금(백금、팔라튬 합금) 혹은 단일 귀금속(금、은、백금등) 혹은 인듐주석산화물 (Indium Tin Oxide. ITO) 등인,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4. 제1 항에 있어서, 그 기판에는 서로 대응되는 제1、2 기판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제1, 2 기판은 평평한 판자 형태로 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해당 제1、2기판의 경계면은 양 끝 부분을 제외한 기타 대응되는 면에 아교질 접착제를 사용 해 제1, 2 기판을 서로 접착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부분은 측정용 생물활성 물질을 가지게 되는,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5. 제1 항에 있어서, 해당 기판에 하나의 제1기판 및 제1기판 양 측에 위치한 제 2 기판을 설치하고, 해당 제1 기판은 제 2 기판 상에 설치되며, 또한 해당 제1, 2기판은 평평한 판자 형태로 절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해당 제1, 2기판의 경계면은 양 끝 부분을 제외한 기타 대응되는 면에 아교질 접착제를 사용해 제1, 2기판을 서로 접착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은 부분은 측정용 생물활성 물질을 가지게 되는,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6. 일종의 시료편과 보조 사용되는 감측기로서,
    하나의 측정부가 설치 되어 있고, 해당 측정부 상에는 측정 시 보조 사용되는 측정점을 설치하며, 해당 감측기에는 일정한 범위의 저항값이 설정되어 있어, 시료편을 측정부에 삽입하게 되면 해당 감측기는 시료편의 식별 전극 상의 각기 다른 도전 재질이 생성하는 저항값을 이용해 그 값이 감측기에 미리 설정된 저항값의 범위내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만약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은 값이라면, 즉시 에러 메세지를 생성하여 잘못된 측정을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며;
    만약 범위 내에 포함된 값이라면, 즉시 생물 검사 측정 작업을 진행하며,
    그 결과 측정 결과 오류 발생등과 같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측정 결과가 상당히 정확하며 측정기가 느리게 반응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감측기.
  7. 제6항에 있어서, 그 측정점의 측정 위치가 식별 전극 구역 상에 위치하게 되는 감측기.
  8. 제6항에 있어서, 그 측정점의 측정 위치는 식별 전극 구역과 작업 전극 혹은 참고 전극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는 감측기.
KR2020050031927U 2005-11-10 2005-11-10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 KR200409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27U KR200409396Y1 (ko) 2005-11-10 2005-11-10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27U KR200409396Y1 (ko) 2005-11-10 2005-11-10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396Y1 true KR200409396Y1 (ko) 2006-02-22

Family

ID=4175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927U KR200409396Y1 (ko) 2005-11-10 2005-11-10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3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761A1 (en) * 2007-09-04 2009-03-12 Hubit Co., Ltd Biosensor and readout me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1761A1 (en) * 2007-09-04 2009-03-12 Hubit Co., Ltd Biosensor and readout meter
KR100915383B1 (ko) * 2007-09-04 2009-09-03 주식회사 휴빛 바이오센서 및 바이오센서 측정기
CN101874204A (zh) * 2007-09-04 2010-10-27 喜来健迈德斯 生物传感器及读出仪
US8790500B2 (en) 2007-09-04 2014-07-29 Ceragem Medisys Inc. Biosensor and readout m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ncki et al. Screen-printed ruthenium dioxide electrodes for pH measurements
AU2011360141B2 (en) Capacitance detection in electrochemical assay with improved response
KR101723395B1 (ko) 충전 충분성 방법 및 시스템
AU2011219583B2 (en) Capacitance detection in electrochemical assay
Mingels et al. Iridium and Ruthenium oxide miniature pH sensors: Long-term performance
SG140463A1 (en) Electrochemical method for measuring chemical reaction rates
CN102395879A (zh) 电流型电化学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20070068806A1 (en) Biosensor strip having an identification function and its sensor
CN105431730B (zh) 分析测试仪
WO2012017306A4 (en) Electrochemical sensor
CN107422019A (zh) 电化学测试片
TW201537166A (zh) 具有樣品偵測功能的電化學生物感測器裝置、系統以及偵測方法
CN112611788A (zh) 一种半导体硫化氢气体传感器
CN111413375A (zh) 一种基于气敏膜-电极界面电阻信号的气体传感器
US20040035699A1 (en) Method and fabrication of the potentiometric chemical sensor and biosensor based on an uninsulated solid material
US20090021263A1 (en) Multi-Ion Potential Sensor and Fabrication thereof
CN104684473B (zh) 用于测定对血细胞比容不敏感的葡萄糖浓度的系统和方法
KR200409396Y1 (ko) 식별 기능을 갖춘 생물 감측기 시료편 및 보조 감측기
TW201007164A (en) Potentiometric biosensor and the forming method thereof
CN2890916Y (zh) 具有识别功能的生物传感器试片及与之配合的传感器
JP4226756B2 (ja) バイオセンサ、それを用いた定量方法及び定量装置
JP2000266715A (ja) 電気化学的センサー
KR20150046627A (ko) 바이오 센서
JP2013185991A (ja) 濃度測定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TW416005B (en) Biosensor with multiple sampling w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