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179Y1 - pen of touch pin up and down structure - Google Patents
pen of touch pin up and dow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9179Y1 KR200409179Y1 KR2020050033015U KR20050033015U KR200409179Y1 KR 200409179 Y1 KR200409179 Y1 KR 200409179Y1 KR 2020050033015 U KR2020050033015 U KR 2020050033015U KR 20050033015 U KR20050033015 U KR 20050033015U KR 200409179 Y1 KR200409179 Y1 KR 2004091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touch
- hole
- core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6—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cl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로 신체의 혈점 또는 정보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 표면을 가압하여 혈액순환의 원활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ouch rod appearance structure of the writing instrument which enables the blood point of the body or the touch screen surfac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o be smoothly circulated by the writing instrument and to input information.
필기구는 클립이 설치된 뚜껑과, 잉크심 또는 연필심추출금구로 된 심부재가 내장되어 선단의 촉이 노출되는 취부캡과, 상기 취부캡에 결합되어 심부재를 고정시키는 심캡으로 된 필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대의 심캡의 일단에 출몰홀을 형성하여 이에 나사식 이동을 하는 터치부재와, 터치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캡을 끼움 걸림상태로 설치되는 고정구를 설치하여서 회전캡을 좌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슬라이드면과 슬라이드홀의 접촉으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터치부재가 고정구와 회전캡의 통공에서 나사식 이동하여 터치촉이 회전캡에서 출몰되는 것이어서 터치부재가 노출된 상태에서 터치 촉을 피부 또는 터치스크린에 접촉 가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혈점 자극과, 정보의 입력이 안정되면서 간편하게 제공된다. The writing instrument is made of a cap consisting of a lid installed with a clip, a core cap made of an ink core or a pencil core extraction lock, and a mounting cap for exposing the tip of the tip, and a core cap coupled to the mounting cap to fix the core member. Rotating the cap to the left or right direction by installing the touch member for screwing movement to form a haunting hole in one end of the shim cap of the pen and a fastener installed in the state of locking the rotary cap to rotate the touch member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rotating, the touch member is screw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fixture and the rotating cap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slide surface and the slide hole, so that the touch tip emerges from the rotating cap so that the touch tip is exposed to the skin or Touch pressure on the touch screen allows users to easily provide desired blood point stimulation and stable input of information.
필기구, 뚜껑, 필대, 심부재, 출몰홀, 고정구, 터치부재, 회전캡, 통공 Writing utensils, lid, pen stand, core member, inlet hole, fixture, touch member, rotating cap, through hole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필기구의 상태도.1 is a state diagram of a writing instru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 중 회전캡과 터치부재 및 고정구를 분리구성을 보인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showing the separation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cap and the touch member and the fix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중 필대에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ture is coupled to the pen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중 회전 캡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안 일부 단면도.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urity state of coupling the rotating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대한 조립상태에서 필대의 후단에 터치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member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stand in the assembled state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 -A 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7은 본 고안의 회전 캡을 돌려 터치부재의 터치촉이 회전캡 외부로 노출된 상태도.7 is a state in which the touch tip of the touch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cap by turning the rotary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00 : 필기구 110 : 필대 113 : 심캡 100: writing instrument 110: pen stand 113: seam cap
115 : 출몰홀 200 : 터치부재 210 : 터치봉115: inlet hole 200: touch member 210: touch rod
220 : 슬라이드대 230 : 나사구 300 : 고정구220: slide table 230: screw ball 300: fastener
310 : 통공 320 : 걸림턱 330 : 걸림턱310: through hole 320: locking jaw 330: locking jaw
400 : 회전캡 420 : 통공 430 : 슬라이드홀400: rotating cap 420: through hole 430: slide hole
440 : 끼움편 440: fitting
본 고안은 글씨를 쓸 수 있는 필기구로써 일 측으로 노출된 심 부재의 촉으로 글씨를 쓰고, 타측에서 선택적으로 노출되 는 터치부재로는 정보의 입력 또는 혈액순환의 원활을 이루도록 혈점을 자극하는 필기구의 터치봉 출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riting instrument that can be used as a writing instrument to write the letter to the touch of the core member exposed to one side, and the touch member selectively expos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that stimulates the blood point to facilitate the input of information or blood circulation It relates to a touch rod appearance structure.
생활 주변에서 쉽게 구입하고, 사용하는 필기구 중 캡 형상의 뚜껑을 갖는 필기구는 뚜껑이 있으며, 상기 뚜껑이 결합되고 분리되는 필대로 구분되는 데, 필대는 손가락으로 잡는 취부캡과, 글씨를 쓸 수 있는 잉크심 또는 연필심 추출금구로 된 심부재를 내장하는 필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대는 손가락으로 잡는 취부캡과 심부재가 내장되는 심캡이 결합 분리되는 구성으로 되어 통상의 심부재를 심캡에 넣고 취부캡을 심캡에 결합하면 취부캡의 선단으로 심부재의 선단이 노출되는 상태를 이루었고, 이러한 필대로 글씨를 쓰기 위해서는 뚜껑을 벗겨내어 심캡 부분에 뚜껑을 씌우면 취부캡에서는 촉이 노출되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취부캡 부분을 잡고 글씨를 쓸 수 있었던 것이다. Writing instruments having a cap-shaped lid among the writing instruments that can be easily purchased and used around the life have a lid, and the lid is divided into pens which are combined and separated, and the pen holders can be written with a cap and a writing cap. It consists of a pen containing a core member made of ink core or pencil core extraction bracket. In addition, the pen stand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mounting cap to be held by the finger and the core cap embedded in the core member. In order to write the letter as it is, peel off the lid and cover the seam cap portion of the cap so that the mounting cap is exposed to the state that the user was able to hold the mounting cap portion and write the letter.
이러한 단순기능에서 필대의 후단에 혈점을 자극하는 지압침을 내장하여 지압침 부위를 피부에 접촉시켜 누르면 지압침을 감싸고 있는 보호캡이 뒤로 밀리면서 내장된 지압침이 피부에 닿아 혈점을 자극하도록 된 필기구가 실용신안등록 제356687호로 제안된 바 있다. In this simple function, the acupressure needle that stimulates the blood point is embedded in the rear end of the stick, and when the acupressure needle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kin, the protective cap surrounding the acupressure needle is pushed back, and the built-in acupressure needle touches the skin to stimulate the blood point. Writing implements have been propos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56687.
그러나, 제안된 실용신안등록은 평상시에 지압침이 보호캡내에 위치되고, 보호켑이 눌려지는 경우에만 돌출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는 있지만 보호캡이 항상 지압침을 은폐상태로 있어서 평상시에는 지압침을 볼 수가 없어 혈점에 지압침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선등록실용신안은 보호캡과 지압침을 필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고정하면서 고정상태를 나사식으로 형성한 구성이므로 사용중에 나사부분이 풀리면 결합부재가 풀리게 되고, 이로인하여 보호캡과, 지압침의 조립상태도 필대로 부터 분리되므로 사용중에 부품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opos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an be used safely since the chiropractor is normally placed in the protective cap and protrudes only when the protective cap is pressed, but the protective cap is always in the concealed state because the protective cap is always concealed. There was a discomfort that could not contact the chiropractor accurately to the blood point. And, since the pre-registration utility model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ed state is formed by screwing while fixing the protective cap and the chiropractor to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pen holder, the coupling member is released when the screw portion is loosened during use, thereby the protective cap and Since the assembly state of the chiropractor is also separated from the pe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rts lost during u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필대의 후단에 설치되는 회전캡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터치봉이 회전캡 속에서 수직하게 이동하여 회전캡 외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is to make the rotary cap installed in the rear end of the pen to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touch bar to move vertically in the rotating cap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cap.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필기구는 클립이 설치된 뚜껑과, 잉크심 또는 연필심추출금구로 된 심부재가 내장되어 선단의 촉이 노출되는 취부캡과, 상기 취부캡에 결합되어 심부재를 고정시키는 심캡으로 된 필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대의 심캡의 일단에 출몰홀을 형성하여 이에 나사식 이동을하는 터치부재와, 터치부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캡을 끼움 걸림상태로 설치되는 고정구를 설치하여서 회전캡을 좌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슬라이드면과 슬라이드홀의 접촉으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터치부재가 고정구와 회전캡의 통공에서 나사식이동하여 터치촉이 회전캡에서 출몰되는 구성으로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riting instrument is a lid with a clip installed, the core member of the ink core or pencil lead extraction port is built-in mounting cap to expose the tip of the tip, and the cap is coupled to the mounting cap to secure the core member The cap is made of a pen, and the rotatable cap is installed by forming a contact hole in one end of the shim cap of the pen and screw-moving the touch member, and a fastener installed in the state of locking the rotary cap for rotating the touch uni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rotating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slide surface and the slide hole, the touch member is screwed in the through-hole of the fixture and the rotating cap will be sufficiently achieved in the configuration that the touch nib is released from the rotating cap.
이하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필기구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중 회전캡과 터치부재 및 고정구의 분리구성을 보인 상태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of a writing instrument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cap and the touch member and the fixture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필기구(100)는 필대(110)에 씌워지는 뚜껑(101)과, 잉크심 또는 연필심추출금구으로 된 심부재(130)를 내장하는 심캡(113)과 상기 심캡에 결합되어 선단으로 심부재(130)의 촉이 노출되는 취부캡(111)필대(110)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필대(110)의 구성 중 심부재(130)이 내장되는 심캡(113)의 하단에 소정크기의 출몰홀(115)을 오목하게 형성한다.(도2)
상기 출몰홀(115)에는 터치부재를 설치하는 고정구(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17)을 더 형성한다. The
도 3은 본 고안 중 필대에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로서, 상기 출몰홀(115)에 삽입되는 고정구(300)는 원통형인 통공(310)으로 이루져서 통공(310)의 중간위치에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나사홀(330)을 형성하고, 입구 측 내경을 통공(310)보다 좁게 형성하는 구성에 의하여 걸림턱(320)을 형성한다. 이러한 걸림턱(320)의 입구는 경사지게 형성함이 조립구조상 바람직하다.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ture is coupled to the pen st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통공(310)의 내공간으로는 압축시에 탄성 반발력을 갖는 압압스프링(250)과, 터치부재(200)가 삽입되는 것을 도 3에 의해서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from FIG. 3 that the
상기 터치부재(200)는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력을 발생시키는 나 사구(230)와, 피부 또는 터치스크린 표면에 점 접촉할 수 있는 터치촉(213)이 선단에 마련된 터치봉(210)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러한 터치봉(210)에는 나사구(23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터치봉(210)의 외주면에 단면형상이 삼각, 사각 또는 육각으로 된 슬라이드대(220)를 형성하되, 상기 터치봉(210)의 길이 중 나사구에 근접한 부분에서 부터 일부분에만 형성한다.The
상기 터치부재(200)에서 나사구(230)와, 슬라이드대(220)를 일체로 형성하며 터치촉(213)이 형성되는 터치봉(210)은 합성수지가 아닌 금,은, 두랄루민 등과 같은 귀금속으로 형성하여 터치봉(210)을 슬라이드대(220)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e
상기 필대(100)의 출몰홀(115)에는 고정구(300)가 십입되며, 상기 고정구(300)에는 회전캡(400)이 도 4처럼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 중 회전캡을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일부 단면도로,회전캡(400)은 필대(100)와 동일한 외경을 갖으며 돔 형상으로 형성한다. 돔 형상의 중앙에는 터치부재(200)의 터치봉(210)이 출입하는 통공(420)을 뚫어 형성하며 상기 통공(420)내부에는 터치봉(210)의 슬라이드대(220)와 대응한 형상으로 슬라이드홀(430)을 일부분 형성한다.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cap is coup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회전캡(400) 중앙에 뚫린 통공(420)의 시작단에는 고정구(300)의 통공(310)입구로 삽입 유도되는 끼움편(440)을 형성하고, 통공(310)의 걸림턱(320)에 걸리는 걸림면(443)을 형성한다. At the start end of the through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50은 터치부재가 항상 탄력적인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탄력을 제공하는 압압스프링(250)이며, 고정구(300)의 통공(310)과 터치부재(200)의 나사부 사이에 설치된다. In the drawing,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먼저, 필대(110)의 심캡(113)에 형성된 출몰홀(115)속으로 고정구(300)를 삽입하여 출몰홀(115)의 고정홈(117)으로 고정구(300)를 삽입시켜 접착제등으로 고정한 다음, 압압스프링(250)과 터치부재(200)를 고정구(300)의 통공(310)속으로 차례로 삽입하여 터치부재(200)의 나사구(230)가 고정구(300)의 나사홀(330)에 나사식 결합을 이루게 하며, 압압스프링(250)은 압축되면서 터치부재(200)에 탄력을 제공하는 상태가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first, by inserting the
상기와 같이 결합 된 상태에서 회전캡(400)을 고정구(300)에 결합하는 것으로, 고정구(300)외부로 돌출된 터치부재(200)의 터치봉(210)에 회전캡(400)의 통공(420)을 삽입하고, 회전캡(400)의 통공(420)선단에 형성된 끼움편(440)이 고정구(300)의 걸림턱(302)으로 삽입되어 걸림턱(320)에 걸림면(443)이 상호 결합상태가 되며 동시에 터치봉(210)의 슬라이드대(220)가 슬라이드홀(430)에 형합되는 상태를 이루어 도 5와 같은 조립상태를 이루게 된다. By coupling the
이대 회전캡(400)의 가이드편(450)은 심캡(113)의 고정된 고정구(300)와 심캡(113)의 출몰홀(115)사이에 삽입되어 고정구(300)의 통공(310)입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캡(400)의 조립상태를 안정하게 한다. The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필대(110) 후단에서 회전되도록 설치하는 회전캡(400)내에는 표면을 누를 수 있는 터치부재(200)가 내장된 상태가 된다. In the rotating
따라서 필대(110)는 취부캡(1110을 사용자가 쥐게 되면 글씨를 쓰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심캡(113)을 쥐면 피부 또는 터치스크린 의 표면을 누르는 상태가 된다. 피부 도는 터치스크린 표면을 누르는 상태로 심캡(113)을 쥐고 회전캡(400)을 일측방향으로 돌리면 터치부재(200)의 슬라이드대(220)와 회전캡(400)의 슬라이드홀(430)은 그 단면이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형합된 상태로 있으므로 회전력을 받게 되고, 터치부재(200)가 회전하게 되면 나사구((230)는 고정구(300)의 나사홀(330)에서 나사식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직방향으로 전진하는 상태가 된다. Accordingly, the
수직방향으로 전진하는 터치부재(200)는 그 선단의 터치촉(213)이 회전캡(400)의 통공(420)에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The
이처럼 터치부재(200)의 터치촉(213)이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촉(213)을 피부의 혈점 또는 정보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 표면에 대면 촉 선단의 형상에 의해 국부적으로 눌려지는 상태가 되어 혈점이 자극되며, 정보통신기기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이후, 사용자가 회전캡(400)의 너얼링면(410)을 이용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통공(420)의 슬라이드홀(430)을 통해 터치부재(200)의 슬라이드대(220)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나사구(230)는 나사홀(330)에서 나사식 이동을 하여 수직이동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회전캡(400의 통공(420)에서 돌출되었던 터치부재(200)의 터치촉(213)은 통공(420)속으로 은폐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using the
상기와 같이 터치부재(200)가 회전캡(400의 통공(420)에서 출몰할 때 회전캡(400)은 심캡(113)에 고정된 고정구(300)의 걸림턱(320)에 끼움편(440)에 의한 걸림면(443)이 결합된 상태이므로 회전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When the
따라서 사용자들은 터치부재를 노출시켜서 터치 촉이 피부를 누르거나, 터치스트린을 누르는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며, 터치부재가 은폐된 상태에서는 회전캡을 돌리지 않으면 터치 촉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터치부재 및 터치 촉 등이 보호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touch tip by pressing the skin or checking the state of pressing the touch screen by exposing the touch member,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correct operation. Since the touch tip is not exposed, the touch member and the touch tip are protec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필대의 심캡 후단에 터치부재가 나사식 이동되도록 조립된 고정구를 설치하고, 고정구에는 터치부재에 회전력을 전하도록 회전 캡을 결합하여 나사와 슬라이드의 상호기능에 의하여 터치부재가 회전 캡 내에서 외부로 출몰하도록 한 구성에 의하여 터치부재의 돌출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한 상태에서 터치 촉을 피부 또는 통신기기에 점 첩촉되게 할 수 있는 것이어서 혈점의 자극 또는 정보의 입력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사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회전 캡 속으로 터치부재가 은폐되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터치부재의 터치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서 필기구에 터치기능을 더 제공하는 이점과 함께 터치부재의 조작기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품질의 고급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fastener assembled so that the touch member is screw-moved at the rear end of the shim cap of the pen, and the fastener is coupled to the touch member by combining the rotating cap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ouch member. The touch tip can be contacted to the skin or the communication device while the projecting state of the touch member is continuously maintained b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ght is projected to the outside in the rotating cap, thereby accurately stimulating blood points or input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ouch member can be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member is concealed into the rotating cap when the use is completed, and thus the touch member of the touch member can be protected securely, and the touch member is provided with a touch function. The operation function of can be made efficiently and can achieve high qualit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015U KR200409179Y1 (en) | 2005-11-22 | 2005-11-22 | pen of touch pin up and dow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3015U KR200409179Y1 (en) | 2005-11-22 | 2005-11-22 | pen of touch pin up and dow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9179Y1 true KR200409179Y1 (en) | 2006-02-20 |
Family
ID=4175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3015U KR200409179Y1 (en) | 2005-11-22 | 2005-11-22 | pen of touch pin up and dow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9179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798Y1 (en) | 2010-09-17 | 2012-11-26 | 주식회사 뉴빛 | Stylus pen |
KR101243164B1 (en) | 2011-10-11 | 2013-03-13 | 김대상 | Pen with capacitive touch tip |
-
2005
- 2005-11-22 KR KR2020050033015U patent/KR20040917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798Y1 (en) | 2010-09-17 | 2012-11-26 | 주식회사 뉴빛 | Stylus pen |
KR101243164B1 (en) | 2011-10-11 | 2013-03-13 | 김대상 | Pen with capacitive touch ti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14204B2 (en) | Writing implement with bearing coupled rotary device | |
US4986682A (en) | Retractable finger pen | |
KR200409179Y1 (en) | pen of touch pin up and down structure | |
KR200452277Y1 (en) | A ball-point pen eguiped with a lighting | |
KR101071935B1 (en) | Touch pen | |
KR200428127Y1 (en) | Ballpoint pen structure with touch tip | |
CN213649197U (en) | Novel gel pen shell | |
CN2280010Y (en) | Writting pen | |
KR200391898Y1 (en) | ball pen | |
JP2003154787A (en) | Refill out-in mechanism of writing appliance | |
JPH11301169A (en) | Writing utensil | |
JP7018160B1 (en) | Pen with light | |
KR200434263Y1 (en) | Writing tools having massage fuction | |
KR200414278Y1 (en) | Ballpoint pen structure with touch tip. | |
KR200401649Y1 (en) | ball point pen | |
JPS627514Y2 (en) | ||
JP2017136177A (en) | Eyebrow drawing tool | |
KR200331264Y1 (en) | Pen for multiplication | |
KR200225436Y1 (en) | Refill Rotating Type Writing Instrument | |
KR200351024Y1 (en) | for ball point and stylus pen | |
JP3452552B2 (en) | Writing implement | |
JP3476723B2 (en) | Writing implement | |
KR20240132800A (en) | Item holder for writing instruments | |
JP2003154788A (en) | Refill out-in mechanism of writing appliance | |
KR20090000273U (en) | Pen of puch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