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334Y1 -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334Y1
KR200408334Y1 KR2020050032288U KR20050032288U KR200408334Y1 KR 200408334 Y1 KR200408334 Y1 KR 200408334Y1 KR 2020050032288 U KR2020050032288 U KR 2020050032288U KR 20050032288 U KR20050032288 U KR 20050032288U KR 200408334 Y1 KR200408334 Y1 KR 200408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ldc motor
electromotive force
high efficiency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이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태 filed Critical 이종태
Priority to KR2020050032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3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10Temporary overload
    • B60L2260/16Temporary overload of electrical drive trains
    • B60L2260/167Temporary overload of electrical drive trains of motors or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LDC모터(10)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발전기(20)의 사이에 변속장치(12)를 설치하고, 상기 발전기(20)의 일측으로 유체커플링(30)과 플라이휠(32)을 설치하며, 상기 발전기(20)를 구성하는 회전자(22)와 자기유도철심(24a)(24b)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26)의 권취 및 결선방식을 개선한 구조의 발전기(20)로서, 상기 BLDC모터(10)와 발전기(20) 사이에 설치된 변속장치(12)에 의하여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변속시켜 발전기(20)의 출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회전자(22)와 자기유도철심(24a)(24b)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26)의 권취 및 결선방식의 개선에 의해 감응코일(26)에서 발생하는 역전류에 의한 유도자기를 차단 및 상쇄시켜 무자성화함으로써, 동일한 운동에너지로 대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출력이 향상된 발전장치를 제공하며, 상기의 유체커플링(30)은 플라이휠(32)의 착탈에 의해 갑작스런 부하변동에 의해서도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A hybrid type high efficiency electric power generating equipment}
도1은 본 고안을 간략화한 블럭도.
도2는 본 고안의 영구자석 및 자기유도철심과 감응코일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BLDC모터콘트롤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4는 본 고안의 발전기와 연결된 더미부하콘트롤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5는 본 고안의 역기전력조절회로에 의한 각 부분에 대한 출력파형
도6은 본 고안의 발전기의 역기전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써, 3상발전기와 결선된 역기전력조절회로를 보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BLDC모터 12 변속장치
14 속도검출기 20 발전기
22 회전자 23 영구자석
24a,24b 자기유도철심 25a,25b 권선철심
26 감응코일 26a 기전력코일
26b 역기전력코일 26c 중간단자
27 출력단자 30 유체커플링
32 플라이휠 40 BLDC모터콘트롤장치
41 BLDC모터전원공급장치 42 메인프로세스유니트
43 전류/전압검출부 44 위치검출엔코더
45 드라이버모듈 46 트랜지스터모듈
50 더미부하콘트롤장치 52 역기전력 조절회로
52a 저항 52b 콘덴서
52c 게이트드라이버유니트 53 디지털신호처리장치
54 발전위상각검출기 55 역기전력위상각검출기
56 LOGIC변환기 57 A/D변환기
60 부하차단장치 70 메인콘트롤장치
72 전원공급장치 74 표시장치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LDC모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발전기의 사이에 변속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전기의 일측으로 유체커플링과 플라이휠을 설치하며, 상기 발전기를 구성하는 회전자와 자기유도철심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의 권취 및 결선방식을 개선한 구조의 발전기로서, 상기 BLDC모터와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변속장치에 의하여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변속시켜 발전장치의 출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회전자와 자기유도철심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의 권취 및 결선방식의 개선에 의해 감응코일에서 발생하는 역전류에 의한 유도자기를 차단 및 상쇄시켜 무자성화함으로써, 동일한 운동에너지로 대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유체커플링은 플라이휠의 착탈에 의해 갑작스런 부하변동에 의해서도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코일(도체)에 영구자석 N극 또는 S극을 움직이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의 변화(자속쇄교)에 의하여 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형상을 전자유도라 한다.
이때, 발생되는 기전력을 유도 기전력, 여기에 흐르는 전류를 유도전류라 한다.
전자유도에 의한 기전력의 방향은 도체에 영구자석을 움직이는 방향, 영구자 석의 극성(N극, S극)에 의하여 결정된다.
렌쯔의 법칙과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은 이러한 전자유도의 방법 중의 한가지임을 알 수 있다.
유도 기전력의 방향에 있어서는, 렌쯔의 법칙은 유도 기전력은 코일을 통한 자속이 증가하게 될 때 이것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감소시킬 때에는 증가시키는 방향에 발생해서 유도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정의하고 있다. 다시 말해 유도 기전력은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에 생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은 도체가 자속을 끊었을 때 생기는 유도 기전력의 방향은 오른손으로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가운데 손가락을 서로 직각으로 펴고 집게손가락을 자장의 방향에, 엄지손가락을 운동하는 방향을 가리키면 가운데 손가락은 유도 기전력의 방향으로 됨을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자 유도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 발전기이다.
이와 같은 발전기는, 다양한 에너지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기로서, 모든 발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기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의 발전기는 자석 또는 도체를 기계적으로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때 코일에는 전자 유도에 의해 발생하는 역전류가 흐르게 되고, 회전자를 잡아당기는 반대자성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자는 그 자체의 전기 생산량의 2배 이상에 달하는 불필요한 부하를 받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발전기는 그 효율이 일반적으로 낮은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LDC모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발전기의 사이에 변속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전기의 일측으로 유체커플링과 플라이휠을 설치하며, 상기 발전기를 구성하는 회전자와 자기유도철심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의 권취 및 결선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상기 BLDC모터와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변속장치에 의하여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변속시켜 발전장치의 출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회전자와 자기유도철심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의 권취 및 결선방식의 개선에 의해 감응코일에서 발생하는 역전류에 의한 유도자기를 차단 및 상쇄시켜 무자성화시켜 동일한 운동에너지로 대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 발전기의 일측으로 유체커플링과 플라이휠을 구비하여 갑작스런 부하변동에 의해서도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덜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발전장치는 BLDC모터(10)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발전기(20)의 사이에 변속장치(12)를 설치하여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변속시켜 출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발전기(20)를 구성하는 회전자(22)와 자기유도철심(24a)(24b)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26)의 권취 및 결선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역전류에 의한 유도자기를 차단 및 상쇄시켜 무자성화시켜 동일한 운동에너지로 대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발전기(20)의 일측으로 유체커플링(30) 및 플라이휠(32)을 구비하 여 갑작스런 부하변동에 의해서도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화한 블럭도로서, 상기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BLDC모터(10)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본 고안의 발전기(20)와의 사이에는 변속장치(12)가 설치된다.
또, 상기의 발전기(20) 일측으로는 유체커플링(30)과 플라이휠(32)이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 구성된 BLDC모터(10)와 발전기(20)를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상기 BLDC모터(10)측으로는 BLDC모터콘트롤장치(40)가 구비되고, 발전기(20)측으로는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와 부하차단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BLDC모터콘트롤장치(40)와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는 메인콘트롤장치(70)와 연결구성되며, 상기 메인콘트롤장치(70)로는 메인전원공급장치(72)와 표시장치(74)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발전기(20)를 구성하는 회전자(22)와 자기유도철심(24a)(24b)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26)의 권취 및 결선방식을 도2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선한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BLDC모터(10)와 발전기(20)의 사이에 설치된 변속장치(12)는 상기 BLDC모터(10)에서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변속시켜 발전기(20)측으로 회전력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전달되는 회전속도는 4:1로 감소하면서 토크를 약 4배로 향상시킨다.
예로써, 상기 BLDC모터(10)의 회전속도를 2500rpm으로 회전시키면 발전기(20)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는 625rpm이 되고, 발전기(20)의 회전력은 4배로 감소하며, 토크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발전기(20)의 일측으로 설치된 유체커플링(30)과 플라이휠(32)은 BLDC모터(10)와 발전기(20)가 정상적으로 회전 작동할 때까지 상기 플라이휠(32)이 분리된 상태로 있다가 발전기(20)의 회전속도가 정상이 되면 상기 플라이휠(32)이 접속되어 발전기(20)와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며, 갑작스런 부하변동이 일어날 때, 상기 플라이휠(32)의 회전력에 의해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플라이휠(32)은 무게에 비례적으로 힘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BLDC모터(10)측으로 구비된 BLDC모터콘트롤장치(40)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BLDC모터전원공급장치(41), 메인프로세스유니트(42), 전류/전압검출부(43), 위치검출엔코더(44), 드라이버모듈(45), 트랜지스터모튤(46)로 구성된다.
또, A/D변환기(47) 및 아나로그입력비교기(48)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콘트롤장치(70)로부터 전달되는 아나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BLDC모터콘트롤장치(40)는 상기 BLDC모터(10)의 일측으로 구비된 통상의 속도검출기(14)에서 BLDC모터(10)의 회전속도가 검출되어 전달받게 되며, 상기 BLDC모터콘트롤장치(40)의 내부에는 통상의 펄스회로, 연산회로, 전 원회로 등이 내장되어 있어 BLDC모터(10)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BLDC모터전원공급장치(41)를 통해 제어전원 +5V ±5V로서 드라이버모듈(45)의 전원을 만들며, 메인프로세스유니트(42)는 메인콘트롤장치(70)에서 속도신호를 받게 되며, 상기 신호를 인가받은 드라이버모듈(45)과 트랜지스터모듈(46)은 전압을 스위칭하여 BLDC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한다.
BLDC모터(10)의 입력전류는 전류센서, 속도와 위치는 위치검출엔코더(44)를 통해 메인프로세스유니트(42)에 피드백되어 전류제어와 속도제어를 행하게 된다.
BLDC모터코일의 1상에 연결되어 설치된 위치검출엔코더(44)에서는 N극 및 S극의 위치를 감지 작동하여 메이프로세스유니트(42)에서 트랜지스터모듈(45)을 ON, OFF시켜 모터코일이 통전되도록 한다.
이때, 같은 방법으로 각 상은 독립적으로 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BLDC모터(10)는 원활하게 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면, 3상 중 2상 모터는 전기각이 120가 되며, 파트웨이브, 스퀘어웨이브를 입력하므로써 메인콘트롤장치(70)는 낮은 주파수의 PWM콘트롤이 가능하다.
따라서, di/dt로스는 극소화시키므로 효율은 향상되고 신뢰도는 높아지게 된다.
상기 발전기(20)측으로 구비된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는 상기 발전기(20)의 기동토크를 제어하여 BLDC모터(10)의 기동이 원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의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전력코일(26a) 및 역기전력코일(26b)측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역기전력조절회로(52), 디지 털신호처리장치(53), 발전위상각검출기(54), 역기전력위상각검출기(55), LOGIC변환기(56), A/D변환기(57)로 구성된다.
상기의 역기전력조절회로(52)에는 SCR1, SCR2와 저항(52a), 콘덴서(52b) 및 게이트드라이버유니트(52c)로 결선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은 메인콘트롤장치(70)에서 신호를 받으면 A/D변환기(57)에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바꾸어 디지탈신호처리장치(53)로 입력되어 발전위상각검출기(54)와 역기전력위상각검출기(55)에 의해 발전위상각과 역기전력위상각이 검출되며, 메인콘트롤장치(70)의 신호에 따라 발전위상각을 0°∼ 30°, 150°∼ 180°사이를 제어시키고, 나머지 30°∼ 150°까지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지탈신호처리장치(53)에서 제어하도록 신호를 콘트롤한다.
도5는 역기전력조절회로(52)에 의한 각 부분에 대한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①부분에서는 기전력코일(26a)측에서 발생하는 발전파형이 나타나며, ②부분에서는 역기전코일(26b)측에서 발생하는 상쇄파형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③부분에는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콘트롤장치(70)의 신호에 따라 위상각을 0°∼ 30°와 150°∼ 180°사이를 제어하여 상쇄하게 되며, 나머지 30°∼ 150°까지만을 통과시켜 출력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발전파형과 SCR1 및 SCR2를 통과한 상쇄파형이 합성되어 생성되는 발전출력파형이 나타나게 된다.
좀더 설명하면, 발전파형은 정상파형이고 상쇄파형은 상기 정상파형과 역(반대)방향의 파형이므로 SCR1은 +파형의 0°∼ 30°와 150°∼ 180°를 상쇄시키고, SCR2는 -파형의 180°∼ 210°, 330°∼ 360°를 상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발전파형은 +측은 30°∼ 150°까지, -측은 210°∼ 330°까지 남게 되는 것으로, 역기전력이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되는 부분은 상쇄시키고 나며지 파형만을 발전출력파형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는 항상 BLDC모터(10)의 전류가 최소가 되도록 하여 발전기(20)의 부하가 적으면 상기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에서 부하를 많이 소비시키고, 발전기(20)의 부하가 많으면 상기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에서 부하를 적게 소비시키므로써, 항상 BLDC모터(10)에 흐르는 전류는 최소로 적게 흐르게 함으로써 발전기(20)의 발전효율을 높이게 된다.
또한, 발전기(20)를 구성하는 회전자(22)의 영구자석(23)을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에 의해 자속이 자기유도철심(24a)(24b)의 양측단에 S극과 N극이 교차되면서 자기유도가 일어나게 되며, 이것은 감응코일(26)의 권선방향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되며, 전기에 의한 역방향 전류, 즉 역자기가 형성되며, 이는 정방향과 역방향의 쌍방향으로 유도되면, 역기전력조절회로(52)를 구성하는 SCR1, SCR2에서는 위상각을 제어하여 역기전력을 최소화하여 회전하는 회전자(22)의 영구자석(23)에는 영향을 적게 미치게 된다
도6은 발전기의 역기전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인 BLDC모터(10)가 기동하여 부하가 약 10% 정도 상승하면 발전기(20)의 역기전력 때문에 BLDC모터(10)에 흐르는 전류는 80% 정도 증가하고, 이때 발전기(20)의 부하를 80% 올리면 BLDC모터(10)의 전류는 반대로 감소하게 되어 발전기(20)의 부하가 많이 걸려 있는 상태일 경우에는 BLDC모터(10)에 흐르는 전류는 반대로 적게 흐르게 되어 종래의 발전기와는 반대로 작용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발전기(20)는 부하가 적으면 BLDC모터(10)의 전류가 BLDC모터(10) 용량의 80%가 되므로 실제적으로는 부하가 적으면 발전기(20)의 역기전력 때문에 BLDC모터(10)의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부하차단장치(60)는 발전기(20)측에 연결된 부하에 이상이 생기면 발전기(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차단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BLDC모터콘트롤장치(40)와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는 메인콘트롤장치(70)와 연결구성되어 상기 BLDC모터(10)와 발전기(20)의 출력 관계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일정하고 안정적인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메인콘트롤장치(70)에 연결되어 BLDC모터(10)측으로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메인전원공급장치(72)는 상용 교류전원이나 축전지를 병행하여 사용을 하게 되면, 표시장치(74)는 BLDC모터콘트롤장치(40),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 메인전원공급장치(72)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므로써, 발전장치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발전기(20)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자(22);와 상기 회전자(22)의 둘레부로 교대로 배치된 N극과 S극의 영구자석(23);과 상기 영구자석(23)의 둘레부로 적정 간격으로 형성한 한 쌍의 자기유도철심(24a)(24b) 사이로 한 쌍의 권선철심(25a)(25b)을 형성하되, 상기 각각의 권선철심(25a)(25b)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감응코일(26)이 감겨져 구성된다.
상기의 감응코일(26)은 도2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기전력코일(26a)과 역기전력코일(26b)로 구성되며 중간에서 중간단자(26c)로 인출되어 상기 역기전력코일(26b)의 끝단과 중간단자(26c)가 상기의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를 구성하는 역기전력조절회로(52)로 결선된다.
또, 상기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기전력코일(26a)과 역기전력코일(26b)로 권선되어 구성된 감응코일(26)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진 것이다.
또한, 발전기(20)의 출력은 기전력코일(26a)의 끝단과 중간단자(26c)의 끝단의 출력단자(27)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권취 및 결선된 방식은 발전장치가 발전을 행할 때, 즉, 감응코일(26)에 의해 폐회로가 구성될 때에는 발전기(20)의 권선철심(25a)(25b)에 감긴 감응코일(26)에 전류가 유도되어 감응코일(26)의 각각이 생성하는 유도자장은 회전자(22)의 회전력을 방해하는 큰 부하가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감응코일(26)을 구성하는 기전력코일(26a)과 역기전력코일(26b)의 권취방향이 반대방향으로 감겨 있음으로써, 권선철심(25a)(25b)에 감긴 감응코일(26)에서 역전류(유도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성은 자기유도철심(24a)(24b)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영구자석(23)에는 역자성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긴 감응코일(26)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은 역전류에 의한 유도자기를 차단 및 상쇄시켜 무자성화하게 된다.
따라서, 유도자기의 차단 및 상쇄에 의해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힘보다 더 큰 전기를 얻을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써, 3상발전기와 결선된 역기전력조절회로(52)를 보인 것으로, 상기의 역기전력조절회로 또한 본 고안의 발전기(20)(단상발전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 효과에 의하여 향상된 발전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BLDC모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발전기의 사이에 변속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전기의 일측으로 유체커플링과 플라이휠을 설치하며, 상기 발전기를 구성하는 회전자와 자기유도철심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의 권취 및 결선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상기 BLDC모터와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변속장치에 의하여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변속시켜 발전장치의 출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회전자와 자기유도철심의 배열구조와 감응코일의 권취 및 결선방식의 개선에 의해 감응코일에서 발생하는 역전류에 의한 유도자기를 차단 및 상쇄시켜 무자성화함으로써, 동일한 운동에너지로 대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형 고출력발전장치를 제공하고, 또, 발전기의 일측으로 유체커플링을 구비하여 갑작스런 부하변동에 의해서도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지의 발전장치에 있어서,
    BLDC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된 발전기(20)와의 사이에는 변속장치(12)가 설치되고, 상기 BLDC모터(10)측으로는 BLDC모터콘트롤장치(40)가 구비 연결되며, 상기 발전기(20)측으로는 역기전력조절회로(52)가 부가된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 및 부하차단장치(60)가 구비 연결되어 메인콘트롤장치(70)와 연결 구성되며, 상기 메인콘트롤장치(70)로는 메인전원공급장치(72)와 표시장치(74)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속장치(12)는 회전속도와 회전력이 반비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20)의 일측으로는 순간적인 부하변동에도 항상 일정하고 안정적인 출력을 공급하도록 한 플라이휠(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20)의 일측으로는 발전기(20)가 정상적인 출력을 발생하도록 플라이휠(32)의 착탈을 제어하는 유체커플링(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는 기전력코일(26a)과 역기전력코일(26b)로 구성되며 중간에서 중간단자(26c)로 인출되어 상기 역기전력코일(26b)의 끝단과 중간단자(26c)가 상기의 더미부하콘트롤장치(50)를 구성하는 역기전력조절회로(52)로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KR2020050032288U 2005-11-15 2005-11-15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KR200408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88U KR200408334Y1 (ko) 2005-11-15 2005-11-15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88U KR200408334Y1 (ko) 2005-11-15 2005-11-15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919A Division KR100715217B1 (ko) 2005-11-15 2005-11-15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334Y1 true KR200408334Y1 (ko) 2006-02-08

Family

ID=4175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288U KR200408334Y1 (ko) 2005-11-15 2005-11-15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3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8584B (zh) 旋转电机驱动系统
US20050275359A1 (en) Relative drive device
US20090315505A1 (en) Synchronous motor, mo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system
US5892311A (en) Induction generator having a pair of magnetic poles of the same polarity oppos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rotation shaft
CN105324931B (zh) 模块化多相电机
US20110057534A1 (en) Reverse electromotive force generating motor
JP2013115901A (ja) 回転力発生装置
JP2000201461A (ja) 磁石式ブラシレス電動機
WO2015081106A2 (en) Electronically commutated electromagnetic apparatus
PL233865B1 (pl) Maszyna elektryczna
KR200386338Y1 (ko) 전기적 2차 부하가 없는 고효율 발전기
JP5885423B2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KR200408334Y1 (ko)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EP4012904A1 (en) Bayaliev universal generator/motor
KR100715217B1 (ko)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발전장치
JP6589703B2 (ja) 回転電機
JP2007189836A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2005176598A (ja) 永久磁石と組み合わされた巻線界磁コイルを使用する永久磁石ブラシタイプモータのための磁束変更装置
CN102857061A (zh) 多段结构的双凸极开关磁阻发电电动机
RU2454776C1 (ru) Вентильный двигатель
CN1063878C (zh) 多抽头绕组宽调速双凸极永磁电机
CN1392655A (zh) 可提升永磁式马达转速的装置
KR0178158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TWI556569B (zh) Brushless DC Motor Speed ​​Control System
CN112737152B (zh) 一种集中式自动调磁调速电机定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