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310Y1 -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 Google Patents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310Y1
KR200408310Y1 KR2020050031441U KR20050031441U KR200408310Y1 KR 200408310 Y1 KR200408310 Y1 KR 200408310Y1 KR 2020050031441 U KR2020050031441 U KR 2020050031441U KR 20050031441 U KR20050031441 U KR 20050031441U KR 200408310 Y1 KR200408310 Y1 KR 200408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auxiliary member
iron core
plant growth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동
Original Assignee
김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동 filed Critical 김주동
Priority to KR2020050031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나 관상용식물 등 각종 원예작물들의 줄기나 가지의 성장시 그 성장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반구형의 몸통부(10) 외주면에 일정한 깊이의 자세유지용 보조철심을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철심감김홈(25)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몸통부(10) 좌우 양단면중 어느 일측 단면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돌기부(15)가 형성되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일측 단면에 형성된 돌기부(15)가 억지 끼움 또는 분리가 가능한 끼움홈(1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10)를 서로 맞대어 하나의 원통형관으로 일체로 결합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감싼 상태에서 성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물성장방향 조절, 원예작물, 반구형 몸통부

Description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The groth direction control supporter of stem or branch of pla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의 일실시예에 대한 일부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가 원통형으로 결합된 상태 및 일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외관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가 원통형으로 결합상태 및 일부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조절용 보조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몸통부 15 : 돌기부
16 : 끼움홈 20 : 자세유지용철심
25 : 철심감김홈 30 : 자세유지용보조철심
본 고안은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나 관상용식물 등 각종 원예작물들의 줄기나 가지의 성장시 그 성장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줄기나 가지를 감쌀 수 있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되 반구형 몸통부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돌기부와 끼움홈을 각각 형성시켜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를 서로 맞대어 원통형관으로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과수나 관상용식물을 가정에서 취미용으로나 농장에서 판매용으로 가꾸는 경우, 원예식물의 줄기나 가지의 성장방향을 인위적인 바꾸기 위해서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외주연에 철사 등 방향유지용 보조부재를 감아서 필요한 형태로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가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철사 등 일정한 방향 유지용 보조부재를 설치한 경우,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원하는 형태로 가꾸는데는 지장이 없었으나,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감겨진 방향유지용 보조부재가 줄기나 가지의 부피성장(폭방향 성장)을 방해하게 됨과 동시에 줄기나 가지에 상처를 주게 되고, 원하는 형태나 모양으로 줄기나 가지를 성장 유도한 후에 줄기 나 가지의 외주연에 감겨진 보조부재를 해체하기가 어려워 그대로 사용할 경우 외적 미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부피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고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하여 원예작물의 외적 미감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원예작물의 성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원하는 형태로 성장방향을 유도한 후에 줄기나 가지의 외주연에 설치된 보조부재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원예작물의 자연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몸통부의 외주연에 일정한 깊이로 자세유지용 보조철심을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철심감김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몸통부 좌·우 양단면중 어느 일측 단면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일측 단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억지 끼움 또는 분리가 가능한 끼움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를 원통형으로 서로 맞대어 일체로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휨이 가능한 철심이 일체로 성형되어 원통형으로 결합된 두개의 몸통부를 자유자재로 휨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예작물의 성장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S)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조절용 보조부재의 일실시예에 대한 일부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조절용 보조부재는 그 몸통부(10)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며, 반구형 몸통부(10)의 외주연에는 보조철심을 감을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몸통부(10)의 휨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철심감김홈(25)이 수평방향, 즉 몸통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몸통부(10) 좌·우 양단면중 어느 일측 단면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돌기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5)가 형성된 반대측 단면에는 상기 일측 단면에 형성된 돌기부(15)가 억지 끼움되거나 억지끼움 후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끼움홈(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몸통부(10)는 그 재질이 고무재나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방향에 일치되도록 몸통부(10)의 내측에 복수개의 자세유지용철심(20)이 함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몸통부(10)를 자유 자재로 변형가능하고 변형 후에는 그 변형된 자세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길이만큼 반구형 몸통부(10)를 두개로 절단하여 하나의 원통형관이 형성되도록 서로 맞대어 각 몸통부(10)에 형성된 돌기부(15)와 끼움홈(16)을 대향측 몸통부(10)의 끼움홈(16)과 돌기부(15)에 결합시키면 하나의 원통형관이 형성되며,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5)는 끼움홈(16)에 결합후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에 약간의 돌출턱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보조부재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몸통부(10)의 내측에 함몰 형성된 자세유지용철심(20)이 설치된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조절용 보조부재(S)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몸통부(10)의 내측에 별도의 자세유지용 철심을 포함하지 않고 반구형의 몸통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철심감김홈(25)이 몸통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으며, 반구형의 몸통부(10) 두개를 원통형관이 형성되도록 상호 맞대어 끼움 결합시킨 후에 몸통부를 필요한 방향으로 휜 후에 몸통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된 기울기를 갖는 철심감김홈(25)에 자세유지용보조철심(30)을 감 아서 필요한 방향으로 원통형관이 일정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S)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조절용 보조부재(S)가 관상용 분재에 설치된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성장기간이 1~2월 정도로 비교적 짧은 대나무로서, 준순에서부터 대나무의 몸통부 외주연에 보조부재(S)를 설치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직선의 대나무가 아닌 곡선의 대나무로 성장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미용이나 판매용으로 가정 또는 농장에서 과수나 관상용식물을 키울 때, 성장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T)의 외측에 필요한 길이만큼 반구형 몸통부를 한쌍의 원통형관을 제작할 수 있도록 두개로 절단한 후에 성형이 필요한 해당 줄기나 가지의 외주연에 절단된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를 감싼다.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T)의 외측으로 감싸진 몸통부(10)를 각 양측 단면에 형성된 돌기부(15)와 끼움홈(16)이 상호 일치되도록 맞춘 후에 일정한 힘으로 몸통부(10) 외주연에서 가압하게 되면, 분리되었던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10)가 양측단의 돌기부와 끼움홈의 결합으로 하나의 원통형관이 만들어지며, 원통형관을 이룬 몸통부를 내부에 있는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가 상하지 않도록 필요한 방향으로 일정각도 조심스럽게 절곡시키면, 원통형관이 휘어지면서 그 내부에 있는 원예작물의 줄기 또는 가지도 함께 휘어지게 되며, 일정한 방향으로 휘어진 보조부재는 몸 통부 내측에 포함된 여러개의 철심에 의해 절곡된 자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휘어진 원통형관에 의해 그 내부에 있는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는 원통관의 휘어진 방향으로 그 성장이 이루어지게 되며, 성장시 상기 보조부재가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표피에 직접적으로 일정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이 향후 성장방향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게 되어 작물의 표피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몸통부 내측에 별도의 철심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성장방향조절을 위한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외측에 원통관으로 몸통부를 결합시킨 후에 그 외주연에 형성된 철심감김홈에 별도의 자세유지용보조철심을 감으면서 원통형 관을 절곡시켜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의 성장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조절용 보조부재는 성장하는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필요한 방향으로 성장을 유도하여 다양한 형태나 모양을 갖는 원예작물을 가꿀 수 있으며, 원하는 방향으로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가 성장한 후에는 결합된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를 간단하게 분리하면 되므로, 이의 제거시에도 작물의 외형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어 작물의 자연스런 성장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통부 내측에 별도의 자세유지용철심을 포함시켜 일체로 성형시킨 경우에는 몸통부 외주연에 별도의 자세유지용보조철심을 감을 필요없이 작물의 성장방향조절에 이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원통형 관의 직경내에서 다양 한 직경을 갖는 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그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반경과 색상을 갖도록 여러종류로 반구형 몸통부를 제작한 경우에는 원예작물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하나의 원통형관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몸통부만을 제작한 후에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하나의 원통형관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원통형관으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그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함께 구유하고 있으며, 원통형관으로 결합하여 그 외주연에 형성된 철심감김홈(25)에 소정의 철심이나 기타 고정끈 등으로 견고히 결합시킨 경우 호스나 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성장방향조절용 보조부재는 다양한 반경을 갖도록 제작하여 하나의 원통형관을 이루도록 절단된 반구형 몸통부를 서로 맞대어 결합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원예작물에 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치되는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상처를 주지 않게 되어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줄기나 가지를 감싸는 몸통부를 다양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절곡 가능하여 원예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필요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성장을 유도할 수 있으며,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고무재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반구형의 몸통부 외주면에 일정한 깊이의 자세유지용 보조철심을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철심감김홈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몸통부 좌우 양 단면중 어느 일측 단면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면에는 상기 일측 단면에 형성된 돌기부가 억지 끼움 또는 분리가 가능한 끼움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두개의 반구형 몸통부를 원통형으로 서로 맞대어 일체로 결합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는 휨이 가능한 복수개의 철심이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철심감김홈은 몸통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 또는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진 방향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장 조절용 보조부재.
KR2020050031441U 2005-11-07 2005-11-07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KR200408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41U KR200408310Y1 (ko) 2005-11-07 2005-11-07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41U KR200408310Y1 (ko) 2005-11-07 2005-11-07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310Y1 true KR200408310Y1 (ko) 2006-02-08

Family

ID=4175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441U KR200408310Y1 (ko) 2005-11-07 2005-11-07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3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035B1 (ko) 2008-04-15 2011-01-25 김샛별 수형 교정 장치
KR200464125Y1 (ko) 2010-08-13 2012-12-13 박해순 수목 보호용 밴드
KR200476475Y1 (ko) * 2013-03-27 2015-03-04 (주)현승 구조가 간편하고 회수가 용이한 줄기작물용 가지 받침대
US20230232754A1 (en) * 2022-01-27 2023-07-27 William Schriefer, III Plant growth adjustment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035B1 (ko) 2008-04-15 2011-01-25 김샛별 수형 교정 장치
KR200464125Y1 (ko) 2010-08-13 2012-12-13 박해순 수목 보호용 밴드
KR200476475Y1 (ko) * 2013-03-27 2015-03-04 (주)현승 구조가 간편하고 회수가 용이한 줄기작물용 가지 받침대
US20230232754A1 (en) * 2022-01-27 2023-07-27 William Schriefer, III Plant growth adjust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349Y1 (ko)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US20170347540A1 (en) Grid Shoot Positioning System for Grape Vines
KR200408310Y1 (ko) 식물성장방향 조절용 보조부재
US20160302366A1 (en) Plant support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60286734A1 (en) Method for adjusting and stabilizing a support for a plant
KR100723458B1 (ko)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CN109328719B (zh) 一种花瓶树整形方法
CN205179828U (zh) 一种活立木篱笆围墙
CN208639083U (zh) 一种三棱柱体形树干造型模具
KR102343554B1 (ko)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KR20050080068A (ko) 작물유인고리
KR20180003388U (ko) 다용도 유인구
JP3150437U (ja) 蔓植物などの誘引結束具
KR101446930B1 (ko) 줄기식물용 조립분해형 인테리어 조목
CN211354827U (zh) 一种装饰花架
KR200289850Y1 (ko) 수목용 수형교정기구
JPH0433730Y2 (ko)
KR102611607B1 (ko)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CN208095320U (zh) 一种用于植物树干的抗雨雪定型防护装置
CN205389594U (zh) 一种用于园艺的嫁接装置
KR200369932Y1 (ko) 화분
KR200401881Y1 (ko) 가지유인구
KR20090001158U (ko) 화초지지구
JP3036759U (ja) クリップ
JP3105433U (ja) 植物栽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