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458B1 -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 Google Patents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458B1
KR100723458B1 KR1020050129429A KR20050129429A KR100723458B1 KR 100723458 B1 KR100723458 B1 KR 100723458B1 KR 1020050129429 A KR1020050129429 A KR 1020050129429A KR 20050129429 A KR20050129429 A KR 20050129429A KR 100723458 B1 KR100723458 B1 KR 10072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molding
body portion
curv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옥
Original Assignee
이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옥 filed Critical 이종옥
Priority to KR102005012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키는 성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구에 의해 임의의 형상으로 대나무를 성장시킴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의 일부를 대나무와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대나무의 곁가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나무의 성장을 촉진함과 동시에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킬 수 있게 하는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대나무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키는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는 곡관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대나무 줄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형성하며, 그 몸체부에 내, 외부가 관통하여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부분의 절취가 용이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절취홈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절취홈이 구비된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에 관한 것이다.
중공, 몸체부, 관통공, 제 1절취홈, 제 2절취홈, 만곡부

Description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AN APPARATUS FOR THE CURVATURE OF A BAMBOO AND A METHOD FOR DEFORMATION USING IT}
도 1a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몸체부에 제 1절취홈과 제 2절취홈을 구성하여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이용한 대나무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이용한 대나무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110 : 중공
120 : 몸체부 130 : 관통공
140 : 제 1절취홈 150 : 제 2절취홈
160 : 지지대
본 발명은 대나무를 분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키는 성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구에 의해 임의의 형상으로 대나무를 성장시킴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를 대나무와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대나무의 곁가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나무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성형구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재란 수목을 분에 심어 가꾸는 것으로서 단순히 식물체 본래의 모양 및 색조 등을 직접 관상하는 분식과 달리 작은 분에 심은 수목의 줄기 및 가지 등을 다듬고, 수형을 인위적으로 변형시켜 자연경관의 축소판을 연출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분재는 봄에 새순이 나오면 솎아주고, 가지가 길게 자라 굳으면 눈을 1 ~ 2개씩 나누고 잘라준다. 또한 1년 몇 회에 걸쳐 거름을 주고 소독해야 하며 봄 및 가을에는 물을 하루 또는 이틀에 한번, 여름에는 나무 수종에 따라 1 ~ 3회에 물을 주어야 한다. 또한 가을에 낙엽이 지면 가지를 정리해 주고, 겨울이 되어 기온이 영하 1 ~ 2도 정도로 내려가면 온실로 옮긴 후, 12월 ~ 3월 말경까지 2 ~ 5년에 한 번씩 분갈이를 해주어야 한다. 특히 분재의 부가가치 및 예술 작품으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묘목 시기에는 철사걸이 또는 가위곡에 의하여 줄기 또는 가지에 임의의 만곡부 등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형을 교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대나무를 분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보통 10 ~ 20m까지의 크기를 갖는 대나무를 1 ~ 1.5m 정도로 키를 줄여 분재용으로 사용하고 있을 뿐이며, 여타 수목에서와 같이 임의의 만곡부를 성형하여 수형을 교정하여 분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나무에 만곡부 등을 성형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만들 수 있는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대나무의 곁가지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대나무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나무를 분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키는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는 곡관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대나무 줄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형성하며, 그 몸체부에 내, 외부가 관통하여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삽입되어 성장하는 대나무에 빛이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파형으로 구성하여 내부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구성하여 내부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절취가 용이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절취홈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몸체부는 절취가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절취홈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나무를 임의의 형상으로 분재하는 성형방법에 있어서, 죽순에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죽순이 성장하면서 대나무 줄기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에서 상기 대나무 줄기 최상부를 감싸는 지점에서 뿌리방향으로 대나무 줄기를 감싸는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몸체부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S2)와, 상기 S1단계에서 일부분의 몸체부가 제거된 대나무 줄기에서 곁가지를 치는 단계(S3)와, 상기 S2단계, S3단계를 반복하여 대나무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만곡부가 형성된 대나무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1b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몸체부에 제 1절취홈과 제 2절취홈을 구성하여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이용한 대나무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이용한 대나무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100)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된 곡관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는 단순한 곡관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숫자, 동물형상 등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10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대나무가 곧게 성장하려는 힘을 상쇄시켜 대나무가 본 발명의 중공(110)을 따라 성장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에 있어 죽순 및 대나무 줄기가 삽입되는 중공(110)은 죽순 및 대나무가 마찰 없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평탄한 면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몸체부(120)에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110)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관통공(130)을 형성하는데, 상기 관통공(130)의 수를 너무 많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대나무가 성장하는데 마찰을 유발할 수 있고, 대나무가 자라남에 따라 생기는 곁가지가 상기 관통공(130)에 걸려 대나무의 성장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찰력 및 통상의 대나무에서 생길 수 있는 곁가지의 수 및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상기 관통공(130)의 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130)의 형상은 도 1a에서는 원형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성형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30)의 직경은 너무 크게 구성하는 경우 내부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의 최상부 또는 곁가지가 걸려 대나무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되는 한도에서 대나무의 최상부 및 곁가지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대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곁가지가 생기는데 이와 같은 곁가지를 제거하는 것이 대나무가 위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곁가지를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20)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1절취홈(140)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120)의 일부분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0)의 일부분은 대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대나무의 최상부를 감싸는 몸체부(120)에서 일정거리를 둔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뿌리방향으로 대나무를 감싸고 있는 몸체부(120)까지의 부분이 해당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중공(110)을 따라 대나무가 자람에 따라 생기는 곁가지를 이미 성형이 된 대나무를 감싸는 몸체부(120)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몸체부(120)의 일부분이 감싸고 있던 대나무에 형성된 곁가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120′)를 파형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파형관으로 구성함에 의해 그 내부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고, 내주연에서 대나무와 접하지 않는 골부분에 공기의 유입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대나무 성장에 유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부(120″)에 복수의 볼록부(A)와 오목부(B)를 구성함으로서 그 내주연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에 지름방향을 권회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성형된 대나무는 결국 대나무 줄기에 조각을 하여 굴곡을 만든 것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원주방향의 제 1절취홈(140)에 더하여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제 2절취홈(150)을 더 구성하여 제 1절취홈(140)에 의해 절취된 몸체부(120)를 길이방향 으로 형성된 제 2절취홈(150)을 절취함으로서 절취된 몸체부와 대나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100)를 이용한 대나무 성형방법은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나무를 분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키는 성형방법에 있어서, 죽순에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죽순이 성장하면서 대나무 줄기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에서 상기 대나무 줄기 최상부를 감싸는 지점에서 뿌리방향으로 대나무 줄기를 감싸는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몸체부 일부분을 제거하는 단계(S2)와; 상기 S1단계에서 몸체부가 제거된 대나무 줄기에서 곁가지를 치는 단계(S3)와; 상기 S2단계, S3단계를 반복하여 대나무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설치하는 단계(S1)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을 지반에 삽입하고, 그 타단을 몸체부에 체결하는 방식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를 고정하는 지지대(160)를 하나 이상 설치함이 타당하다.
상기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의 몸체부의 일부분을 절취하는 단계(S2)에서는 대나무의 최상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제 1절취홈(140)을 절취하여 상부 몸체부(120)와 분리하고, 이어 분리된 몸체부(120) 일부분의 제 2절취홈(150)을 절취하여 분리된 일부분의 몸체부(120)와 대나무를 완전히 분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된 만곡부가 형성된 대나무는 도 5에서 일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성형구의 형상에 따 라 원형, 기하학적인 형상으로 성장될 수 있으며, 또한, 성형구에 상기에서 언급한 볼록부(A)와 오목부(B)를 구성함으로서 대나무에 만곡부가 성형됨은 물론 테두리를 권회하면서 복수의 굴곡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구 및 상기 성형방법은 대나무 줄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나무 가지에도 이를 도입하여 가지모양에도 만곡부를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된 관형상의 중공내부로 대나무를 성장시킴으로서 대나무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몸체부에 제 1절취홈 및 제 2절취홈을 구성하여 대나무에 형성된 곁가지를 제거해야할 부분의 몸체부 일부분을 대나무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대나무를 분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키는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는 곡관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대나무 줄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그 몸체부에 내, 외부가 관통하여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몸체부는 파형으로 구성하여 내부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4. 대나무를 분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임의의 형상으로 성장시키는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는 곡관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대나무 줄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그 몸체부에 내, 외부가 관통하여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몸체부는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구성하여 내부에서 성장하는 대나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일부분의 절취가 용이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1절취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 1절취홈의 절취로 분리된 몸체부 일부분의 길이방향의 절취가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 2절취홈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7. 삭제
  8. 삭제
KR1020050129429A 2005-12-26 2005-12-26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KR10072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429A KR100723458B1 (ko) 2005-12-26 2005-12-26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429A KR100723458B1 (ko) 2005-12-26 2005-12-26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458B1 true KR100723458B1 (ko) 2007-05-31

Family

ID=3827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429A KR100723458B1 (ko) 2005-12-26 2005-12-26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4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98B1 (ko) * 2011-10-27 2013-06-17 박준엽 생대나무에 인위적 형상을 부여하는 방법
CN103262759A (zh) * 2013-06-05 2013-08-28 上海电机学院 植物塑形模具
RU2496633C1 (ru) * 2012-05-03 2013-10-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юме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иволинейно-круглых заготовок из древесины
CN105230438A (zh) * 2015-10-30 2016-01-13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防损伤的园艺植物用弯曲施力装置
CN109661987A (zh) * 2019-02-25 2019-04-23 湖北科技学院 一种活竹牵引造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90A (ko) * 2017-06-26 2019-01-04 정재하 운전석 수동식 음료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90014488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98B1 (ko) * 2011-10-27 2013-06-17 박준엽 생대나무에 인위적 형상을 부여하는 방법
RU2496633C1 (ru) * 2012-05-03 2013-10-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юме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иволинейно-круглых заготовок из древесины
CN103262759A (zh) * 2013-06-05 2013-08-28 上海电机学院 植物塑形模具
CN105230438A (zh) * 2015-10-30 2016-01-13 湖州织里华宁园艺工程有限公司 防损伤的园艺植物用弯曲施力装置
CN109661987A (zh) * 2019-02-25 2019-04-23 湖北科技学院 一种活竹牵引造型方法
CN109661987B (zh) * 2019-02-25 2021-03-30 湖北科技学院 一种活竹牵引造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458B1 (ko) 대나무 만곡부 성형구,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및 상기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
US20080086944A1 (en) Holder for plant containers
KR101588641B1 (ko) 종려피를 이용한 풍란 또는 석곡 재배방법
KR20160045885A (ko) 기근을 갖는 난초용 바스켓
US1059547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irecting plant growth
KR100415311B1 (ko) 관상수목의 수형 형성방법
KR20050080068A (ko) 작물유인고리
KR20130071091A (ko) 분재 양성장치
KR200401881Y1 (ko) 가지유인구
US20200022314A1 (en)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growing a gourd
US20080078117A1 (en) Method for placing young plants in containers
KR101096413B1 (ko) 화분지지대 고정링과 그 성형 금형
CN105493921A (zh) 一种树体拿弯造型器
KR200392462Y1 (ko) 수목가지 유인구
CN214758147U (zh) 一种嵌入型花卉及观叶植物收束导向装置
JP3150437U (ja) 蔓植物などの誘引結束具
KR20100107664A (ko) 분갈이용 내부화분이 삽입되게 한 분재용 도자기 화분
CN214758149U (zh) 一种园艺用沉入式插座
CN212013678U (zh) 一种辅助冬季嫁接枫树芽苞的设备
CN109348897B (zh) 一种花瓶树整形装置
CN115517105A (zh) 一种嵌入型花卉及观叶植物收束导向装置
CN105706760A (zh) 一种新型树体拿弯造型器
KR200392463Y1 (ko) 수목가지의 유인구
JPH07213161A (ja) 植木鉢
CN103355105A (zh) 一种文化树艺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