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023Y1 - 과일 보호구 - Google Patents

과일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023Y1
KR200408023Y1 KR2020050029827U KR20050029827U KR200408023Y1 KR 200408023 Y1 KR200408023 Y1 KR 200408023Y1 KR 2020050029827 U KR2020050029827 U KR 2020050029827U KR 20050029827 U KR20050029827 U KR 20050029827U KR 200408023 Y1 KR200408023 Y1 KR 200408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fruit
fastening
fastener
fruit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우
Original Assignee
이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우 filed Critical 이유우
Priority to KR2020050029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0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끼움식으로 반구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과, PP 재질의 구성에 의하여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과일을 씌울 수 있고 가벼우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적당하도록 한 과일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숫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숫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반구, 상기 제 1 반구와 이음부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숫체결구가 체결되는 암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암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반구, 상기 제 1 반구와 상기 제 2 반구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지 통과공', 상기 가지 통과공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는 배수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과일을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씌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과일 보호구, 낙과 방지

Description

과일 보호구{Fruit Protecto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2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에 의한 제 1 반구와 제 2 반구가 체결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1 반구와 제 2 반구가 체결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걸개를 구비한 과일 보호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걸개를 구비한 과일 보호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a ; 제 1 반구 110b ; 제 2 반구
120a ; 숫체결 플레이트 120b ; 암체결 플레이트
130a ; 숫체결구 130b ; 암체결구
140 ; 이음부 170 ; 걸개
170a ; 제 1 걸개부 170b ; 제 2 걸개부
180a ; 걸개 숫체결구 180b ; 걸개 암체결구
100 ; 과일 보호구
본 고안은 과일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끼움식으로 반구를 체결할 수 있는 구성과, PP(Polypropylene) 등의 재질 구성에 의하여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과일을 씌울 수 있고 가벼우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적당하도록 한 과일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종래의 종이 봉지로 만들어진 과일보호봉지는 과일에 벌레 등의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새 등이 과일을 쪼아 먹는 것으로부터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개 기술에 의한 과일보호봉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이 봉지로 과일을 감싼 후 일일이 끈이나 철사 등으로 묶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고 또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이로 만든 과일보호봉지는 비바람이나 태풍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 기술에 의한 과일보호봉지는 강한 바람이나 태풍으로부터 과일의 낙과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었기 때문에 강풍이나 태풍을 맞는 경우 낙과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종래 기술에 의한 과일보호봉지는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할 수 있는 시간적 제약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목적은, 새들이 과일을 쪼아 먹는 것을 방지하기에 적당한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끼움식의 간단한 체결 방법을 채용함으로서 과일 씌우기 작업을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재질을 채용함으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PP, PE, PET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채용함으로서 과일 보호구 내부의 과일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는 걸개를 구성함으로서 강풍이나 태풍에서도 낙과를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끼움식의 간단한 체결구조에 의해서 걸개를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의하여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과일 보호구를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한 과일 보호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숫체결 플레이트와 암체결 플레이트가 이격된 공간 없이 밀착되는 구성에 의해서, 농약을 과일 나무에 살포하는 경우에 있어서 살포되는 농약이 과일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숫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숫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반구, 상기 제 1 반구와 이음부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숫체결구와 체결하는 암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암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반구, 상기 제 1 반구와 상기 제 2 반구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지 통과공', 상기 가지 통과공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는 배수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상기 숫체결구의 상기 암체결구에의 체결은 끼움 체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상기 이음부가, 상기 제 1 반구 및 상기 제 2 반구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상기 이음부가, 상기 제 1 반구 및 상기 제 2 반구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상기 제 1 반구와 상기 제 2 반구가, PP, PE, PET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하부가 상기 제 1 반구에 체결되는 제 1 걸개부와 상기 제 1 걸개부에 상부가 체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 2 반구에 체결되는 제 2 걸개부로 구성되어서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는 걸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상기 제 1 걸개부와 제 1 반구의 체결, 상기 제 1 걸개부와 제 2 걸개부의 체결, 및 상기 제 2 걸개부와 제 2 반구의 체결은, 끼움 체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상기 걸개가, PP, PE, PET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일 보호구(100)는, 제 1 반구(110a)와 제 2 반구(110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반구(110a)에는 반구 모서리를 따라서 숫체결 플레이트(1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숫체결 플레이트(120a)에는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숫체결구(130a)가 볼록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반구(110b)의 반구 모서리를 따라서 암체결 플레이트 (120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체결 프레이트(120b)에는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암체결구(130b)가 오목 형상으로 요홈을 이루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반구(110a)와 제 2 반구(110b)는 이음부(140)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확대도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이음부(140)는 제 1 반구(110a)와 제 2 반구(110b)의 수많은 닫힘과 열림에도 파손 또는 갈라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트라이앵글(triangle)형' 구조(즉, 한 쪽 꼭지점이 개방되어 있는 삼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음부(140)의 세 꼭지점 중에서 개방되어 있는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서 상기 제 1 반구(110a) 및 제 2 반구(11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과일 보호구(100)의 상부 일측에는 나무 가지가 들어 갈 수 있는 홀(hole)인 '가지 통과공'(15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지 통과공'(150)이 제 1 반구(110a)와 제 2 반구(110b)에 걸쳐서 반반씩 형성되어서 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제 1 반구(110a) 또는 제 2 반구(110b)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과일 보호구(100)의 하부 일측(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지 통과공'(150)의 반대편)에는 배수공(160)가 홀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공(160)를 통해서 빗물이나 이슬 등이 과일 보호구(100) 외부로 빠져나간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과일 보호구(100)는 그 재질이 PP, PE, PET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PP, PE, PET 등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과일 보호구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매우 가볍다는 이점이 발 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PP, PE, PET 재질의 사용은 반구(110a, 110b)뿐만 아니라 예컨대 체결구(120a, 120b) 등의 모든 구성요소도 모두 동일한 재질로 구현된다.
도 3a에는 도 2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2에 의한 제 1 반구와 제 2 반구가 체결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체결구(130a)는 암체결구(130b)에 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체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암체결구(130b)의 요홈부의 입구는 좁고 요홈부의 내부는 입구보다 넓은 구조이므로, 숫체결구(130a)를 암체결구(130b)로 외력을 작용하여 밀면, 숫체결구(130a)는 암체결구(130b)의 입구를 벌리면서 암체결구(130b)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숫체결구(130a)가 암체결구(130a)의 입구보다 넓어므로 숫체결구(130a)가 암체결구(130b)에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체결 방식이 채택되어진 구체적인 예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플라스틱 계란 용기'를 닫거나 열기 위하여 '플라스틱 계란 용기'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소위 '똑딱이식' 체결구조가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1 반구와 제 2 반구가 체결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체결구(130a, 130b)는 도 3a 및 도 3b 도시의 체결구조에 비하여 암체결구와 숫체결구가 접촉하는 면이 넓어서 더욱 안정적인 체결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걸개를 구비한 과일 보호구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의한 과일 보호구의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일 보호구(100)는 걸개(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개(170)는 과일을 씌우고 있는 과일 보호구(100)를 튼튼한 나뭇 가지에 걸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걸개(170)는 제 1 걸개부(170a)와 제 2 걸개부(170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걸개부(170a)와 제 2 걸개부(170b)는 그 상부에 각각 체결구(180a, 180b)를 구성하여 상기 암체결구(130b)와 숫체결구(130a)의 체결 방식과 동일한 체결 방식의 끼움 체결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개부(170a)는 제 1 반구(110a)와 결합하고 상기 제 2 걸개부(170b)는 제 2 반구(110b)와 결합하는데, 이 때 제 1 걸개부(170a)와 제 2 걸개부(170b)의 하부에는 각각 제 1 반구(170a) 및 제 2 반구(110b)와 결합하기 위한 암체결구(190a, 190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걸개부(170a)에 형성된 암체결구(190a)와 끼움 체결하기 위한 구성인 숫체결구(200a)가 제 1 반구(110a)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걸개부(170b)에 형성된 암체결구(190b)와 끼움 체결하기 위한 구성인 숫체결구(200b)가 제 2 반구(110b)에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2 반구(110b)는 제 1 반구(110a)와의 체결을 위해서는 복수의 암체결구(130b)를 구비하고 있지만, 제 2 걸개부(170b)와의 체결을 위한 구성은 암체결구가 아니라 숫체결구(200b)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걸개(170)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80a, 180b)와 체결구(190a, 190b) 사이에는 복수의 암체결구와 그에 대응하는 숫체결구를 형성하여도 본원 기술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며,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걸개(170a, 170b)는 더욱 더 견고하게 과일 보호구(100)를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개(170)의 재질은 상기 과일 보호구(100)의 재질과 같이 PP, PE, PET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제 1 반구(110a)와 제 2 반구(110b)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분리한 상태에서 예컨대, 배 등의 과일을 가지(B')가 가지 통과공(150)으로 통과되도록 하여서 과일 보호구(100)로서 수용한다.
과일이 제 1 반구(110a)와 제 2 반구(110b)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반구(110a)에 형성된 숫체결구(130a)를 제 2 반구(110b)에 형성된 암체결구(130b)에 눌러서 소위 '똑딱이식'으로 끼우면, '딱'하는 소리와 함께 숫체결구(130a)가 암체결구(130b)에 끼워져서 체결된다.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체결구(130a)가 암체결구(130b)에 끼움식(소위 '똑딱이식')으로 체결되면, 숫체결 플레이트(120a)와 암체결 플레이트 (120b)는 이격 간격이 없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숫체결 플레이트(120a)와 암체결 플레이트(120b)가 이격된 간격 없이 밀착되면, 벌레 등의 해충 등이 과일 보호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므로 과일을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숫체결 플레이트(120a)와 암체결 플레이트(120b)가 이격된 공간 없이 밀착되면, 농약을 과일 나무에 살포하는 경우에 있어서 살포되는 농약이 과일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과일을 과일 보호구(100)에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씌울 수 있게 된다.
다음은, 걸개(170)에 의해서 과일 보호구(100)를 나무 가지(B)에 거는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제 1 걸개부(170a)와 제 2 걸개부(170b)를,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구(180a, 180b)에 의해서 체결한다.
체결구(180a, 180b)에 의해서 상부가 체결된 제 1 걸개부(170a)와 제 2 걸개부(170b)는 나뭇 가지(B)에 걸린 상태에서 각각 제 1 반구(110a)와 제 2 반구(110b)에 각각 체결된다.
즉, 제 1 걸개부(170a)의 하부에 형성된 암체결구(190a)를 제 1 반구(110a)에 형성된 숫체결구(200a)에 체결하고, 제 2 걸개부(170b)의 하부에 형성된 암체결구(190b)를 제 2 반구(110b)에 형성된 숫체결구(200b)에 체결하면, 나뭇 가지(B)에 걸린 걸개(170)가 과일 보호구(100)가 체결되어 과일 보호구(100)는 나뭇 가지(B) 에 안정적으로 걸리게 되어 낙과의 위험을 없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즉 걸개(170)를 과일 보호구(100)에 체결한 후, 과일 보호구(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걸개(170)를 나뭇 가지(B)에 거는 순서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과일 보호구에 하나의 걸개(170)가 체결되는 구성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걸개(170, 170')가 과일 보호구(100)에 체결되는 구성도 본원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7과 같이, 한 쌍의 걸개(170, 170')를 과일 보호구(100)에 체결하는 경우, 한 쌍의 걸개(170, 170')가 과일 보호구(100) 내부에 있는 과일을 더욱 견실하게 매달고 있으므로 낙과로부터 과일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걸개(170, 170')에 한하지 않고 3개 이상의 걸개가 과일 보호구에 체결되는 구성도 본원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 과정을 가지는 본 고안인 과일 보호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과일 보호구로 과일을 씌움으로서 새 등의 공격으로부터 과일을 보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끼움식의 간단한 체결 방법을 채용함으로서 과일 씌우기 작업을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과일 보호구의 재질을 PP, PE, PET 등으로 구현함으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째, 과일 보호구의 재질로 PP, PE, PET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채용함으로서 과일 보호구 내부의 과일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는 걸개를 구성함으로서 강풍이나 태풍에서도 낙과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끼움식의 간단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걸개를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의하여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과일 보호구를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숫체결 플레이트와 암체결 플레이트가 이격된 공간 없이 밀착되는 구성에 의해서, 벌레 등의 해충 등이 과일 보호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므로 과일을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숫체결 플레이트와 암체결 플레이트가 이격된 공간 없이 밀착되는 구성에 의해서, 농약을 과일 나무에 살포하는 경우에 있어서 살포되는 농약이 과일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숫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숫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반구;
    상기 제 1 반구와 이음부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숫체결구와 체결하는 암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암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반구;
    상기 제 1 반구와 상기 제 2 반구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지 통과공';
    상기 가지 통과공에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되는 배수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숫체결구의 상기 암체결구에의 체결은 끼움 체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 1 반구 및 상기 제 2 반구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 꼭지점이 개방되어 있는 트라이앵글(triangle) 형상으로서, 상기 일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반구와 제 2 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구와 상기 제 2 반구는,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하부가 상기 제 1 반구에 체결되는 제 1 걸개부와 상기 제 1 걸개부에 상부가 체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 2 반구에 체결되는 제 2 걸개부로 구성되어서 나무 가지에 걸 수 있는 걸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개부와 제 1 반구의 체결, 상기 제 1 걸개부와 제 2 걸개부의 체결, 및 상기 제 2 걸개부와 제 2 반구의 체결은, 끼움 체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개는, PP, PE, PET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보호구.
KR2020050029827U 2005-10-20 2005-10-20 과일 보호구 KR200408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27U KR200408023Y1 (ko) 2005-10-20 2005-10-20 과일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27U KR200408023Y1 (ko) 2005-10-20 2005-10-20 과일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023Y1 true KR200408023Y1 (ko) 2006-02-07

Family

ID=4448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827U KR200408023Y1 (ko) 2005-10-20 2005-10-20 과일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0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536B2 (en) Silicone rubber universal fit flexible tree trunk guard
CN100539826C (zh) 用于培植黄瓜、茄子等的装置
KR200408023Y1 (ko) 과일 보호구
KR101252754B1 (ko) 낙과방지를 위한 과일봉지
WO2003032712A1 (en) A net style paper bag for fruits
KR100398667B1 (ko) 생육중의 과일 보호용 플라스틱 케이스
KR100712444B1 (ko) 과실보호용 봉투
JPH06178623A (ja) 果実や野菜の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容器
KR200328604Y1 (ko) 과실 보호용 케이스
KR101670935B1 (ko) 참외 보호 및 포장케이스
KR200166783Y1 (ko) 과수용과일봉지
KR200251517Y1 (ko) 과수용 과일봉지
KR200376904Y1 (ko) 과수용 과일보호 케이스
KR200221038Y1 (ko) 과수용 과일봉지
KR200281217Y1 (ko) 과일 보호캡
KR20000001511U (ko) 과실 보호망
KR200171954Y1 (ko) 과수봉지
KR200166768Y1 (ko) 유실수용과실보호케이스
KR20220025333A (ko) 과일 보호 케이스
KR200429381Y1 (ko)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구
JP3235513U (ja) 果実袋
KR200266986Y1 (ko) 과수원용과일보호커버
KR100403520B1 (ko) 과채의 해충방지용 케이스
KR200406252Y1 (ko) 투피스 타입의 낙과 방지용 과일 보호캡
KR200351931Y1 (ko) 과일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