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937Y1 -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937Y1
KR200407937Y1 KR2020050031177U KR20050031177U KR200407937Y1 KR 200407937 Y1 KR200407937 Y1 KR 200407937Y1 KR 2020050031177 U KR2020050031177 U KR 2020050031177U KR 20050031177 U KR20050031177 U KR 20050031177U KR 200407937 Y1 KR200407937 Y1 KR 200407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d
steam outlet
guide rail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2020050031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937Y1/ko
Priority to US12/084,523 priority patent/US20090108000A1/en
Priority to PCT/KR2006/003427 priority patent/WO2007052889A1/en
Priority to JP2008538795A priority patent/JP2009514592A/ja
Priority to DE112006002833T priority patent/DE112006002833T5/de
Priority to CN2006800411229A priority patent/CN10129995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물 등의 넘침을 방지하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의 증기압력에 의해 배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overflow preventing lid for cooking receptacl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캡부와 손잡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중공부재와 커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증기압조절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뚜껑본체 300 : 손잡이
500 : 넘침방지부재 510 :중공부재판
511 : 중공부 513 : 중공플랜지
514 : 결합홈 515,525 : 체결공
520 : 커버 524 : 결합돌기
530 : 캡부 531 : 공간부
532 : 리세스 533,535,537 : 증기배출구
535a,537a : 경사 541,543,545 : 가이드레일
541a,543a : 암나사부 550 : 결합부재
570 : 증기압조절판 571,573,575 : 가이드홈
본 고안은 국물 등의 넘침을 방지하는 냄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의 증기압력에 의해 배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유형의 냄비뚜껑으로서, 예컨대 한국실용신안등록(제359497호, 제369011호, 제366300호, 제366310호, 제368226호 및 제383124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공보의 넘침방지용 냄비뚜껑은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냄비뚜껑이 유리인 경우에는 그 적용이 거의 불가능하다.
한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실용신안등록(제368218호 및 제368219호) 공보에 개시된 뚜껑에 의하면, 수동으로 증기압을 조절해야 하고, 증기가 위로 올라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 서도 증기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증기배출구조가 안전하고 세워 보관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은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본체; 상기 관통공에 배치되는 중공부와, 상기 뚜껑본체에 걸리는 중공플랜지를 갖는 중공부재; 증기압조절판; 상기 증기압조절판이 승강하는 공간부를 갖는 캡부; 상기 중공부재와 캡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캡부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증기배출구; 상기 캡부의 일단에서 상기 뚜껑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손잡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증기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증기배출구조가 안전하고 세워 보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뚜껑본체의 반경의 1/2 이상 돌출되면,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압조절판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면, 승강이 안정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이 체결공과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면, 가이드레일이 가이드홈의 안내와 암나사부 살두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은 180°평면 상에 3개씩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부는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사이마다 형성되되, 좌우에 마주하는 제1증기배출구와 제2증기배출구, 상기 손잡이와 마주하는 제3증기배출구로 구성되면, 손잡이로의 증기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와 가까운 부분의 상기 제1증기배출구 또는 상기 제2증기배출구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손잡이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으면, 손잡이로의 증기배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의 공간부 상면에 리세스가 더 형성되면, 증기압조절판이 상면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캡부와 손잡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중공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중공부재의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증기압조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은 조리용기를 개폐하는 뚜껑본체(100)와, 손잡이(300)와, 뚜껑본체(100)와 손잡이(300)를 연결하면서 증기를 배출하는 넘침방지부재(500)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300)는 넘치방지부재(500)의 후술된 캡부(530)의 일단에서 뚜껑본체 (1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돌출한 손잡이이다. 돌출한 손잡이(300)는 뚜껑본체(100)를 세울 땐 스탠드 기능을 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뚜껑본체(100)를 좁은 공간에서 보관이나 취급이 대단히 편리하다.
넘침방지부재(500)는 외형을 이루는 중공부재(510)와, 캡부(530)와, 중공부재(510)와 캡부(53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550), 및 증기압조절판(5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중공부재(5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본체(100)의 관통공(31)에 배치되는 중공부(511)와, 이 중공부(511)의 하단에 형성된 중공플랜지(513)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부(511)에는 체결공(5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공부재(510)의 중공은 용기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중공부(511)에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커버(520)가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버(520)는 중공부(511)의 내외주면과 하면을 감싼 채 결합돌기(524)가 중공플랜지(513)의 결합홈(514)에 눌러 압입하여 결합하면, 외관이 깨끗하고 위생적이다.
또한, 커버(520)의 내주면에 밴드(521)를 대어 거기에 제조사명 등의 로고를 새길 수 있어, 플라스틱에 형성하는 것보다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커버(520)에는 체결공(515)과 대응되는 체결공(5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밴드(521)를 별도로 만들고, 양쪽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볼트(550) 체결시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521)는 또한, 전시장이나 싱크대와 같은 곳에 뚜껑본체(100)을 세워 둘 때 로고가 보이기 때문에 광고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캡부(5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증기압조절판(570)이 승강하는 공간부(531)가 형성되고, 하단측에는 증기배출구(533,535,537)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531)의 상면(531a)은 증기압조절판(570)의 상한스토퍼이고, 이 높이는 증기배출구(533,535,537)의 높이와 같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간부(531)의 상면(531a)에는 리세스(532)가 형성되어, 증기압조절판(570)이 상면(531a)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리세스(532)는 상면(531a)보다 그 면적이 작기 때문에, 설령 증기압조절판(570)이 상면(531a)에 붙더라도 그 접촉면적이 매우 증기압조절판(570)의 무게와 중력에 의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증기압조절판(570)의 하한스토퍼는 안착되는 중공부(510)의 상면이다.
증기배출구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3개로 구현되어 있는데, 손잡이(300)와 대응하는 증기배출구(533)와, 이와 크로스 방향의 좌우측에 형성된 증기배출구(535,537)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300)와 가까운 부분의 좌우측 증기배출구(535,537)는 평면상에서 볼 때 손잡이(300)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535a,537a)지게 하는 것이, 증기가 손잡이(300)로 최대한 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증기압조절판(570)의 가장자리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홈(571,573)이 형성되고, 캡부(530)에는 복수의 가이드홈(571,573)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541,5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571,573)과 가이드레일(541,543)의 구성에 의해, 증기압조절판(570)이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특히, 결합부재는, 가이드레일(541,543)에 형성된 암나사부(541a,543a)와, 전술한 체결공(515)과, 이 체결공(515)과 암나사부(541a,543a)에 체결되는 볼트(55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541,543)은 증기압조절판(570)을 가이드 할 뿐만 아니라 암나사부(541a,543a)가 가공될 살두께 역할도 한다. 따라서, 공간부(531)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증기압조절판(570)의 수평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하면서 손잡이(300)로 증기배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가이드레일(541,543,545)과 가이드홈(571,573,575)은 손잡이(300)와 마주하는 180°평면 상에 3개씩 형성되되, 암나사부(541a,543a)는 마주하는 가이드레일(541,543)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증기배출구(533,535,537)는 가이드레일(541,543,545)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레일(545)은 보조적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가이드레일(541,543)과 같이 암나사부를 형성할 필요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그 살두께를 작게 구현하고, 대신 그 사이의 간격을 넓혀 증기배출구의 사이즈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단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용기 내의 증기압에 따라 증기압조절판이 승강하여 압력을 자동 조절하고, 아래쪽 측면으로 증기가 배출되어 얼굴쪽으로 증기가 될 우려가 거의 없어 안전하고, 뚜껑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손잡이가 설치되어 잡기 편리하고 뚜껑본체를 세우는 스탠드 역할을 하여 좁은 공간에서 뚜껑본체의 보관 등이 용이하다.
둘째, 증기압조절판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캡부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됨으로써, 증기압조절판의 승강시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셋째,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이 체결공과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됨으로써, 가이드레일이 증기압조절판의 수평 안내역할 뿐만 아니라 암나사부의 형성 살두께 역할을 하여 캡부 내의 공간부 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은 180°평면 상에 3개씩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부는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사이마다 형성되되, 좌우에 마주하는 제1,2증기배출구, 상기 손잡이와 마주하는 제3증기배출구로 구성됨으로써, 증기배출구로 나오는 증기가 손잡이쪽으로 가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손잡이와 가까운 부분의 상기 제1증기배출구 또는 상기 제2증기배출구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손잡이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증기배출구로 나오는 증기가 손잡이쪽으로 가는 것을 더욱더 확실히 억제시킬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캡부의 공간부 상면에 리세스가 더 형성됨으로써, 증기압조절판이 공간부 상면에 붙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관통공이 형성된 뚜껑본체;
    상기 관통공에 배치되는 중공부와, 상기 뚜껑본체에 걸리는 중공플랜지를 갖는 중공부재;
    증기압조절판;
    상기 증기압조절판이 승강하는 공간부를 갖는 캡부;
    상기 중공부재와 캡부를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캡부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증기배출구;
    상기 캡부의 일단에서 상기 뚜껑본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손잡이;
    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뚜껑본체의 반경의 1/2 이상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조절판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이 체결공과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홈은 180°평면 상에 3개씩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부는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구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사이마다 형성되되, 좌우에 마주하는 제1증기배출구와 제2증기배출구, 상기 손잡이와 마주하는 제3증기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가까운 부분의 상기 제1증기배출구 또는 상기 제2증기배출구 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손잡이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공간부 상면에 리세스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KR2020050031177U 2005-11-03 2005-11-03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KR200407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77U KR200407937Y1 (ko) 2005-11-03 2005-11-03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US12/084,523 US20090108000A1 (en) 2005-11-03 2006-08-30 Overflow Preventing Lid for Cooking Receptacle
PCT/KR2006/003427 WO2007052889A1 (en) 2005-11-03 2006-08-30 Overflow preventing lid for cooking receptacle
JP2008538795A JP2009514592A (ja) 2005-11-03 2006-08-30 調理容器用オーバーフロー防止蓋
DE112006002833T DE112006002833T5 (de) 2005-11-03 2006-08-30 Überlaufschutzdeckel für ein Kochgefäß
CN2006800411229A CN101299951B (zh) 2005-11-03 2006-08-30 烹饪容器防溢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77U KR200407937Y1 (ko) 2005-11-03 2005-11-03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806A Division KR100686320B1 (ko) 2005-11-03 2005-11-03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937Y1 true KR200407937Y1 (ko) 2006-02-07

Family

ID=4448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177U KR200407937Y1 (ko) 2005-11-03 2005-11-03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9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76B1 (ko) * 2006-08-08 2007-07-18 주식회사 셰펠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76B1 (ko) * 2006-08-08 2007-07-18 주식회사 셰펠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9902S1 (en) Round lid for a storage container
KR101321129B1 (ko) 넘침 방지용 냄비 뚜껑
USD612240S1 (en) Stainless steel container with cap
US20120097690A1 (en) Cup lid
USD1030418S1 (en) Beverage container
NZ630110A (en) A cup with integral closure flaps restricting spillage
MX2022004715A (es) Contenedores de alimentos que tienen interfaces de cierre.
CN201316159Y (zh) 果汁机的果汁杯盖机构
USD953859S1 (en) Cap for container
KR100686320B1 (ko)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USD666102S1 (en) Container
KR200407937Y1 (ko)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JP2009514592A (ja) 調理容器用オーバーフロー防止蓋
US6273306B1 (en) Lid of the liquid container
TWI597210B (zh) 瓶塞
KR100740676B1 (ko) 조리용기용 넘침방지뚜껑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TWM588671U (zh) 防滑脫杯蓋之飲料杯結構
USD996900S1 (en) Beverage container
USD956576S1 (en) Beverage container
USD880943S1 (en) Beverage container
WO2020134173A1 (zh) 一种锅盖可立于锅身的锅具
USD1034078S1 (en) Drinking vessel
KR200493052Y1 (ko) 컵 뚜껑
KR101127046B1 (ko) 등산용 압력밥솥의 압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