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857Y1 -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 Google Patents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857Y1
KR200407857Y1 KR2020050032300U KR20050032300U KR200407857Y1 KR 200407857 Y1 KR200407857 Y1 KR 200407857Y1 KR 2020050032300 U KR2020050032300 U KR 2020050032300U KR 20050032300 U KR20050032300 U KR 20050032300U KR 200407857 Y1 KR200407857 Y1 KR 200407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ault
safe
door frame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정
Original Assignee
김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정 filed Critical 김상정
Priority to KR2020050032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8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Abstract

본 고안은 금고실 출입구의 바닥에 문지방홈을 내지 않고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에는 카트의 출입도 수월한 금고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각사각형 금고비 문틀(3)에 손잡이(11)와 다이얼함(12) 등이 장착된 출입문(4), 상기 출입문(4)이 열릴 수 있는 공간을 가려주는 여백가림판(5), 및 창살문(9)이 설치된 미닫이식 금고비에 있어서, 상기 금고비 문틀(3)의 문지방을 후판제 평면철판 문지방(60)으로 구성한 금고비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Sliding door type doorframe member of a safe enabling a cart to be come in and out easily}
도 1은 종래 미닫이식 금고비의 설치예시 정면도
도 2는 동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닫이식 금고비의 설치예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미닫이식 금고비의 설치예로서, 문지방쪽의 단면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금고실 문틀 3: 금고비 문틀
4: 출입문 5: 여백가림판
60: 후판제 평면철판 문지방
본 고안은 중요한 문서 등을 보관하기 위해 설치된 금고실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내부적으로 특별히 허가받은 자에 한해서만 출입이 가능한 금고비용 문틀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문지방이 들어설 곳에 문지방홈을 파내지 않고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중량물이 실린 카트의 출입도 문지방을 넘나들기 용이한 문틀을 가진 금고비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금융기관의 영업점, 우체국, 보험과 증권회사, 전산실과 같이 현금을 비롯한 유가증권, 중요 문서 등을 보관하는 금고의 금고출입구에는 고도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 특별히 허가받은 근무자만이 출입할 수 있는 금고비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경우가 있다. 금고비는 문틀에 설치되며, 여닫는 방식에 따라 힌지식과 미닫이식 등 2종이 있다.
도 1,2에서, 금고실벽(1)의 출입구측에 설치된 금고문틀(2) 내에 설치되는 미닫이식(슬라이딩형) 금고비는 보편적으로 문지방을 갖는 직각사각형의 금고비 문틀(3)과, 손잡이(11)와 다이얼함(12) 등이 장착된 출입문(4)과, 금고 출입문(4)이 열릴 수 있는 공간을 튼튼하게 가려주는 여백가림판(5)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9)는 2중 출입안전장치인 창살문으로서, 금고 출입문(4)의 뒤쪽(금고실쪽)에 설치된다.
문제는 금고실의 출입구쪽 바닥에서 금고비 문틀(3)의 문지방(6) 상면까지의 높이가 너무 높기 때문에 카트에 현금 등의 중량물을 싣고 금고실을 드나들 때 바퀴가 걸리는 등으로 인하여 출입 불편이 크다는 점이다.
이 같은 카트의 출입불편을 완화 내지는 해소해보려고 금고비용 문틀을 디귿 자 형강이나 앵글, 두꺼운 강판을 절곡한 절곡물 등을 소재로 하여 문지방(6)의 높이(H)를 50~100mm로 하고, 그 문틀이 설치될 건물의 금고실 출입구측 바닥에 문지방(6)의 점유면적만한 크기의 문지방홈(8)을 파서 문지방(6)의 하단부가 묻히도록 문틀을 설치하고 마감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건물소유주로부터의 승낙을 전제로 하는 시공비의 추가와 바닥 또는 슬래브의 강도 저하가 우려되는데다 문지방홈 전반에 걸쳐 균일한 깊이의 홈내기도 곤란해 정밀시공의 신뢰도가 낮다. 게다가 금고 실의 바닥에 미장석이 깔린 경우에는 시공 후의 원상복구도 난이도가 높다. 더 큰 문제는 그렇게 시공했더라도 문턱이 높은 편이어서 카트의 출입이 불편하기는 여전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금고실 출입구의 바닥에 문지방홈을 내지 않고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설치 후에는 카트의 출입이 수월한 미닫이식 금고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양쪽 문설주의 하단에 대한 지지력이 충분하면서도 금고실의 출입구 바닥에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가 종래의 디귿자 형강, 앵글, 절곡물제 문지방에 비해 현저히 낮은 후판제 평면철판 문지방으로 대체된 문틀을 가진 미닫이식 금고비로 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문틀이 결합된 미닫이식 금고비의 문지방쪽 시공단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 그림에서 보듯이, 금고비 문틀(3)의 문지방(60)은 후판제이다. 여기서, 후판이란 15mm 안팎의 두께를 가진 평면철판을 말한다. 이 정도 두께의 후판은 금고비 문틀용 문지방 소재로 널리 사용해 온 종래의 높이 50~100mm 짜리 디귿자 형강이나 앵글 또는 절곡물에 버금가는 강도를 지니면서도 두께가 얇아 금고실 출입구의 문턱을 낮춰 카트가 출입할 때 턱걸림현상을 줄이는데 기여한다.
그렇게 하면서도 카트의 출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문지방(60)의 상면을 출입 방향쪽으로 구배지게하여 문턱이 더 낮아지는 듯한 효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후판제 평면철판 문지방(60)은 그 두께 자체가 금고실 출입구측 바닥으로부터의 문턱의 높이(h)가 된다. 이 높이(h)는 종래의 문지방 높이(H)에 비해 현저히 낮다. 그리고 상기 후판제 평면철판 문지방(60)이 적용된 금고비 문틀을 금고실의 출입구에 설치할 때에는 그 문틀에 맞게 미리 확보해 둔 금고실의 출입구에 출입방향으로 밀어 넣어 제자리에 앉히고, 앵커 보울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윗인방과 문설주, 문지방을 고정하면 미닫이식 금고비의 설치가 간단히 마무리된다.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이 문지방의 높이를 다소라도 낮추기 위하여 문지방이 들어앉을 자리에 내던 문지방홈은 불필요하다. 문지방홈이 배제됨에 따라 문지방 홈 내기와 시공 후 금고실 출입구의 바닥이 상처 난 곳에 대한 원상복구 등에 소요되던 비용이 들지 않고, 금고비의 설치기간도 단축된다. 또, 후판제 평면철판 문지방은 또 여러 소재를 용접해 일체화하던 종래의 디귿자 형강이나 앵글 또는 절곡물제에 비해 구조도 단순하여 임가공 요소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미닫이식 금고비의 가격경쟁력도 커진다.

Claims (1)

  1. 직각사각형 금고비 문틀(3)에 손잡이(11)와 다이얼함(12) 등이 장착된 출입문(4), 상기 출입문(4)이 차지하고 남은 금고비 문틀내의 빈자리를 가려주는 여백가림판(5), 및 창살문(9)이 설치된 미닫이식 금고비에 있어서, 상기 금고비 문틀(3)의 문지방이 디귿자 형강, 앵글, 절곡물제가 아닌후판제 평면철판 문지방(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KR2020050032300U 2005-11-15 2005-11-15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KR200407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00U KR200407857Y1 (ko) 2005-11-15 2005-11-15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00U KR200407857Y1 (ko) 2005-11-15 2005-11-15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857Y1 true KR200407857Y1 (ko) 2006-02-03

Family

ID=4448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300U KR200407857Y1 (ko) 2005-11-15 2005-11-15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8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31B1 (ko) * 2007-02-12 2009-02-12 정석찬 금고문의 다기능 빗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31B1 (ko) * 2007-02-12 2009-02-12 정석찬 금고문의 다기능 빗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692B2 (en) In-ground storm shelter
EP0827121B1 (en) Improved security container
US20060254166A1 (en) Customizable saferoo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595606B1 (en) Cash dispenser with roll-out drawer assembly
US9644420B1 (en) Emergency shelter with improved door latching assembly
US3832805A (en) Prefabricated outside steel doors
US4852503A (en) Sliding door safe with anti-intrusion lock device
KR200407857Y1 (ko) 카트 출입이 용이한 미닫이식 금고비
US1989658A (en) Door
WO2007136244A1 (en) Device for access control
GB2457994A (en) Security device for sliding door
US7121531B1 (en) Gate with lock housing
GB2201712A (en) Door and door assembly
US9856670B1 (en) Shelter
CN211230090U (zh) 一种带有多重防护功能的防盗门
JP3538562B2 (ja) 引き戸装置
US4550667A (en) Safe having concealed hinges
WO2006137804A1 (en) Top hung sliding door system for interior use
GB2486199A (en) Enclosure including cement-based armoured panels for ATM protection
JP3168372U (ja) 仮設扉
CN220079799U (zh) 铁路声屏障
JP2008184830A (ja) 門装置
CN215485385U (zh) 用于固定门的辅助装置
DE4427653C2 (de) Kleinbank
RU2810753C1 (ru) Модуль для сбора твёрдых коммунальных 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