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48Y1 -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448Y1
KR200407448Y1 KR2020050021016U KR20050021016U KR200407448Y1 KR 200407448 Y1 KR200407448 Y1 KR 200407448Y1 KR 2020050021016 U KR2020050021016 U KR 2020050021016U KR 20050021016 U KR20050021016 U KR 20050021016U KR 200407448 Y1 KR200407448 Y1 KR 200407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umbrella
insertion groove
bear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학
Original Assignee
조규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학 filed Critical 조규학
Priority to KR2020050021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4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된 지주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우산 및 양산을 구성함에 관련된다. 구성에 있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상기 손잡이(1)는 일측에 삽입홈(10)과 수용홈(12)을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10)의 선단에 암나사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2)의 하단에 설치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b)이 형성되고, 일단에 걸림턱(20a)이 돌출된 상태로 베어링(B)이 삽입되어 스톱링(22)이 스톱핀(22a)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슬리브(20); 및 상기 슬리브(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중앙에 통공(32)과 조절홈(34)이 구비되고, 외경부에 상기 삽입홈(10)의 암나사부(10a)와 맞물리도록 수나사부(30a)가 형성되는 잠금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된 지주대를 손잡이상에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살대가 주위에 건물이나 타인에게 부딪히더라도 지주대와 함께 회전되어 우산포(雨傘布)의 손상이 방지되고, 아울러 지주대를 이용하여 우산포(雨傘布)와 살대를 인위적으로 돌리며 사용 중에 미묘한 흥미를 자아내는 효과가 있다.
우산, 양산, 지주대, 살대, 우산포(雨傘布), 손잡이, 베어링

Description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Structure of rotary type umbrella and parasol handle grip}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우산 및 양산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우산 및 양산의 손잡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삽입홈 10a: 암나사부
12: 수용홈 20: 슬리브
20a: 걸림턱 20b: 관통공
22: 스톱링 22a: 스톱핀
30: 잠금판 30a: 수나사부
32: 통공 34: 조절홈
본 고안은 우산 및 양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된 지주대를 손잡이상에 회전되도록 설치함에 따라 살대가 주위에 건물이나 타인에게 부딪히더라도 지주대와 함께 회전되어 우산포(雨傘布)의 손상이 방지되고, 아울러 지주대를 이용하여 우산포(雨傘布)와 살대를 인위적으로 돌리며 사용중에 미묘한 흥미를 자아내는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우산이나 양산은 우천시 또는 일조량이 많은 한낮시간대에 빗물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지주대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구비되는 살대에 의해 우산포(雨傘布)가 반구형태로 펼쳐지고, 지주대의 하단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 편리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와 지주대의 고정구조는 서로 대응하는 끝단에 암ㆍ수나사가 형성되어 나사결합으로 체결되거나 인서트몰딩방식으로 일체로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쥐고 이동 중에 무심코 우산 및 양산의 살대가 차량, 전봇대 등에 부딪칠 경우 살대가 휘거나 손상됨은 물론 심지어 타인의 신체에까지 상해를 입히는 폐단이 따른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된 지주대를 손잡이상에 회전되도록 설치함에 따라 살대가 주위에 건물이나 타인에게 부딪히더라도 지주대와 함께 회전되어 우산포(雨傘布)의 손상이 방지되고, 아울러 지주대를 이용하여 우산포(雨傘布)와 살대를 인위적으로 돌리며 사용 중에 미묘한 흥미를 자아내는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된 지주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우산 및 양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는 일측에 삽입홈(10)과 수용홈(12)을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10)의 선단에 암나사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2)의 하단에 설치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b)이 형성되고, 일단에 걸림턱(20a)이 돌출된 상태로 베어링(B)이 삽입되어 스톱링(22)이 스톱핀(22a)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슬리브(20); 및 상기 슬리브(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중앙에 통공(32)과 조절홈(34)이 구비되고, 외경부에 상기 삽입홈(10)의 암나사부(10a)와 맞물리도록 수나사부(30a)가 형성되는 잠금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우산 및 양산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우산 및 양산의 손잡이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되는 지주대의 일단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회전되는 우산 및 양산에 관련되고, 이러한 우산 및 양산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대(S)의 일단이 지주대(2)상에 설치되어 회전되고, 우산포(雨傘布)(W)와 함께 콤팩트하게 접철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손잡이(1)는 지주대(2)상에 설치되어 삽입홈(10), 수용홈(12), 슬리브(20), 베어링(B), 잠금판(30) 등의 구성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손잡이(1)는 일측에 삽입홈(10)과 수용홈(12)을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10)의 선단에 암나사부(10a)가 형성된다. 손잡이(1)는 환봉형태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리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측 즉, 상기 지주대(2)가 설치되는 선단에 삽입홈(10)과 수용홈(12)이 각각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된다. 삽입홈(10)은 후술하는 슬리브(20)의 베어링(B)이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홈으로서 베어링(B)이 삽입된 상태로 유격이 발생되지 베어링(B)의 외경부 사이즈를 고려하여 소정의 지름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2)은 후술하는 슬리브(20)의 스톱링(22)이 수용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스톱링(22)의 외경부보다 확장된 사이즈로 구비는 바, 이때 수용홈(12)의 사이즈는 삽입홈(10)에 수용된 베어링(B)이 소정의 깊이만큼 삽입된 상태로 바깥바퀴가 밀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삽입홈(10)의 사이즈보다 축소된 사이즈로 가공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0)은 선단에 암나사부(10a)가 소정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암나사부(10a)는 손잡이(1)상에 삽입홈(10)과 수용홈(12)을 마감하기 위해 체결되는 후술하는 잠금판(30)이 수나사부(30a)를 통하여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20)는 지주대(2)의 하단에 설치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b)이 형성되고, 일단에 걸림턱(20a)이 돌출된 상태로 베어링(B)이 삽입되어 스톱링(22)이 스톱핀(22a)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슬리브(20)는 합성수지와 같은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출성형하거나 선반과 같은 공작기계를 이용한 절삭가 공으로 제작된다. 슬리브(20)는 지주대(2)에 고정되어 외경부에 개재되는 베어링(B)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0b)이 형성되어 지주대(2)의 끝단에 끼움 결합되고, 선단에 걸림턱(2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20a)은 슬리브(20)의 외경부에 삽입된 베어링(B)이 소정의 깊이에서 위치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스톱링(22)과 함께 양단에서 지지하는 바, 이때 베어링(B)은 지주대(2)를 건실하게 지지하기 위해 두개이상으로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톱링(22)은 베어링(B)과 함께 슬리브(20)에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되고, 베어링(B)에 밀착된 상태로 스톱핀(22a)에 의해 고정된다. 스톱핀(22a)은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링(22)을 포함한 슬리브(20)와 지주대(2)상에 관통되도록 체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베어링(B)의 안바퀴가 슬리브(20)의 외경부에 삽입되어 걸림턱(20a)과 스톱링(22)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태로 바깥바퀴가 손잡이(1)의 삽입홈(10)상에 끼움 결합되므로 지주대(2)가 손잡이(1)상에서 회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잠금판(30)은 슬리브(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중앙에 통공(32)과 조절홈(34)이 구비되고, 외경부에 상기 삽입홈(10)의 암나사부(10a)와 맞물리도록 수나사부(30a)가 형성된다. 잠금판(30)은 슬리브(20)와 동일한 합성수지 및 금속과 같은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원판형태로 제작되고, 외경부에 수나사부(30a)가 형성된 상태로 중앙에 통공(32)이 관통된다. 통공(32)은 지주대(2)가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주대(2)의 외경보다 확장된 사이즈로 가공되고, 수나사부(30a)를 통하여 상기 삽입홈(10)의 암나사부(10a)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잠금판(30)의 내측면은 중앙부가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는 바, 이는 삽입홈(10)에 개재된 베어링(B)을 압착 고정함에 있어 잠금판(30)이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슬리브(20)의 걸림턱(20a)을 수용한 상태로 베어링(B)의 바깥바퀴를 국부적으로 밀착하여 베어링(B)이 지지된다. 그리고 잠금판(30)의 외측면에 통공(3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조절홈(34)이 형성된다. 조절홈(34)은 소정의 지름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홈으로서, 이는 잠금판(30)을 분해ㆍ조립시 송곳과 같은 뾰족한 공구(도시 생략) 또는 전용의 공구(T)를 끼워 쉽게 풀거나 잠글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도 1 내지 2에서 지주대(2)상에 설치되는 손잡이(1)의 외경부형상을 장봉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봉, 유선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의 외경부를 갖는 손잡이(1)에도 적용가능하다.
제작상에 있어서, 우선 지주대(2)의 끝단에 잠금판(30)을 먼저 삽입하고, 이어서 슬리브(20)를 끼운 후, 슬리브(20)의 외경부에 두개이상의 베어링(B)을 차례로 개재시킨다. 이때 베어링(B)은 안바퀴가 걸림턱(20a)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압착시키고, 스톱링(22)을 슬리브(20)에 끼워 스톱핀(22a)으로 위치 고정시킨다. 이어서 지주대(2)를 손잡이(1)에 삽입하되, 베어링(B)의 바깥바퀴가 삽입홈(10)에 긴밀하게 맞물리도록 개재하고, 잠금판(30)을 암나사부(10a)에 체결하면 손잡이(1)와 지주대(2)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처럼, 상기 지주대(2)가 베어링(B)에 의해 손잡이(1)상에서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살대(S)가 주위에 건물이나 타인에게 부딪히더라도 지주대(2)와 함께 회전되어 우산포(雨傘布)(W)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사용중에 지주대(2)를 이용하여 우산포(雨傘布)(W)와 살대(S)를 인위적으로 돌리며 미묘한 흥미를 자아내는 효과가 따른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된 지주대를 손잡이상에 설치되어 회전됨에 따라 살대가 주위에 건물이나 타인에게 부딪히더라도 지주대와 함께 회전되어 우산포(雨傘布)의 손상이 방지되고, 아울러 지주대를 이용하여 우산포(雨傘布)와 살대를 인위적으로 돌리며 사용 중에 미묘한 흥미를 자아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우산포(雨傘布)와 함께 살대가 접철가능하게 결속된 지주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우산 및 양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는 일측에 삽입홈(10)과 수용홈(12)을 서로 다른 지름으로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10)의 선단에 암나사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2)의 하단에 설치되도록 중앙에 관통공(20b)이 형성되고, 일단에 걸림턱(20a)이 돌출된 상태로 베어링(B)이 삽입되어 스톱링(22)이 스톱핀(22a)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슬리브(20); 및
    상기 슬리브(20)의 후방에 위치되어 중앙에 통공(32)과 조절홈(34)이 구비되고, 외경부에 상기 삽입홈(10)의 암나사부(10a)와 맞물리도록 수나사부(30a)가 형성되는 잠금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KR2020050021016U 2005-07-19 2005-07-19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KR200407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16U KR200407448Y1 (ko) 2005-07-19 2005-07-19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016U KR200407448Y1 (ko) 2005-07-19 2005-07-19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448Y1 true KR200407448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016U KR200407448Y1 (ko) 2005-07-19 2005-07-19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4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48U (ko) * 2010-01-27 2011-08-03 첸 스워드 회전식 핸들캡 -v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48U (ko) * 2010-01-27 2011-08-03 첸 스워드 회전식 핸들캡 -v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1550B2 (en) Adjustable umbrella
CN105725403B (zh) 一种可左右调节角度的遮阳伞
KR101133052B1 (ko) 친환경 가로수의 가지 고정장치
US4131122A (en) Umbrella structure
KR200407448Y1 (ko) 회전식 우산 및 양산손잡이의 구조
US20060086884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beach umbrellas and the like
KR20150001377U (ko) 파라솔 고정장치
KR200461751Y1 (ko) 레져용 편심 파라솔
CN212376405U (zh) 一种便于携带的多功能帐篷伞
EP3353359B1 (fr) Système d'ancrage d'un mât dans un sol comportant au moins une interface susceptible d'être assemblée sur une base d'ancrage destinée à affleurer le sol
KR200411422Y1 (ko) 회전우산의 구조
CN205307725U (zh) 一种伸缩式门球杆
CN210169452U (zh) 一种可遮阳的方便收纳的多功能折叠躺椅
CN210630760U (zh) 一种新型遮阳装置
CN206190197U (zh) 具有可调节功能的伸缩梯
KR100702159B1 (ko) 파라솔 고정구
CN207270010U (zh) 一种转向钓鱼伞
CN217284978U (zh) 一种易甩干伞面加大伞
US20030234312A1 (en) Water hose winding apparatus
CN220674877U (zh) 一种防触电手持鱼竿
CN205993448U (zh) 内螺纹360度无级旋转式炮台鱼竿支架
KR20120022162A (ko) 파라솔 지주 고정구
KR101969543B1 (ko) 방수처리 케이스가 내장된 우산
JP2000125913A (ja) 傘等の保持具
CN220800293U (zh) 一种钓鱼伞伞柄加力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