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137Y1 -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137Y1
KR200407137Y1 KR2020050028537U KR20050028537U KR200407137Y1 KR 200407137 Y1 KR200407137 Y1 KR 200407137Y1 KR 2020050028537 U KR2020050028537 U KR 2020050028537U KR 20050028537 U KR20050028537 U KR 20050028537U KR 200407137 Y1 KR200407137 Y1 KR 200407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pipe
flange
cov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완
Original Assignee
신신이앤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이앤지(주) filed Critical 신신이앤지(주)
Priority to KR2020050028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3)에 의해 밀폐되는 걸름통(2) 내측에 걸름망(4)을 고정 설치하고, 걸름통(2) 양측에는 걸름망(4)과 직각 방향으로 플랜지(5)가 단부에 마련된 단관(6)을 용접 고정한 통상의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관(6) 내측으로는 단부에 플랜지(7)가 마련된 신축관(8)을 내입하고, 단관(6) 단부에 용접 고정된 프랜지(5) 내측으로는 패킹내입홈(9)을 형성하여 신축관(8)과 면접되는 패킹(10)을 위치시키고, 신축관(8)상에는 패킹가압플랜지(11)를 결합하여 단관(6) 단부의 플랜지(5)와 결합수단(15)으로 결합하며, 커버(3)에는 투시공(12)을 형성하고, 투시공(12) 상측으로는 내압성이 우수한 강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판재(13)와 투시공이 형성된 고정판(14)을 적층하여 커버(3)에 볼트(16)로 고정하고, 하단부에는 관통공을 통하여 조명이 삽입된 조명삽입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스트레이너

Description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STRAINER}
도 1은 종래 스트레이너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를 평면방향에서 투시 관찰한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 하단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
7: 플랜지 8: 신축관
9: 패킹내입홈 10: 패킹
11: 패킹가압플랜지 12: 투시공
13: 투명판재 14: 고정판
15: 결합수단 16: 볼트
20: 조명삽입나사 22: 조명
25: 스위치 27: "O" 링
본 고안은 각종 관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스트레이너(STRAIN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작업이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 정도를 육안으로 극히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 등과 같은 각종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매설되어 있는 관체에는 유체의 이송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스트레이너(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에 의해 밀폐되는 걸름통(2) 내측에 걸름망(4)을 고정설치하고, 걸름통(2) 양측에는 걸름망(3)과 직각방향으로 플랜지(5)가 단부에 마련된 단관(6)을 용접 고정하여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걸리도록 구성된다.
걸름통(2) 내측에 설치되는 걸름망(4)은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역할을 하므로 이물질이 어느 정도 이상 차게 되면 이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스트레이너(1)는 외부에서 걸름통(2) 내부의 관측이 불가능하여 수시로 걸 름통(2) 상부의 커버(3)를 개방하여 걸름망(4)을 살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으며, 걸림통 내부가 어둡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걸름망(4)을 들어내어 확인하거나 또는 후레쉬를 비추어 확인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단관부분에 슬라이딩 슬리브를 설치하여 신축이 되어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스트레이너 상부에는 투시창을 구비하고, 조명을 스트레이너 하부에 상시 구비하도록 하여 걸름망(4)의 상태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스트레이너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커버(3)에 의해 밀폐되는 걸름통(2) 내측에 걸름망(4)을 고정 설치하고, 걸름통(2) 양측에는 걸름망(4)과 직각 방향으로 플랜지(5)가 단부에 마련된 단관(6)을 용접 고정한 통상의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관(6) 내측으로는 단부에 플랜지(7)가 마련된 신축관(8)을 내입하고, 단관(6) 단부에 용접 고정된 프랜지(5) 내측으로는 패킹내입홈(9)을 형성하여 신축관(8)과 면접되는 패킹(10)을 위치시키고, 신축관(8)상에는 패킹가압플랜지(11)를 결합하여 단관(6) 단부의 플랜지(5)와 결합수단(15)으로 결합하며, 커버(3)에는 투시공(12)을 형성하고, 투시공(12) 상측으로는 내압성이 우수한 강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판재(13)와 투시공이 형성된 고정판(14)을 적층하여 커버(3)에 볼트(16)로 고정하고, 하단부에는 관통공을 통하여 조명이 삽입된 조명삽입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스트레이너(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커버(3)에 의해 밀폐되는 걸름통(2) 내측에 걸름망(4)을 고정 설치하고, 걸름통(2) 양측에는 걸름망(4)과 직각방향으로 플랜지(5)가 단부에 마련된 단관(6)을 용접 고정하여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걸림될 수 있도록 구성한 통상의 스트레이너(1)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걸름통(2)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일측 단관(6) 내측으로 단부에 플랜지(7)가 마련된 신축관(8)을 내입하고, 단관(6) 단부에 고정되는 플랜지(5) 내측에는 패킹내이홈(9)을 형성하여 신축관(8)과 면접되는 패킹(10)을 위치시키며, 패킹(10) 외측의 신축관(8)상에는 상기 단관(6)에 마련된 플랜지(5)와 볼트, 너트 같은 결합수단(15)으로 결합되는 패킹가압플랜지(11)를 결합하여 패킹(1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3)에는 투시공(12)을 형성하고, 투시공(12) 상측으로는 내압성이 우수한 강화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투명판재(13)와 투시공이 형성된 고정판(14)을 적층하여 커버(3)에 볼트(16)로 결합함으로써 스트레이너(1)의 내 부를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게 한 구성이다.
또한 하단부에는 조명을 삽입하는 조명삽입나사(20)를 "O"링(27)과 함께 스트레이너 하단부에 밀폐 설치하였다. 조명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걸름망(4) 상태를 관찰할 때, 스위치(25)를 눌러 조명을 킨 다음 걸름망(4)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7은 유체를 이송하는 관체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로 상수 등과 같은 다양한 유체를 이송하는 관체(17)에 배관 설치되어 유체의 이송 과정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걸름통(2)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일측 단관(6)에 신축관(8)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관체(17) 상간에 스트레이너(1)를 적용코자 할 경우 연결코자 하는 관체(17)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아도 신축관(8)을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1) 배관작업을 극히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스트레이너(1)를 배관할 수 관체(7) 사이의 거리가 넓거나 좁을 경우 패킹가압플랜지(11)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너트 등으로 구성되는 결합수단(15)을 풀고 관체(17) 사이의 거리에 부합하도록 신축관(8)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관체(17)와 신축관(8)을 연결한 다음 상기 결합수단(15)을 조립하여 패킹가압플랜지(11)를 단관(6)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5)에 고정하면 간편하게 배관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커버(3)에 투시공(12)이 형성되고, 커버(3) 상측으로 내압 성이 우수한 강화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의 투명판재(13)가 고정판(14)에 의해 가압상태로 결합되므로 종래와 같이 스트레이너(1) 내부에 수집되어 있는 이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커버(3)를 개방하는 일 없이 투시공(12)을 통하여 걸름통(2) 내부를 관측하고 걸름망(4)에 다량의 이물질이 걸려 있을 때만 커버(3)를 분리하여 걸름망(4)을 청소하면 되므로 유지관리의 편리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스트레이너를 평면 방향에서 투시 관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망(4)은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대략 "W"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조명(22)은 고정판(14)에 형성된 투시공(12)과 걸름망(4)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도록 설치하여, 조명을 켤 경우 걸름망(4)을 잘 조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이너 하단에 설치되는 조명부의 설치 예시도로서, 단관(6)의 하단부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조명(22)이 삽입된 조명삽입나사(20)를 이용하여 단관(6) 하단부에 조명이 삽입되도록 하였다. 단관(6) 하단부의 관통공은 나사선을 형성하면 조명삽입나사(20)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단관(6) 하부로 유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O" 링을 이용하여 밀폐 형성하도록 하였다. 조명(22)은 두 가닥의 전선을 이용하여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25)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조명(22)으로는 어떠한 종류의 것도 무방하나, 부피를 적게 차지하고, 방수 및 절연 성능이 뛰어난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원은 축전지 또는 별도의 전원공급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트레이너(1) 단관(6)에 신축관(8)을 결합하여 극히 간편하게 배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커버(3)에 투시공(12)을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조명 및 스위치를 형성하여 내부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관측할 수 있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을 널리 보급할 경우 배관작업의 편리성과 더불어 스트레이너(1)의 유지관리도 극히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어 유지관리비 저감 등의 효과도 동시에 득할 수 있는 실용성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커버(3)에 의해 밀폐되는 걸름통(2) 내측에 걸름망(4)을 고정 설치하고, 걸름통(2) 양측에는 걸름망(4)과 직각 방향으로 플랜지(5)가 단부에 마련된 단관(6)을 용접 고정한 통상의 스트레이너(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관(6) 내측으로는 단부에 플랜지(7)가 마련된 신축관(8)을 내입하고, 단관(6) 단부에 용접 고정된 프랜지(5) 내측으로는 패킹내입홈(9)을 형성하여 신축관(8)과 면접되는 패킹(10)을 위치시키고,
    상기 신축관(8)상에는 패킹가압플랜지(11)를 결합하여 단관(6) 단부의 플랜지(5)와 결합수단(15)으로 결합하며,
    상기 커버(3)에는 투시공(12)을 형성하고, 투시공(12) 상측으로는 내압성이 우수한 강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판재(13)와 투시공이 형성된 고정판(14)을 적층하여 커버(3)에 볼트(16)로 고정하고,
    하단부에는 관통공을 통하여 조명이 삽입된 조명삽입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 외부에는 조명과 연결되는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조명은 걸름망과 투시공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은 LE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KR2020050028537U 2005-10-06 2005-10-06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 KR200407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537U KR200407137Y1 (ko) 2005-10-06 2005-10-06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537U KR200407137Y1 (ko) 2005-10-06 2005-10-06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137Y1 true KR200407137Y1 (ko) 2006-01-25

Family

ID=4175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537U KR200407137Y1 (ko) 2005-10-06 2005-10-06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1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74Y1 (ko) 2010-10-01 2012-08-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차단용 핏팅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74Y1 (ko) 2010-10-01 2012-08-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차단용 핏팅 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점검창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84278A1 (en) Chemical Tank Adapter and Method of Use
AR072320A1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agua, especialmente un dispositivo de filtro y un cartucho
FR3071009B1 (fr) Injecteur a reduction du volume de fluide
KR200407137Y1 (ko) 신축 투시 발광형 스트레이너
ATE504345T1 (de) Filtereinrichtung
KR101422783B1 (ko) 라이닝 판넬을 갖는 저장탱크
ATE423608T1 (de) Filteranordnung für flüssigkeiten
KR200272130Y1 (ko) 스트레이너
DE502005003305D1 (de) Haushaltgerät mit Pumpe zum Fördern von Wasser zwischen einem Reservoir und einem Verdampfer
CN207483474U (zh) 复合滤芯和净水器
CN101865823B (zh) 一种水密抗压仓体
MA35005B1 (fr) Dispositif de soupape
US9500637B2 (en) Fuel water separator bowl with an internal inspection light
HRP20160148T1 (hr) Sustav za vođenje tekućine
CN205619992U (zh) 一种玻璃板液位计
CN205349702U (zh) 一种可视多层滤网油滤管
CN107724520A (zh) 一种自动清污的市政排水管道
CN209520153U (zh) 斜管填料的自动清洗装置
CN207553250U (zh) 一种自动清污的市政排水管道
CN208742256U (zh) 一种光解净化器
CN106706068A (zh) 一种玻璃板液位计
KR101770117B1 (ko) 배기관의 드레인 포켓
DE502006000747D1 (de) Ölfilter
CN109029610A (zh) 一种特殊的大功率潜水排污泵检测装置
CN203099181U (zh) 一种波纹管专用连接三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