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13Y1 - 주방용 도구 - Google Patents

주방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613Y1
KR200406613Y1 KR2020050031350U KR20050031350U KR200406613Y1 KR 200406613 Y1 KR200406613 Y1 KR 200406613Y1 KR 2020050031350 U KR2020050031350 U KR 2020050031350U KR 20050031350 U KR20050031350 U KR 20050031350U KR 200406613 Y1 KR200406613 Y1 KR 200406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silver
insert
kitche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2020050031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6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2Table-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음식물을 자르거나 섭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21)이 형성된 사용부(20)와; 상기 삽입공(21)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사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은 돌출부(31)가 삽입공(21)을 통해 돌출 형성되거나, 사용부(2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은(銀)으로 된 은 삽입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도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가공할때 사용부(20)에 돌출된 은 삽입체(30)가 최대한 음식물에 접촉되게 하여 음식물의 독소 성분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로 은의 섭취량을 늘릴 수 있도록 하며, 삽입공(21)의 나사부(23)를 통해 은 삽입체(30)가 견고하게 삽입공(21) 내부에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부, 삽입공, 나사부, 은 돌출부, 제 2머리부, 삽입부.

Description

주방용 도구{Utensils for Kitchen}
도 1은 종래기술의 일 예에 따른, 주방용 식칼에 은 삽입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수저에 은 삽입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칼에 은 삽입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저에 은 삽입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칼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4a 내지 도 4d는 사용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칼을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은 삽입체가 삽입공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7a는 은 삽입체의 일단만이 사용부의 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은 삽입체의 양단이 사용부의 양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은 삽입체의 양단이 사용부의 양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손잡이, 20: 사용부,
21: 삽입공, 23: 나사부,
24: 요입홈, 30: 은(銀) 삽입체,
31: 은 돌출부.
본 고안은 주방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저(Spoon), 포크(Fork) 또는 식칼 사용부의 삽입공 내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은 삽입체를 삽입공 내부로 삽입하여 사용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함으로써,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가공할 때 사용부에 돌출된 은 삽입체가 최대한 음식물에 접촉되게 하여 음식물의 독소 성분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로 은의 섭취량을 늘릴 수 있으며, 삽입공의 나사부를 통해 은 삽입체가 견고하게 삽입공 내부에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한 주방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銀)은 귀금속적 가치 이외에도 공예재료 및 화폐재료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독소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에 유익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식기(食器)의 재료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은을 몸에 지니게 되면, 간질이나 경기 등 정신질환과 부인병에도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부작용이 없는 항생제로서 기능하여, 사람 몸속의 각종 노폐물을 제거 하고, 다양한 병원체를 없애며,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는 데에도 탁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은제 식기는 단지 음식물을 담는 기능과, 장식 및 독소 검출효과 밖에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은 성분을 규칙적으로 섭취하거나 복용하게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378466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와 일체로 형성된 사용부(120)의 삽입공(121) 내부에 은 삽입체(130)를 삽입한 주방용 식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384475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 사용부(120)의 삽입공(121) 내부에 은 삽입체(130)를 삽입한 수저 및 포크(도시생략)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수저, 포크 및 식칼과 같은 주방용 도구 등은 사용부(120)를 통하여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가공할 때 은 성분이 음식물에 함유되게 하여 인체에 섭취되도록 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부(120)라 함은 예컨데, 식칼 사용부의 경우 음식물을 조리하기에 앞서 칼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잘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 부분이고, 포크 사용부의 경우 음식물을 찍어 들 수 있도록 하는 몸체 부분이며, 수저 사용부의 경우 음식물을 떠서 인체 내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몸체 부분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용부(120)를 통해 음식물을 가공하는 과정 또는 섭취하는 과정에서 은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은 음식물을 곧바로 섭취할 경우에 은 성분의 섭취가 가능하지만, 장기간 보관한 후 섭취하는 경우에는 보관 과정에서 은 성분이 사라져 실제 음식물을 섭취할 때에는 은 성분을 거의 섭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주방용 도구들은 삽입공(121) 내부에 삽입된 은 삽입체(130)가 사용부(120)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 외부에 노출되는 은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용 도구들은 장시간 사용시 삽입공(121) 내부에 구비된 은 삽입체(130)의 결합력이 떨어져 사용부(120)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저, 포크 또는 식칼 사용부의 삽입공 내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은 삽입체를 삽입공 내부로 삽입하여 사용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함으로써,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가공할 때 사용부에 돌출된 은 삽입체가 최대한 음식물에 접촉되게 하여 음식물의 독소 성분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로 은의 섭취량을 늘릴 수 있으며, 삽입공의 나사부를 통해 은 삽입체가 견고하게 삽입공 내부에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주방용 도구에 의하면, 주방용 도구에 있어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음식물을 자르거나 섭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사용부와; 상기 삽입공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사용부의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은 돌출부가 삽입공을 통해 돌출 형성되거나, 사용부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은(銀)으로 된 은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방용 도구는 수저, 포크 또는 식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방용 도구 중 식칼은 그 손잡이 후방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요입홈보다 큰 직경을 이루며 요입홈을 통해 손잡이의 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은 돌출부가 형성된 은 삽입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칼에 은 삽입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저에 은 삽입체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칼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4a 내지 도 4d는 사용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칼을 나타낸 종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 안에 따른 은 삽입체가 삽입공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7a는 은 삽입체의 일단만이 사용부의 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은 삽입체의 양단이 사용부의 양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7c는 은 삽입체의 양단이 사용부의 양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도구는 수저, 포크 및 식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임을 전제를 두고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도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손잡이(10), 사용부(20) 및 은 삽입체(30)로 구성된다.
상기 주방용 도구는,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음식물을 자르거나 섭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21)이 형성된 사용부(20)와; 상기 삽입공(21)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사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은 돌출부(31)가 삽입공(21)을 통해 돌출 형성되거나, 사용부(2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은(銀)으로 된 은 삽입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21)의 내주면에는 나사부(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부(20)의 삽입공(21)에 나사부(23)가 형성됨으로써, 삽입공(21) 내부에 은 삽입체(30)를 삽입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삽입공(21)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는 은 삽입체(30)가 삽입공(21)의 나사부(23)를 따라 삽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공(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형, 원형, 타원형 및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21)이 사용부(20)에 소정의 배열로 다수개 형성될 경우, 원형, 타원형 및 사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태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도 4d에는 삽입공(21)이 사각형과 원형의 형태로 엇갈리게 배열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21)은 전술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 및 배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주방용 도구 중 식칼 손잡이(10)의 후방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에 나사부(23)가 구비된 요입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4)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요입홈(24)보다 큰 직경을 이루며 요입홈(24)을 통해 손잡이(10)의 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은 돌출부(31)가 형성된 은 삽입체(3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은 삽입체(30)의 은 돌출부(31)가 식칼 손잡이(10)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손잡이(10)의 후방, 즉 그 바닥으로 마늘, 파 등과 같은 음식물을 으깨어 사용시 손잡이(10) 후방에 돌출된 은 돌출부(31)를 통해 은 성분이 최대한 음식물에 접촉되게 하여 음식물의 독소성분을 검출하고, 인체 내로 은의 섭취량을 늘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은 삽입체가 삽입공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 을 나타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은 삽입체(30)는 압축형성이 아닌 열융착 등의 각종 공법에 의해서도 사용부(20)의 삽입공(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는 압축형성에 의해 삽입공(21) 내부로 삽입되는 은 삽입체(30)에 대한 일 예를 서술하고자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부(20)의 상부에는 하면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부 몰드(41)가 구비되고, 사용부(20)의 하부에는 평평하게 형성된 하부 몰드(42)가 사용부(20)의 표면과 대응되게 구비된다.
먼저, 상기 은 삽입체(30)는 사용부(20)의 삽입공(21)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삽입공(21)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23)의 외면을 따라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은 삽입체(30)의 상부면에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부 몰드(41)가 압축되고, 그 압축되는 힘에 의해 삽입공(21)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은 돌출부(31)가 형성되어 사용부(20)의 표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은 돌출부(31)에서 연장된 삽입구(32)는 그 단부가 사용부(20)의 이면과 대응하는 하부 몰드(42)의 평평한 면에 압축되어 사용부(20)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부(20)의 상부에는 하면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부 몰드(41)가 구비되고, 사용부(20)의 하부에는 상면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 하부 몰드(42)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은 삽입체(30)는 사용부(20)의 삽입공(21)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삽입공(21)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23)의 외면을 따라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은 삽입체(30)의 상부면에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부 몰드(41)가 압축되고, 그 압축되는 힘에 의해 삽입공(21)보다 큰 직경을 이루는 은 돌출부(31)가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부(20)의 표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21)에 삽입된 은 돌출부(31)는 하부 몰드(42) 상면의 오목한 형상에 압축되어 삽입공(21)보다 큰 직겨을 이루는 은 돌출부(31)가 타단에 형성되어 사용부(20) 표면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은 삽입체(30)는 은 돌출부(31)로부터 삽입공(21) 내부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어, 하부 몰드(42)로 압축시 삽입공(21)보다 큰 직경을 갖는 은 돌출부(31)가 이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부(20)의 상, 하부에는 평평하게 형성된 상, 하부 몰드(41, 42)가 사용부(20)의 표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공(21)의 나사부(23) 내주면을 따라 삽입된 은 돌출부(31)는 그 양단부가 사용부(20)와 대응하는 상, 하부 몰드(41, 42)의 평평한 면에 압축되어 사용부(20)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도구에 의하면, 수저, 포 크 또는 식칼 사용부의 삽입공 내주면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은 삽입체를 삽입공 내부로 삽입하여 사용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함으로써,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가공할 때 사용부에 돌출된 은 삽입체가 최대한 음식물에 접촉되게 하여 음식물의 독소 성분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로 은의 섭취량을 늘릴 수 있으며, 삽입공의 나사부를 통해 은 삽입체가 견고하게 삽입공 내부에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방용 도구에 있어서,
    손잡이(10)와;
    상기 손잡이(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음식물을 자르거나 섭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공(21)이 형성된 사용부(20)와;
    상기 삽입공(21)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공(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면서 사용부(20)의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은 돌출부(31)가 삽입공(21)을 통해 돌출 형성되거나, 사용부(20)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은(銀)으로 된 은 삽입체(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21)의 내주면에는 나사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도구는 수저, 포크 또는 식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도구 중 식칼은 그 손잡이(10) 후방의 내주면에 나사부(23)가 구비된 요입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24)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서, 요입홈(24)보다 큰 직경을 이루며 요입홈(24)을 통해 손잡이(10)의 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은 돌출부(31)가 형성된 은 삽입체(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도구.
KR2020050031350U 2005-11-04 2005-11-04 주방용 도구 KR200406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50U KR200406613Y1 (ko) 2005-11-04 2005-11-04 주방용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350U KR200406613Y1 (ko) 2005-11-04 2005-11-04 주방용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613Y1 true KR200406613Y1 (ko) 2006-01-23

Family

ID=4175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350U KR200406613Y1 (ko) 2005-11-04 2005-11-04 주방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6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6511B1 (en) Combination chopstick utensil
USD524610S1 (en) Barbeque fork
CA124515S (en) Set of eating utensils
USD980385S1 (en) Water filter
USD968891S1 (en) Grilling basket
USD455936S1 (en) Set of cutlery
CA113753S (en) Barbecue/roasting spit
KR200406613Y1 (ko) 주방용 도구
USD53145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474653S1 (en) Elastomeric chopstick retaining device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USD530978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463221S1 (en) Eating utensil with toothpick incorporated therein
KR200384475Y1 (ko) 취식도구
KR200378465Y1 (ko) 은을 공급하기 위한 주방용 가위
USD479434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KR200378466Y1 (ko) 은을 공급하기 위한 주방용 식칼
JP3179576U (ja) 飲食用スプーン
JP3088512U (ja) フォーク
USD447389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spiral design
USD513929S1 (en) Baby utensil with charm
USD446426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hatched design
USD45915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USD532643S1 (en) Skewered food roaster
KR200386393Y1 (ko)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