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561Y1 - Handhle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Handhle of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561Y1
KR200406561Y1 KR2020050029635U KR20050029635U KR200406561Y1 KR 200406561 Y1 KR200406561 Y1 KR 200406561Y1 KR 2020050029635 U KR2020050029635 U KR 2020050029635U KR 20050029635 U KR20050029635 U KR 20050029635U KR 200406561 Y1 KR200406561 Y1 KR 200406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andle
dead space
stra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6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요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29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56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56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량용 손잡이는, 차량내의 천정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고정봉(90)의 외주에 끼워져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클램프(102)(104)와, 상기 하부 클램프(104)에 스트랩(108)을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부(106)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클램프(104)에는, 그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홀(104a)과, 상기 관통홀(104a)의 중앙 높이에 상기 스트랩(108)의 상부측 고리(108a)에 끼워진 연결핀(120)이 직각으로 눕혀져 걸리도록 형성된 단차홀(104b)과, 그 상부 양측단에 상기 고정봉(90)의 외주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된 반원홈(104c)과, 상기 반원홈(104c)과 관통홀(104a)의 상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형성된 사공간(104d)을 구비한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04a)과 사공간(104d)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연결핀(120)이 사공간(104d)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연결핀(120)이 차단부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어 사공간(104d)으로 이동하지 않게 됨은 물론 연결핀(120)과 스트랩(108)이 분리되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부(106)의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Vehicl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clamps 102 and 104 and the lower clamp 104, which ar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rod 9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ceiling in the vehicle and correspondingly coupled to each other; A handle portion 106 connected via a strap 108, and the lower clamp 104 has a through hole 104a formed perpendicularly to a lower center thereof, and a central height of the through hole 104a. Stepped hole 104b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pin 120, which is fitted to the upper ring 108a of the strap 108, is laid at right angles 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rod 90 at both upper ends thereof. A vehicle handle having a semicircular groove 104c formed to be formed, and a dead space 104d formed between the semicircular groove 104c and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104a. The connecting pin 120 is separated from the dead space 104d at the boundary of the space 104d.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so that the connection pin 120 is limited by the flow of the blocking portion does not move to the dead space (104d), as well as the connecting pin 120 and the strap 10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to be separated in advance, and to maintain a stable assembly state of the handle portion 106.

차량용 손잡이, 클램프, 연결핀, 캡, 스트랩 Car handles, clamps, connecting pins, caps and straps

Description

차량용 손잡이{Handhle of Automobile}Car handle {Handhle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에 의한 차량용 손잡이를 도시한 분해 정면도,1 is an exploded front view showing a han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종래에 의한 차량용 손잡이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Figure 2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handle,

도 3은 종래에 적용되는 하부 클램프, 연결핀, 스트랩, 고정봉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clamp, connecting pins, straps, fixing rods conventionally applied,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적용되는 하부 클램프, 연결핀, 스트랩, 고정봉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clamp, the connecting pin, the strap, the fixing rod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하부 클램프가 적용된 차량용 손잡이의 전체 단면도,5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handle to which the lower clamp of FIG. 4 is applied;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하부 클램프와 캡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clamp and the cap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80 : 캡 90 : 고정봉80: cap 90: fixed rod

102 : 상부 클램프 104 : 하부 클램프102: upper clamp 104: lower clamp

104a : 관통홀 104b : 단차홀104a: through hole 104b: stepped hole

104c : 반원홈 104d : 사공간104c: semicircle groove 104d: dead space

104e : 플랜지 106 : 손잡이부104e: flange 106: handle portion

108 : 스트랩 108a : 상부측 고리108: strap 108a: upper side hook

116 : 코일스프링 120 : 연결핀116: coil spring 120: connecting pin

본 고안은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클램프의 관통홀의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를 일체로 상향 돌출시켜 무리한 작동에서도 연결핀이 이탈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연결핀과 스트랩의 연결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flange portion is protruded upwardly at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clamp so that the connection pin is not detached even in excessive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in and the strap is more stable. It relates to a vehicle handle that can be guided to.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손잡이는, 도 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내의 천정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고정봉(90)의 외주에 끼워져 복수의 볼트(100)에 의해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클램프(102)(104)와, 승객이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06)와, 상기 하부 클램프(104)와 손잡이부(106)를 연결하도록 상부 및 하부측 고리(108a)(108b)가 형성되고 양 끝단이 길이방향의 중앙부로 겹쳐져 조임 동관(110)에 의해 압착 고정되는 스트랩(108)과, 상기 스트랩(108)의 외주에 끼워진 튜브(114)와, 상기 튜브(114)의 외주에 끼워지면서 그 상, 하단이 상기 하부 클램프(104)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04a)과 손잡이부(106)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06a)에 각각 삽입되는 코일스프링(116)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onventional vehicle handle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rod 90 is install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eiling in the vehicle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bolts (100) Upper and lower clamps 102 and 104, the handle portion 106 that can be grasped by the passenger,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rings 108a and 108b to connect the lower clamp 104 and the handle portion 106. ) Is formed and both ends overlap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ap 108 is pressed and fixed by the tightening copper tube 110, the tube 114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ap 108, and the tube 114 of The coil spring 116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4a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lower clamp 104 and the through hole 106a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handle part 106 respectively. It consists of.

이때, 상기 하부 클램프(104)는 그 관통홀(104a)의 중앙 높이에 상기 스트랩(108)의 상부측 고리(108a)에 끼워진 연결핀(120)이 직각으로 눕혀져 걸리도록 단 차홀(104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 양측단에 상기 고정봉(90)의 외주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반원홈(104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원홈(104c)과 관통홀(104a)의 상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사공간(104d)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clamp 104 has a stepped hole 104b so that the connecting pin 120 fitted to the upper ring 108a of the strap 108 is laid down at a right angle at the center height of the through hole 104a. And a semicircular groove 104c is formed at both upper ends of the upper end thereof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rod 90, and between the semicircular groove 104c and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104a. Dead space 104d is formed in the space.

그리고, 상기 스트랩(108)의 하부 고리(108b)에는 상기 손잡이부(106)와 스트랩(108)을 연결하도록 스트랩(108)의 양 끝단이 조임 동관(110)에 의해 압착 고정되기전 훅로워(122)가 연결되어 진다.And, the lower hook 108b of the strap 108 hooks both ends of the strap 108 before being pressed and fixed by the fastening copper tube 110 to connect the handle 106 and the strap 108 ( 122) is connected.

즉, 상기 훅로워(122)는 그 원봉몸체의 상면에 상기 하부 고리(108b)가 끼워지도록 역유(U)자 형상의 연결고리(122a) 양 끝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그 원봉몸체의 하단에 상기 손잡이부(106)의 관통홀(106a) 하단에 걸리도록 머리부(122b)가 돌출 형성되며, 그 원봉몸체의 중앙높이 둘레에 훅로워(122)가 손잡이부(106)의 관통홀(106a)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도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홀(106a)의 상단에 안착되는 스냅링(124)과 결합되는 스냅홈(122c)이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hook lower 122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inverse oil (U) -shaped connecting ring 122a so that the lower ring (108b) is fit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d body, the lower end of the rod body The head portion 122b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106a of the handle portion 106, and the hook lower 122 is formed around the central height of the rod body. The snap groove 122c is coupled to the snap ring 124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106a so as to be freely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106a.

이때, 상기 손잡이부(106)의 관통홀(106a)은 그 중앙보다 상, 하부단이 더 확대된 통로로서, 그 상단에 상기 스냅링(124)이 안착되고, 그 하단에 상기 훅로워(122)의 머리부(122b)가 삽입 안착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106a of the handle portion 106 is a passag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enlarged more than the center thereof, and the snap ring 124 is seat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hook lower 122 at the lower end thereof. Of the head 122b is inserted and seated.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손잡이는, 도 3과 같이 하부 클램프(104)의 관통홀(104a)의 상단 가장자리와 고정봉(90)이 안착되는 반원홈(104c)과의 사이에 사공간(104d)이 형성됨과 동시에 사공간(104d)과 관통홀(104a)이 하나의 통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106)를 무리하게 작동시킬 경우 손잡이부 (106)에 연결된 스트랩(108)이 상부방향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스트랩(108)의 상부측 고리(108a)에 연결된 연결핀(120)이 상기 사공간(104d)으로 이탈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연결핀(120)의 일측단이 들리는 불안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면서 타측단이 단차홀(104b)로 빠지게 되는 등의 고장을 일으키게 되어 손잡이부(106)의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ehicle hand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dead space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104a of the lower clamp 104 and the semicircular groove 104c on which the fixing rod 90 is seated. 104d is formed and the dead space 104d and the through hole 104a are connected by one passage, so when the handle 106 is forcibly operated, the strap 108 connected to the handle 106 is upper The connection pin 12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ring 108a of the strap 108 is pushed out in the dead space 104d while being pushed up in the direction, whereby an unstable position at which 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120 is lifted is lifted. While maintaining the other end is to cause a failure, such as falling into the stepped hole 104b has emerged a problem that can not maintain a stable assembly state of the handle portion 106.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 클램프의 관통홀과 사공간의 경계부분을 차단함으로써 연결핀이 사공간으로 이탈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연결핀과 스트랩이 분리되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여 손잡이부의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connection pins from leaving the dead space by blocking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clamp and the dead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pin and the strap. It is to provide a vehicle handle that can prevent the separation failure in advance to maintain a stable assembly state of the handle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손잡이는, 차량내의 천정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고정봉의 외주에 끼워져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에 스트랩을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클램프에는, 그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중앙 높이에 상기 스트랩의 상부측 고리에 끼워진 연결핀이 직각으로 눕혀져 걸리도록 형성된 단차홀과, 그 상부 양측단에 상기 고정봉의 외주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된 반원홈과, 상기 반원홈과 관통홀의 상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형성된 사공간을 구비한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사공간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연결핀이 사공간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 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Vehicl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pper and lower clamps are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xed rod install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eiling in the vehicle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to the lower clamp via a strap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lamp, a through hol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center thereof, a stepped hole formed such that a connecting pin fitted to the upper ring of the strap is laid at right angles to the central height of the through hole; A vehicle handle having semicircular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rod, and a dead space formed between the semicircular groove and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through hole and the dead space is provided. Has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the connection pins to be separated from the dead space And a gong.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차단부는 상기 관통홀과 사공간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반원홈의 높이까지 상향되게 일체로 돌출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block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 hole and the dead space to the height of the semi-circular groove.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플랜지는 평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내경이 상기 관통홀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fl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차단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고정봉에 의해 눌러지는 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block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is pressed by the fixing rod while seated on the top of the through-hole.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손잡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내의 천정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고정봉(90)의 외주에 끼워져 복수의 볼트(100)에 의해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클램프(102)(104)와, 승객이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06)와, 상기 하부 클램프(104)와 손잡이부(106)를 연결하는 스트랩(108)과, 상기 스트랩(108)의 외주에 끼워진 튜브(114)와, 상기 튜브(114)의 외주에 대해 하부 클램프(104)와 손잡이부(106)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116)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램프(104)는 그 관통홀(104a)의 중앙 높이에 상기 스트랩(108)의 상부측 고리(108a)에 끼워진 연결핀(120)이 직각으로 눕혀져 걸리도록 단차홀(104b)이 형성되고, 그 상부 양측단에 상기 고정봉(90)의 외주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반원홈(104c)이 형성되고, 상기 반원홈(104c)과 관통홀(104a)의 상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사공간(104d)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4a)과 사공간(104d)의 경계부분에 차단부가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vehicl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rod 90 that is installed in the ceiling in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bolts 100. Upper and lower clamps 102 and 104, a handle portion 106 that can be grasped by a passenger, a strap 108 connecting the lower clamp 104 and the handle portion 106, and the strap 108. In the tube 114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il) and the coil spring 116 fixed to the lower clamp 104 and the handle portion 106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114, the lower clamp 104 is A stepped hole 104b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pin 120 fitted to the upper ring 108a of the strap 108 is laid at right angles to the center height of the through hole 104a, and is fixed at both upper ends thereof. A semicircular groove 104c is formed to closel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d 90, and penetrates the semicircular groove 104c. Dead space between the top edge of (104a) (104d) is formed and is added to the configuration block boundary portion of the through-hole (104a) and a dead space (104d).

즉,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홀(104a)과 사공간(104d)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반원홈(104c)의 높이까지 상향되게 일체로 돌출되는 플랜지(104e)로 이루어져 있고, 이 플랜지(104e)는 평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내경이 상기 관통홀(104a)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blocking portion is composed of a flange 104e protruding integrally upward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 hole 104a and the dead space 104d to the height of the semicircular groove 104c, and the flange 104e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04a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rough hole 104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차량용 손잡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에 연결된 스트랩(108)의 상부측 고리(108a)는 하부 클램프(104)의 관통홀(104a)속에 형성된 단차홀(104b)의 상면에 눕혀져 있는 연결핀(120)에 걸림으로써 하부 클램프(104)와 스트랩(108)이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부(106)를 잡고서 예를 들어 상부로 밀어주는 무리한 작동이 발생될 때 스트랩(108)이 상부방향으로 동시 연동되면서 연결핀(120)을 유동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vehicl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tep formed in the through hole 104a of the lower clamp 104 of the upper ring 108a of the strap 108 connected to the handle 106. Since the lower clamp 104 and the strap 10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caught by the connecting pin 120 ly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e 104b, the user grasps the handle 106 and pushes it upwards, for example. Giving the connection pin 120 is flowing while the strap 108 is interlocked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excessive operation occurs.

그러나, 연결핀(120)은 관통홀(104a)의 상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돌설된 플랜지(104e)에 의해 관통홀(104a)에서 사공간(104d)으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관통홀(104a)내에서만 수평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러한 연결핀(120)의 수평상태는 스트랩(108)의 상부측 고리(108a)와 연결핀(120)의 연결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 게 되므로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necting pin 120 does not deviate from the through hole 104a to the dead space 104d by the flange 104e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104a, the connecting pin 120 does not escape from the through hole 104a. The horizontal state of the connection pin 120 is to maintain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pper ring 108a and the connection pin 120 of the strap 108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즉, 플랜지(104e)는 연결핀(120)이 관통홀(104a)에서 사공간(104d)으로 벗어나는 여유공간이 없도록 차단하여 주기 때문에 연결핀(120)과 스트랩(108)이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트랩(108)이 하부 클램프(10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106)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flange 104e blocks the connection pin 120 so that there is no free space from the through hole 104a to the dead space 104d, the connection pin 120 and the strap 108 are not separated. In addition, the strap 108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clamp 104, and thus, the handle part 106 may be stably maintained, thereby providing comfort to the user.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참고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도면 도 6에 있어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in FIG. 6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noted by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손잡이는, 하부 클램프(104)에는 그 관통홀(104a)과 사공간(104d)의 경계부분에 상기 연결핀(120)이 사공간(104d)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가 구성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홀(104a)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고정봉(90)에 의해 눌러지는 캡(80)으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vehicle han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in 120 is not separated into the dead space 104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 hole 104a and the dead space 104d in the lower clamp 104. Blocking unit is configured to block the blocking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is composed of a cap 80 is pressed by the fixing rod 90 while being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104a).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carried out by modifying and modifying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that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also applied to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must be seen as belong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손잡이는 하부 클램프의 관통홀의 상단 가장자리와 고정봉이 안착되는 반원홈과의 사이에 형성된 사공간으로 연결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홀과 사공간의 경계부분에 상기 반원홈의 높이까지 상향되게 일체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캡을 안착시켜 고정봉에 의해 눌러줄 수 있는 차단부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핀이 차단부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어 사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게 됨은 물론 연결핀과 스트랩이 분리되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부의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ad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of the lower clamp and the semicircular groove on which the fixing rod is seated so that the connection pin is not separated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 hole and the dead space. Since the connection pin is formed to have an integrally protruding flange up to the height of the semi-circular groove, or has a blocking portion that can be pressed by the fixing rod by seating a separate cap, the connection pin is restricted by the blocking portion. Not only does not move to the spac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to separate the connecting pin and the strap in advance, it is effective to maintain a stable assembly state of the handle portion.

Claims (4)

차량내의 천정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고정봉(90)의 외주에 끼워져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 클램프(102)(104)와, 상기 하부 클램프(104)에 스트랩(108)을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부(106)를 구비하고, Upper and lower clamps 102 and 104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ed rod 9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ceiling in the vehicle and coupled to each other, and a strap 108 through the lower clamp 104. It has a handle 106 to be connected, 상기 하부 클램프(104)에는, 그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홀(104a)과, 상기 관통홀(104a)의 중앙 높이에 상기 스트랩(108)의 상부측 고리(108a)에 끼워진 연결핀(120)이 직각으로 눕혀져 걸리도록 형성된 단차홀(104b)과, 그 상부 양측단에 상기 고정봉(90)의 외주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된 반원홈(104c)과, 상기 반원홈(104c)과 관통홀(104a)의 상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형성된 사공간(104d)을 구비한 차량용 손잡이에 있어서, The lower clamp 104 has a through hole 104a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center thereof, and a connecting pin 120 fitted to the upper ring 108a of the strap 108 at the center height of the through hole 104a. ) Is a stepped hole (104b) formed to lie down at right angles, semicircular groove (104c)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rod 90 at both upper ends thereof, the semicircular groove (104c) and the through hole A vehicle handle having a dead space 104d formed between an upper edge of a 104a, 상기 관통홀(104a)과 사공간(104d)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연결핀(120)이 사공간(104d)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손잡이.The handle portion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hole (104a) and the dead space (104d) to block the connection pin 120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dead space (104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홀(104a)과 사공간(104d)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반원홈(104c)의 높이까지 상향되게 일체로 돌출되는 플랜지(104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손잡이.The blocking part is a vehicl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ange (104e) integrall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through hole (104a) and the dead space (104d) to the height of the semi-circular groove (104c).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랜지(104e)는 평면에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 내경이 상기 관통홀(104a)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손잡이.The flange (104e) is formed in a ring shape when viewed in a plane, the inner diameter of the vehicl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04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관통홀(104a)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고정봉(90)에 의해 눌러지는 캡(8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손잡이.The blocking part is a vehicl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80 is pressed by the fixing rod (90) while seated on the top of the through hole (104a).
KR2020050029635U 2005-10-19 2005-10-19 Handhle of Automobile KR20040656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635U KR200406561Y1 (en) 2005-10-19 2005-10-19 Handhle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635U KR200406561Y1 (en) 2005-10-19 2005-10-19 Handhle of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561Y1 true KR200406561Y1 (en) 2006-01-23

Family

ID=4175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635U KR200406561Y1 (en) 2005-10-19 2005-10-19 Handhle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561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54B1 (en) * 2007-06-29 2008-08-18 현대로템 주식회사 Knob for a standing passenger of electric rail car
KR20160046280A (en) * 2015-05-12 2016-04-28 장은화 Handle for vehicles
KR20170024764A (en) 2015-08-26 2017-03-08 주식회사 코하마 Handhold of automobi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654B1 (en) * 2007-06-29 2008-08-18 현대로템 주식회사 Knob for a standing passenger of electric rail car
KR20160046280A (en) * 2015-05-12 2016-04-28 장은화 Handle for vehicles
KR101708336B1 (en) 2015-05-12 2017-02-21 장은화 Handle for vehicles
KR20170024764A (en) 2015-08-26 2017-03-08 주식회사 코하마 Handhold of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205B2 (en) Seat assembly having a cross member
KR200406561Y1 (en) Handhle of Automobile
US10829092B2 (en)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20110094077A1 (en) Pen barrel assembling device
EP1972221A2 (en) System including bicycle shoes easi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pedal
WO2016165907A1 (en) Filter element, in particular for gas filtration
US20160288674A1 (en) Armrest structure for door trim
US20090266423A1 (en) Water control valve system with snapping action
US20140082901A1 (en) Safety Hook
CA2472611C (en) Multiple retainer bridge
US7073409B2 (en) Pedal device
US6464438B1 (en) Captive fastener device
SE525643C2 (en) vehicle Tires
US5700062A (en) Wheel cover adjustable in its size
KR100394721B1 (en) Curtain hook for vehicles
KR100852654B1 (en) Knob for a standing passenger of electric rail car
US20050202731A1 (en) Vehicle battery terminal connector
AU2021204527A1 (en) Fixation system of a strap to a camera including a buckle and a button
KR200320758Y1 (en) clip of fixing connector for cars
JP4313238B2 (en) Heat exchanger fan shroud
KR100600166B1 (en) Assembling leveling rod
JP2005268012A (en) Handle 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US6089591A (en) Ball assembly for a trailer hitch
CN215410154U (en) Double-seal combined fastening casting
CN215155370U (en) Handlebar assembly and scooter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