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756Y1 - 양초 - Google Patents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756Y1
KR200405756Y1 KR2020050030850U KR20050030850U KR200405756Y1 KR 200405756 Y1 KR200405756 Y1 KR 200405756Y1 KR 2020050030850 U KR2020050030850 U KR 2020050030850U KR 20050030850 U KR20050030850 U KR 20050030850U KR 200405756 Y1 KR200405756 Y1 KR 200405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andle
light emitting
heat
c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웰코테크
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웰코테크, 강성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웰코테크
Priority to KR2020050030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7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고안은 가연심지의 연소불꽃을 광 또는 열 전달선을 경유한 광 또는 열 감지센서의 연소 불꽃 검출에 의해 양초 본체 내의 광원을 발광시켜서 양초 본체로부터 원하는 색의 빛의 장식성을 발휘시키기 위해, 바닥 부분에서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볼트부(B)를 일체로 포함하는 양초 본체(2a); 상기 양초 본체(2a)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상기 양초 본체(2a)의 볼트부(B)와 체결되는 너트부(N)를 상단 중앙에 구비하고, 저면(13)의 중심에서 내부 방향으로 성형한 광방사공간(5)을 구비한 양초 베이스(2b); 상기 양초 본체 내에 고정한 가연심지; 상기 양초 본체 내의 가연심지를 따르도록 그리고 상기 광방사공간(5)에 노출되도록 배선한 광 또는 열 전달선; 이 전달선에서 유도되는 가연심지의 연소 불꽃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또는 열 감지센서, 그리고 이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양초 베이스(2b)의 광방사공간(5) 내부에 배설되고 있어, 전원, 전달선 및 감지센서를 개입시켜 통전상태를 얻었을 때에 전원의 전력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발광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발광 유니트는 복수의 광원을 교대로 혹은 중복해 발광시키는 발광 제어부를 갖추게 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양초 본체, 양초 베이스, 전달선, 센서, 가연심지, 발광유니트

Description

양초{candl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는 도 1의 발광 유니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발광제어부에 대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광제어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광원들의 출력 파형도이다.
본 고안은 광 또는 열 전달선을 경유한 광 또는 열 감지센서의 연소 불꽃 검출에 의해 양초 본체 내의 광원을 발광시켜서 양초 본체로부터 원하는 색의 빛의 장식성을 발휘시키도록 한 양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유니트를 내부에 구비한 비 연소용 베이스 양초와 용해된 밀초를 흡수하는 가연심지로부터 연소불꽃을 발생시켜, 주위를 비추는 연소용 양초를 포함하고서 이 연소용 양초를 상기 베이스 양초에 탈착가능하게 구비한 양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둥근 과실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서, 외주에 나선 모양 으로 만든 양초가 넓게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양초 본체 내에 고정한 가연심지가 착화 연소됨으로써, 가연심지가 스스로 연소불꽃과 함께 양초 본체의 용해 밀초를 흡수하면서 연소 불꽃을 계속 발생시키는 것으로 주위를 비추는 것이다.
그렇지만, 종래의 양초는, 단지 양초 본체의 중심에서 고정한 가연심지가 용해 밀초를 흡수하면서 연소 불꽃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주위를 단지 비추는 데에 지나지 않고, 빛의 장식성을 발휘하는 것으로써는 지극히 단조롭고, 예를 들면 각종의 연출 효과가 바람직한 점포 등의 업무용이라고 해도, 혹은 가정용이라고 해도 그다지 이용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또한, 빛의 장식성을 발휘하는 종래의 양초라고 해도, 연소됨에 따라 양초 본체를 이루는 밀초가 용해되어 버려, 밀초가 모두 용해되어 버린 양초는 다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용해 밀초를 흡수하면서 연소 불꽃에 의해 주위를 비출 수 있음과 동시에, 양초 본체 내부에서 광원의 발광으로 독특한 빛의 장식성을 발휘하고, 양초 본체의 외관을 해칠 수 있는 수동 조작식의 스위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연심지의 연소 불꽃에 의해 내부의 광원을 자동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밀초가 모두 용해되어도 다시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양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 부분에서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볼트부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양초 본체; 상기 양초 본체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상기 양초 본체의 볼트부와 체결되는 너트부를 상단 중앙에 구비하고, 저면의 중심에서 내부 방향으로 성형한 광방사공간을 구비한 양초 베이스; 상기 양초 본체 내에 고정한 가연심지; 상기 양초 본체 내의 가연심지를 따르도록 그리고 상기 광방사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선한 광 또는 열 전달선; 이 광 또는 열 전달선에서 유도되는 가연심지의 연소 불꽃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또는 열 감지센서; 그리고 이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양초 베이스의 광방사공간에 배설되고 있어, 전원, 광 또는 열 전달선 및 광 또는 열 감지센서를 개입시켜 통전 상태를 얻었을 때에 전원의 전력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발광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발광 유니트는 복수의 광원을 교대로 혹은 중복해 발광시키는 발광 제어부를 갖추고 있는 양초로 한 것이다.
상기 너트부(N)의 내부공간과 상기 광방사공간(5)은 상기 광 또는 열 전달선(4)을 상기 광방사공간(5)에 인입하기 위해 유통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발광 유니트는, 복수의 광원을 교대로 혹은 중복하게 하여 발광시키는 발광 제어부를 갖추어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과 관련되는 양초에 있어, 가연심지의 발화 연소는 광 또는 열 전달선 및 광 또는 열센서를 반응시켜, 전원과 광원를 통전 상태로 하는 전기 회로를 온으로 만들어서,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광원에게 주어, 광원을 발광시킨다. 광원의 발광은 양초 베이스를 투과하여 양초 베이스 밖으로 조사되어 양초에 아름다운 빛의 장식성을 발휘시킨다.
발광 유니트는, 예를 들면 복수의 각 광원을 단독으로 차례차례 발광시키고, 또,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중복하게 발광시키는 것으로 색조를 여러 가지로 변화시켜서, 양초 주위에 색채 변화하는 빛의 독특한 분위기를 양성시킨다.
양초 본체의 밀초가 모두 용해되어도 다시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양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서 나타나는 부호 1은 양초이다. 도 1,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양초(1)는 양초 본체(2a) 및 상기 양초 본체(2a)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상기 양초 본체(2a)와 체결되는 양초 베이스(2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초 본체(2a)는 그 중심 내부에서 고정된 가연심지(3) 및 중심 부근에서 가연심지(3)를 따르도록 배선 고정된 광 또는 열 전달선(4)을 포함하고 있고, 그 바닥 부분에서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볼트부(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양초 베이스(2b)는 내부에 공동부 형상으로 형성된 광방사공간(5), 그리고 이 광방사공간(5) 내에 수용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광 또는 열 전달선(4)을 통하여 가연심지(3)의 발화 빛 또는 열을 감지하는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 및 이 감지센서(4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광원(22)을 구비한 발광 유니트(6)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초 본체(2a)와 양초 베이스(2b)는 용해 밀초를 소정 형상으로 고체화 성형하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초 본체(2a) 는 원형기둥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양초 베이스(2b)는 상기 양초 본체(2a)보다 방사상으로 큰 크기를 갖고서 꽃모양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그 외형은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형상으로 하거나 할 수가 있다.
도시 예의 양초 베이스(2a)에 있어서는, 상기 양초 본체(2a)의 볼트부(B)와 맞물려 체결될 수 있는 너트부(N)가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발광 유니트(6)를 수용하기 위해서 저면(13)의 중심에서 내부 방향으로 성형한 예를 들면 원주 공동부 형상의 광방사공간(5)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너트부(N)의 내부공간과 상기 광방사공간(5)은 상기 광 또는 열 전달선(4)을 상기 광방사공간(5)에 인입하기 위해 유통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부(N)는 상기 볼트부(B)와 맞물려 체결될 때 상기 볼트부를 손상시키기 않을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 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 유니트(6)는, 양초 베이스(2b)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해도 좋고 완전 고착형으로 해도 좋다.
또한, 양초 본체(2a)의 형상도 각형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과실이나 꽃을 형상화하고 그 외주에 나선 모양의 장식적인 형상을 형성하거나 혹은 동물이나 인물 등을 본떠 인형품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좋고, 즉 그 형상은 임의의 것이다.
가연심지(3)는, 예를 들면 양초 본체(2a)의 중심에서 양초 본체(2a)의 수직 방향으로 거의 합치하도록 양초 본체(2)를 구성하는 밀초재 자체에 일직선 형상으로 고정된 것이다. 가연심지(3) 자체는 예를 들면 가연성의 섬유질로 형성되어 있 고 가연심지(3)의 양초 본체(2a) 내부에 있어서의 하단은, 상기 양초 베이스(2b)를 양초 본체(2a)의 용해 밀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양초 본체(2a)의 볼트부(B) 내에는 위치되지 않는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또는 열 전달선(4)은, 예를 들면 양초 본체(2a)의 중심 근처에서 가연심지(3)에 평행하게 따르도록, 가연심지(3)와 거의 일체가 되게, 양초 본체(2a)를 구성하는 밀초재 자체로 고정된 것이다.
상기 광 또는 열전달선(4)의 상단은 가연심지(3)의 첨단과 예를 들면 거의 같은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고 하단은 광방사공간(5)내로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광방사공간(5)은 원주상을 이루는 공동 형상이지만, 발광유니트(6)를 수용 배치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설정해도 좋다.
발광유니트(6)는 도 1,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또는 열 전달선(4)으로부터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 상기 감지센서(4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꾀하기 위한 전극 단자부(접지단자:Vss, 전원단자:Vdd); 예를 들면 편평형 전지와 같은 전원(21)과 상기 감지센서(45)의 통전 시에 전원(21)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받아 발광하는 예를 들면 LED나 UVLED와 같은 복수의 광원(22); 그리고 각 광원(22)의 발광과 소광을 예를 들면 소요 시간의 경과마다 차례차례 전환하여, 이것을 반복해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23)를 실장한 기판(24), 상기 기판(24)과 전원(21)과의 전기적 접속을 꾀하는 전원 단자(Vdd)의 역할을 하는 좌우의 프레임(25a)이 하부로부터 기판(24)의 양단에 고정되고, 접지 단자 (Vss)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편(S)이 상기 기판(24)의 중앙에 일단이 고정되어 아래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좌우의 프레임(25a)에 일체로 된 바닥 프레임(25b)에 탄성편(25c)이 구비되어 기판(24)의 배후 측에 대해 전원(21)의 장착 상태를 협지 고정하는 전원 고정부(26), 상기 스프링편(S)을 관통시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판(24)과 상기 전원(21)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원 단자의 역할을 하는 좌우의 프레임(25)과 상기 접지 단자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편(S)에만 전원(21)이 접속되게 하는 절연판(P), 그리고 상기 전원(21)을 장착한 상태의 기판(24), 전원 고정부(26) 및 절연판(P)을 수용하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의 수용 케이스(27)를 구비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케이스(27)는 예를 들면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예를 들면 상부의 개방부로부터 전원(21)을 장착한 상태의 기판(24) 및 전원 고정부(26)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31);, 케이스 본체(31)의 상부의 개방부를 폐색할 수 있게 케이스 본체(31)에 결합되며, 광원(22)을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구멍(28)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광 또는 열 전달선(4)을 끌어들이는 인입공(29)을 중앙에 가지고 있는 커버(32), 그리고 상기 광 또는 열 전달선(4)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가지는 차광성 또는 단열성의 캡(4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24)에는 광 또는 열 전달선(4)에 의해 가연심지(3)의 발화 광 또는 열을 발광 유니트(6)내의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에 이끄는 것으로, 가연심지(3)의 발화 광 또는 열을 검출해 광원(22)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23)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광 또는 열 전달선(4)은 가연심지(3)의 연소 소실에 대응해 점차 소실하도록 되어 있어, 가연심지(3)의 발화 빛 또는 열을 상시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에 이끌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의 광원(22)를 이용하고 있어, 각 광원(22)의 발광색이 예를 들면 빨강, 파랑, 노랑 등으로 서로 다르도록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전원(21)은, 가연심지(3)가 착화된 후, 적어도 완전하게 소실해 버릴 때까지의 사이의 시간 경과 분만의 광원(22)으로의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전압 용량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이 관점으로부터, 혹은 광원(22)의 발광의 강도를 어느 정도 이상의 레벨로 끌어올린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복수의 전원(21)을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조립된 양초(1)를 사용하는 경우는, 먼저 양초(1)를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테이블 위에 두어, 외부에 노출하는 가연심지(3)를 착화시키고, 가연심지(3)로부터 연소 불꽃을 발생시키고, 광 또는 열 전달선(4)에 연소 불꽃의 광 또는 열이 유도되어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에 검출되어 스위치와 같은 기능을 이루어, 전원(21)으로부터의 전력을 발광제어부(23)에 공급시켜, 발광제어부(23)의 구동을 개입시켜 각 광원(22)을 예를 들면 소정 시간 마다의 차례차례 발광·소광 작동을 반복하게 해 경우에 따라서는 각종의 빛이 겹치는 상태가 되도록 발광시켜 혼색시킨다.
그 결과, 양초 본체(2)는, 특히 광조사공간(5)를 성형한 것에 의해 광원(22)의 주위에 해당하는 부분이 광원(22)의 발광을 효율 좋게 투과시켜, 양초 베이스 (2b)의 주위 측면으로부터 예를 들면 빨강, 파랑, 노랑의 순서에 반복해 빛의 장식성을 발휘시켜, 주위에 독특한 유색 발광의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각종의 빛이 겹치게 하는 발과제어부(2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제어부(23)는 광원(22a, 22b, 22c)들의 출력제어용 IC(IC1)에 의해 행하여 진다. 예를들어 상기 출력제어용 IC는 PIC10F20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IC의 출력단자에는 각 광원들(22a, 22b, 22c)이 각각의 저항(R1, R2, R3)을 통해 접지단자(Vss)에 접속되어 있어, IC의 출력 여부에 따라 광원들의 발광여부가 결정된다. 4개의 입출력단자 중 나머지 하나는 프로그램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단자(DATA IN)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IC의 전원 단자(Vdd)에는 배터리 전원이 결합되는 바, 상기 도 1 및 도 2의 광 또는 열 전달선(4)의 하단과 접촉하는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일예로서 포토커플러)가 접지단자(Vss)에 접속되며, 전지인 전원(21)의 양(+)극이 상기 IC의 전원단자(Vdd)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감지센서(45)가 빛 또는 열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상기 광원들이 발광하도록 하는 바, 평소에는 차광성 또는 단열성의 캡(44)에 의해 빛 또는 열이 차단되어 있어 광원이 발광하지 않으나, 가연심지(3)에 연소 불꽃이 발생되면, 가연심지(3)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광 또는 열 전달선(4)에 의해 상기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가 반응하여, 상기 출력 제어용 IC가 동작하며, 광원이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출력 제어용 IC의 내부 동작을 흐름도로 나태 내면, 도 4와 같다. 일 례로 제 1 광원(22a)는 '레드', 제 2 광원(22b)는 '블루' 및 제 3 광원(22c)는 '그린'의 발광체로 지정될 수 있다. 이상의 상기 IC의 동작을 도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단, 전원단자(Vdd) 입력에 의해 IC에 동작 전원이 인가되면 (S11), 먼저 제 1 광원(22a)의 출력을 제로에서부터 점차 증가시키게 되며 (S13), 어떤 피크치를 지나는 시점(t1) 이후에 다시 제 1 광원의 출력을 반대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S15).
한편, 상기 시점(t1) 을 전후 해서, 시점(t2)에서부터 제 2 광원(22b)으로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며 (S17),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이 모두 발광되는 상태(t2∼t3)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원의 발광량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양초를 이격하여 관찰할 경우, '레드'와 '블루'의 색채가 다양한 비율로 조합되어 다양한 색채의 발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광원으의 출력은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어떤 시점(t3) 이후에는, 일정시간(t5-t3) 동안 제 2 광원의 색채인 '블루' 색채만을 띄게 된다.
다시, 상기 제 2 광원이 어떤 피크치를 지나는 시점(t4) 이후에 다시 제 2 발광소자의 출력을 반대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게 되며 (S19), 상기 시점(t4 )을 전후해서, 시점(t5)에서부터 제 3 광원(22c)으로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며 (S21), 따라서 상기 제 2 및 제 3 광원이 모두 발광되는 상태(t5∼t6)에서는 상기 제 2 및 제 3 광원의 발광량에 따라, '블루'와 '그린'의 색채가 다양한 비율로 조합되어 다양한 색채의 발광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시점(t4) 이후로는 상기 제 2 광원으로의 출력은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어떤 시점(t6) 이후에는, 일정시간(t8-t6) 동안 제 3 광원의 색채인 '블루' 색채만을 띄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광원이 어떤 피크치를 지나는 시점(t7) 이후에 다시 제 3 발광소자의 출력을 반대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게 되며 (S23), 상기 시점(t7) 을 전후해서, 시점(t8)에서는 타이머를 리셋하게 되거나, 또는 링카운터 방식으로 초기 시점으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S25), 시점(t8)부터는 다시 제 1 광원(22a)으로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는 상기 단계(S13)로 리턴하여 상기 단계를 반복하게 한다.
따라서, 비록 3개의 광원만을 사용하더라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한 색채를 광을 발광하는 양초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그 색채도 은은하게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는 3개의 광원들(22a, 22b, 22c)을 가지고 구현하였으나, 광원의 개수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설명은 '레드', '블루', 및 '그린'의 3가지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광 또는 열 감지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광감지센서와 열 감지센서를 중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IC도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제어도 도 5와 같은 파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삼각파나 구형파 등의 다른 파형으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양초 베이스(2b) 내부에 배치한 광원(22)의 발광이 양초 베이스(2b)를 투과하는 것으로 그 외 측에 독특한 빛의 조명을 발휘시키는 것이고, 더욱이 주위의 환경에 의해 아름다운 유색 발광의 미관을 줄 수가 있다. 게다가 양초 베이스(2b)의 외관을 해치는 것 같은 수동 조작식의 스위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가연심지(3)로부터의 연소 불꽃의 발생과 함께 자동적으로 내부의 광원(22)을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연심지(3)의 발화에 의해 반 자동적으로 광원(22)이 발광해 양초 베이스(2b)가 약한 빛으로도 빛나게 되기 때문에 환상적 분위기도 양성하고, 게다가 사용에 즈음해 완전히 번거로움이 없이, 양초(1)로서 종전의 미관을 한층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초 본체의 밀초가 모두 용해되어도 새로운 양초 본체로 다시 재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양초를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유니트(6)는, 복수의 광원(22)을 교대로 혹은 중복해 발광시키는 발광 제어부(23)를 갖추는 것으로, 각 광원(22)를 예를 들면 단독으로 차례차례 혹은 혼합색을 일으키게 하도록 발광시키기 때문에, 양초 베이스(2b)를 차례차례 빨강, 파랑, 노랑 등이 다른 유색 발광의 빛의 조명이나 적당한 점차적인 변화 조명 작용을 발휘할 수가 있어 상술의 효과에 가세해, 항상 발광색을 변화시켜, 주위의 사람들을 질리게 하지 않고 끊임없이 즐겁게 할 수가 있다.

Claims (5)

  1. 바닥 부분에서 외주면이 나사가공된 볼트부(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양초 본체(2a),
    상기 양초 본체(2a)가 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상기 양초 본체(2a)의 볼트부(B)와 체결되는 너트부(N)를 상단 중앙에 구비하고, 저면(13)의 중심에서 내부 방향으로 성형한 광방사공간(5)을 구비한 양초 베이스(2b),
    상기 양초 본체 내에 고정한 가연심지,
    상기 양초 본체 내의 가연심지를 따르도록 그리고 상기 광방사공간(5)에 노출되도록 배선한 광 또는 열 전달선,
    이 광 또는 열 전달선에서 유도되는 가연심지의 연소 불꽃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또는 열 감지센서, 그리고
    이 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양초 베이스(2b)의 광방사공간(5) 내부에 배설되고 있어, 전원, 광 또는 열 전달선 및 광 또는 열 감지센서를 개입시켜 통전 상태를 얻었을 때에 전원의 전력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고 있는 발광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발광 유니트는 복수의 광원을 교대로 혹은 중복해 발광시키는 발광 제어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N)의 내부공간과 상기 광방사공간(5)은 상기 광 또는 열 전달선(4)을 상기 광방사공간(5)에 인입하기 위해 유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니트(6)는
    광 또는 열 전달선(4)으로부터의 광 또는 열을 검출하는 광 또는 열 감지센서(45); 상기 센서(45)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꾀하기 위한 2개의 전극 단자부(Vdd, Vss); 전원(21)과 광 열 감지센서(45)의 통전 시에 전원(21)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을 받아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22); 그리고 각 광원(22)의 발광과 소광을 소요 시간의 경과마다 차례차례로 전환하여, 이것을 반복해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23)를 실장한 기판(24),
    상기 기판(24)과 전원(21)과의 전기적 접속을 꾀하는 전원 단자의 역할을 하는 좌우의 프레임(25a)이 하부로부터 기판(24)의 양단에 고정되고, 접지 단자의 역할을 하는 스프링편(S)이 상기 기판(24)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좌우의 프레임(25)에 일체로 된 바닥 프레임(25b)에 탄성편(25c)이 구비되어 기판(24)의 배후 측에 대해 전원(21)의 장착을 협지 고정하는 전원 고정부(26),
    상기 스프링편(S)을 관통시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판(24)과 상기 전원(21)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좌우의 프레임(25)과 상기 스프링편(S)에만 전원(21)이 접속되게 하는 절연판(P), 그리고
    상기 전원(21)을 장착한 상태의 기판(24), 전원 고정부(26) 및 절연판(P)을 수용하는 수용 케이스(27)를 구비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케이스(27)는 상부의 개방부로부터 전원(21)을 장착한 상태의 기판(24) 및 전원 고정부(26)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31),
    케이스 본체(31)의 상부의 개방부를 폐색할 수 있게 케이스 본체(31)에 결합되며, 광원(22)을 관통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구멍(28)을 가짐과 동시에 광 또는 열 전달선(4)를 끌어 들이는 인입공(29)을 가지고 있는 커버(32), 그리고
    상기 광 또는 열 전달선(4)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을 가지는 차광성 또는 단열성의 캡(4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복수의 발광소자들에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출력을 제공하는 출력제어용 IC와,
    상기 출력제어용 IC에 의해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발광을 하는 복수 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KR2020050030850U 2005-10-31 2005-10-31 양초 KR200405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850U KR200405756Y1 (ko) 2005-10-31 2005-10-31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850U KR200405756Y1 (ko) 2005-10-31 2005-10-31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756Y1 true KR200405756Y1 (ko) 2006-01-11

Family

ID=4175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50U KR200405756Y1 (ko) 2005-10-31 2005-10-31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75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54B1 (ko) 2007-04-23 2009-03-09 강성철 폭죽기능을 가진 양초
WO2009082054A1 (en) * 2007-12-26 2009-07-02 Samho Ind. 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KR101005154B1 (ko) * 2010-06-11 2011-01-04 주식회사 초사랑닷컴 발광양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16583A1 (ko) * 2018-05-08 2019-11-14 Kim Jaegeun 조립식 양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54B1 (ko) 2007-04-23 2009-03-09 강성철 폭죽기능을 가진 양초
WO2009082054A1 (en) * 2007-12-26 2009-07-02 Samho Ind. Decoratively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a candle
KR100944551B1 (ko) * 2007-12-26 2010-03-03 삼호아이엔디 (주)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KR101005154B1 (ko) * 2010-06-11 2011-01-04 주식회사 초사랑닷컴 발광양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216583A1 (ko) * 2018-05-08 2019-11-14 Kim Jaegeun 조립식 양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2690B1 (en) Imitation candle
US9625112B2 (en) Electronic flameless candle
US7252423B1 (en) Candle with magnetically activated internal illumination
JP5198310B2 (ja) 発光ダイオードに基づく製品
US20140035483A1 (en) Two ended faux candle
US20050196716A1 (en) Artificial flame
US20040223326A1 (en) Flame simulating device
US20060176703A1 (en) Novelty lighting system
US20080094825A1 (en) Electroluminescent Candle
US9279552B2 (en) Electronic candle
EP3293444B1 (en) 360-degree led light-emitting flame lamp assembly
KR20060120566A (ko) 조명광 및 환경광용 램프 및 전구
KR100711221B1 (ko) 양초
US20080151534A1 (en) Electronic candle with double light sources
US20050248952A1 (en) Lighting device for pumpkins and other similar articles
US11187391B2 (en) Lamp with selectable illumination and flame effects
KR200405756Y1 (ko) 양초
US20060177786A1 (en) Luminescent wax candle container
KR100944551B1 (ko)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CN201510547U (zh) 安全光彩芳香装置
CN206145613U (zh) 一种草坪火焰灯
JP3935126B2 (ja) 装飾用灯具
JP2777059B2 (ja) 電子炎灯
CN202303172U (zh) 一种led彩色闪光杯蜡
CN207514797U (zh) 烛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