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533Y1 -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 Google Patents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533Y1
KR200405533Y1 KR2020050030303U KR20050030303U KR200405533Y1 KR 200405533 Y1 KR200405533 Y1 KR 200405533Y1 KR 2020050030303 U KR2020050030303 U KR 2020050030303U KR 20050030303 U KR20050030303 U KR 20050030303U KR 200405533 Y1 KR200405533 Y1 KR 200405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ater
driving
water level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김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김영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30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5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수로를 개폐하는 웨어(WEIR)판의 양측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 들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기어치에 의해 구동판을 90도 회전시키면서 수로를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서 수문을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수문이 보의 상부로 돌출됨이 없게 함과 아울러 별도의 구조물의 설치없이 수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한 상류 측 하천 수위조절용 수문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천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보 수로에 설치한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제1기어치들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 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로를 개폐하는 웨어(WEIR)판으로 이루어진 수문본체; 상기 수문본체가 회전될 수 있게 구동판 들에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로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구동판 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를 갖는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 설치되어 그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천, 보, WEIR, 수문, 개폐장치, 수위조절

Description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a turn sluice for river water level contro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의 정면도이고,
도 4a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에 의한 수위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수문 본체 112,114 - 구동판
112,114 - 제1기어치 116 - 웨어(WEIR)판
120 - 프레임 122 - 회전축
130 - 구동부 132,134 - 구동기어
132a,134a - 제2기어치 136 - 핸들
138 - 모터
본 고안은 하천수위 조절을 위한 가동보에서의 수위 조절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기어치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들을 구비하고 이 구동판들의 사이에 웨어(WEIR)판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구동판 들을 90도 회전시켜 웨어(WEIR)판으로 수로를 개폐함으로서 수문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도 보의 상부로 수문이 돌출되지 않게 한 가동보에서의 수문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형적인 특성상 하천의 유역면적은 작고 유로 연장이 짧으며, 산지가 많아 하천경사도 급한 편이어서 바다로의 유출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이루어지므로 하천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도시와 농촌을 흘러가는 중소규모의 하천에는 농, 공업용수의 확보와 하천의 건천화(乾川化)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소정 높이의 보를 형성해 놓고 있으며 이 보에는 일부분을 개방하여 수문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의 수문은 그 개폐방식에 따라 크게는 상하로 승강되면서 개폐되는 수동 또는 자동방식과 수문의 상단 또는 하단이 힌지 고정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도되면서 개폐되는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문개폐구조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원시적인 상하 승강식 수문은 그 자체를 수로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홈에 끼웠다 빼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수문은 설치 및 보수비용이 저렴한 반면, 수문을 완전히 개방시킬 경우 수문이 보의 상부로 돌출됨에 의해 홍수시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또한, 유지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로를 개폐하는 웨어(WEIR)판의 양측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외주면에 기어치를 갖는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들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기어치를 이용하여 구동판들을 회전시킴에 의해 웨어(WEIR)판으로 수로를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서 수문을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수문이 보의 상부로 돌출됨이 없게 함과 아울러 수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류측 하천 수위조절용 수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천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가동보로 설치한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제1기어치 들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들과 상기 구동판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로를 개폐하는 웨어(WEIR)판으로 이루어진 수문본체; 상기 수문본체가 회전될 수 있게 구동판들에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로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구동판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를 갖는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 설치되어 그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판들은 수로의 높이를 반지름으로 하여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게 연결 설치한 핸들 혹은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의 정면도이고, 도 4a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에 의한 수위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치차 내장형 회전식 수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은 보(10)에 형성되는 수로(12)에 설치하여 상기 수로(12)를 개폐함에 의해 하천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문으로서, 수문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문본체(110)는 상기 수로(12)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들(112,114)과 상기 구동판들(112,1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12)를 개폐하는 웨어(WEIR)판(116)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판들(112,114)과 웨어(WEIR)판(116)은 "ㄷ"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판들(112, 114)은 수문의 높이를 반지름으로 하여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는 제1기어치(112a,114a)가 형성된 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120)은 상기 수문본체(110)를 수로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0)에 회전축(122)을 이용하여 상기 수로본체(110)를 결합함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20)을 수로(12)에 설치하여 수로본체(110)를 수문에 설치한다. 상기 프레임(120)을 수로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20)에는 고정공(128)을 구비하여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에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20)에 상기 수문본체(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하는 회전축(122)은 상기 프레임(120)과 구동판들(112,114)의 중심부 즉, 부채꼴 형상의 90도의 중심각을 이루는 부위에 인접되게 제1,제2축공 들(124,126)을 형성하여 결합함에 의해 상기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구동판들(112,114)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수문본체(110)를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부(130)는 상기 구동판들(112,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기어치(112a,114a)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132a,134a)를 갖는 구동기어들(132,134)을 설치하고, 이 구동기어들(132,134)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136) 혹은 모터(138)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치한다.
상기 핸들(136) 혹은 모터(138)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들(132,134)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은 통상의 기어 전달방식을 이용하면 된다. 또 상기 구동기어들(132,134)은 구동축(123)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결합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한 보(10)에 형성되어 있는 수로(12)에 설치하여 개폐됨에 의해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수로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구동부(130)의 핸들(136) 혹은 모터(138)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들(132,134)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기어들(132,134)은 구동축(123)으로 결합되어 있어 함께 회전되고, 이 구동기어들(132,1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들(132,134)에 구비된 제2기어치들(132a,134a)이 구동판들(112,114)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기어치들(112a,114a)에 맞물려 상기 구동판들(112,114)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구동기어(132,134)가 제자리 회전되면 이 구동기어(132,134)에 맞물린 구동판(112,114)이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판(112,114)의 사이에 설치된 웨어(WEIR)판(116)이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수로(12)를 개폐하게 된다.(도 4a ~도 4c참조)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로를 개폐하는 본 고안은 상기 구동기어(132,13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30)를 핸들(136)로 구성하게 되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고, 또 모터(138)로 구성하게 되면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른 선택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웨어(WEIR)판의 양측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외주면에 기어치을 갖는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들을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구동판들을 회전시킴에 의해 웨어(WEIR)판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게 함으로서 수로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도 상기 수문이 보의 상부로 돌출됨이 없게 함과 아울러 수로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천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보의 일부분을 수로로 만들고 그 수로에 개폐되게 설치한 수문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제1기어치들이 형성된 부채꼴 형상의 구동판들과 상기 구동판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로를 개폐하는 웨어(WEIR)판으로 이루어진 수문본체;
    상기 수문본체가 회전될 수 있게 구동판들에 회전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로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구동판들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기어치와 맞물리는 제2기어치를 갖는 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 설치되어 그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하천수위조절용 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들은 수로의 높이를 반지름으로 하여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수위조절용 수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게 연결 설치한 핸들 혹은 모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수위조절용 수문.
KR2020050030303U 2005-10-25 2005-10-25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KR200405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03U KR200405533Y1 (ko) 2005-10-25 2005-10-25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03U KR200405533Y1 (ko) 2005-10-25 2005-10-25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609A Division KR100654294B1 (ko) 2005-10-25 2005-10-25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533Y1 true KR200405533Y1 (ko) 2006-01-10

Family

ID=4175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303U KR200405533Y1 (ko) 2005-10-25 2005-10-25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5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678A (ko) 2022-01-23 2023-08-01 이미숙 수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678A (ko) 2022-01-23 2023-08-01 이미숙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294B1 (ko)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KR100825374B1 (ko) 그레이팅 개폐장치
KR200405533Y1 (ko) 하천 수위조절용 기어내장형 회전식 수문
KR100697857B1 (ko) 도로의 배수 측구 집수 박스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1183934B1 (ko) 편심롤러에 의해 게이트의 처짐 방지 및 구간별 처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수문
KR100295497B1 (ko) 수문개폐장치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20230060958A (ko) 유수 역류방지를 위한 개폐도어를 구비한 빗물받이
EP0307698A1 (de) Bausatz, bestehend aus einem Reinigungsrohr für durchgehende Abwasser-Rohrleitungen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1489273B1 (ko) 하수 흐름 제어에 의한 악취 저감 시스템
EP118886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water level in a ditch canal, river or the like
KR20170081374A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KR200263866Y1 (ko) 수압 및 부력에 의해 수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수중보
KR200427611Y1 (ko) 자동비를 갖는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KR200153478Y1 (ko) 자동수문
KR200371612Y1 (ko) 지수막 가스켓을 이용한 이탈방지 및 역류방지용 하천수문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JP3507811B2 (ja) ゲート
KR102391101B1 (ko) 이중 개폐기능을 가지는 유압식 수문 개폐장치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KR20120005217A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1133928B1 (ko) 수문 개폐 장치
KR200341228Y1 (ko) 배출수로 자동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