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501Y1 -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501Y1
KR200405501Y1 KR2020050030019U KR20050030019U KR200405501Y1 KR 200405501 Y1 KR200405501 Y1 KR 200405501Y1 KR 2020050030019 U KR2020050030019 U KR 2020050030019U KR 20050030019 U KR20050030019 U KR 20050030019U KR 200405501 Y1 KR200405501 Y1 KR 200405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usb
vga
interfa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 청 뤼
Original Assignee
매직 컨트롤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직 컨트롤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매직 컨트롤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050030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5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7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의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는 기본적으로 USB 제어기와 PC 본체에 연결되는 USB 포트를 포함한다.
VGA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고, 브리지가 USB 제어기와 VGA 제어기 중간에 놓인다. 이 브리지는 펌웨어 인터페이스(FIRMWARE INTERFACE), 선입선출(FIFO)제어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펌웨어 인터페이스는 USB 제어기와 연결되어 USB 제어기가 보내는 버스 제어 명령을 받아 다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로 펌웨어(FIRMWARE) 및 DMA 제어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FIFO 제어기는 USB 제어기와 연결되어 USB 제어기를 조정하여 FIFO 방식을 통해 인식한 USB 형식의 화면 표시정보를 PC 본체에 전송한다. FIFO 형식의 제어기는 다시 USB 정보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로 보내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VGA 제어기와 연결되어 표준 VGA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신호로 전환시킨 후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USB,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펌웨어 인터페이스, FIFO,

Description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VGA INTERFACE CONVERSION DEVICE}
도 1은 본원 고안에 따른 VGA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의 개략 블록선도.
도 2는 본원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선도.
도 3은 본원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선도.
도 4는 PC 본체에서 USB 제어기로 USB 인터페이스의 화면 표시 데이타를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VGA 인터페이스 장치의 USB를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는 제 1 상태도.
도 6은 VGA 인터페이스 장치의 USB를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하는 제 2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 설명*
100 :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갖춘 USB 10 : USB 제어기
20 : VGA 제어기 30 : 브리지
31 : 펌웨어 인터페이스 32 : FIFO 제어기
33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A : 버스 제어 명령 B : 제어 버스
C : 데이타 버스 D : VGA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화면 정보
E : 데이타 버스 F : 제어선
G : 데이타 버스 H : 제어선
A': PIO 버스 제어 명령 B1 : DMA 웹사이트 주소 제어선
B2 : DMA 길이 제어선 B3 : DMA 촉발 제어선
B4 : 펌웨어 촉발 제어선 200 : PC 본체
210 : USB 포트 300 : 디스플레이 장치
310 : VGA 포트 320 : 화면 제어 회로판
330 : USB 소켓 500 : USB 커넥팅 케이블
510 : USB 플러그 600 : 커넥터
610 : USB 포트 620 : VGA 플러그
D1: VGA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신호
본 고안은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갖춘 일종의 USB로서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액정 모니터) 간 VGA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브리지 전환 장치의 USB포트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구조는 PC 본체 내부에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회로 설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PCI방식 또는 AGP 방식을 막론하고 어떠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든지 간에 PC 본체 내부에 그래픽 인터페이스 카드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기존 방식은 PC 본체에 인터페이스 소켓 공간을 사용해야 하고, 뿐만 아니라 추가 설치 비용까지 부담해야 한다. 또한 반드시 복합 신호 케이블 연결을 통해서만 PC 본체 내의 VGA 디스플레이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이런 환경은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간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소모량을 증대시키고 회로 배치에 따른 문제를 야기시킨다. 케이블 직경이 굵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로의 용량과 회로 설비에 대한 길이와 각 부품간 거리를 제한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배치 거리는 반드시 좁은 공간으로 한정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공간 활용에 대한 편의를 고려하여 회로의 길이를 제한한다면 신호의 출력은 감소하게 된다. 이 때문에 출력을 높이는 외부기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따라야 하며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에 대한 추가 비용까지 발생하게 된다.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연결에 관한 분야는 특별히 다루어야 할 주요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USB 제어기와 VGA 제어기 및 브리지로 구성된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갖춘 USB를 제공하는데 있다. 브리지가 USB 제 어기와 VGA 제어기에 연결되어 USB와 VGA간 신호의 전환이 이루어져 PC 본체에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출되는 화면 정보를 볼 수 있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펌웨어 인터페이스, FIFO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가 포함된 브리지를 갖춘 VGA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의 USB를 선보이는데 있다. USB 방식의 화면 출력 정보는 FIFO 전송방식에 의해 VGA 디스플레이 신호로 바뀌어 VGA 화면 출력기로 보내어져 나타나게 된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USB 제어기가 직접 USB 케이블 역할을 하여 바로 PC 본체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VGA 제어기가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기 때문에 PC 본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카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PC 본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간 회로의 정보 전송 속도와 회로 할당 길이, 범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의 USB는 기본적으로 USB 제어기와 PC 본체에 연결되는 USB 포트를 포함한다.
VGA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고, 브리지는 USB 제어기와 VGA 제어기 중간에 놓인다. 이 브리지는 펌웨어 인터페이스, FIFO 제어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펌웨어 인터페이스는 USB 제어기와 연결되어 USB 제어기가 보내는 버스 제어 명령을 받아서 다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로 펌웨어 인터페이스 정보와 DMA 제어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FIFO 제어기는 USB 제어기와 연결되어 USB 제어기를 조정하여 FIFO 방식을 통해 PC 본체에 인식한 USB 형식의 화면 표시정보를 전송한다.
FIFO 제어기는 다시 USB 정보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로 보내고, 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는 VGA 제어기와 연결되는바, 따라서, 상기 정보는 표준 VGA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신호로 전환된 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PC 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는 USB 케이블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화면상에 전송하게 된다. 본 고안의 상세한 구조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의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의 USB(100)는 USB 제어기(10), VGA 제어기(20), 브리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USB 제어기(10)는 PC 본체(200)의 USB 인터페이스 포트(210)에 연결되고 PC 본체(200)에서 송출되는 USB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 정보를 받게 된다.
VGA 제어기(20)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브리지(30)는 USB 제어기(10)와 VGA 제어기(20) 사이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USB 제어기(10)는 FIFO 방식으로 PC 본체(200)의 USB 인터페이스 상태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여 브리지(30)에 전송한다. 브리지(30)는 USB 인터페이스 상태의 화면 표시 정보를 표준 VGA 화면 표시 신호로 전환하여 VGA 제어기(20)로 보낸다. VGA 제어기(20)는 표준 VGA 화면 표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보내어 이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나타내게 된다.
도 2는 브리지(30)의 블럭선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브리지(30)는 펌웨어 인터페이스(31), FIFO 제어기(32), 화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0)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펌웨어 인터페이스(31)는 앞서 언급한 USB 제어기(10)와 연결되어 있고 버스제어 명령(A)을 받는다. 펌웨어 인터페이스(31)는 제어 버스(B)와 데이타 버스(C)를 통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에 연결되어, 이 전환장치(33)에 DMA 제어신호, 펌웨어 제어신호, 제어 명령 정보 등을 전송한다. 이 전환장치(33)는 USB 인터페이스 형태의 화면 출력 정보를 VGA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형태의 화면 신호(D)로 전환하여 VGA 제어기(20)에 전송한다.
VGA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형태의 화면 신호(D)의 형식은 특정 형식으로만 국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PCI 또는 AGP등 다른 형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 원리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FIFO 제어기(32)는 데이타 버스(E)와 제어선(F)에 의해 USB 제어기(10)와 연결된다.
FIFO 제어기(32)는 제어선(F)을 통해 FIFO 명령을 USB 제어기(10)에 발송하여 이 USB 제어기(10)를 조정하게 된다. USB 제어기(10)는 도 1의 PC 본체(200)로부터 USB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정보를 받아서 이를 FIFO 방식으로 데이타 버스(E)를 거쳐 FIFO 제어기(32)에 전송한다.
FIFO 제어기(32)는 USB 제어기(10)가 전송한 USB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정보를 읽어 들인 후, 다시 제어선(F)은 FIFO 제어신호를 내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 스 전환장치(33)로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FIFO 제어기(32)를 통해 동일한 FIFO 방식을 사용하여 USB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에 의해 USB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데이타를 VGA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신호(D)로 전환하여,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보내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의 블럭선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PCI 형식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펌웨어 인터페이스(31)는 USB 제어기(10)로부터 PIO(Programmed Input/Out)버스 제어 명령(A1')을 수신한다. 게다가, 펌웨어 인터페이스(31)는 또한 DMA 웹사이트 주소 제어선(B1), DMA 길이 제어선(B2), DMA 촉발 제어선(B3), 펌웨어 촉발 제어선(B4)과 데이타 버스(C)에 의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와 연결된다. 펌웨어 인터페이스(31)는 DMA 웹사이트 주소 제어선(B1), DMA 길이 제어선(B2), DMA 촉발 제어선(B3), 펌웨어 인터페이스 촉발 제어선(B4)을 통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의 DMA 웹사이트 주소, 데이터의 길이, 촉발신호와 펌웨어 인터페이스 촉발 등을 조정하게 된다. 게다가, 데이터 버스(C)는 제어 명령과 정보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에 전송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FIFO 제어기(32)는 데이터 버스(E)와 제어선(F)에 의해 USB 제어기(10)에 연결된다. FIFO 제어기(32)는 제어선(F)에 의해 FIFO 통제 제어 신호를 보내어 USB 제어기(10)를 조정하게 한다. USB 제어기(10)는 도 1의 PC 본체(200)로부터 USB 인터 페이스 형식의 화면 정보를 받으며, 이를 FIFO 방식으로 데이타 버스(E)를 통해 FIFO 제어기(32)에 전송한다. FIFO 제어기(32)는 데이타 버스(G)와 제어선(H)에 의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와 연결된다. FIFO 제어기(32)는 USB 제어기(10)가 전송한 USB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출력 정보를 읽어들인 후, 제어선(H)을 통해 FIFO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에 송출한다. FIFO 제어기(32)는 동일한 FIFO 방식으로 USB 인터페이스 방식의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는 PCI인터페이스 전환의 주요 조정기 역할을 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펌웨어 인터페이스(10)는 DMA 웹사이트 주소 제어선(B1), DMA 길이 제어선(B2), DMA 촉발 제어선(B3), 펌웨어 촉발 제어선(B4)을 통해 발송되는 DMA 위치, 정보의 길이, 촉발 신호와 펌웨어 촉발등의 신호를 통제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에 의해 USB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이 PCI 형식의 VGA 화면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신호(D)에 맞게 전환되어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나타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브리지(30)를 보다시피 그 형식에 있어서 제한은 두지 않으나 본 고안에서는 FPGA의 형식에 따른 동작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브리지(30)내의 펌웨어 인터페이스(31), FIFO 제어기(32),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33')를 단일의 집적회로(IC)로 통합할 수 있다. ASIC화와 같은 방법 역시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4는 실제로 PC 본체(2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화면 출력 작업을 진행시키는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예를 든 모든 실시예는 MS사의 윈도우 상에서 이루어진 작업이며, 그 절차는 단계 400~440를 따른다.
단계 (400) : 디스플레이를 요청한다.
단계 (410) : GD132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작동. 디스플레이 요청에 따른 화면 정보를 그래픽 엔진(Graphics Engine)에 전송한다.
단계 (420) : 그래픽 엔진을 작동시켜, 그래픽 엔진에 의해 필요한 모든 화면 정보를 처리한다.
단계 (430) : 디스플레이 그래픽 드라이버(Graphics Driver)를 부팅하여, 필요한 모든 화면 표시 정보 부팅 및 편집 작업을 진행한다.
단계 (440) : USB 인터페이스를 거쳐 전송을 행한다.
이상 위에서 설명한 각 단계에서 볼 수 있듯이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갖춘 USB(1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PC 본체(200) 및 운용 프로그램에 맞도록 되어 있고, PC 본체(200)내부에 별도의 비디오 카드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또한 PC 본체(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연결하는 별도의 신호 케이블도 필요 없게 됨으로써 PC 본체(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간의 연결 길이와 범위는 상대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도 5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갖춘 USB(100)를 USB 커넥팅 케이블(500)을 통해 PC 본체(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연결하는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갖춘 USB(100)의 USB 제어기(10), VGA 제어기(20), 브리지(30)는 하나의 커넥터(600)상에 통합될 수 있으며, 커넥터(600)의 한쪽 끝에 한 개의 USB 포트(610)가 형성될 수 있다.
USB 포트(610)는 커넥터(600)에 통합된 USB 제어기(10)에 연결되며, USB 커넥팅 케이블(500) 한쪽 끝과 연결된 USB 플러그(510)가 USB 포트(610)에 접속될 수 있게 됨으로써 USB 커넥팅 케이블(500)을 통해서 PC 본체(200)의 USB 포트(210)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커넥터(600)의 다른 한쪽 끝에는 VGA 플러그가(620)가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VGA 포트(310)에 접속된다.
도 6은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갖춘 USB(100)를 PC 본체(200)와 디스플레이장치(300) 중간에 있는 USB 커넥팅 케이블(500)에 연결하는 또 하나의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USB(100)내에 있는 USB 제어기(10), VGA 제어기(20), 브리지(30) 등은 디스플레이 장치(300) 안에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판(320)에 배열될 수 있다. 이 회로판(320)은 적어도 하나의 USB 소켓(330)을 갖추고 있다. 이 USB 소켓(330)은 디스플레이 장치(300) 외부로 노출되며, USB 커넥팅 케이블(500) 한쪽 끝에 있는 USB 플러그(510)와 접속되게 된다. USB 커넥팅 케이블(500)을 통해 PC 본체(200)의 USB 포트(210)에 연결되는 VGA 제어기(20)는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판(320)에 직접 연결되어 모든 필요한 VGA 화면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품의 간소화 및 낮은 생산비용의 기술 계발에 가장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널리 쓰리고 있는 방법, 즉 PC 본체(200)에 별도의 비디오 카드를 설치하는 식이 아닌 사용 간편한 USB 커넥팅 케이블(500)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연결하여 모든 필요한 화면 정보를 최대한의 정보 출력과 정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 형식에 의해 VGA인 터페이스 형식의 디스플레이 신호(D 혹은 D')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송한다.
PC 본체(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간의 연결회로 비용과 부설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 본체(200)와 디스플레이 장치(300)간의 배치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생산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6을 통해 VGA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의 USB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부분을 주로 다루었기 때문에 부가적인 제품에 대한 자세한 특징은 공간의 제약상 모두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제품의 기술분야, 제품 외부 액세서리, 업그레이드 기능 또는 부품 교환의 용이, 호환성 등 모든 특징은 본 고안의 취지와 의도에 따른 것이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USB 제어기와 VGA 제어기 및 브리지로 구성된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기는 USB 소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GA 제어기는 VGA 포트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구비한 USB.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기와 연결되도록 한쪽 끝에 USB 소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5. 제 3항에 있어서,
    VGA제어기와 연결되도록 한쪽 끝에 VGA 포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기, VGA 제어기 및 브리지가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판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제어기가 상기 USB 소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VGA 제어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회로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9. 브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로서,
    상기 브리지 장치가:
    펌웨어 인터페이스는 USB 제어기와 연결되어 USB 제어기가 전송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DMA 제어신호와, 펌웨어 신호 및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펌웨어 인터페이스와;
    FIFO제어기는 상기 USB 제어기와 연결되어 FIFO 제어 신호를 USB 제어기로 송출함과 아울러, FIFO방식으로 상기 USB 제어기가 전송한 USB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정보를 읽어 들이는 FIFO 제어기와; 그리고
    상기 펌웨어 인터페이스, FIFO 제어기 및 VGA 제어기와 연결되어 펌웨어 인터페이스가 전송한 DMA 제어신호, 펌웨어 제어신호,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FIFO 제어기의 FIFO 제어신호를 받아서 FIFO 방식으로 USB 제어기가 전송한 USB 인터페이스 형식의 화면 출력 정보를 읽어 들인 후 이를 VGA 인터페이스 형식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전환하여 VGA 제어기로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인터페이스는 USB 제어기가 전송한 제어 명령을 PIO 제어 명령으로 전환하여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인터페이스는 제어 버스 및 명령 버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에 연결되는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인터페이스는 DMA 웹사이트 주소 제어선, DMA 길이 제어선, DMA 촉발 제어선, 펌웨어 촉발 제어선 및 데이타 버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와 연결되는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FIFO 제어기는 제어선과 데이타 버스에 의해 USB 제어기와 연결되는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FIFO 제어기는 제어선과 데이타 버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에 연결되는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장치가 전환하여 내보낸 VGA 인터페이스 형식의 디스플레이 신호가 PCI 인터페이스 형식의 VGA 디스플레이 신호로 되는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인터페이스, FIFO 제어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가 단일 집적회로에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집적회로는 FPGA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집적회로는 ASIC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를 구비한 USB.
KR2020050030019U 2005-10-21 2005-10-21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KR200405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019U KR200405501Y1 (ko) 2005-10-21 2005-10-21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019U KR200405501Y1 (ko) 2005-10-21 2005-10-21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501Y1 true KR200405501Y1 (ko) 2006-01-10

Family

ID=4175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019U KR200405501Y1 (ko) 2005-10-21 2005-10-21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5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3788B2 (en) USB-to-VGA converter
US6738856B1 (en) External display peripheral for coupling to a universal serial bus port or hub on a computer
US7752342B2 (en)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a USB connection
US20100185792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in computer
US20090234998A1 (en) Connection system
US8214571B2 (en) Simple serial interface—method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is method
US20170116147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interfaces
US20090271557A1 (en) Non-volatile memory storage device with high transmission rate
CN102749985A (zh) 动态调整总线时钟的方法及其装置
CN103294626A (zh) 一种针对uart采集终端的usb双模接口设备的设计
CN211831017U (zh) 显示设备的功能扩展装置,智能显示系统
KR200405501Y1 (ko) Vga 인터페이스 전환장치
KR2006011120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통신시스템
JP3100747U (ja) Usb対vga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
US9952998B2 (en) Thunderbolt sharing console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TWI384371B (zh) 可延伸輸出/入介面之介面系統
CN107015935B (zh) 对接装置及其控制方法
US7818481B2 (en) Computer system and monitor with peripheral interfaces
KR101222107B1 (ko) I2c 버스 프로토콜 기반의 직렬 클럭 버스 스위칭을 이용한 멀티플렉싱 장치 및 그 방법
CN2599646Y (zh) Usb对vga接口转换装置
KR101490823B1 (ko) Fpga를 활용한 장치 제어용 범용 i2c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1187269B1 (ko)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439053Y1 (ko) 직렬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프로세서와 상호작용하는재설정가능칩이 구비된 장치 및 시스템
US20150095540A1 (en) External device and a transmission system and the method of the heterogeneous device
KR100743900B1 (ko) Usb 기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