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180Y1 - 주차상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상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180Y1
KR200405180Y1 KR2020050030506U KR20050030506U KR200405180Y1 KR 200405180 Y1 KR200405180 Y1 KR 200405180Y1 KR 2020050030506 U KR2020050030506 U KR 2020050030506U KR 20050030506 U KR20050030506 U KR 20050030506U KR 200405180 Y1 KR200405180 Y1 KR 200405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led module
modul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열
Original Assignee
윤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열 filed Critical 윤주열
Priority to KR2020050030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1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주차상황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복수 개의 LED로 이루어지고,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될 진행방향 정보 내용과 주차구역 정보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딥 스위치와,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의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딥(DIP) 스위치 모듈,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설정된 진행방향 정보 화면 또는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LED 모듈과 딥 스위치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적절한 주차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주차장, 상황, 상황판, 구역, 진행방향, 화살표, LED, 딥 스위치.

Description

주차상황 표시 장치 {Apparatus for indicating parking situ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상황 표시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상황 표시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스위치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딥 스위치 모듈 120 제어부
130 LED 구동부 140 LED 모듈
150 통신 모듈 142 제1 LED 모듈
144 제2 LED 모듈 146 제3 LED 모듈
본 고안은 주차장의 주차상황을 표시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장의 다양한 주차상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 모듈과, LED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딥(DIP)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에는 차량의 증가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목적지까지 자신이 차를 운전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출입이 많은 백화점, 관공서, 대형 건물 또는 주차용 빌딩과 같은 곳에서는 대형 주차장 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러한 대형 주차장에서 주차하기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최근 대형 주차장에서 주차차량을 관리하고 그에 따른 주차장 이용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자동 주차 관리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데 차량자동유도 시스템도 그 중의 하나이다. 차량 자동유도 시스템은 주차장 천장에 초음파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존재여부를 체크하며 빈주차공간 안내와 차량대수 표시 및 주차유도 표시를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자동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 주차가능여부, 주차가능대수 등의 현재 주차장의 주차상황을 알려주고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주차상황 표시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구현기술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주차장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주차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 모듈과 LED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 개의 LED로 이루어지고,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될 진행방향 정보 내용과 주차구역 정보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딥 스위치와,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의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딥(DIP) 스위치 모듈,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설정된 진행방향 정보 화면 또는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LED 모듈은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장의 층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LED 모듈과,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LED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딥 스위치 모듈은 상기 제1 LED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딥 스위치 모듈과, 상기 제2 LED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딥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딥 스위치 모듈은 진행방향 정보와 층별 정보가 교대로 제1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진행방향 정보와 층별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제1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차상황 표시 장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에 따라 LED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3 LED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가 주차가 불가능하다는 정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LED 모듈에 X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LED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행방향 정보는 상, 하, 좌, 우를 나타내는 화살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주차구역 정보는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정보, 여성 전용 주차 구역 정보, 경차 전용 주차 구역 정보, 그리고 주차장 출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평면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차장에는 주차 관리 시스템이 있고,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번 인식 카메라, 주차 신호등, 주차 위치 확인기, 주차상황 표시 장치 등의 여러가지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주차 관리 시스템 중에서 주차상황 표시 장치에 관한 고안이고, 이하에서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주차상황 표시 장치는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되지 않는 독립형과 관리 서버와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통신형의 두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제안한다. 먼저 독립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1의 독립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는 딥(DIP) 스위치 모듈(110), 제어부(120), LED 구동부(130), LED 모듈(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딥 스위치 모듈(110)은 다수의 딥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LED 모듈(140)에 디스플레이될 진행방향 정보 내용과 주차구역 정보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딥 스위치와,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의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 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20)는 딥 스위치 모듈(110)의 설정에 따라 주차상황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제어부(120)에는 LED 모듈(140)에 표시할 화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딥 스위치 모듈(110)의 설정에 따라 필요한 화면 데이터를 읽어와서 LED 모듈(14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LED 모듈(1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설정된 진행방향 정보 화면 또는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LED 모듈(1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LED 구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LED 모듈(140)의 LED를 구동시킨다.
LED 모듈(140) 복수 개의 LED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LED의 점멸을 통해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통신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 도 2의 통신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는 딥(DIP) 스위치 모듈(110), 제어부(120), LED 구동부(130), LED 모듈(140), 통신모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의 통신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는 도 1의 독립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에 통신모듈(150)이 더 추가되어 있다.
딥 스위치 모듈(110)은 다수의 딥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LED 모듈(140)에 디스플레이될 진행방향 정보 내용과 주차구역 정보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딥 스위치와,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의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모듈(150)은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역할을 한다.
LED 구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LED 모듈(140)의 LED를 구동시킨다.
LED 모듈(140) 복수 개의 LED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LED의 점멸을 통해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20)는 딥 스위치 모듈(110)의 설정에 따라 주차상황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통신모듈(150)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에 따라 LED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4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a), (b)는 독립형 주차상황 표시장치의 LED 모듈(140)의 예이고, 도 3 (c)는 통신형 주차상황 표시장치의 LED 모듈(140)의 예이다.
도 3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독립형 주차상황 표시장치는 제1 LED 모듈(142)과 제2 LED 모듈(144)로 이루어진다.
제1 LED 모듈(142)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장의 층별 정보가 디스 플레이된다. 도 3 (a)의 제1 LED 모듈(142)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도 3 (b)의 제1 LED 모듈(142)에는 주차장의 층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예이다. 도 3 (b)의 제1 LED 모듈(142)에서는 "B3" 즉, 지하 3층이라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LED 모듈(144)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3 (a)의 제2 LED 모듈(144)에는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도 3 (b)의 제2 LED 모듈(144)에는 주차구역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예이다. 도 3 (b)의 제2 LED 모듈(144)에서는 여성전용 주차구역을 나타내는 사인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c)는 통신형 주차상황 표시장치의 LED 모듈(140)의 예로서, 독립형 주차상황 표시장치의 LED 모듈(140)은 제1 LED 모듈(142)과 제2 LED 모듈(144)에 더하여, 통신모듈(150)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3 LED 모듈(146)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모듈(150)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가 주차 가능 대수이면, 제어부(120)는 제3 LED 모듈(146)에 수신한 주차 가능 대수의 숫자가 디스플레이되도록 LED 구동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3 LED 모듈(146)에는 통신모듈(150)을 통해 수신한 주차 가능 대수의 숫자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모듈(150)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가 주차가 불가능하다는 정보이면, 제어부(120)는 제2 LED 모듈(144)에 X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LED 구동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2 LED 모듈(144)에는 X 표 시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주차 가능 대수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 LED 모듈(146)에는 숫자 "0"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한편, X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LED 모듈(142)과 제2 LED 모듈(144)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 모듈(110)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 스위치 모듈(11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딥 스위치 모듈(110)은 제1 LED 모듈(142)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딥 스위치 모듈(112, 116)과, 제2 LED 모듈(144)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딥 스위치 모듈(114, 118)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딥 스위치의 ON 신호를 1이라고 하고, 딥 스위치의 OFF 신호를 0이라고 하기로 한다.
도 4 (a)의 실시예에서 제1 딥 스위치 모듈(112)은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상, 하, 좌, 우의 화살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b1, b2, b3, b4"의 딥 스위치가 사용된다. 그리고, a2는 지하 또는 지상을 나타내는 B 또는 F를 설정하는데 사용되고, a3 내지 a6는 층수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딥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0000은 1층, 0001은 2층, 0010은 3층과 같은 식으로 설정하면 a3 내지 a6의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총 16개의 층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0001-1111은 각각 1층에서 15층을 나타내고, 0000은 층수 표시를 하지 않도록 설정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a1 딥 스위치는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이다. 즉, 제1 LED 모 듈(142)에 진행방향과 층별 정보가 교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이다. a1 딥 스위치가 토글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는 제1 LED 모듈(142)에 진행방향에 대한 화면과 층별 정보에 관한 화면이 일정 시간마다 번갈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토글 기능이 비활성화로 설정되어 있으면 진행방향 또는 층별 정보 중의 하나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토글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층별 정보가 0000과 같이 비활성화로 설정되어 있으면 a2 - a6의 설정상태에 따라 진행방향 정보가 제1 LED 모듈에 표시된다. 또는 토글 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으면 항상 진행방향 화면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a)의 실시예에서 제2 딥 스위치 모듈(114)은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상, 하, 좌, 우의 화살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d1, d2, d3, d4"의 딥 스위치가 사용된다. c2 내지 c6는 주차구역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각각 c2는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정보, c3는 여성 전용 주차 구역 정보, c4는 경차 전용 주차 구역 정보, c5는 주차장 출구 표시 정보, c6는 주차장 OUT 표시 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딥 스위치이다.
c1 딥 스위치는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이다. 즉, 제2 LED 모듈(144)에 진행방향과 주차구역 정보가 일정시간마다 교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b)와 같은 딥 스위치 모듈(110)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 (b)의 실시예의 특징은 도 4 (a)의 실시예에 비해 딥 스위치의 갯수를 간소화한 것이다. 즉, 제1 딥스위치 모듈(116)에서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f1, f2의 on, off 설정에 따라 "00이면 상, 01이면 하, 10이면 좌, 11이면 우"로 지정한다. 제2 딥스위치 모듈(118)도 마찬가지로 h1, h1의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딥스위치 모듈(116)의 층별 정보를 나타내는 딥 스위치는 도 4 (a)의 실시예와 같다
제 2 딥 스위치 모듈(118)에서 주차구역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설명하면, g1은 토글기능 딥 스위치이고, g2 내지 g4의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차구역 정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g2 내지 g4의 설정이 "000이면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정보, 001이면 여성 전용 주차 구역 정보, 010이면 경차 전용 주차 구역 정보, 011이면 주차장 출구 표시 정보, 100이면 주차장 OUT 표시 정보"를 각각 나타내도록 지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딥 스위치의 갯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모듈(140)의 디스플레이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 LED 모듈(140)은 LED가 가로 19개, 세로 19개씩 설치된 예이다.
도 6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X표가 디스플레이된 예이다. 여기서 X표시는 통신형 주차상황 표시 장치에서만 디스플레이되며, X표시를 나타내기 위한 LED는 LED 모듈(140)에 배열된 LED 사이에 위치하며, 다른 주차정보를 나 타내는 LED와는 다른 색을 발광하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X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LED는 적색을 발광하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LED 모듈(140)의 화면예이다. 도 8은 여성 전용 주차 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LED 모듈(140)의 화면예이다. 도 9는 주차장 출구를 나타내는 "OUT"표시를 디스플레이한 LED 모듈(140)의 화면예이다. 도 10은 주차장 출구를 나타내는 "출구"표시를 디스플레이한 LED 모듈(140)의 화면예이다. 도 11은 경차 전용 주차 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LED 모듈(140)의 화면예이다. 도 12는 지하3층을 나타내는 "B3"를 디스플레이한 LED 모듈(140)의 화면예이다.
이상 본 고안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LED 모듈과 딥 스위치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주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운전자에게 적절한 주차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모듈을 통하여 현재 주차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서, 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편의에 기여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장 운영주로서도 주차 관리 시스템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복수 개의 LED로 이루어지고,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ED 모듈;
    상기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될 진행방향 정보 내용과 주차구역 정보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딥 스위치와,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의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구비하는 딥(DIP) 스위치 모듈;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진행방향 정보 화면과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며,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설정된 진행방향 정보 화면 또는 주차구역 정보 화면을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장의 층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 LED 모듈과, 차량의 진행방향 정보와 주차구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 LED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딥 스위치 모듈은 상기 제1 LED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딥 스위치 모듈과, 상기 제2 LED 모듈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딥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딥 스위치 모듈은 진행방향 정보와 층별 정보가 교대로 제1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토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토글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진행방향 정보와 층별 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제1 LED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에 따라 LED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LED 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3 LED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 주차 정보가 주차가 불가능하다는 정보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LED 모듈에 X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LED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방향 정보는 상, 하, 좌, 우를 나타내는 화살표 정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구역 정보는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정보, 여성 전용 주차 구역 정보, 경차 전용 주차 구역 정보, 그리고 주차장 출구 정보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상황 표시 장치.
KR2020050030506U 2005-10-27 2005-10-27 주차상황 표시 장치 KR200405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06U KR200405180Y1 (ko) 2005-10-27 2005-10-27 주차상황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06U KR200405180Y1 (ko) 2005-10-27 2005-10-27 주차상황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180Y1 true KR200405180Y1 (ko) 2006-01-10

Family

ID=4175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506U KR200405180Y1 (ko) 2005-10-27 2005-10-27 주차상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1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6073B1 (en) Innovated smart parking assistance system and information system
US20150170517A1 (en) Vehicle parking management system with guidance for indicating floor vacant vehicular parking dock
KR20160066115A (ko) 주차위치 자동 안내시스템
CN114518749A (zh) 检测并响应于自动驾驶车辆的交通改向
US10155639B2 (en) Elevator notice system
US7271739B2 (en) Guidance system and navigation method
KR101757750B1 (ko) 열차 혼잡도 정보의 통합 안내 방법
CN107230376B (zh) 停车管理系统
CN109416880B (zh) 用于运行泊车引导系统的方法和泊车引导系统
KR101116441B1 (ko) 주차면 안내 표시를 겸할 수 있는 조명 장치
KR200405180Y1 (ko) 주차상황 표시 장치
KR20100074747A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0968042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42750B1 (ko) 주차관리시스템
JP4178422B1 (ja) 誘導表示装置
KR100968040B1 (ko) 교차로에서의 신호등 제어 방법
KR100968041B1 (ko) 교차로에서의 교통 신호등 제어 방법
JP2015024674A (ja) 発車案内システムおよび発車案内発光装置
KR102173623B1 (ko) 효율적인 주차공간 안내를 위한 주차유도 위치 및 주차장 환경 관리 시스템
KR100761315B1 (ko) 멀티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무인 주차안내시스템
KR102516575B1 (ko) 신호등용 전광판
GB2415078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parking lot.
KR200387501Y1 (ko) 빌딩이나 공영주차장의 주차 공간 알림 장치
KR200416680Y1 (ko) 멀티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무인 주차안내시스템
KR20240009047A (ko) 만차와 공차를 표시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