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154Y1 -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154Y1
KR200405154Y1 KR2020050029630U KR20050029630U KR200405154Y1 KR 200405154 Y1 KR200405154 Y1 KR 200405154Y1 KR 2020050029630 U KR2020050029630 U KR 2020050029630U KR 20050029630 U KR20050029630 U KR 20050029630U KR 200405154 Y1 KR200405154 Y1 KR 200405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opening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도조명
박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도조명, 박경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도조명
Priority to KR2020050029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1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기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명기구는,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및 본체와 커버에 마련되어, 커버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간의 이동을 위한 커버의 본체에 대한 상대회동을 지지하며, 커버를 본체에 결합시키는 커버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능적 요구 및 장식적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커버가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를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광원 및 내장 부품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조명, 조명기구, 조명등, 벽면, 형광등

Description

조명기구{ILLUMINATO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명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명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명기구 10 : 본체
15 : 제1 핀공 17 : 설치공
20 : 커버 22, 24 : 단위커버부분
25 : 제2 핀공 30 : 힌지핀
40 : 커버지지프레임 42, 43 : 커버지지프레임결합핀
45 : 제3 핀공 50 : 로킹부
50a, 50b : 금속편 50c : 자석
60 : 커버회전지지부 80 : 결합부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적 요구 및 인테리어의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커버가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를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광원 및 내장 부품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ILLUMINATOR)란 광원의 빛을 반사, 굴절, 투과시켜 광원을 고정하거나 보호하는 기구를 가리킨다. 조명기구는 배광에 따라 간접조명기구, 반간접조명기구, 전반확산조명기구, 반직접조명기구, 직접조명기구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사용목적에 따라 백열등기구, 형광등기구, 스탠드, 반사갓, 투광기, 정원등, 도로등, 무대용기구, 의료용기구, 특수조명기구 등으로 분류된다.
사무실, 교실, 공장과 같은 기능본위 장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고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형광등기구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형광등기구 에는, 사무실이나 공장과 같이, 천장에 형광등 갓을 일체로 설치한 후 형광등을 끼워 형광등이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타입과, 본체 내에 형광등을 설치하고 본체의 전면을 커버로 차폐한 타입이 존재한다. 전자의 타입은 주로 형광등의 설치량이 많고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사무실, 교실, 병원, 공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후자의 타입은 가정용이나 인테리어 소품용으로 사용된다.
본체의 전면으로 커버가 장착된 가정용 혹은 인테리어 소품용 조명기구의 경우, 불을 밝히는 본연의 기능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형광등과 같은 광원을 교체하기가 쉬워야 하기 때문에 본체에 대해 커버가 용이하게 착탈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그런데, 종래에 개시된 조명기구들을 보면, 광원 및 내장 부품의 수리, 교체 및 내·외부 청소시에 조명기구를 이루는 커버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즉, 조명기구의 광원 및 내장 부품은 장식적 이유로 인하여 커버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 조명기구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관계로 광원 및 내장 부품은 조명기구의 정상적인 사용태양 하에서는 이를 수리, 교체 및 청소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수리 등을 위하여서는 조명기구의 커버를 분리하여야 광원 및 내장 부품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조명기구가 일반적으로 벽면, 특히 천정에 위치되기 때문에 조명기구의 광원을 교체하거나 수리함에 있어서 분리된 커버를 손으로 파지하여야 한다. 이때, 분리된 커버를 손에 들고서는 원활한 작업수행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분리된 커버를 일시적으로 다른 곳에 두고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커버를 옮기고 보 관할 때 취급상 부주의로 떨어뜨리거나 주위의 물체에 부딪혀 파손될 우려가 크며, 특히, 유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인 커버의 경우에 파손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명기구 본연의 기능적 요구 및 인테리어적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커버가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를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손쉽게 광원 및 내장 부품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간의 이동을 위한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에 대한 상대회동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커버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회전지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각각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핀공 및 제2 핀공; 및 상기 제1 핀공 및 제2 핀공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에 대한 상대회동을 위한 회동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커버회전지지부와 함께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커버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지지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핀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는, 제1 단위커버부분; 및 상기 제1 단위커버부분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위커버부분과 함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2 단위커버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핀공 및 상기 제2 핀공, 상기 힌지핀은 상기 제1 단위커버부분과 상기 제2 단위커버부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폐쇄위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로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킹부는, 상호 대면하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금속편; 및 상호 대면하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편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조명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구(1)는 본체(10)와, 커버(20)와, 커버회전지지부(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커버(20)는 커버회전지지부(60)에 의하여 본체(10)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커버지지프레임(40)은 커버지지프레임결합핀(42, 43)에 의하여 본체(10)에 결합된다.
본체(10)는 본 조명기구(1)의 외곽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본체(10)의 일측에는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부품설치공간(10b)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는 부품설치공간(10b)의 후반면(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볼트공(10c)을 이용하여 소정의 설치면에 고정된다. 본체(10)의 내부에 있는 부품설치공간(10b) 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된다. 광원(16)으로는 형광등, 피엘(PL)램프, 백열등, 네온등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광원(16)으로 형광등을 사용할 경우, 형광등의 양측으로 형광등을 고정한 소켓(12)이 마련된다. 소켓(12) 외에도 안정기(미도시)와 같이 각 광원(16)의 작동을 위한 부품이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부품설치공간(10b)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내에서 단일의 공간을 이루거나, 적당한 크기의 공간으로 나뉘는 격벽(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2개 이상으로 나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10)의 크기가 광원(16)보다 클 경우에 광원의 크기에 맞는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광원(16)이 설치 가능하다.
커버(20)는 본체(10)의 일측 개구부(10a)에 배치된다. 커버(20)에는 제2 핀공(25)이 구비된다. 커버(20)는 평상시에 부품설치공간(10b)을 차단하도록 개구부(10a)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한편, 부품의 교환을 위하여 개구부(10a)를 개방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커버(20)가 커버회전지지부(60)를 중심으로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동을 하여 부품설치공간(10b)이 외부에서 접근될 수 있도록 개구부(10a)가 개방되는 개방위치에 놓이게 된다. 커버(20)는 제1 단위 커버부분(22)과, 제1 단위커버부분(22)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와 함께 개구부(10a)를 폐쇄하는 제2 단위커버부분(24)을 갖는다. 커버(20)의 각 단위커버부분(22, 24)은 평상시 도 3과 같이, 폐쇄위치에 위치하여 개구부(10a)를 차폐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부품의 수리 등과 같이 커버(20)의 단위커버부분(22, 24)을 개방하여야 하는 때에는, 도 3과 같은 폐쇄위치에서 도 1과 같은 개방위치로 본체(10)에 대하여 커버회전지지부(60)를 중심으로 각 단위커버부분(22, 24)이 상호 멀어지게 부채꼴형으로 상대회동하여 개구부(10a)를 개방한다. 한편, 커버(20)는 부품설치공간(10b) 내의 광원(16)으로부터의 빛을 실내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필요시 커버(20)의 내면이나 외면에 투명 혹은 반투명의 빛확산시트(미도시)를 덧댈 수도 있다.
커버회전지지부(60)는 본체(10)에 형성된 제1 핀공(15)과, 제1 핀공과 연통되게 커버(20)에 형성된 제2 핀공(25)과, 제1 핀공(15) 및 제2 핀공(25)에 설치되어 회동축을 형성하는 힌지핀(30)을 갖는다. 이러한 커버회전지지부(60)는 커버(20)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간의 부채꼴형의 상대회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커버(20)를 본체(10)에 결합시킨다.
커버지지프레임(40)은 본체(10)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하여 상대 회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커버회전지지부(60)와 함께 커버(20)를 지지한다. 커버지지프레임(40)은 결합부(80)에 의하여 본체(10)에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결합된다. 결합부(80)는 커버지지프레임(40)에 형성된 제3 핀공(45)과, 제3 핀공과 연통되게 본체(10)에 형성된 설치공(17)과, 제3 핀공(45) 및 설치공(17)에 관통하여 커버지지프레임(40)을 본체(10)에 결합시키는 커버지지프레임결합핀(42, 43)으로 형성된다. 커버지지프레임(40)은 본체(10)가 벽면이나 천정 등 소정의 설치면에 위치되는 경우에 커버(20)가 본체(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함은 물론 그 자체로서도 장식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로킹부(50)는 상호 대면하는 본체(10)와 커버(20)중 어느 한쪽에 위치한 금속편(50a, 50b)과, 타측에 위치한 자석(50c)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로킹부(50)는 커버(20)가 개구부(10a)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금속편(50a, 50b)과 자석(50c) 상호간의 자기력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자기력을 이기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커버(20)를 폐쇄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로킹부(50)는 본 실시예의 금속편(50a, 50b)과 자석(50c) 외에 걸쇠부재나 물림부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천정 등의 벽체에 도 3의 경우와 같이 커버(20)가 개구부(10a)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있게된다. 이러한 경우에 커버(20)의 각 단위커버부분(22, 24)에 설치된 금속편(50a, 50b)과 이에 대응되는 본체(10)에 설치된 자석(50c)이 상호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커버(20)를 폐쇄위치에 유지토록 한다.
부품설치공간(10b)에 설치된 부품의 수리 등의 필요한 작업을 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개구부(10a)를 개방한다. 우선, 잠겨있는 로킹부(50)를 해제하기 위하여, 양손으로 커버(20)의 각 단위커버부분(22, 24)의 일측단을 잡고 설치면과 나란하게 커버회전지지부(60)를 중심으로하여 부채꼴형으로 당기면서 금속편 (50a, 50b)과 자석(50c)간의 자력을 넘어서는 힘을 가한다. 로킹부(50)가 해제되고 계속 힘을 가하면, 각 단위커버부분(22, 24)이 본체(10)에 대해 상대회동 되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치면에 나란히 회전되어 개구부(10a)가 개방된다. 이때, 커버(20)는 커버회전지지부(60)와 커버지지프레임(40)에 의하여 하중이 지지되므로, 본체(10)에서 커버(20)가 이탈될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하다. 개방위치로 이동한 이후에도, 종래의 경우와 달리 커버(20)가 본체(10)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커버(20)의 불완전한 파지에 의한 파손이나, 이에 기인한 안전사고의 염려 없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한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개방의 역방향으로 커버(20)를 회전시켜 개구부(10a)를 폐쇄하며, 로킹부(50)의 금속편(50a, 50b)과 자석(50c)간의 자력이 작용하여 커버(20)가 고정되는 폐쇄위치에 이르면 커버(20)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위와 같은 개구부(10a)의 개방이 일반적인 방법이나, 경우에 따라 커버지지프레임결합핀(42, 43)과 힌지핀(30)을 도 2와 같이 분리하여 커버지지프레임(40)과 커버(20)를 본체(10)에서 떼어내고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개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조명기구에서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100'을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힌지핀(30)등이 구비된 커버회전지지부가 커버(2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경우나 장식적 필요에 의하여 커버지지프레임이 필요 없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자석(150c)이 한 부분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금속편(150a, 150b)의 위치가 자석(150c)과 대응되게 설치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조명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200'을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본체(210)에 형성된 제1 핀공(215)과, 커버(220)에 형성된 제2 핀공(225)과, 커버지지프레임(240)에 형성된 제3 핀공(245)과, 힌지핀(230)이 커버회전지지부(260)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회전지지부(260)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커버회전지지부(60) 역활 및 결합부(8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힌지핀(230)에 의하여 커버지지프레임(240)이 본체(210)에 결합되며, 커버(220)가 힌지핀(230)을 중심으로 본체에 대한 상대회동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조명기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제4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300'을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달리, 본체(310)에 형성된 제1 핀공(315)과, 커버(320)에 형성된 제2 핀공(325)과, 이에 상호 연통되게 삽입된 힌지핀(330)이 커버회전지지부(360)를 구성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커버지지프레임(40)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이상과 같이, 커버(20)가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동 할 수 있게 본체(10)에 결합시키는 커버회전지지부(60)를 구비함으로써 커버(20)를 본체(10)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광원(16) 및 내장부품을 수리 및 교체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본체(10)를 거의 일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체(10)의 형상은 원통형상을 비롯하여 삼각통, 오각통 등 기타 다양한 박스형상으로 충분히 변경가능하며, 이와 같이 본체(10)의 형상에 따라 커버(20)와 커버지지프레임(40)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커버(20)가 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파형 형상이나 곡선형상, 혹은 반구 커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본체(10)나 커버(20)에는 일정한 장식을 하여 조명기구로서의 역할외에 장식적 기능을 더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커버지지프레임(40)이 커버(2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된 상대적으로 가늘고 얇은 틀로 표현되었으나, 커버지지프레임(40)의 재질에 따라 이는 충분히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커버지지프레임(40) 이 불투명재질인 경우라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가늘고 얇은 틀이 커버(20) 및 단위커버부분(22, 24) 주위를 감싸는 형태 외에도 커버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지지프레임(40)이 투명 혹은 반투명재질인 경우라면 상대적으로 두껍거나 넓은 면을 가지고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 커버(20), 커버지지프레임(40)에는 각종 아름다운 문양을 표현하여 실내 분위기를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능적 요구 및 장식적 요건을 만족시키면서도 커버가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커버를 본체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광원 및 내장 부품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Claims (6)

  1. 일측이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간의 이동을 위한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에 대한 상대회동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커버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회전지지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에 각각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핀공 및 제2 핀공; 및
    상기 제1 핀공 및 제2 핀공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에 대한 상대회동을 위한 회동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커버회전지지부와 함께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커버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지지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핀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1 단위커버부분; 및
    상기 제1 단위커버부분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위커버부분과 함께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2 단위커버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핀공 및 상기 제2 핀공, 상기 힌지핀은 상기 제1 단위커버부분과 상기 제2 단위커버부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폐쇄위치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로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호 대면하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금속편; 및
    상호 대면하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금속편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KR2020050029630U 2005-10-19 2005-10-19 조명기구 KR200405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630U KR200405154Y1 (ko) 2005-10-19 2005-10-19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630U KR200405154Y1 (ko) 2005-10-19 2005-10-19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154Y1 true KR200405154Y1 (ko) 2006-01-11

Family

ID=4175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630U KR200405154Y1 (ko) 2005-10-19 2005-10-19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1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49Y1 (ko) 2010-04-30 2011-01-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결합과 해제가 용이한 조명등
KR20170130202A (ko)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말타니 클린룸용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949Y1 (ko) 2010-04-30 2011-01-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결합과 해제가 용이한 조명등
KR20170130202A (ko) * 2016-05-18 2017-11-28 주식회사 말타니 클린룸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351B2 (en) Fixture
US20060152921A1 (en) Fixture and methods
KR101631632B1 (ko) 조명기구
KR200405154Y1 (ko) 조명기구
KR20130134778A (ko) 천장 매립형 조명장치용 커버
KR200400245Y1 (ko) 조명기구
KR20070114941A (ko) 직부형 천정형광등의 투광커버판 결합장치
KR20090072037A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JP4830926B2 (ja) 埋込型照明器具
KR200310384Y1 (ko) 천정등기구
KR200304115Y1 (ko) 조명등 커버의 결합구조
WO2005071312A1 (en) Fixture of fluorescent lamps in a ceiling grid
KR200317480Y1 (ko) 조명기구용 커버장치
KR200383329Y1 (ko) 조명장치
KR200317422Y1 (ko) 조명기구용 여닫이식 커버장치
JP4569771B2 (ja) 照明器具
KR200308630Y1 (ko) 조명등기구
KR200393289Y1 (ko) 천정 등기구
KR20080002641U (ko) 조명기구
KR200310756Y1 (ko) 조명기구
KR200313163Y1 (ko) 천정등기구
KR200253432Y1 (ko) 장식용 액자
JPH0621122Y2 (ja) 蛍光灯照明器具
KR200158978Y1 (ko) 벽장식등
KR20100062419A (ko) 천정 매립형 조명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