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083Y1 - 밴드식 만보기 - Google Patents

밴드식 만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083Y1
KR200405083Y1 KR2020050030175U KR20050030175U KR200405083Y1 KR 200405083 Y1 KR200405083 Y1 KR 200405083Y1 KR 2020050030175 U KR2020050030175 U KR 2020050030175U KR 20050030175 U KR20050030175 U KR 20050030175U KR 200405083 Y1 KR200405083 Y1 KR 200405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ometer
band
type
coupled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기
Original Assignee
이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기 filed Critical 이훈기
Priority to KR2020050030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0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식 만보기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보수계 및 시계 기능을 구비한 만보기; 상기 만보기가 결합된 소정 형식의 밴드; 상기 만보기를 고정하여 상기 밴드에 연결시키는 연결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만보기는: 보수계 및 시계가 내장되고 일측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 보행수 또는 시간 등을 시현하는 디스플레이부; 각종 기능선택이 가능한 입력키; 및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걸림턱의 접촉지지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연결받침대와 일체로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시계 및 보수계 기능을 구비한 만보기를 손목이나 발목등에 끼우는 탄성밴드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흔들림이 적은 보행스타일의 사용자의 경우에도 정밀한 보수계측이 가능하고, 격렬한 움직임을 동반한 경우 휴대가 용이하고 분실위험이 적은 효과가 있고, mp3플레이어 등과 함께 손목등에 착용하여 패션기능 및 편의성이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밴드, 만보기, 연결받침대, 보수계, 시계

Description

밴드식 만보기{PEDOMETER HAVING BAN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식 만보기가 개방되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그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정면도이며, 도 1c는 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식 만보기가 폐쇄되었을 때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만보기 11 : 본체
11a : 걸림턱 12 : 디스플레이부
13 : 입력키 14 : 덮개
14a : 탄성작동부 14b, 14c : 힌지결합부
14d, 14e : 구분홈
20 : 연결받침대 21 : 체결수단
22 : 연결수단
30 : 밴드 31 : 길이조절부
본 고안은 밴드식 만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계 및 보수계 기능을 구비한 만보기를 손목이나 발목등에 끼우는 탄성밴드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조깅이나 인라인스케이트 등의 운동시 시간이나 보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밴드식 만보기에 관한 것이다.
보수계는 자신의 보수에 의한 운동량을 계측함으로 기준치(일반적으로 만보)의 걸음을 걷도록 유도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하며, 일명 만보기라고 한다. 이러한 만보기에는 시계기능을 부가하여 운동과 함께 시간확인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입력된 개인별 보폭을 기준으로 총 보행거리를 계산해주거나, 걷는 운동량을 칼로리로 환산하여 시현하는 부가기능이 추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만보기는 통상 클립을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허리벨트 등에 걸어 휴대하거나 주머니 등에 삽입하여 휴대함으로 활동성에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도 수시로 시간 및 보수를 확인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만보기는 흔들림이 적은 보행스타일의 사용자의 경우 보수계측의 정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격렬한 움직임을 동반한 경우 그 중량으로 인해 휴대가 번거롭고 분실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계 및 보수계 기능을 구비한 만보기를 손목이나 발목등에 끼우는 탄성밴드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흔들림이 적은 보행스타일의 사 용자의 경우에도 정밀한 보수계측이 가능하고, 격렬한 움직임을 동반한 경우 휴대가 용이하고 분실위험이 적은 밴드식 만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mp3플레이어 등과 함께 손목등에 착용하여 패션기능 및 편의성이 강화된 밴드식 만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밴드식 만보기는, 보수계 및 시계 기능을 구비한 만보기; 상기 만보기가 결합된 소정 형식의 밴드; 상기 만보기를 고정하여 상기 밴드에 연결시키는 연결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만보기는: 보수계 및 시계가 내장되고 일측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 보행수 또는 시간 등을 시현하는 디스플레이부; 각종 기능선택이 가능한 입력키; 및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걸림턱의 접촉지지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연결받침대와 일체로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수계는 보행 중 흔들림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무게추의 움직임으로 보행수를 계측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걸림턱과 접촉되어 탄성력이 작동되는 탄성작동부; 상기 본체와 힌지로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탄성작동부와 상기 힌지결합부를 구분하며, 상기 덮개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된 구분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밴드는 밴드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벨크로 테이프식(일명 찍찍이), 버클식, 고리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식 만보기가 개방되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는 그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식 만보기가 폐쇄되었을 때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식 만보기는, 만보기(10), 연결받침대(20), 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만보기(10)는 보행수를 계측하는 보수계(미도시) 및 시계(미도시)가 내장되고 일측하단에 걸림턱(11a)이 형성된 본체(11)와, 보행수 또는 시간 등을 시현하는 디스플레이부(12), 각종 기능선택이 가능한 입력키(13), 및 상기 본체(11)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걸림턱(11a)의 접촉지지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연결받침대(20)와 일체로 결합되는 덮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수계는 디지털 방식과 아날로그 방식 중 선택 가능하며, 보행 중 흔들림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무게추의 움직임으로 보행수를 계측하는 아날로그 방식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충격에 약하고, 고장률이 높은 종래의 디지털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1)에는 보수계 및 시계가 내장되고, 일측 하단의 중앙에 단일의 걸림턱(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1a)은 상기 본체(11)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덮개(14)와 접촉되는 일 측면이 상기 본체(11)의 전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개폐동작을 지원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 어느것이든 가능하고,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보수 및 시간을 선택적으로 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여 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다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경우에는 시계를 아날로그식으로 구현하여 패션기능을 강화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14)는 상기 걸림턱(11a)과 접촉되어 탄성력이 작동되는 탄성작동부(14a)와, 상기 본체(11)와 힌지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힌지결합부(14b, 14c), 및 상기 탄성작동부(14a)와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결합부(14b, 14c)를 구분하며 상기 덮개(14)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된 제 1 및 제 2 구분홈(14d, 14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작동부(14a)는 상기 덮개(14) 일측 하단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결합부(14b, 14c)는 상기 덮개(14)의 일측 하단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작동부(14a) 및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결합부(14b, 14c)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분홈(14d, 14e)에 의해 각각 구분된다.
상기 연결받침대(20)는 상기 만보기(10)의 덮개(14)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2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만보기(10)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양측에 연결 수단(22)을 구비하여 상기 밴드(30)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받침대(20)는 클립형식으로 구성되어 밴드(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밴드(30)는 탄성을 가진 천재질로 형성되어 손목이나 발목에 끼워서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밴드(30)에는 상기 만보기(1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연결받침대(20)가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밴드(3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31)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조절부(31)는 벨크로 테이프식(일명 찍찍이), 허리띠 등에 적용되는 버클식, 가방끈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고리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는 고리식이 표현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활동중에는 상기 만보기(10)를 닫아 디스플레이부(12)를 보호하여야 하며, 상기 밴드(30)를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고 상기 길이조절부(31)를 이용하여 고착시켜 격렬한 움직임에도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경우에는, 상기 밴드(30)에 mp3 플레이어 등이 결합되는 부위를 별도로 마련하여 음악을 들으며 운동을 즐길수 있게 하여 패션기능 및 편의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밴드식 만보기에 의하면, 시계 및 보수계 기능을 구비한 만보기를 손목이나 발목등에 끼우는 탄성밴드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흔들림이 적은 보행스타일의 사용자의 경우에도 정밀한 보수계측이 가능하고, 격렬한 움직임을 동반한 경우 휴대가 용이하고 분실위험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mp3플레이어 등과 함께 손목등에 착용하여 패션기능 및 편의성이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보수계 및 시계 기능을 구비한 만보기;
    상기 만보기가 결합된 소정 형식의 밴드;
    상기 만보기를 고정하여 상기 밴드에 연결시키는 연결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식 만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보기는:
    보수계 및 시계가 내장되고 일측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본체;
    보행수 또는 시간 등을 시현하는 디스플레이부;
    각종 기능선택이 가능한 입력키; 및
    상기 본체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걸림턱의 접촉지지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연결받침대와 일체로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식 만보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계는 보행 중 흔들림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무게추의 움직임으로 보행수를 계측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식 만보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걸림턱과 접촉되어 탄성력이 작동되는 탄성작동부;
    상기 본체와 힌지로 결합되는 힌지결합부; 및
    상기 탄성작동부와 상기 힌지결합부를 구분하며, 상기 덮개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형성된 구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식 만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밴드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조절부는 벨크로 테이프식(일명 찍찍이), 버클식, 고리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식 만보기.
KR2020050030175U 2005-10-24 2005-10-24 밴드식 만보기 KR200405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75U KR200405083Y1 (ko) 2005-10-24 2005-10-24 밴드식 만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175U KR200405083Y1 (ko) 2005-10-24 2005-10-24 밴드식 만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083Y1 true KR200405083Y1 (ko) 2006-01-10

Family

ID=4175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75U KR200405083Y1 (ko) 2005-10-24 2005-10-24 밴드식 만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0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6492B2 (en) Wearable holder for securing a smart watch
US4766611A (en) Glove and watch
US8967437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US9752891B2 (en) Wearable fitness device and fitness device interchangeable with plural wearable articles
US8381415B1 (en) Flip-flop back strap device
US9486167B2 (en) Interchangeable cases for biometric monitoring devices
US20070032981A1 (en) Wearable fitness device and fitness device interchangeable with plural wearable articles
US20080178977A1 (en) Combination metering band and wallet device
KR20180048700A (ko) 시계 스트랩
US20130326790A1 (en) Wearable Band with Ease of Adjustment
US5912865A (en) Watch case with positioning means
KR200405083Y1 (ko) 밴드식 만보기
KR200370039Y1 (ko) 밴드식 만보기
AU2008267756B2 (en) A thumb mountable device for holding equipment
KR101617042B1 (ko) 스노우보드용 부츠
US20070159930A1 (en) Thumb anchored watch for runners
KR200369375Y1 (ko) 만보기 겸용 시계
US201501368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s-free carrying and/or use of items intended for hand-held use
KR200406081Y1 (ko) 만보기 겸용 시계
JP2003172787A (ja) ランニング用腕時計
KR200371327Y1 (ko) 만보기 모자
KR20080001403U (ko) 휴대용 지갑
KR200360997Y1 (ko) 만보기 겸용 시계
KR200342398Y1 (ko) 허리띠
CZ30029U1 (cs) Senzor pohybu pro jumping upevnitelný zejména na bot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