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078Y1 -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078Y1
KR200405078Y1 KR2020050029877U KR20050029877U KR200405078Y1 KR 200405078 Y1 KR200405078 Y1 KR 200405078Y1 KR 2020050029877 U KR2020050029877 U KR 2020050029877U KR 20050029877 U KR20050029877 U KR 20050029877U KR 200405078 Y1 KR200405078 Y1 KR 2004050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eservoir
feeder
discharged
dischar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필
Original Assignee
박준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필 filed Critical 박준필
Priority to KR2020050029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0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0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0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돈사의 사료를 공급하는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사료 저장통에 채워진 사료가 사료 저장통에서 정체되지 않고 먹이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료 저장통의 내부에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삿갓형의 사료 배출캡을 설치하되 상기 사료 배출캡은 사료 저장통의 내측과 일정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사료 저장통의 사료가 사료 배출캡의 외측 공간으로 배출되게 하여 사료 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외측부터 배출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가 사료 저장통에 붙어있지 않고 원활히 배출되는 것이다.
급이기, 사료배출, 배출캡, 측면배출

Description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Apparatus supplying stock of auto feeder for livestock}
도 1은 급이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료를 적게 배출하는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료를 많이 배출하는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료 배출캡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료 배출캡 실시예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료 저장통 20 : 먹이통
30 : 배출 유도관 40 : 니플
50 : 조절레버 60 : 사료 조절구
100 : 급이기 110 : 사료 배출캡
120 : 지지다리 120 : 고정다리
본 고안은 돈사의 사료를 공급하는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급이기의 사료 저장통에 채워진 사료가 사료 저장통에서 정체되지 않고 먹이통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돈사의 사료를 공급하는 급이기(100)는 사료가 담기는 사료 저장통(10)이 먹이통(20)의 상부에 얹혀져 고정되게 되고, 상기 사료 저장통(10)에는 사료가 채워지게 되고, 사료 저장통(10)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니플(40)에는 급수관(41)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게 하며, 상기 사료 저장통(10)의 하부에는 배출 유도관(30)을 고정시키되 상기 배출 유도관(30)의 외측에는 먹이통(20)의 외측에 얹어지는 지지봉(31)을 설치하여 사료 저장통(10)이 먹이통(20)의 상부에 얹혀지게 하며, 상기 사료 저장통(10)의 내부에는 배출 유도관(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하는 사료 조절구(60)가 설치되고 상기 사료 조절구(60)는 조절레버(50)로 높낮이 조절되며 사료가 배출되는 량이 조절되게 한다.
여기서 배출 유도관(30)의 하부는 먹이통(20)에 돌출된 경사부(21)에서 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배출 유도관(30)의 내부에서 사료 조절구(60)가 상하 이동하면서 경사부(21)를 통하여 먹이통(20)으로 배출되는 사료의 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사료 조절구(60)는 중간이 U자형으로 이루어진 조절레버(50)에 결합되어 조절레버(50)를 회전시킴으로서 상하 이동하면서 사료량이 조절되게 한다.
이러한 급이기(100)는 사료 조절구(60)의 높이 조절에 따라 사료 저장통(10)의 사료가 배출되게 되므로 사료 저장통(10)에 채워진 사료의 중앙 부분이 먼저 배출되고 사료 저장통(10)의 내측에 접하는 부분은 배출이 잘되지 않는 것으로, 특히 사료가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더더욱 사료 저장통(10)에서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사료 저장통(10)의 외측에서 망치 등으로 충격을 가하여 사료 저장통(10)에 붙어 있는 사료를 떨어트려 주어야 하는 것이었다.
즉 기존의 급이기(100)는 사료 저장통(10)의 중앙부위에 채워진 사료가 배출되고 사료 저장통(10)에 붙어있는 사료는 잘 배출되지 않아 이 상태가 지속되면 사료 저장통(10)에 붙어 있는 사료가 부패하거나 고형화 되어 사료의 배출을 방해하는 문제가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돈사의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 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중앙부터 배출되지 않고 사료 저장통에 붙어있는 측면부터 배출되게 하므로서 사료가 사료 저장통에 붙어있지 않고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료 저장통의 내부에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삿갓형의 사료 배출캡을 설치하되 상기 사료 배출캡은 사료 저장통의 내측과 일정공간이 형성되게 하여 사료 저장통의 사료가 사료 배출캡의 외측 공간으로 배출되게 하여 사료 저장통에 담긴 사료가 외측부터 배출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가 사료 저장통에 붙어있지 않고 원활히 배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사료 저장통(10)이 먹이통(20)의 상부에 얹어지고 사료 저장통(10)의 내부에 사료의 배출을 조절하는 사료조절구(6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사료 조절구(6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레버(50)가 설치된 급이기(100)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절통(10)의 내부에 삿갓 형태의 사료 배출캡(110)을 설치하여 사료 저장통(10)에 담긴 사료가 사료 저장통(10)과 사료 배출캡(1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료 저장통(10)은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사료 저장통(10)은 하부에 먹이통(20)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경사부(21)와 근접하는 배출 유도관(30)을 설치하되 상기 배출 유도관(30)에 지지봉(31)을 설치하여 사료 저장통(10)이 먹이통(20)의 상부에 얹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료 저장통(10)의 하부 외측에는 수 개의 니플(40)을 설치하되 상기 니플(40)에는 급수관(41)을 통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배출 유도관(30)의 내부에는 사료 조절구(60)가 설치되어 사료 조절구(60)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경사부(21)에서 먹이통(20)으로 배출되는 사료의 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사료 조절구(60)는 배출 유도관(3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하되 상부는 조절레버(50)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레버(50)는 조절 손잡이(5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조절손잡이(51)는 고정구멍(52)에 결합시키는 위치에 따라 회전 정도가 조절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된 급이기(100)의 사료 저장통(10) 내부에 삿갓 형태의 사료 배출캡(110)을 설치하되 사료 배출캡(110)의 외측과 사료 저장통(10)의 내측 사이에 사료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료 배출캡(110)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 사료 저장통(10)에 담긴 사료가 중앙 부위부터 배출되어 사료 저장통(10)의 내측에 붙어 있는 사료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나 사료 배출캡(110)이 설치된 경우는 사료 배출캡(110)과 사료 저장통(10) 사이 공간을 통하여 사료 저장통(10)에 담긴 사료의 외측부터 배출이 이루어져 사료 저장통(10)에 붙어 있는 사료가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료 배출캡(110)은 중앙에 사료 조절구(60)의 선단이 끼워지는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사료 저장통(10)에 지지되는 지지다리(120)가 설치되는 한편 사료 저장통(10)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다리(130)가 설치되는 것으로, 사료 배출캡(110)은 사료 저장통(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료가 사료 배출캡(110)의 외측공간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료 배출캡(110)의 외측과 사료 저장통(10)과는 지지다리(120) 또는 고정다리(130)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며, 상기 지지다리(120) 또는 고정다리(130)에 의해 안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지지다리(120) 또는 고정다리(130)에 의해 사료 배출캡(110)의 외측과 사료 저장통(10)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같이 사료 저장통(10)에 사료 배출캡(1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료 저장통(10)에 사료가 담기게 되면 사료 저장통(10) 내부에는 사료가 채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먹이통(20)의 사료를 먹게 되면 사료 저장통(10)에 채워진 사료가 먹은 만큼 배출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배출되는 사료의 량은 사료 조절구(6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다.
사료 저장통(10)에서 사료가 하부로 배출되면 사료는 사료 배출캡(110)의 상부에 채워져 있어 사료 배출캡(110)의 측면에서 사료가 배출되기 시작하며, 이는 사료의 무게에 따라 자연스럽게 사료 배출캡(110)과 사료 저장통(1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사료가 사료 저장통(10)에 붙어있지 못하게 된다.
사료 배출캡(110)의 측면에서 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면 사료는 삿갓 형태의 사료 배출캡(110)에 의해 자꾸 양 측면으로 사료가 모이게 되고, 이는 사료 배출캡(110)의 측면에서 배출되게 되므로, 사료가 사료 저장통(10)의 측면에 붙어있지 않고 완전히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은 돈사의 사료를 공급하는 급이기의 사료 저장통 내부에 삿갓 형태의 사료 배출캡을 설치하되 사료 배출캡의 외측과 사료 저장통의 내측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켜 사료를 배출시킴으로서, 사료가 사료 저장통의 외측부터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료가 사료 저장통에 붙어있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급이기(100)의 사료 저장통(10) 내부에 삿갓 형상의 사료 배출캡(110)을 설치하되 상기 사료 배출캡(110)의 중앙에는 사료 조절구(60)가 끼워지는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사료 배출캡(110)의 외측은 지지다리(120)를 설치하여 사료 저장통(10)과 일정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료 배출캡(110)의 외측에는 고정다리(130)를 설치하여 사료 저장통(10)과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KR2020050029877U 2005-10-20 2005-10-20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KR2004050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77U KR200405078Y1 (ko) 2005-10-20 2005-10-20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877U KR200405078Y1 (ko) 2005-10-20 2005-10-20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078Y1 true KR200405078Y1 (ko) 2006-01-10

Family

ID=4175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877U KR200405078Y1 (ko) 2005-10-20 2005-10-20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0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615A (ko) * 2019-05-06 2020-11-16 주식회사 성광 개폐볼 덮개와 이것을 이용한 축산용 사료 계량통
KR20220113014A (ko) 2021-02-05 2022-08-12 강경욱 배출제어수단을 구비한 사일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615A (ko) * 2019-05-06 2020-11-16 주식회사 성광 개폐볼 덮개와 이것을 이용한 축산용 사료 계량통
KR102213371B1 (ko) * 2019-05-06 2021-02-08 주식회사 성광 개폐볼 덮개와 이것을 이용한 축산용 사료 계량통
KR20220113014A (ko) 2021-02-05 2022-08-12 강경욱 배출제어수단을 구비한 사일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647B1 (en) Animal food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US7779787B2 (en) Valve system with float control of liquid dispensing
US7954454B2 (en) Sure feed automatic feeder
KR101618240B1 (ko)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US7963250B2 (en) Animal feeder
KR100913645B1 (ko)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KR200405078Y1 (ko) 급이기의 사료 정체 방지장치
KR101416049B1 (ko) 더치 커피용 물 공급 장치
US6691640B1 (en) Animal feeder insert with desiccant cavity
EP2201314B1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ce particles
KR20080011625A (ko) 가축용 먹이공급기
KR20160131343A (ko)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 공급용 터치센서
WO1998044784A1 (en) A feeding device for feeding animals
ES2341148T3 (es) Dispositivo de regulacion de la abertura inferior de descarga de una tolva de comedero para animales.
US4157770A (en) Water gravity plant feeder
RU200511122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ереполнения и стока для ванной
KR100363110B1 (ko) 축사용 물통
US7243611B2 (en) Drinking trough with elongated actuator and method of dispensing water therefrom
DK172689B1 (da) Foderautomat
KR200316988Y1 (ko) 양돈용 사료 공급기
KR200478513Y1 (ko) 더치커피 추출 장치
KR20150053326A (ko) 사료급이기의 사료 토출장치
KR200391290Y1 (ko) 돼지사료 급여장치
US5022347A (en) Dry feed dispensing device for hogs
KR950000107Y1 (ko) 양돈용 사료공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