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763Y1 -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763Y1
KR200404763Y1 KR20-2005-0024075U KR20050024075U KR200404763Y1 KR 200404763 Y1 KR200404763 Y1 KR 200404763Y1 KR 20050024075 U KR20050024075 U KR 20050024075U KR 200404763 Y1 KR200404763 Y1 KR 200404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ckaging box
plate
upper plate
purpos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오
Original Assignee
이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오 filed Critical 이진오
Priority to KR20-2005-0024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상자를 물건의 포장 용도로 사용함과 아울러 제사나 성묘 등 실내외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행사에서 음식물 등의 상차림용으로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포장용 상자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일 측이 개폐되도록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타측면에는 모서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을 절취한 후 내측으로 접어지는 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가 내측으로 접힌 후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리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목적 포장용 상자는 손쉬운 작업으로 제사나 성묘 등 실내외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행사에서 음식물 등의 상차림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 Multipurpose box }
본 고안은 다목적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용 상자를 물건의 포장 용도로 사용함과 아울러 제사나 성묘 등 실내외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행사에서 음식물 등의 상차림용으로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물건을 담아 보관 또는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왔다.
아울러, 차례나 성묘 또는 결혼 또는 상가 집의 피로연 등에서 음식물 등을 이용한 상차림을 위해서는 집에 있는 대형 차림 상을 차량으로 이동하여 사용하거나, 아니면 고가의 차림 상을 별도로 구매하여 이용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으며 간혹, 시중에 유통되는 놀이용 접철식 휴게 테이블 등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차림 상의 이동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서 성묘를 하거나 아니면 장례식을 치를 때, 분묘 앞에 석상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대부분 임시방편으로 바닥에 비닐 또는 매트 등을 펼친 후 몇 가지의 음식물을 차리는 약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간혹 고가의 차림 상을 준비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야외의 돌출물이나 습기 등에 의해 차림 상의 훼손이 심하여 가격에 걸맞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 등도 있어왔다.
또한 돌잔치 또는 지인들과의 파티를 이유로 다수의 손님을 실내로 초대한 경우에도, 차림 상이 부족하여 부득불 이웃에 폐를 끼치며 상을 빌리거나, 아니면 한 두 번의 행사를 위해 고가의 차림 상을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어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를 손쉬운 작업으로 차림 상 또는 제사상 등으로 만들어 즉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고, 다리를 형성하여 경사진 곳이나 자갈이 있는 곳 등에서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포장용 상자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일 측이 개폐되도록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타측면에는 모서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을 절취한 후 내측으로 접어지는 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가 내측으로 접힌 후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리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힘부의 끝단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절첩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자의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 및 육각형 등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힘 부가 접어진 상태에서 다리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개폐부를 폐쇄한 후 상측에 음식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나 기구를 올려 식탁용 상이나 제사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포장용 상자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수평상태의 상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타측 끝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모서리에는 다수의 다리가 돌출되어 형성된 상측판;
상기 상측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판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상측판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측판과 분리되거나 내측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측판;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자의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 및 육각형 등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측판의 내측으로 하측판을 동일한 형상으로 삽입시켜 다리를 바닥이나 지면에 위치시키고 상판에 음식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나 기구를 올려 식탁용 상이나 제사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포장용 상자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목적 상자의 전개도로서, 일반적인 상자(1) 즉,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자의 모서리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즉 A, B, C, D부분의 중심까지 “ㄴ”자 형상으로 절취선(10)이 형성되고, 각각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절취선(10)의 중심에는 접힘부(11)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11)는 절취선(10)이 절개된 후 상자(1)의 내측으로 접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10)이 형성된 타측에는 개폐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A, B, C, D부분에 형성된 절취선(10)의 끝단과 끝단 사이에는 절첩선(12)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절취선(10)은 상자(1)가 제작된 후 사용자가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점자 형식으로 절취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첩선(12)은 상기 접힘부(11)를 상자의 내측으로 접을 때 용이하게 접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만일, 상기 절첩선(12)이 없게 되면 접힘부(11)를 내측으로 접을 때 사용자가 쉽게 접을 수 없어 일일이 손으로 눌러가며 접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절첩선(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첩선(12)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여 접힘부(11)를 쉽게 접을 수 있도록 상자(1)의 외측 면에 표시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전개도를 조립한 상태에서 사용한 상태사시도이고, (b)는 (a)의 A-A"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a)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도를 조립하여 물건의 보관이나 운반시 사용 한 후 보관하였다가 실내나 실외에서 급히 차림 상이나 제사상이 필요할 때 상기 상자(1)를 상으로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이 차림 상이나 제사 상 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개폐부(16)의 타측에 형성된 절취선(10)을 절개 한 후 상기 접힘부(11)를 절첩선(12)을 따라 상자(1)의 내측으로 접게 되면 상기 접힘부(11)는 개폐부(16)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개폐부(16)의 상측에 음식 등의 내용물이 담긴 그릇 등을 올려놓아도 힘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차림 상이나 제사상으로 사용이 가능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접힘부(11)를 상자(1)의 내측으로 접게 되면 접어지지 않은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리(13)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13)는 경사진 곳이나 자갈 등이 있는 곳에서 상으로 사용 시에 용이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자(1)는 종이나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b)는 (a)의 A-A" 단면도로서, 상기 접힘부(11)의 일 측이 상기 개폐부(16)의 내측으로 접어져 상기 개폐부(16)의 내측과 맞닿아 있다.
상기 접힘부(11)가 내측으로 접어진 후 상기 개폐부(16)의 내측을 지지하면 차림 상 등으로 사용 시 개폐부(16)의 상측을 평평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자(1)의 형상을 본 고안의 일 실 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상자(1)를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종류의 삼각, 다각형 형상 등의 상자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 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로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은 평평한 상판(26)이 형성되며, 그 타측 끝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측판(21)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21)의 각 모서리에는 다수의 다리(23)가 돌출되어 형성된 상측판(20)이 구비된다.
상기 상측판(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판(20)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상측판(20)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된 하측판(30)이 구비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목적 포장용 상자의 결합사시도로서, 상측판(20)과 하측판(30)을 결합시키게 되면 상자(1')가 된다.
이때, 상기 하측판(30)의 내측에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담아 상기 상측판(20)을 상측에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하측판(30)은 상기 상측판(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포장용 상자(1')로 사용 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목적 상자의 하측판을 상측판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사용하는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상측판(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측판(30)을 상측판(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위치시킨 뒤 상기 하측판(30)을 상기 상측판(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간편한 차림상이나 제사상 등으로 변형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판(30)을 상기 상측판(2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이유는 상기 상측판(20)의 상판(26)에 음식이 담긴 그릇 등이 올려졌을 때 지면으로 처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다리가 지면이나 바닥 등에 지지되었을 때 안정감 있게 지지되어 상판(26)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상기 상측판(20)에 하측판(30)이 삽입된 후 측판(21, 31)과 다리(23, 33)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 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포장용 상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종류와 형상의 포장용 상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 시예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본 고안의 범위는 위에서 예시한 실 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경우라면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다목적 포장용 상자는 손쉬운 작업으로 제사나 성묘 등 실내외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행사에서 음식물 등의 상차림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고, 야외의 돌출물이나 습기 등에 의해 음식물이 훼손되지 않는 다는 장점이 있으며, 쉽게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다목적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
도 2의 (a)는 도 1의 전개도를 조립한 상태에서 사용한 상태사시도이고, (b)는 (a)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다목적 포장용 상자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다목적 포장용 상자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다목적 포장용 상자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상자 10 :절취선
11 : 접힘부 12 : 절첩선
13 : 다리 16 : 개폐부
20 : 상측판 21, 31 : 측판
23, 33 : 다리 26 : 상판
30 : 하측판

Claims (7)

  1.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일 측이 개폐되도록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타측면에는 모서리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의 절취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선을 절취한 후 내측으로 접어지는 접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힘부가 내측으로 접힌 후 각각의 모서리에는 다리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끝단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절첩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가 접어진 상태에서 다리를 바닥에 위치시키고 개폐부를 폐쇄한 후 상측에 음식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나 기구를 올려 식탁용 상이나 제사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5. 내부에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상자에 있어서,
    상기 상자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수평상태의 상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타측 끝단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모서리에는 다수의 다리가 돌출되어 형성된 상측판;
    상기 상측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판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상측판의 내측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측판과 분리되거나 내측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측판;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의 형상이 직사각형 또는 원형 및 육각형 등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포장용 상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판의 내측으로 하측판을 동일한 형상으로 삽입시켜 다리를 바닥이나 지면에 위치시키고 상판에 음식 등의 내용물이 담긴 용기나 기구를 올려 식탁용 상이나 제사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KR20-2005-0024075U 2005-08-22 2005-08-22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KR200404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75U KR200404763Y1 (ko) 2005-08-22 2005-08-22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75U KR200404763Y1 (ko) 2005-08-22 2005-08-22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763Y1 true KR200404763Y1 (ko) 2005-12-28

Family

ID=4929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075U KR200404763Y1 (ko) 2005-08-22 2005-08-22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7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770A (ko) 2022-09-30 2024-04-08 국령애 휴대가 간편한 제사상 겸용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770A (ko) 2022-09-30 2024-04-08 국령애 휴대가 간편한 제사상 겸용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753B2 (en) Product containment, transportation, exhibiting, and dispensing packaging structure
EP0165533B1 (en) Rigid, multipurpose, polyhedric structure which can be folded away on its own base
CA2706950C (en) Stackable elevated planter
US4852741A (en) Portable table top salad bar
US20060070298A1 (en) Planter with folding legs
US4519318A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s
US10582767B2 (en) Flat pack end table and coffee table
US4822314A (en) Interlocking container and toy block sets
KR20150108070A (ko) 접이식 수납박스
US20200397138A1 (en) Furniture Cooler Combination Device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0404763Y1 (ko) 다목적용 포장용 상자
US2547849A (en) Box construction
US5706949A (en) Party kit for serving guests (party in a box)
US6334536B1 (en) Hanging ornament storage container
US20040069665A1 (en) Side mount device for multiple foldable furniture packaging and displaying
US7021480B2 (en) Stackable container assembly
KR20240045770A (ko) 휴대가 간편한 제사상 겸용 포장상자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USD527860S1 (en) Pallet container
JPH0628419Y2 (ja) 複数個の鉢物輸送用組立箱
JPH0237410Y2 (ko)
JPS607295Y2 (ja) 食事用外装箱
KR20080005757U (ko) 포장용 상자
KR200400932Y1 (ko) 일회용 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