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508Y1 -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 Google Patents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508Y1
KR200404508Y1 KR20050028713U KR20050028713U KR200404508Y1 KR 200404508 Y1 KR200404508 Y1 KR 200404508Y1 KR 20050028713 U KR20050028713 U KR 20050028713U KR 20050028713 U KR20050028713 U KR 20050028713U KR 200404508 Y1 KR200404508 Y1 KR 200404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tenna
pole
support frame
tow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8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익상
박천종
Original Assignee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주) 반도체 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주) 반도체 통신 filed Critical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28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용 안테나가 설치되는 전주의 타워에 있어서; 상기 타워는, 상기 전주의 상단에 설치되어 안테나를 설치하고, 상기 안테나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를 위장하는 위장망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저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 저면 중앙에서 상기 전주의 상단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피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의 둘레를 위장망을 통해 위장하여 안테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환경과 조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Tower structure of environment friendly electric utility pole}
본 고안은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둘레를 위장망을 통해 위장하여 안테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환경과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모든 산업 발달에 따른 대기, 물, 환경 등의 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대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대기 오염의 주범인 물질의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수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염수 배출량을 금지하고 있으며, 각종 유해한 물질의 배출량을 금지하거나, 일정량 이상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에는 각종 대기나 수질을 오염시키는 물질의 규제가 심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현대인들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은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셀 단위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기지국 안테나 시스템은 제어국에 의해 관장되고 있으며, 휴대 장치와 같은 이동국은 셀 단위의 기지국 안테나 시스템 범위 이내에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은 안테나의 전파 도달거리를 최대한 연장하기 위해 전주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심지역의 경우에는 건물 옥상에다 이를 설치하고,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서는 평지 또는 산 정상에 그 높이를 달리하여 이를 설치하고 있다.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서는 평지 또는 산 정상에 설치되는 기지국은 전주 형태로 형성되고, 전주는 다단으로 분리되고, 전주의 상단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그리고 낙뢰방지를 위한 피뢰기구 등 모든 부속물을 포함한다.
다음에서는 종래 이동통신 기지국용 전주의 일 예로서, 도시 근교나 농촌지역에서는 평지 또는 산 정상에 설치되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기지국용 전주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 전주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주(1)에는 섹터별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3)가 설치되는데, 이들 안테나(3)는 전파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주(1)의 상단에는 안테나를 공정하기 위한 원형의 프레임(5)이 형성되고, 프레임(5)에 각각의 안테나(3)를 고정한다. 한편, 전주(1)의 측면에는 유지보수시 사용되는 사다리(7)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주는 프레임을 통해 안테나가 외부로 유출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 예를 들면 도심의 빌딩, 농어촌, 휴양지 등의 자연환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둘레를 위장망을 통해 위장하여 안테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환경과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이동통신용 안테나가 설치되는 전주의 타워에 있어서; 상기 타워는, 상기 전주의 상단에 설치되어 안테나를 설치하고, 상기 안테나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를 위장하는 위장망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저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 저면 중앙에서 상기 전주의 상단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피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주의 상단에서 체결 밴드에 의해 체결되고, 만곡된 형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전주의 플랜지와 각각 체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어 상기 전주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제 1원형 프레임이 복수의 제 1수직 지지봉에 의해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저면에 발판용 메탈망이 결합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앙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안테나 지지 프레임; 및 일단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 걸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체결되되, 한쌍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위장망이 부착되는 체결핀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위장망은 테두리에 천과 같은 재질의 마감재가 결합되고, 테두리 상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의 걸고리에 상기 체결홀이 체결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발판용 메탈망은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의 저면중 어느 한 부분을 개방하여 작업 통로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작업 통로를 제외한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의 저면을 보강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의 제 1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 1보강 프레임에서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을 잇는 제 2보강 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피뢰봉은 항공등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항공등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지지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사이인 상기 전주 상단에는 체결 밴드에 방사상으로 고정된 조명등이 더 부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중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100)는, 프레임(200)과, 피뢰봉(30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200)은 전주(1)의 상단에 설치되어 안테나(250)를 설치하고, 안테나(250)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260)가 마련되고, 안테나(250)를 위장하는 위장망(243)이 외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위장망(243)은 주위의 색과 동일하여 위장되도록 보호색을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레임(200)은 지지 프레임(210)과, 수평 프레임(220)과,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과, 체결핀(240)으로 구성된다.
지지 프레임(210)은 전주의 상단에서 체결 밴드(211)에 의해 체결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지지 프레임(210)은 서로 대응되도록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개 이상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수평 프레임(220)은 전주(1)의 플랜지(3)와 각각 체결되고, 지지 프레임(21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지지 프레임(210)과 체결되어 전주(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수평 프레임(220)은 하기에서 설명할 작업 통로(237)를 제외한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의 저면을 보강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의 제 1보강 프레임(221)과, 제 1보강 프레임(221)에서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을 잇는 제 2보강 프레임(223)을 더 구비한다.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은 복수의 제 1원형 프레임(231)이 복수의 제 1수직 지지봉(233)에 의해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저면에 발판용 메탈망(235)이 결합되어 수평 프레임(220)의 중앙부의 상면에 체결된다.
체결핀(240)은 일단에 나사(241)가 형성되고, 타단에 걸고리(243)가 형성되어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의 외측에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체결되되, 한쌍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위장망(245)이 부착된다. 여기에서, 체결핀(240)의 나사(241)는 용접에 의해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걸고리(243)는 위장망(245)이 이탈되는 것을 막도록 각각 방향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또한, 위장망(245)은 테두리에 천과 같은 재질의 마감재(247)가 결합되고, 테두리 상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홀(249)이 형성되어 체결핀(240)의 걸고리(243)에 체결홀(249)이 체결된다. 이때, 체결홀(249)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금속재의 보강재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판용 메탈망(235)은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의 저면중 어느 한 부분을 개방하여 작업 통로(237)를 형성하고,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되거나 또는 한 장의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니다. 여기에서, 작업 통로(237)는 사다리(도시 생략)와 방향이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피뢰봉(300)은 저면에 플랜지(310)가 형성되어 프레임(200)의 내측 저면 중앙에서 전주(1)의 상단의 플랜지(3)와 체결된다. 여기에서, 피뢰봉(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등 프레임(320)이 일체로 형성되어 항공등(330)이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210)과 수평 프레임(220)의 사이인 전주(1) 상단에는 체결 밴드(340)에 방사상으로 고정된 조명등(350)이 더 부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주(1)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3)에 피뢰봉(300)의 플랜지(310)를 체결한 상태하고, 전주(1)에 프레임(200)의 지지 프레임(210)을 체결 밴드(211)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립이 완료된 프레임(200)을 전주(1)에 형성된 플랜지(3) 및 지지 프레임(210)에 고정시켜 조립을 완성한다.
한편,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과 체결핀(24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60)에서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의 각각의 제 1수직 지지봉(233)에 안테나(250)를 결합시킨다.
또한, 제 1수직 지지봉(233)에서 이의 상단 또는 하단을 축으로 하여 안테나(250)를 틸팅하면서 방향을 설정한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 통로(237)를 통해 프레임(200)으로 올라간다.
그리고, 안테나(250)는 체결핀(240)에 의해 안테나 지지 프레임(2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위장망(245)으로 인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안테나를 위장망으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안테나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주의 상단에 조명등과 항공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가로등 기능과 위치 안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에 따르면, 프레임의 둘레를 위장망을 통해 위장하여 안테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환경과 조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기지국용 전주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 전주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중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의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 프레임 210 : 지지 프레임
220 : 수평 프레임 230 : 안테나 지지 프레임
235 : 발판용 메탈망 237 : 작업 통로
240 : 체결핀 245 : 위장망
250 : 안테나 300 : 피뢰봉

Claims (7)

  1. 이동통신용 안테나가 설치되는 전주의 타워에 있어서;
    상기 타워는,
    상기 전주의 상단에 설치되어 안테나를 설치하고, 상기 안테나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를 위장하는 위장망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저면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 저면 중앙에서 상기 전주의 상단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피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주의 상단에서 체결 밴드에 의해 체결되고, 만곡된 형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전주의 플랜지와 각각 체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어 상기 전주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과;
    복수의 제 1원형 프레임이 복수의 제 1수직 지지봉에 의해 결합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저면에 발판용 메탈망이 결합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앙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안테나 지지 프레임; 및
    일단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 걸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의 외측에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체결되되, 한쌍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위장망이 부착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망은,
    테두리에 천과 같은 재질의 마감재가 결합되고, 테두리 상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핀의 걸고리에 상기 체결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용 메탈망은,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의 저면중 어느 한 부분을 개방하여 작업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작업 통로를 제외한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의 저면을 보강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형의 제 1보강 프레임과;
    상기 제 1보강 프레임에서 상기 안테나 지지 프레임을 잇는 제 2보강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뢰봉은,
    항공등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항공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사이인 상기 전주 상단에는 체결 밴드에 방사상으로 고정된 조명등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KR20050028713U 2005-10-07 2005-10-07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KR200404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8713U KR200404508Y1 (ko) 2005-10-07 2005-10-07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8713U KR200404508Y1 (ko) 2005-10-07 2005-10-07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825A Division KR100672901B1 (ko) 2005-09-21 2005-09-21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508Y1 true KR200404508Y1 (ko) 2005-12-23

Family

ID=3908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8713U KR200404508Y1 (ko) 2005-10-07 2005-10-07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5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2B1 (ko) 2007-06-08 2008-11-17 (주)익스팬텔 통신용 안테나 가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2B1 (ko) 2007-06-08 2008-11-17 (주)익스팬텔 통신용 안테나 가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1228T3 (es) Antena de comunicaciones camuflada y dispositivo de iluminación
KR101337596B1 (ko) 모바일 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얼레형 가대
KR200404508Y1 (ko)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KR100672901B1 (ko) 환경친화적 전주의 타워구조
US20120299796A1 (en) Module for Carrying Antennas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ntenna Mast Arrangement
CN209277660U (zh) 一种灯塔基站
CN209390516U (zh) 一种通信基站防水结构
CN201741810U (zh) 圆柱形美化天线
US8599096B2 (en) Antenna attachment arrangement, a module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and an antenna mast arrangement
KR20090077729A (ko) 환경친화적 무선통신용 안테나의 위장막 설치구조물
CN113258263B (zh) 基站设备
CN207110623U (zh) 无线新型多功能抱杆杆塔
US20120228461A1 (en) Antenna Mast Arrangement
KR101564057B1 (ko) 유지보수가 편리한 통신 안테나 트러스 구조물
KR200417406Y1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장비 고정용 밴드 브래킷
CN210444427U (zh) 一种通讯工程用的小型基站防护装置
CN201655961U (zh) 美化杆型美化天线
CN110748196A (zh) 一种建筑工地安全防护用配电箱防护棚
CN205595443U (zh) 一种公交站基站天线塔
CN201383540Y (zh) 天线连接结构及通信基站
CN209357902U (zh) 一种安装天线的树形结构
CN201838718U (zh) 天线外罩结构
CN214745560U (zh) 一种路灯灯杆固定装置
CN207530093U (zh) 天线隐藏结构
CN210105436U (zh) 管塔及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