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319Y1 - 비상조명등기구 - Google Patents

비상조명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319Y1
KR200404319Y1 KR20-2005-0022055U KR20050022055U KR200404319Y1 KR 200404319 Y1 KR200404319 Y1 KR 200404319Y1 KR 20050022055 U KR20050022055 U KR 20050022055U KR 200404319 Y1 KR200404319 Y1 KR 200404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light
light case
lamp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철상
Original Assignee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라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2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4Arrangements of reflectors there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등에 조명등이 체결된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정기 및 충전지를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에도 별도로 내장한 후, 상기 비상등을 조명등기구의 일측에 체결하여 서로 내선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명등기구와 비상등을 일체로 성형하여 체결함으로써 조명등의 수명이 다되어도 비상등에 내장된 안정기나 충전지 등(콘트롤박스 내부의 부품)의 부품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전등갓(1)에 반사판(2)을 부착한 조명등(3)의 일측에 안정기(4) 및 충전지(5)를 내장하고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6)을 형성한 비상등 케이스(7)가 일체로 성형된 조명등기구(10)에 있어서, 상기 유도표시판(6)이 비상등 케이스(7)와 접점스위치에 의해 접점되어 정전시 단락되면서 수직으로 90도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이 체결된 조명등기구.
따라서 본 고안은 이미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기구에 안정기와 충전지가 내장된 비상등을 체결구에 의해 체결시킴으로써 조명등의 수명이 다하더라도 비상등에 내선만 연결하게 되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또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등과 비상구를 안내하는 유도표시판의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정전시 유도표시판이 천정에서 수직으로 90도 낙하되면서 대피자들의 눈에 쉽게 보이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피자들은 신속히 비상구로 대피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비상조명등기구{EMERGENCY LIGH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비상등에 조명등이 체결된 조명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정기 및 충전지를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에도 별도로 내장한 후, 상기 비상등을 조명등기구의 일측에 체결하여 서로 내선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명등기구와 비상등을 일체로 성형하여 체결함으로써 조명등의 수명이 다되어도 비상등에 내장된 안정기나 충전지 등(콘트롤박스 내부의 부품)의 부품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명등기구는 전등갓의 내부에 안정기 및 충전지 등을 장착한 후 반사판을 부착하여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중에 조명등기구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조명등기구를 천정에 설치된 상태에서 반사판을 전등갓에서 분리하여 점검하여야 함은 물론 수명이 다한 상태에서는 천정에서 전등갓을 해체하여 새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기구는 단지 조명등의 역할만 할 수 있을 뿐 화재 등으로 인해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충전지에 의해 직류로 전환되어 조명등이 점등되면서 실내를 조명하더라도 비상구 통로를 안내하여 주기 위한 비상등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최근에 개발된 것이 조명등기구와 일체로 성형된 비상등이 시공되고 있지만, 이들은 새로 시공되는 건물의 천정에만 설치가 가능하고 이미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기구에는 비상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정전시에도 비상등이 조명등기구와 일체로 시공되어 천정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대피자들이 먼거리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신속히 비상구로 유도하여 대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비상등 케이스 내부의 부품 교체시 내부가 어둡기 때문에 작업자가 항상 휴대조명등을 휴대하여 작업하므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량 안출 한 것으로,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기구의 전등갓 내부에 장착되는 안정기와 충전지를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에도 장착하여 조명등기구와 비상등을 일체로 체결한 후 서로 내선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일체로 성형하여 사용하게 되면, 수명이 다된 경우에도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콘트롤박스)에 장착된 충전지나 안정기를 간편하게 점검하여 교체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에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기구의 안정기가 수명이 다되었을 경우에도 새로 조명등기구를 구입하지 않고도 비상등 케이스 내부의 안정기만 구입하여 교체하게 되면 조명등의 역할은 물론 비상등의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충전지나 안정기를 교체할 때 내부에 LED등과 같은 저용량의 내부 조명등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휴대전등을 휴대하지 않고도 부품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조명등기구의 일측에 장착된 비상등은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정전이 되면 마그네틱 스위치 또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가 작동되어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이 수직으로 90도로 낙하 되어 대피자가 대피시 먼 거리에서 뿐만 아니라 어느 방향에서도 비상구의 위치를 빠르게 확인하여 비상구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비상등 케이스에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해 표시되는 도형을 유도표시판에 야광으로 표시함으로써 어두운 상태에서도 쉽게 비상구를 찾아 대피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정전시 유도표시판이 비상등 케이스에서 단락되어 90도로 낙하될 때, 음성합성장치에 의해 스피커로 비상구를 안내하는 음성이 전달되므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본 고안은 전등갓(1)에 반사판(2)을 부착한 조명등(3)의 일측에 안정기(4) 및 충전지(5)를 내장하고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6)을 형성한 비상등 케이스(7)가 일체로 성형된 비상조명등기구(10)에 있어서,
상기 유도표시판(6)이 비상등 케이스(7)와 접점스위치에 의해 접점되어 정전시 차단되면서 수직으로 90도로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점스위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또는 마그네틱스위치(9, 90)에 의해 접점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90도로 낙하된 유도표시판(6)은 점등과 동시에 내부의 구동장치(구동모터 및 랙과 피니언)(14, 15, 16)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되어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와 접점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이 체결된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도표시판(6)이 정전시 차단되면 음성합성장치에 의해 스피커로 음성이 전달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6)에 표시된 도형(61)이 야광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등갓(1)에 반사판(2)을 부착한 조명등(3)의 일측에 안정기(4) 및 충전지(5)를 내장하고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6)을 형성한 비상등 케이스(7)가 일체로 성형된 비상조명등기구(10)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1)의 일측에 분리된 상기 비상등 케이스(7)가 체결구(8)에 의해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착판(71)을 전등갓(1)의 일측단부의 표면(11)에 부착하여 체결구(8)로 체결하여 비상등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판(72)에 형성한 돌기부(73)가 전등갓(1)의 일측 저면에 형성한 탄성을 갖는 탄성요홈(12)에 체결하여 비상등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등기구(10)와 비상등 케이스(7)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내부(즉 컨트롤박스의 내부)에는 안정기(4) 및 충전지(5)등과 같은 부품이 수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상등 케이스(7)에 형성된 유도표시판(6)은 비상등 케이스(7)와 일측으로는 접점스위치에 의해 접점되어 있고, 상기 접점스위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에 의해 접점되어 있다. 또한, 타측은 경첩(62)에 의해 90도로 낙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 등과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정전이 되면 비상등 케이스(7)와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에 의해 접점이 된 유도표시판(6)은 단락되면서 수직으로 90도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긴급 상황이 종료된 후 전원이 공급되게 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상등 케이스(7)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4)가 작동이 되면서 구동모터(14)의 축과 연결된 랙(15)을 회전시켜서 피니언(16)을 직선운동시킨다. 그러면 피니언(16)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유도표시판(6)의 단부에 돌출된 돌출부를 밀어주게 되면 유도표시판(6)은 점점 90도로 역회전하여 비상등 케이스(7)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는 서로 접점이 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표시판(6)에 표시되어 비상구를 알려주는 도형(61)은 야광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정전이 된 후에도 비상구를 알려주는 도형(61)은 야광에 의해서 빛을 발산하게 되므로 비상구로 대비하는 사람들이 쉽게 유도표시판(6)의 도형(61)을 보고 비상구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도표시판(6)이 낙하됨과 동시에 음성합성장치에 의해 비상구를 알려주는 음성이 스피커로 전달되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들도 신속히 비상구로 안내되어 대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4)와 마그네틱 스위치(9, 90)는 각각 전원과 서로 연결되어 작동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마그네틱 스위치(9, 90)는 정전이 되면 단락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구동모터(14)는 유도표시판(6)이 90도로 하부로 낙하된 상태를 감지센서에 의해서 감지하게 되면 공급된 전원을 받아 구동되면서 유도표시판(6)을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켜서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와 접점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 시공된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기구(10)를 형성하는 전등갓(1)에 비상구로 유도하기 위해 분리된 비상등 케이스(7)를 체결구(8)에 의해 체결한다. 이때 전등갓(1)의 내부에는 이미 충전지 및 안정기 등이 내장되어 반사판(2)의 표면에 장착된 조명등(3)을 점등하게 되어 있지만, 비상구를 유도하기 위한 비상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 수명이 다 되면 천정에 장착된 조명등기구(10)를 해체하여 새것으로 교체하는 불편을 없애주기 위하여 별도로 분리된 비상등 케이스(7)를 전등갓(1)의 일측에 체결구(8)로 체결한다.
즉, 비상등 케이스(7)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착판(71)을 전등갓(1)의 일측 표면(11)에 접촉하여 체결구(8)로 체결하고, 또 서로 밀착된 측판(13)(74)도 체결구(8)로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면 조명등(3)은 실내를 조명함은 물론 비상등 케이스(7)에 형성된 유도표시판(6)은 비상구를 유도하는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내부에는 조명등기구(10)에 장착된 충전지(5)와 안정기(4) 등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전등갓(1)의 내부에 장착된 충전지나 안정기 등이 다 소모되어도 전등갓(1)의 내선을 비상등 케이스(7)의 내부에 연결하게 되면 조명등(3)은 점등이 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도 2는 상기 실시예와 다른 체결 방법을 채택한 것으로, 전등갓(1)의 일측 단부의 저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요홈(12)을 형성하고, 비상등 케이스(7)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판(72)에는 돌기부(7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73)를 탄성요홈(12)에 삽입하게 되면 탄성요홈(12)은 돌기부(73)가 삽입시 탄성되어 벌어짐과 동시에 돌기부(73)가 삽입이 되면 탄성되어 있던 탄성요홈(12)은 탄지되어 돌기부(73)를 압착하므로 전등갓(1)에 비상등 케이스(7)는 일체화 되게 체결이 되는 것이다.
이때도 역시 비상등 케이스(7)의 측판(74)과 서로 밀착된 전등갓(1)의 측판(13)을 체결구(8)로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등(3)은 실내를 조명함은 물론 유도표시판(6)은 비상구를 유도하는 비상등의 역할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내부에 수장된 안정기(4) 및 충전기(5) 등 부품이 소모되어 교체하고자 할때에 유도표시판(6)을 개폐하게 되면 내부 조명등(도면에 미도시)이 점등되어 내부를 밝혀주게 되므로 작업자는 신속히 부품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명등기구(10)에 체결되는 비상등 케이스(7)의 유도표시판(6)이 정전시 90도로 낙하하는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에서 작동하는 작용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비상등 케이스(7)에 형성된 유도표시판(6)이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접점스위치에 의해 접점이 되는 기술분야에는 모두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미 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기구에 안정기와 충전지가 내장된 비상등을 체결구에 의해 체결시킴으로써 조명등의 수명이 다하더라도 비상등에 내선만 연결하여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등과 비상구를 안내하는 유도표시판의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정전시 유도표시판이 천정에서 수직으로 젖혀지면서 대피자들의 눈에 쉽게 보이게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대피자들은 신속히 비상구로 대피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명등기구에 비상등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명등기구에 비상등이 체결된 또 다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비상등 케이스에 형성된 유도표시판이 수직으로 90도로 낙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비상등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장치(랙과 피니언)에 의해 유도표시판이 원위치로 되돌아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명등기구와 비상등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전등갓 2. 반사판
3. 조명등 4. 안정기
5. 충전지 6. 유도표시판
7. 비상등 케이스 8. 체결구
9, 90. 마그네틱 스위치 10. 조명등기구
11. 표면 12. 탄성요홈
13. 측판 14. 구동모터
15. 랙 16. 피니언
61. 도형 62. 경첩
71. 부착판 72. 돌출편
73. 돌기부 74. 측판

Claims (11)

  1. 전등갓(1)에 반사판(2)을 부착한 조명등(3)의 일측에 안정기(4) 및 충전지(5)를 내장하고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6)을 형성한 비상등 케이스(7)가 일체로 성형된 비상조명등기구(10)에 있어서,
    상기 유도표시판(6)이 비상등 케이스(7)와 접점스위치에 의해 접점되어 정전시 단락되면서 수직으로 90도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스위치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또는 마그네틱스위치(9, 90)에 의해 접점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90도로 낙하된 유도표시판(6)은 점등과 동시에 내부의 구동장치(구동모터 및 랙과 피니언)(14, 15, 16)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되어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와 접점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표시판(6)이 정전시 차단되면 음성합성장치에 의해 스피커로 음성이 전달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6)에 표시된 도형(61)이 야광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내부에는 내부조명등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7. 전등갓(1)에 반사판(2)을 부착한 조명등(3)의 일측에 안정기(4) 및 충전지(5)를 내장하고 비상구를 유도하는 유도표시판(6)을 형성한 비상등 케이스(7)가 일체로 성형된 비상조명등기구(10)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1)의 일측에 분리된 상기 비상등 케이스(7)가 체결구(8)에 의해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착판(71)과, 상기부착판(71)을 전등갓(1)의 일측단부의 표면(11)에 부착하여 체결구(8)에 의해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등 케이스(7)의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판(72)과 상기 부착판(73)에형성한 돌기부(73)와, 상기 돌기부(73)가 전등갓(1)의 일측 저면에 형성한 탄성을 갖는 탄성요홈(12)에 체결하여 비상등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표시판(6)이 비상등 케이스(7)와 접점스위치에 의해 접점되어 정전시 단락되면서 수직으로 90도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11. 제 7항 및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표시판(6)은 점등과 동시에 내부의 구동장치(구동모터 및 랙과 피니언)(14, 15, 16)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되어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및 마그네틱 스위치(9, 90)와 접점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조명등기구.
KR20-2005-0022055U 2005-07-29 2005-07-29 비상조명등기구 KR200404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055U KR200404319Y1 (ko) 2005-07-29 2005-07-29 비상조명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055U KR200404319Y1 (ko) 2005-07-29 2005-07-29 비상조명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319Y1 true KR200404319Y1 (ko) 2005-12-21

Family

ID=4370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055U KR200404319Y1 (ko) 2005-07-29 2005-07-29 비상조명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3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0330A1 (en) Combination Luminaire and Path of Egress Lighting
KR101102280B1 (ko) 피난안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피난 유도등
KR101160039B1 (ko) 배전반에 구비되는 비상조명장치
KR101055177B1 (ko) Led 조명장치
KR200404319Y1 (ko) 비상조명등기구
CN201057397Y (zh) 多种控制型指示照明组合灯
RU67227U8 (ru) Светильник шахтный головной
KR20020078574A (ko) 비상 조명등
JP5725998B2 (ja) 表示装置
KR200406400Y1 (ko)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200404612Y1 (ko) 피난구 거리 표시 유도등
KR10067973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유도등
CN207921870U (zh) 自动开闭路灯
CN203052479U (zh) 一种应急灯具
KR20150003737U (ko) 수배전반용 조명등
CN104566127A (zh) 一种可拆卸led消防灯
CN218268813U (zh) 一种磁吸灯板结构
KR20100048488A (ko) 자가 충전되는 비상등이 구비된 조명장치
KR101541145B1 (ko) 비상유도등
KR200367325Y1 (ko) 안전점검용 터널조명 등기구
JP5617537B2 (ja) 表示装置
KR101075186B1 (ko) 엘이디 조명장치
CN212061737U (zh) 一种消防应急照明标志复合灯具
CN218471130U (zh) 一种新型自动发光石英钟
CN218237107U (zh) 一种放置方式多样化的多场景led应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30002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017

Effective date: 200807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017

Effective date: 2008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