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870Y1 -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 Google Patents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870Y1
KR200403870Y1 KR20-2005-0026245U KR20050026245U KR200403870Y1 KR 200403870 Y1 KR200403870 Y1 KR 200403870Y1 KR 20050026245 U KR20050026245 U KR 20050026245U KR 200403870 Y1 KR200403870 Y1 KR 200403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emergency rescue
binding
personal emergenc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이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익 filed Critical 이상익
Priority to KR20-2005-0026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띠로 구성되며"" 형상을 이루는 몸체(10);와 상기 띠가 만나는 두 교점(11,12)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띠가 "" 형상을 이루게 하는 제1 고정구(13a,13b);와 상기 몸체(10)의 양단을 서로 결속 시키는 한 조의 제1 결속구(18a,1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에 의하면 구성의 단순화로 인하여 위급상황 발생시 부상자를 손쉽게 호송가능 하며, 위급상황에서 탈출시 자신의 몸에 신속히 착용하여 촌각을 다투는 재난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낮은 생산단가와 다양한 기능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은 호송 및 긴급 탈출을 위한 방재장비를 각 가정에 널리 보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personal emergency rescue belt}
본 고안은 휴대 및 착용이 간편한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우발적사고로 인하여 발생한 부상자를 상황에 따라 착용방법을 달리하여서 업거나 부축하여 보다쉽게 호송할 수 있는 보조 운송장비인 동시에, 조난을 당하거나 고층건물에서 긴급재난이 발생했을 때 몸에 신속하게 착용함으로써 로프나 완강기 등을 이용한 비상탈출시 구조대의 도움 없이 스스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다용도의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조용 안전벨트(등록번호:20-0187083-0000 참고)는 안전벨트에 부착되어 있는 안전고리 전면에 지퍼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장치를 달아 안전고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야간에 식별 가능하게 야광부재가 부착된 구조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멜방 형식의 어깨벨트(1),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2), 양다리에 착용하는 고정벨트(3)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벨트의 요소 부위에 다수개의 안전고리(4)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용 안전벨트(V)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V)를 소방관이나 인명 구조요원들이 입는 소방복이나 구조복 등에 일체로 부착하고, 이 안전벨트(V)에 달려있는 상기 안전고리(4)가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고 사용 시에는 꺼내 쓸 수 있게 하는 지퍼(6) 형식을 갖는 수납장치(5)가 안전고리(4) 전면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안전벨트가 소방복 등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이므로 간편한 휴대가 어렵고 다양한 재난상황에 적용하기 어렵고 높은 생산단가로 인하여 각 가정에 구비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구조용 안전벨트는 피구조자의 허리(등록번호:20-0192940-0000 참고)또는 겨드랑이만을 두르거나 사타구니와 허리 또는 사타구니와 어깨 등 신체의 일부만을 묶는 방식이어서 몸에 밀착되는 안정감이 없기 때문에 고층에서 견인 줄이나 로프 하나에 몸을 의지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신속 간편한 착용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휴대 및 운반이 편리하게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본 고안은 종래의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등 뒤의 견인방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긴급 탈출시 가슴 앞쪽에서 레펠로프(52)에 연결되고 몸 전체를 고루 감싸는 방식이므로 피구조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줄여주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는 하나의 띠로 구성되며,"" 형상을 이루는 몸체(10);와 상기 띠가 만나는 두 교점(11,12)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띠가 "" 형상을 이루게 하는 제1 고정구(13a,13b)와; 상기 몸체(10)의 양단을 서로 결속시키는 한 조의 제1 결속구(18a,1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교점(12)에는 상기의 몸체(10)를 따라 움직이는 왈(曰)자형의 제1 고정구(13);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중 제1 교점(11)과 제2 교점(12) 사이를 이루는 부분인 몸체상부(17)의 어느 부위에 결합 되어, 상기 몸체상부(17)를 따라 움직이며, 각 말단에 한 조의 제2 결속구(19a,19b)가 구비되는 가슴벨트(16a,16b);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형상의 띠로서, 그 상부에 제2 결속구(19a,19b)와 결속되는 제3 결속구(21a,21b)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제1 결속구(18a,18b)와 결속되는 제4 결속구(22a,22b)가 구비되는 X 형 보조멜빵(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일자형 띠로서, 양단에 한 조의 제5 결속구(32a,32b)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상기의 몸체(10)에 결합하는 클립버클(30)이 구비된 어깨끈(3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벨크로테잎(40)이 구비되어 상기의 어깨끈(31) 또는 상기의 몸체(10)에 탈착되는 어깨패드(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의 몸체상부(17)에 결합되는 원형의 견인띠(50);와 하강 탈출 수단인 레펠로프(52);와 상기 견인띠(50)와 상기 레펠로프(52)를 연결하는 캐리비너(5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제2 실시예,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슴벨트(16a,16b)가 부착된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속장비의 평면도 이다.
도1 내지 도4 , 도7 내지 도9 ,그리고 도12 와 도1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를 위한 개인 호송용 구난 벨트는 몸체(10),제1 고정구(13a,13b) 및 제1 결속구(18a,18b)로 구성되며,가슴벨트(16),어깨끈,제2 결속구(19a,19b),제5 결속구(32a,32b),어깨패드(4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몸체(10)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띠의 양 단부를 원형으로 교차시켜 두 교점(11,12)에서 겹쳐지는 "" 의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양단부는 두 교점(11,12)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게 하며,교점으로부터 튀어나온 연장선은 허리벨트(14)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몸체(10)는 두 교점(11,12)에서 서로 겹쳐지는 호(10a)와 현(10b)을 가지게 되며,제1 교점(11)을 재봉함으로써 일정크기의 원형을 확보 하여 피구조자의 체중에 의한 벨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한편, 제2 교점(12)은 왈(曰)자의 제1 고정구(13b)로 고정하여 각 개인의 체형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10a)와 현(10b)은 피구조자의 둔부 상하를 감싸는 것으로, 피구조자의 체중을 구조자의 등과 어깨에 고루 분산 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결속구(18a,18b)는 한조의 버클 형상이며,허리벨트(14)의 끝에 구비되어 별도의 보조수단없이 빠른 시간내에 상황에 따라 신속한 체결이 가능 하다.
허리벨트(14)는 피구조자의 체중을 구조자의 허리에 고루 분산 시키는 역할과 피구조자를 구조자의 몸에 밀착 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교점(11,12)으로부터 뻗어나와 있고 상기 몸체(10)의 일 부분으로 되어있다.
상기 등걸이부(17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10a)와 현(10b)의 반대쪽 원주 상의 몸체상부(17)의 일 부분으로서, 피구조자의 등을 감싸면서 양쪽 겨드랑이를 지나 구조자의 어깨에 걸리는 어깨멜빵부(15)와 일체형이며, 상기 허리벨트(14)와 함께 피구조자를 밀착 고정토록 하여, 피구조자가 의식이 없을 경우에도 구조자의 등에 업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어깨끈(31)은 일자형의 띠로서,양단에 제 5결속구(32a,32b)가 구비되있으며,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클립버클(30)과 연결되어 어깨 넘어 가슴벨트(16)와 결속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다. 이 어깨끈(31)은 상기 등걸이부(17a)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며,가슴벨트(16)의 양단에 구비된 한조의 제2 결속구(19a,19b)와 결속이 가능하다.
상기 클립버클(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이며 피구조자를 구조자의 등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각 개인의 체형에 따라 상기 등걸이부(17a)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어깨멜빵부(15)는 후술하는 제2 고정구(9)와 상기 두 교점(11,12)을 연결하는 몸체(10)의 일 부분으로서 피구조자의 체중을 구조자의 어깨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슴벨트(16)는 피구조자의 체중의 대부분을 부담하는 어깨멜빵부(15)의 처짐 방지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두 교점(11,12) 사이를 이루는 부분인 몸체상부(17)의 두 지점에 제2 고정구(9)를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결속구(19a,19b)를 통하여 서로 결속되어 구조자의 가슴에 밀착 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가슴벨트(16)는 어깨 멜빵부(15)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왈(曰)자형 제2 고정구(9)로 연결해서, 체형에 따른 위치의 변화, 또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긴급 탈출 용도로 사용할 때 원형 벨트의 변형에 따른 위치 변화에 적응하게 한다.상기의 왈자형 제2 고정구(9)는 한 쪽에 별도의 벨트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고리를 부가적으로 가진 왈자 크로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왈자 크로스의 한 쪽에 부가된 고리에는 상기 가슴벨트(16)가 고정되고 왈자 비조부위는 상기 몸체(1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살펴본다.
개인용 긴급 구난벨트의 제2 실시예를 위하여는 몸체(10),호(10a),현(10b),허리벨트(14),가슴벨트(16)가 사용된다.
도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호(10a)와 현(10b) 및 허리벨트(14)를 이용하여 부상자의 다리를 고정하고 등걸이부(17a)와 가슴벨트(16)를 구조자의 반대편 어깨에 고정한다. 구조자는 벨트가 고정된 어깨의 반대편 팔을 이용하여 부상자를 부축함과 동시에 어깨에 고정된 벨트를 통하여 부상자의 체중을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8 내지 도11 은 본 고안을 긴급 탈출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위하여 몸체(10), 허리벨트(14), 가슴벨트(16),어깨끈(31),어깨패드(41),캐리비너(51),견인띠(50),보조멜빵(20),레펠로프(52)가 사용된다.이하 본 고안의 긴급 탈출 용도로써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고안을 착용하기 위해 펼쳐놓은 상태도로써 착용자의 등 뒤에서 착용자를 관통하여 관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호(10a)와 현(10b)의 양 단부를 비틀어 교차시켜 ∞ 형태를 만든 뒤 이때 형성되는 두 개의 구멍에 양 다리를 끼워 넣어 교차되는 부분이 사타구니에 밀착되도록 착용하고, 허리벨트(14)를 뒤로 돌려 엉덩이 상부에 고정하여 조인다.
상기 어깨멜빵부(15)를 도 7 내지 도 1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슴 앞쪽에서 X 형태로 교차시킨 뒤 등걸이부(17a)를 머리 위로 뒤집어써서 겨드랑이에 위치시키고, 클립버클(30)에 연결된 어깨끈(31)을 어깨 넘어 가슴벨트와 수직으로 결착하여서 등걸이부(17a)를 겨드랑이 높이에 밀착 고정 시킴으로써 구조 대기 중인 피구조자의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왈(曰)자형의 제2 고정구(9)는 상기 가슴벨트(16)를 몸체(10)에 결합하고 어깨멜빵부(15)를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착용상태에 따라 가슴벨트(16)를 가슴 앞쪽에 위치시켜서 후술하는 보조멜빵고(20)과 가슴벨트(16)를 제3 결속구(21a,21b)와 제2 결속구(19a,19b)를 통하여 결속시킨다.
상기 클립버클(30)에 등걸이부(17a)를 접어 물려서 본 고안이 몸을 긴밀하게 조일 수 있도록 사이즈를 조절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3의 보조멜빵(20)을 착용한 경우를 도식화한 것이다.보조멜빵(20)은 X형상의 띠로서, 그 상부에 제2 결속구(19a,19b)와 결속되는 제3 결속구(21a,21b)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제1 결속구(18a,18b)와 결속되는 제4 결속구(22a,22b)가 구비된다.상기 보조멜빵(20)은 허리 뒤쪽에서 맞물려 있는 허리벨트(14)를 어깨 넘어 가슴벨트(16)와 연결시켜서 엉덩이 상부에 걸친 허리벨트(14)와 어깨멜빵부(15)의 처짐을 방지하는 한편, 본 고안을 착용자의 몸통에 단단히 결속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15는 본 고안을 이용한 비상탈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견인띠(50)는 긴급 탈출시 구난자의 체중을 후술하는 레펠로프(5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폐쇄원형의 고리 형상으로서 상기 몸체(10)와 같이 직물띠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띠(50)의 일단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멜빵부(15)가 착용자의 가슴 앞쪽에서 교차되는 부분에 통과시켜 연결하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캐리비너(51)와 연결한다.
레펠로프(52)는 구난자가 탈출시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며 후술하는 캐리비너(51)를 통해 상기 견인띠(50)에 연결된다. 구난자는 상기 레펠로프(52)를 따라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탈출가능하며,급류에 조난당한 경우는 수평이동도 가능하다.
캐리비너(51)는 등산장비로 흔히 쓰이는 것이며 스프링을 통하여 개방형 원형과 폐쇄형 원형의 상호 전환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상기 캐리비너(51)는 연결띠(50)와 레펠로프(52)를 연결하는 수단뿐 아니라, 몸체(10)와 견인띠(5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이경우 피구조자가 몸체(10)를 착용한 후에도 견인띠(50)를 연결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특히 별도의 완강기를 이용하여 몸체(10)와 레펠로프(52)를 연결해서 탈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어깨패드(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부속 장비로서,양 날개(42)에 벨크로테입(40)을 구비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개방형이며, 본 고안에 의한 부상자 호송 시에 구조자의 어깨를 보호하고, 긴급 탈출용으로 착용했을 때에는 체중에 의한 압박으로부터 피구조자의 양 겨드랑이를 보호한다.
한편 상기 몸체(10),가슴벨트(16),보조멜빵(20),어깨끈(31)의 각 말단은 왈(曰)자 고정구를 구비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본 고안에 야광용 형광표식을 부착하면 야간에 발생하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 예들이 개시(開示)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의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에 의하면, 갑작스런 부상자 발생이나 긴급한 위기 상황하에서 부상자를 신속히 호송하거나 자신의 몸에 직접 체결하여 위기 상황의 탈출 수단으로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구난 장비에 비하여 구성과 사용이 간편하므로 시간을 다투는 위기 상황하에서는 특히 그 진가를 발휘할 것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생산단가가 낮아지는 이점과 더불어, 본 고안의 다양한 기능성은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충족시킬 수가 있어서, 일반 가정에서도 재난에 대비한 구난 방재장비를 비치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슴벨트(16a,16b)가 부착된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속장비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상자를 업은 상태의 사용예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상자를 업은 상태의 사용예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상자를 업은 상태의 사용예시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상자를 부축한 상태의 사용예시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긴급 탈출 용도로 착용하기 위한 전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긴급 탈출 용도로 착용한 상태의 사용예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긴급 탈출 용도로 착용한 상태의 사용예시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긴급 탈출 용도로 착용한 상태의 사용예시 배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 멜빵(20)을 착용한 상태의 사용예시 정면도.
도 13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 멜빵(20)을 착용한 상태의 사용예시 측면도.
도 14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 멜빵(20)을 착용한 상태의 사용예시 배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리비너(51)와 레펠로프(52)를 이용한 긴급탈출의 사용예시도.
도 16은 종래의 구난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0a:호
10b:현 11,12:교점
13a,13b:제1 고정구 14:허리벨트
15:어깨 멜빵부 16:가슴벨트
17:몸체상부 18a,18b:제1 결속구
19a,19b:제2 결속구 20:보조멜빵
21a,21b:제3 결속구 22a,22b:제4 결속구
30:클립버클 31:어깨끈
32a,32b:제5 결속구 40:벨크로테잎
41:어깨패드 42:날개
50:견인띠 51:캐리비너
52:레펠로프

Claims (7)

  1. 하나의 띠로 구성되며,"" 형상을 이루는 몸체(10);와
    상기 띠가 만나는 두 교점(11,12) 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띠가 "" 형상을 이루게 하는 제1 고정구(13a,13b)와;
    상기 몸체(10)의 양단을 서로 결속 시키는 한 조의 제1 결속구(18a,1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13a,13b)중 하나는 상기의 몸체(10)를 따라 움직이는 왈(曰)자형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중 두 교점(11,12) 사이를 이루는 부분인 몸체상부(17)의 어느 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상부(17)를 따라 움직이며, 각 말단에 한 조의 제2 결속구(19a,19b)가 구비되는 가슴벨트(16a,1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X형상의 띠로서, 그 상부에 제2 결속구(19a,19b)와 결속되는 제3 결속구(21a,21b)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제1 결속구(18a,18b)와 결속되는 제4 결속구(22a,22b)가 구비되는 X 형 보조멜빵(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일자형 띠로서, 양단에 한 조의 제5 결속구(32a,32b)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상기의 몸체(10)에 결합하는 클립버클(30)이 구비된 어깨끈(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6. 제1항에 있어서,
    벨크로테잎(40)이 구비되어 상기의 어깨멜빵부(15) 또는 등걸이부(17a)에 탈착되는 어깨패드(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상부(17)에 결합되는 원형의 견인띠(50);와
    하강 탈출 수단인 레펠로프(52);와
    상기 견인띠(50)와 상기 레펠로프(52)를 연결하는 캐리비너(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KR20-2005-0026245U 2005-09-12 2005-09-12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KR200403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245U KR200403870Y1 (ko) 2005-09-12 2005-09-12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245U KR200403870Y1 (ko) 2005-09-12 2005-09-12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774A Division KR100671167B1 (ko) 2005-09-12 2005-09-12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870Y1 true KR200403870Y1 (ko) 2005-12-14

Family

ID=4370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245U KR200403870Y1 (ko) 2005-09-12 2005-09-12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8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167B1 (ko)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US7086091B2 (en) Full body harness
US6481528B2 (en) Combination utility belt and climbing harness
US6438756B1 (en) Suspended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having installation assembly
US7979919B2 (en) Full body harness
US9101789B2 (en) Belt and harness assembly
US6105169A (en)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US4076101A (en) Utility coat with seating harness
US20060195962A1 (en) Full body harness
US20040182644A1 (en) Rescue harness for injured person and rescuer
JPH08336607A (ja) 落下防護用安全スーツ
US6308335B1 (en) Extrication harness apparatus having suspender assembly
US6283248B1 (en) Compact climbing harness
US8826469B2 (en) Safety net harness
US8281894B2 (en) Floating harness
US20210129956A1 (en) Lift Vest With Webbing To Reduce Or Eliminate Vertical Sliding
US20030146044A1 (en) Sefety harness with support strap
US7302723B2 (en) Fire rescue belt
KR200403870Y1 (ko) 개인용 긴급 구난 벨트
US20190388716A1 (en) Trauma Relief Strap Assembly for Safety Harness
JP5823916B2 (ja) ヘリ救助用の被災者用装着バンド
CN214232461U (zh) 一种救援背带结构
CN217041123U (zh) 一种可调节腰带和背带的消防服
CN214762957U (zh) 一种基于女性功能学结构救援式背带
CN220404660U (zh) 一种防坠落悬挂用安全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