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395Y1 - a handrail and support - Google Patents

a handrail and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395Y1
KR200403395Y1 KR20-2005-0026027U KR20050026027U KR200403395Y1 KR 200403395 Y1 KR200403395 Y1 KR 200403395Y1 KR 20050026027 U KR20050026027 U KR 20050026027U KR 200403395 Y1 KR200403395 Y1 KR 200403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drail
hemisphere
bracket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0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종복
Original Assignee
안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복 filed Critical 안종복
Priority to KR20-2005-0026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3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395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레일의 경사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드레일과 지주를 서로 직각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핸드레일의 어느 한 단부에 끼워지는 핸드레일연결관체와, 상기 핸드레일연결관체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반구체를 포함하는 제 1브라켓과,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지주연결관체와, 상기 지주연결관체 둘레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체 및 상기 연장체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반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좌, 우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브라켓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2브라켓은 상기 회동반구체와 고정반구체의 평탄부를 서로 면접촉한 상태에서 힌지 체결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브라켓이 상기 제 2브라켓에서 상, 하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rail, and also relates to a handrail and the suppor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rail and the suppor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connection member is fitted to the first bracket including a handrail connecting tube fitted to any one end of the handrail, a rotating hemisphere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handrail connecting tub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The support includes a support connecting body, an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nnecting body, and a fixed hemispher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and are assembled to be rotatable horizontally left and right around the support. It consists of two brackets,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re hinged in a state in which the flat parts of the rotating hemisphere and the fixed hemisphe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bracket around the hinge, the upper and lower, It is configured to connect vertically.

Description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a handrail and support}Handrail and Support Joints {a handrail and support}

본 고안은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레일의 경사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드레일과 지주를 서로 직각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rail and a strut connecting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rail and a strut connecting member which can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rail and to connect the handrail and the strut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물의 계단 일측부에는 안전과 미관을 고려하여 난간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난간은 통상 계단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거나 혹은 설치위치에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는 핸드레일과, 상기 핸드레일의 양단부를 받쳐주는 포스트인 지주 및 상기 핸드레일과 지주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is well known, handrails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airs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aesthetics, and such handrails are usually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tairs or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installation position. It comprises a post in the support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handrail and th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rail and the support.

하지만 종래의 연결부재는 핸드레일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핸드레일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곳에서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따로 사용해야 함으로서 시공에 많은 번거로움을 유발하게 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ion member was not provided with a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rail, and therefore, where the handrail is installed horizontally,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must be used separately, causing a lot of trouble in construction. .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20-0185378 호(명칭: 계단 난간용 핸드레일의 각도 조절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ior a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85378 (name: angle adjusting device of the handrail for stairs rai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

상기 선행기술은 각 핸드레일에 결합되며 서로 조립되는 한쌍의 엘보와, 상기 엘보의 사이 조립부위에 결합되는 소켓으로 구성한 각도조절구를 이용하여 핸드레일의 조립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prior art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adjust the assembly and the angle of the handrail by using an angle adjustor composed of a pair of elbows coupled to each handrail and assembled to each other, and the socket coupled to the assembly between the elbows. Hav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유발하게 된다.However, the prior art causes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use process.

먼저, 핸드레일의 양단부에는 상기 핸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가 구비되어 져야 하는 데, 선행기술과 같이 핸드레일의 양단부를 각도조절구로 연결하게 되면 지주의 설치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구조물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First, both ends of the handrail should be provided with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handrail, if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handrail with the angle adjustment as in the prior art,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is impossible, and thus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is greatly There is a problem of falling.

또한 핸드레일과 엘보와의 조립부위에도 별도의 결합부재들이 구비됨에 따라 복잡한 구성으로 인한 시공의 불편함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separate coupling members are also provided at the assembly portion of the handrail and the elbow,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inconvenience of construction due to a complicated configuration.

한편, 계단은 그 형상에 따라 곧은계단, 굴절계단, 중공계단등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곧은계단은 평면상에서 일자형의 계단을 말하고, 굴절계단은 평면상에서 "┒"등으로 일측이 90°로 꺽여지는 계단을 말하며, 마지막으로 중공계단은 평면상에서 "□"의 네모난형상의 계단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irs are divided into straight stairs, refractive stairs, hollow stair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hape. The straight staircase refers to a straight staircase on a plane, and the refraction staircase refers to a staircase that is bent at 90 ° on one side such as "┒" on a plane. Says

상기한 종류중 굴절계단과 중공계단에는 그 형상에 맞도록 핸드레일 역시 90°로 꺽여져가며 설치되어져야 하는 데, 선행기술의 각도조절구로는 90°로 꺽여진 곳에서는 핸드레일과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없으며, 따라서 시공상에도 극히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mong the above types, the handrail must also be installed at the refraction step and the hollow step to be bent at 90 ° to fit the shape. In the prior art, the angle adjus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handrail at the place bent at 90 °.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arried out, and therefore extremely limited in construction.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주에 조립되는 핸드레일의 경사각도를 상, 하 수직으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handrail and support connecting member for freel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rail assembled to the support vertically, vertically.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연결부재가 지주상에서 좌, 우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계단의 형상에 따라 핸드레일과 지주를 필요에 따라 직각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rail and support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handrail and the support perpendicular to the ne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tair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assembled to rotate left and right horizontally on the support. Is i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의 편리함을 기할 수 있는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rail and strut connecting member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construc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핸드레일과, 상기 핸드레일의 양단부에 위치하며 원통 단면형태를 가진 지주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핸드레일의 어느 한 단부에 끼워지는 핸드레일연결관체와, 상기 핸드레일연결관체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반구체를 포함하는 제 1브라켓과,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지주연결관체와, 상기 지주연결관체 둘레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체 및 상기 연장체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반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좌, 우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브라켓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2브라켓은 상기 회동반구체와 고정반구체의 평탄부를 서로 면접촉한 상태에서 힌지 체결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브라켓이 상기 제 2브라켓에서 상, 하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and rail and a hand rail and a support connecting member, which are used to connect a support having a cylindrical cross-section and located at both ends of the hand rail, the connecting member is the hand A first bracket comprising a handrail connecting tube fitted to one end of the rail, a rotating hemisphere protruding from a tip of the handrail connecting tube, a supporting connecting body fit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ing post, and the supporting post And a second bracket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horizontally on the connecting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ixed hemisphere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and being rotatably assemb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rackets 1 and 2 are hinged in a state in which the flat parts of the rotating hemisphere and the fixed hemisphere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enter the hinge The hand bracket and the support connec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racket is rotatably connected vertically in the second bracket.

상기 연장체의 끝단에는 상기 회동반구체가 끼워지기 위한 라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핸드레일연결관체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반구체가 끼워지기 위한 라운드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rm a round groove at the end of the extending body for the rotation hemisphere is fitted, the round groove for the fixed hemisphere is fitted at the front end of the handrail connecting tub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지주와 핸드레일 연결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rut and handrail connecting member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는 크게 제 1, 2브라켓(40, 50)으로 나뉘어진다.As shown, the connection member 30 is largely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and 50.

상기 제 1브라켓(40)은 핸드레일(10)에 조립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핸드레일(10) 어느 한 단부에 끼워져 나사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핸드레일연결관체(42)를 포함한다. 상기 핸드레일연결관체(42)의 선단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앞쪽에는 반구(半球)형상으로 후면에 평탄부(44a)를 가지는 회동반구체(4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뒤쪽에는 라운드홈(46)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운드홈(46)에는 후술하는 제 2브라켓(50)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반구체(54)가 끼워져 상기 회동반구체(44)와 면접촉하며 힌지(60) 체결되어 진다.The first bracket 40 is a part assembled to the hand rail 10, and includes a hand rail connecting pipe 42 fitted to one end of the hand rail 10 and coupled to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At the front end of the hand rail connecting pipe 42, a pivoting hemisphere 44 having a flat portion 44a on the rear sid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center with a hemisphere shape at the front, and a round groove at the rear thereof. 46) is recessed. The round groove 46 is fitted with a fixed hemisphere 54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otation hemisphere 44 and the hinge 60 is fastened.

상기 제 2브라켓(50)은 지주(20)에 조립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주(20)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끼워져 나사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지주연결관체(52)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연결관체(52)의 둘레면에는 수평으로 연장체(53)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장체(53)의 끝단에는 중앙을 기준으로 뒤쪽에는 반구(半球)형상의 전면에 평탄부(54a)를 가지는 고정반구체(5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앞쪽에는 라운드홈(56)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브라켓(50)의 고정반구체(54)와 라운드홈(56)의 위치는 전술한 제 1브라켓(40)의 회동반구체(44)와 라운드홈(46)의 위치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bracket 50 is a part assembled to the support 20, and includes a support connector 52 that is vertically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20 and coupl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An extension body 5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connection pipe body 52, and a flat portion 54a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body 53 at the rear of the hemispherical shape at the rear of the extension body 53. The fixed hemisphere 54 having a protrusion is formed, the front of the round groove 56 is recessed.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fixed hemisphere 54 and the round groove 56 of the second bracket 50 are opposite to the positions of the rotating hemisphere 44 and the round groove 46 of the first bracket 40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as to be formed in the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1, 2브라켓(40, 50)은 상호 힌지(60) 체결되어 제 1브라켓(40)이 상기 힌지(60)를 중심으로 상기 제 2브라켓(50)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지는 바, 이는 후술하는 도 2a 내지 도 3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and 5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re fastened to the hinges 60 so that the first bracket 40 is rotatable on the second bracket 50 about the hinge 60. This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FIGS. 2A to 3 to be described later.

도 2a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브라켓(40, 50)의 연결은 상기 제 1브라켓(40)의 회동반구체(44)를 상기 제 2브라켓(50)의 라운드홈(56)에 끼워넣게 되면 상기 제 2브라켓(50)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반구체(54)는 상기 제 1브라켓(40)의 라운드홈(46)에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반구체(44)와 고정반구체(54)의 평탄부(44a, 54a)가 서로 면접촉한 상태로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동반구체(44)와 고정반구체(5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6, 56)으로 힌지(60)를 끼워넣고, 너트(62) 체결함으로서 제 1, 2브라켓(40, 50)은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60)를 중심으로 제 1브라켓(40)이 상, 하 수직으로 회동하며 핸드레일(10)의 경사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and 50 connect the rotating hemisphere 44 of the first bracket 40 to the round grooves of the second bracket 50. 56, the fixed hemisphere 54 provided in the second bracket 50 is fitted into the round groove 46 of the first bracket 40, and thus the rotating hemisphere 44 ) And the flat portions 44a and 54a of the fixed hemisphere 54 are assembled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hinge 60 is inserted into the holes 46 and 56 formed in the rotating hemisphere 44 and the fixed hemisphere 54,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50, the first bracket 40 rotates vertically about the hinge 60 in the connected state as shown in FIG. 3 and can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rail 10. Will be.

한편, 상기 지주(20)는 원통 단면형태의 파이프로 제작되고, 또한 상기 지주(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 2브라켓(50)의 지주연결관체(52) 역시 원통관형태로 제작되도록 함으로서 제 2브라켓(50)은 상기 지주(20)상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 우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계단의 형상에 따라 핸드레일(10)과 지주(20)와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계단의 형상이 "┒"형태로 일측이 90°로 꺽여지는 형상의 굴절계단이나, 혹은 "□"형태의 네모난형상의 중공계단의 경우에는 핸드레일(10)을 지주(20)상에서 직각되게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지주(20)상에 조립되어 있는 제 2브라켓(50)을 수평으로 좌, 우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서 핸드레일(10)과 지주(20)가 직각으로 조립되는 곳에서도 연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20) is made of a pipe having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also the support connecting body 52 of the second bracket (50)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20) is also made to be made of a cylindrical pipe form 2 bracket 50 can b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ly rotatable in the fitted state on the support (20), and thus easy connection work between the handrail 10 and the support (2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tairs Can be done. That is, in the case of a refraction staircase in which one side is bent at 90 ° in the shape of a staircase or a hollow staircase in a square square shape, the handrail 10 is supported on the support 20. It is necessary to connect at right angles, and in this case, the hand rail 10 and the support 20 are assembled at right angles by rotating the second bracket 50 assembled on the support 20 horizont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ou will be able to easily connect from anywher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andrail and the support connecting memb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고안인 연결부재(30)의 조립은 제 2브라켓(50)의 지주연결관체(52)를 상기 지주(20) 외주면 일정높이에 끼워넣고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 다음, 상기 제 2브라켓(50)의 후방에 제 1브라켓(40)을 힌지(60) 체결시킨다. 즉, 상기 제 2브라켓(50)의 라운드홈(56)에 상기 제 1브라켓(40)의 회동반구체(44)를 끼워넣고 상기 제 2브라켓(50)의 고정반구체(54)를 상기 제1브라켓(40)의 라운드홈(46)에 끼워넣게 되면 상기 회동반구체(44)와 고정반구체(54)의 평탄부(44a, 54a)가 서로 면접촉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회동반구체(44) 및 고정반구체(54)의 구멍(44b, 54b)으로 힌지(60)를 끼워넣고, 상기 힌지(60)의 끝단을 너트(62)로 체결시킴으로서 제 1, 2브라켓(40, 5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First, the assembly of the connection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ert the strut connecting body 52 of the second bracket (50)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rut 20 and fixed with a fastening means, and then the second bracket ( Fastening the first bracket 40 to the hinge 60 at the rear of the 50. That is, the rotating hemisphere 44 of the first bracket 40 is inserted into the round groove 56 of the second bracket 50, and the fixed hemisphere 54 of the second bracket 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40. When the first groove is inserted into the round groove 46 of the bracket 40, the rotating hemisphere 44 and the flat portions 44a and 54a of the fixed hemisphere 54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hinge 60 is inserted into the holes 44b and 54b of the sphere 44 and the fixed hemisphere 54,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40 are fastened by tightening the ends of the hinge 60 with the nut 62. 50) are interconnected.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브라켓(40)의 핸드레일연결관체(42)에 핸드레일(10)을 끼워넣음으로서 핸드레일(10)과 지주(20)는 본 고안의 연결부재(3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진다. 이때 핸드레일(10)은 지주(20)상에서 일정각도 경사지거나 혹은 평행하게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에는 첨부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10)에 조립되어 있는 제 1브라켓(40)을 힌지(60)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서 핸드레일(1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is state, by inserting the handrail 10 into the handrail connecting body 42 of the first bracket 40, the handrail 10 and the support 20 are mutu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At this time, the handrail 10 needs to be inclined at an angle or connected in parallel on the support 20, an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bracket 40 is assembled to the handrail 10. By rotating the center around the hinge 60 can be easily adjusted the angle of the handrail (10).

또한 중공계단이나 굴절계단등에 설치되는 지주(20)와 핸드레일(10)은 서로 직각되게 연결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에는 첨부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20)에 조립되는 제 2브라켓(50)을 수평으로 회동시킴으로서 핸드레일(10)과 지주(20)를 서로 직각되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20 and the handrail 10 installed in the hollow stairs or the refraction stairs need to be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econd bracket is assembled to the support 20 as shown in FIG. 5. By rotating 50 horizontally, the handrail 10 and the support 20 can be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2브라켓(40, 50)을 연결시키는 힌지(60)의 다른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6 and 7 illustrate other embodiments of the hinge 6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and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고안의 힌지(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너트 체결방식으로 힌지(60)를 상기 제 1, 2브라켓(40, 50)의 회동반구체(44) 및 고정반구체(54)의 구멍(44b, 54b)에 끼워넣은 다음, 힌지(60)의 반대쪽에 너트(62)를 체결하고, 힌지(60)와 너트의 외면에 캡을 끼워 마감처리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수볼트(160a, 160b)를 상기 회동반구체(44)의 구멍(44b)과 고정반구체(54)의 구멍(54b)에 각각 끼워넣은 다음, 서로 조립한 것을 힌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반구체(44)와 고정반구체(54)에 구멍을 형성시키지 않고, 상기 회동반구체(44)의 평탄부(44a) 중앙에는 경사돌기(260a)를 형성하고. 고정반구체(54)의 평탄부(54b) 중앙에는 상기 경사돌기(260a)에 대응하는 홈(260b)을 형성하여 회동반구체(44)와 고정반구체(54)의 면접촉시 상기 경사돌기(260a)가 홈(260b)에 끼워지도록 하여 경사돌기(260a)를 힌지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hing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hinge 60 in the bolt, nut fastening method the rotating hemisphere 44 and the fixing plate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50) After inserting into the holes 44b and 54b of the sphere 54, the nut 62 is faste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60, and the cap 60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inge 60 and the nut. 6, the female and male bolts 160a and 160b are inserted into the holes 44b of the pivoting hemisphere 44 and the holes 54b of the fixed hemisphere 54, respectively, and then The assembled one can be used as a hing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n inclined protrusion 260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lat portion 44a of the rotating hemisphere 44 without forming a hole in the rotating hemisphere 44 and the fixed hemisphere 54. Forming. A groove 260b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rotrusion 260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lat portion 54b of the fixed hemisphere 54 so that the inclined protrusion whe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hemisphere 44 contacts the fixed hemisphere 54. The inclined protrusion 260a can be used as a hinge so that the 260a is fitted in the groove 260b.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As discuss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many effects as follows.

먼저, 제 1브라켓이 힌지를 중심으로 상. 하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핸드레일의 경사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하나의 연결부재만으로 핸드레일을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 및 사용의 편리함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rst, the first bracket is centered on the hinge. It is configured to be rotated vertically to fre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rail can be connected to the handrail parallel or inclined with only one connection member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in construction and use.

또한 제 2브라켓이 지주를 중심으로 좌, 우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 구성함으로서 굴절계단이나 중공계단에서 핸드레일과 지주를 직각되게 연결하며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계단의 형상에 상관없이 핸드레일과 지주와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second bracket is assembled so that it can be rotated horizontally left and right around the support, so that the handrail and support can be connected at right angles at the refraction or hollow stairs to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tairs. It has a synergistic effect that it can perform a connection with.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입체도.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rail and the strut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연결부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Figure 2a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도 2b는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연결부재가 조립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ure 2a assembled.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통해 핸드레일의 경사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handrail is adjust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통해 핸드레일의 경사를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handrail is adjust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통해 핸드레일과 지주가 직각되게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Figure 5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rail and the support is connected perpendicularly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핸드레일 20: 지주10: handrail 20: prop

30: 연결부재 40: 제 1브라켓30: connecting member 40: first bracket

42: 핸드레일연결관체 44: 회동반구체42: hand rail connecting body 44: rotating hemisphere

46: 라운드홈 50: 제 2브라켓46: round groove 50: 2nd bracket

52: 지주연결관체 54: 고정반구체52: support connector 54: fixed hemisphere

56: 라운드홈 60: 힌지56: round groove 60: hinge

Claims (2)

핸드레일(10)과, 상기 핸드레일(10)의 양단부에 위치하며 원통 단면형태를 가진 지주(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핸드레일(10)과 지주(20) 연결부재에 있어서,In the hand rail 10 and the hand rail 10 and the support 20 connecting member which ar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hand rail 10 and used to connect the support 20 having a cylindrical cross-sectional shape to each other, 상기 연결부재(30)는;The connecting member 30 is; 상기 핸드레일(10)의 어느 한 단부에 끼워지는 핸드레일연결관체(42)와, 상기 핸드레일연결관체(42)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반구체(44)를 포함하는 제 1브라켓(40)과;A first bracket 40 including a hand rail connecting pipe 42 fitted to one end of the hand rail 10 and a rotating hemisphere 44 protruding from a tip of the hand rail connecting pipe 42. )and; 상기 지주(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지주연결관체(52)와, 상기 지주연결관체(52) 둘레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체(53) 및 상기 연장체(53)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반구체(54)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20)를 중심으로 좌, 우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브라켓(50)으로 구성하며;Fix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upport body 52 and the extension body 53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nnector body 52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20) A second bracket (50) comprising a hemisphere (54) and rotatably assembled horizontally around the support (20); 상기 제 1, 2브라켓(40, 50)은 상기 회동반구체(44)와 고정반구체(54)의 평탄부(44a, 54a)를 서로 면접촉한 상태에서 힌지(60) 체결하여 상기 힌지(6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브라켓(40)이 상기 제 2브라켓(50)에서 상, 하 수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0 and 50 engage the hinge 60 in a state in which the flat parts 44a and 54a of the pivoting hemisphere 44 and the fixed hemisphere 54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inge 60 The first handrail and the support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racket (40) is rotatably connected vertically, vertically in the second bracket (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장체(53)의 끝단에는 상기 회동반구체(44)가 끼워지기 위한 라운드홈(56)을 형성하고, 상기 핸드레일연결관체(42)의 선단에는 상기 고정반구체(54)가 끼워지기 위한 라운드홈(4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과 지주 연결부재.A round groove 56 for fitting the pivot hemisphere 4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53, and the fixed hemisphere 54 is fitted at the tip of the handrail connecting pipe 42. Handrail and strut connect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round groove (46).
KR20-2005-0026027U 2005-09-09 2005-09-09 a handrail and support KR2004033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27U KR200403395Y1 (en) 2005-09-09 2005-09-09 a handrail and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27U KR200403395Y1 (en) 2005-09-09 2005-09-09 a handrail and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395Y1 true KR200403395Y1 (en) 2005-12-09

Family

ID=4370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027U KR200403395Y1 (en) 2005-09-09 2005-09-09 a handrail and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39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52B1 (en) * 2018-05-02 2018-11-20 성주호 Stairway rai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52B1 (en) * 2018-05-02 2018-11-20 성주호 Stairway ra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7232A (en) Hinge joint for tubular rail and post members
US7210811B1 (en) Ceiling mounted swing arm lighting apparatus
KR200403395Y1 (en) a handrail and support
KR102369460B1 (en) Handrail 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TWM552239U (en) Supporting device
CN103003511B (en) For the articulated stand of guardrail
JP2000352172A (en) Connector
CN209743221U (en) Pitching shaft fixing mechanism and fan
US20210307980A1 (en) Wheelchair back support adjustment system with central spherical joint
JP2886476B2 (en) Handrails and handrail joints
JP2603639Y2 (en) Protective fence
JP3813545B2 (en) Handrail and handrail angle adjustment mechanism
KR20090030936A (en) A connector for handrail with the regulation of place and angle
US7654506B1 (en) Stairway handrail
CN220768667U (en) Armrest (Armrest)
CN105569236A (en) Wall clip provided with angle adjusting piece
RU19696U1 (en) ADJUSTABLE HINGE ASSEMBLY OF LADDER ELEMENTS
KR200334460Y1 (en) device for connecting handle pipe of railing
CN219411579U (en) Make shaping protection railing have stand of arbitrary direction regulatory function
JP2000080776A (en) Balustrade for staircase
JP2002194872A (en) Handrail and connector
CN218997610U (en) Adjustable standard knot of cable bridge
KR200416908Y1 (en) Connecting implement of balustrade in stairways
JP4117639B2 (en) Stair railing fittings
KR200185378Y1 (en) Angle regulating device of stair hand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