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17Y1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17Y1
KR200403117Y1 KR20-2005-0021697U KR20050021697U KR200403117Y1 KR 200403117 Y1 KR200403117 Y1 KR 200403117Y1 KR 20050021697 U KR20050021697 U KR 20050021697U KR 200403117 Y1 KR200403117 Y1 KR 200403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ift
shaft
roll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목
Original Assignee
윤진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목 filed Critical 윤진목
Priority to KR20-2005-002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spur g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25/00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M25/02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 B62M25/04Actuators for gearing speed-change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with mechanical transmitting systems, e.g. cables, levers hand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원동기어의 평스프라켓기어(100)와, 평스프라켓기어(100)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의 롤러치차(200)를 포함하고, 평스프라켓기어(10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치(102)와 치홈(10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롤러치차(200)는 한 쌍의 원판(202) 사이에서 치홈(104)과 치합되어 구름 접촉되는 롤러치(204)가 볼베어링축(206)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자전거나 기타 특정 산업의 동력전달장치에 평스프라켓기어와 롤러치차를 채용함으로써, 원활한 동력 전달은 물론, 정숙하면서도 정밀한 구름 접촉으로 효과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페달을 밟아서 구동시킬 때 구동축에서 발생하는 토크(torque)의 큰 맥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동력전달장치는 기술의 신뢰성과 제품성을 고양하게 되어 동력전달장치 산업에 유용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고안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 전달에 체인이나 벨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구름마찰 방식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사람의 힘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자전거의 동력 전달 시스템은, 사용자가 페달을 발로 돌려 그 회전력을 체인이나 벨트를 통해 뒷바퀴로 전달하는 시스템을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나의 페달을 아래로 밟아 힘을 발생시키고, 반대편에 있는 다른 페달은 그 힘에 의해 위로 올라가게끔 하는 것이다. 이에 자전거를 추진시키는 동력은 페달을 아래로 밟는 한정된 영역에서 발생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자전거 동력 전달장치는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이 회전수만 달리한 채로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링크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은 동력 전달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동력축 방식의 동력전달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실용성이 없기에 생산품으로 채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름마찰로 동력 전달이 가능한 평스프라켓기어와 롤러치차가 자전거와 같이 구동 토크가 일정하지 않은 시스템에 채용되어 정숙하면서도 정밀한 구름 접촉으로 효과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평스프라켓기어와 롤러치차가 다중의 기어 체계를 갖추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페달을 밟아서 구동시킬 때 구동축에 발생되는 토크(torque)의 큰 맥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평스프라켓기어와 롤러치차 방식의 변속장치를 구비하여 변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내구성까지 갖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원동기어의 평스프라켓기어와, 평스프라켓기어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의 롤러치차를 포함하고, 평스프라켓기어는 원주 방향을 따라 치와 치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롤러치차는 한 쌍의 원판 사이에서 치홈과 치합되어 구름 접촉되는 롤러치가 볼베어링축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라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a를 자전거에 채용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을 자전거에 채용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6a는 도 5를 자전거에 채용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토크의 변화를 나타내는 선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변속동력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원동기어의 평스프라켓기어(100)와, 평스프라켓기어(100)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의 롤러치차(200)로 하여 동력을 구름 접촉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각 부품은 금속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스프라켓기어(100)는 원판의 형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치(102)와 치홈(10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도 1b에서와 같이 롤러치차(200)는 마주하는 한 쌍의 원판(202) 사이에는 볼베어링축(206)이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리벳팅 또는 볼팅으로 설치되고, 각 볼베어링축(206)에는 치홈(104)과 치합되어 구름 접촉되는 롤러치(204)가 볼베어링(204a)을 가지고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롤러치차(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번갈아 가면서 복수개가 설치되어 동력을 소정 부위까지 전달하게 된다.
그 예를 도 2에서 도시하였다. 복수개의 평스프라켓기어(100)의 사이에 롤러치차(200)가 설치되고, 이들 각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롤러치차(200)의 중심부에는 베어링(106)(207)이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양측에서 고정되는 프레임(20)의 내측에서 각각 회전이 가능하며, 더욱이 전단의 평스프라켓기어(100)에는 페달(10)과 연결되는 동력축(107)이 설치되고, 맨 후측의 평스프라켓기어(100)에는 미도시된 뒷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108)이 설치된다.
한편, 더욱 강력한 구름 접촉을 위하여 평스프라켓기어(100)의 치(102)와 치홈(104)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여러 장이 포개질 수 있으며, 이에 롤로치차(200)도 여러 장이 포개진 평스프라켓기어(100)에 대응되는 길이의 롤러치(204)와 여러 장의 원판(202)을 가지고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주하는 한 쌍이 동축으로 겹쳐지게 평스프라켓기어(110)가 설치되되, 치(112)와 치홈(114)이 서로 어긋나서 마주 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평스프라켓기어(110)와 대응되는 롤러치차(210)도 마주하는 한 쌍이 동축으로 겹쳐지게 이루어지며, 롤러치(214)가 서로 어긋나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페달(10)을 가지는 프레임(20)의 사이에 한 쌍의 평스프라켓기어(110)가 페달(10)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한 쌍의 롤러치차(210) 그리고 연속하여 이 한 쌍의 평스프라켓기어(110)와 롤러치차(210)가 연속하여 설치하게 된다.
도 5 에 도시된 제 3 실시예는 구름 접촉에서 발생되는 토크(torque)의 큰 맥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단축과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평스프라켓기어(120)가 설치되고, 타원형의 평스프라켓기어(120)와 치합되는 롤러치차(220)도 타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단축이 가로방향이 되는 평스프라켓기어(120)에 단축이 세로 방향에 위치되는 롤러치차(220)가 치합된다.
도 6a에서는 예를 들어, 페달(10)을 가지는 프레임(20)의 사이에 단축이 가로방향인 평스프라켓기어(120)와 단축이 세로방향인 롤러치차(220)가 구름 접촉되게 설치되며, 이 롤러치차(220)의 어느 일측면으로 연결축이 이어지고, 연결축에는 도 1에서와 같은 원형의 평스프라켓기어(120)와 롤러치차(22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는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롤러치차(200)를 이용하여 다단으로 변속되는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기어박스(300)가 설치되고, 이 기어박스(300)에 페달(10)과 연결되는 구동축(310)과, 뒷바퀴와 연결되는 종동축(320), 그리고 구동축(310)과 종동축(320)의 사이에 변속전달수단(330)과 변속동력수단(340)이 설치된다.
기어박스(300)를 가로지르는 직교 방향으로 베어링(310a)을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한 구동축(310)이 설치되며, 구동축(310)의 중심상에는 같이 회전되는 평스프라켓기어(100)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축(310)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구동축(310)과 같이 베어링(320a)을 매개로 하여 종동축(320)이 설치되며, 종동축(320) 선상에는 같이 회전될 수 있는 롤러치차(200)가 직경 크기를 달리하여 복수개 설치된다.
변속전달수단(330)은, 구동축(310)과 종동축(320)의 사이에 중공의 전동축(331)이 기어박스(300)에 베어링(331a)을 매개로 설치된다. 전동축(331)상에는 같이 회전되는 변속롤러치차(333)가 중앙에 설치되며, 변속롤러치차(333)의 양측으로 크기를 달리하여 전동축(331)으로부터 회전 가능한 변속평스프라켓기어(332)가 설치된다.
여기서 변속롤러치차(333)는 구동축(310)의 평스프라켓기어(100)와 치합되며, 크기를 달리하는 변속평스프라켓기어(332)는 종동축(320)의 롤러치차(200)와 치합된다.
그리고 변속롤러치차(333)는 그 내부에 레버축(334)이 설치되고, 레버축(334)을 중심으로 좌, 우 회동되는 변속레버(335)가 설치된다.
변속레버(335)의 일단에는 회동운동을 수평으로 바꾸는 클러치핀(336)이 설치되어, 위의 변속평스프라켓기어(332)에 형성된 클러치핀홀(339)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변속레버(335)의 타단에는 중공의 전동축(331) 내부에서 좌, 우로 수평 이동되는 변속핀(337)이 연결되며, 이 변속핀(337)은 일단은 전동축(331)의 일단으로 돌출 즉, 기어박스(30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되는 변속핀(337)의 일단에 캠휠(338)이 설치되고, 캠휠(338)과 기어박스(300)의 사이에 스프링(338a)이 더 설치된다.
도 8에서는 변속전달수단(330)에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동력수단(340)을 도시한 것이다.
변속동력수단(340)은, 기어박스(300)의 일면으로 복수개의 지지부(341)가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설치되고, 지지부(341)의 사이에 변속축(342)이 설치되며, 변속축(342)상에는 변속전달수단(330)에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편심의 변속캠(343) 및 피니언기어(345)가 상호 거리를 유지하고 설치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345)에는 직교 방향으로 랙기어(344)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이 랙기어(344)의 상하부에는 가이드지지부(346)가 설치되어 승하강 이동의 가이드 및 지지를 하게 된다.
또한, 랙기어(344)의 하단부에는 복귀스프링(347)이 더 설치되어 랙기어(344)의 하강 복원을 돕게 된다.
그리고 복귀스프링(347)과 접한 랙기어(344)의 타단에는 케이블(348)이 연결되고, 케이블(248)의 일단에는 변속핸들(349)이 설치된다.
그리고 변속단 수를 다단으로 늘리기 위해서는 종동축(320)에 맞물리는 변속전달수단(330)의 개수에 따라 다단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보면, 사용자가 힘을 가해 페달(10)을 밟으면, 동력이 동력축(107)과 이어지는 평스프라켓기어(100)를 구동시키게 되며, 평스프라켓기어(100)의 치(102)는 롤러치차(200)의 롤러치(204) 사이에 위치되고 치홈(104)은 롤러치(204)에 구름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처럼 연속되는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롤러치차(200)에 동력을 전달하고, 마지막에 위치된 평스프라켓기어(100)의 동력전달축(108)에는 뒷바퀴가 연결되어 자전거의 이동이 구름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4의 제 2 실시예는, 서로 엇갈려서 마주하는 한 쌍의 평스프라켓기어(110)와 한 쌍의 롤러치차(21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운동의 맥동과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된 상태에서 원활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a의 제 3 실시예는, 전단측에 타원형의 평스프라켓기어(120)와 롤러치차(220)로 하여 큰 맥동이 최소화되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즉, 맥동이란 사용자가 페달(10)을 수직한 방향에서 하방으로 회전시킬 때 전달되는 힘이 각도에 따라 토크가 반복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자전거 동력의 맥동은 맥동률이 큰 sin곡선을 나타내나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와 같이, 평스프라켓기어(120)의 장축이 단축의 롤러치차(220)와 맞대어 구름 접촉되고, 일측에서 이어지는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롤러치차(200)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동력 전달은 도 6b에서와 같이 -90°에서 +90°즉, 페달의 반바퀴에 해당하는 파형이 대략 사다리꼴리 되며, 나머지 반바퀴에서도 사다리꼴의 파형이 연속되어짐으로써 맥동이 최소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T1=WㆍCOS θㆍR의 (1)식과 T2=SθㆍF의 (2)에서
F=1/rθ ㆍT1 =1/rθ ㆍWㆍCOS θㆍR의 식을 제(2)식에 대입하면, T2=Sθ/rθㆍCOS θㆍWㆍR로 나타나며, 이때, Sθ/rθㆍCOS θ를 K라하면 T2=KㆍWㆍR이 된다. 따라서, T2=균일하게 된다.
여기서 T2=균일일 때는, T2가 발생하는 종동축의 회전수가 일정하면 페달이 연결된 구동축의 각속도는 위치θ에 따라 변한다. 즉, -90°에서 +90°에서는 빠르게 회전하고 0°에서는 느리게 회전한다. 다시 말해서 발이 페달에 힘을 가하기 어려운 상, 하 시점에서는 빠르게 회전하고 힘을 가하기 용이한 0°부근에서는 느리게 회전하여 에너지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변속을 위한 제 4 실시예에서는, 페달(10)과 연결된 구동축(310)이 회전하면, 구동축(310)상의 평스프라켓기어(100)가 같이 회전되고, 평스프라켓기어(100)와 치합되어 있는 변속롤러치차(333)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변속을 위하여 사용자가 변속핸들(349)에 힘을 가하면 케이블(348)이 잡아 당겨져서 가이드지지부(346)에 고정되어 있는 랙기어(344)를 승강시키고, 승강되는 직선 운동의 랙기어(344)는 피니언기어(345)를 회전시키며, 피니언기어(345)의 회전에 따라 변속축(342)도 같이 회전된다.
변속축(342)의 회전은 편심의 변속캠(343)을 회동시키고, 변속캠(343)의 회동으로 캠휠(338)이 스프링(338a)을 압축시키면서 변속핀(337)을 후진시킨다.
변속핀(337)의 후진 이동은 이에 연결된 레버축(334)의 변속레버(335)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즉, 도면 상의 좌측에 위치되는 변속평스프라켓기어(332)의 클러치핀홀(339)에 삽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변속레버(335)의 회동은 크기가 다른 변속평스프라켓기어(33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연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변속핸들(349)의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랙기어(344)의 하단에 위치된 복귀스프링(347)에 의하여 랙기어(344)가 원위치로 하강되고, 변속축(342)의 피니언기어(345)와 변속캠(343)도 회전되어 스프링(338a)의 힘으로 캠휠(338)이 최초 변속전 상태로 복원된다.
여기서 다단의 변속기는 변속전달수단(330)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7에서는 선택된 변속평스프라켓기어(332)와 연동되는 롤러치차(200)는 회동축(미설명부호:312)을 구동시키고, 회동축(312) 중심의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맞물려있는 변속전달수단(330)의 변속롤러치차(333)와 연결되며, 이와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편심되는 변속캠(343)에 의하여 위의 변속 방법으로 각 변속전달수단(330)이 크기가 다른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롤러치차(200)에 맞물려서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 다단의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평스프라켓기어(100)와 롤러치차(200)로 이루어지는 구름 접촉의 동력전달장치는, 손실이 최소화된 동력으로 하여 효율이 매우 높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적용 범위가 많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는, 자전거나 기타 특정 산업의 동력전달장치에 채용되는 평스프라켓기어와 롤러치차로 하여 원활한 동력 전달은 물론, 정숙하면서도 정밀한 구름 접촉으로 효과적인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페달을 밟아서 구동시킬 때 구동축에서 발생하는 토크(torque)의 큰 맥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의 동력전달장치는 기술의 신뢰성과 제품성을 고양하게 되어 동력전달장치 산업에 유용한 기술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라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a를 자전거에 채용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자전거에 채용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a는 도 5를 자전거에 채용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토크의 변화를 나타내는 선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동력전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변속동력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페달 20 : 프레임
100 : 평스프라켓기어 102 : 치(齒)
104 : 치홈 106, 207 : 베어링
107 : 동력축 108 : 동력전달축
110 : 한 쌍의 평스프라켓기어 120 : 타원평스프라켓기어
200 : 롤러치차 202 : 원판
204 : 롤러치 206 : 볼베어링축
210 : 한 쌍의 롤러치차 220 : 타원롤러치차
300 : 기어박스 310 : 구동축
320 : 종동축 330 : 변속전달수단
340 : 변속동력수단

Claims (11)

  1.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원동기어의 평스프라켓기어와, 상기 평스프라켓기어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의 롤러치차를 포함하고,
    상기 평스프라켓기어는 원주 방향을 따라 치와 치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치차는 한 쌍의 원판 사이에서 상기 치홈과 치합되어 구름 접촉되는 롤러치가 볼베어링축을 매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스프라켓기어와 상기 롤러치차는 동력전달이 필요한 부위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번갈아 가면서 복수개가 치합 설치되는 동력전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스프라켓기어와 상기 롤러치차의 각 양측 중심부에는 베어링이 더 설치되어,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평스프라켓기어와 상기 롤러치차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스프라켓기어는, 상기 치홈이 서로 어긋나도록 마주하는 한 쌍이 동축으로 겹쳐지게 설치되고,
    상기 평스프라켓기어와 대응되어 치합되도록 상기 롤러치차는, 상기 롤러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마주하는 한 쌍이 동축으로 겹쳐지게 설치되는 동력전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단축과 장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상기 평스프라켓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타원 평스프라켓기어와 치합되는 상기 롤러치차도 타원형으로 설치되는 동력전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스프라켓기어를 가지고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롤러치차가 크기를 달리하여 복수개 연결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사이에 설치되어 크기가 다른 변속평스프라켓기어와 변속롤러치차를 가지는 변속전달수단과,
    상기 변속전달수단에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동력수단이,
    포함되는 동력전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사이에 회동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사이와, 상기 회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사이에서 연속되도록 치합 설치되며, 각기 크기를 달리하는 상기 평스프라켓기어와 상기 롤러치차에 맞물려서 변화되는 회전 속도로 다단 변속이 가능한 동력전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전달수단은,
    상기 구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사이에 전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전동축 상에서 상기 평스프라켓기어와 치합되는 상기 변속롤러치차는 그 내부에 레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변속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변속레버의 일단에 좌, 우로 수평 이동되는 클러치핀이 연결되고,
    상기 변속레버의 타단에는 상기 전동축의 중공 내부에서 좌, 우로 수평 이동되는 변속핀이 연결되며,
    상기 전동축의 외부로 돌출되는 캠휠이 상기 변속핀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변속롤러치차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동축 상에 서로 다른 크기로 설치되는 상기 변속평스프라켓기어에는 상기 클러치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클러치핀홀이 형성되는 동력전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변속핀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캠휠의 이동에 따른 복원력을 돕는 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동력전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동력수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일면에 일직선상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변속축과,
    상기 변속축 선상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전달수단에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캠 및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수직 방향에서 치합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일단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을 잡아당기게 되는 변속핸들로,
    구성되는 동력전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연결된 상기 랙기어의 타단에는 복귀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의 복원을 돕는 동력전달장치.
KR20-2005-0021697U 2005-07-26 2005-07-26 동력전달장치 KR200403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97U KR200403117Y1 (ko) 2005-07-26 2005-07-26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97U KR200403117Y1 (ko) 2005-07-26 2005-07-26 동력전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721A Division KR100710396B1 (ko) 2005-07-26 2005-07-26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17Y1 true KR200403117Y1 (ko) 2005-12-08

Family

ID=4370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97U KR200403117Y1 (ko) 2005-07-26 2005-07-26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9723A (zh) * 2014-04-30 2014-07-02 陈银松 搓齿式无级变速器
CN113898590A (zh) * 2021-11-09 2022-01-07 安徽银龙泵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封自吸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9723A (zh) * 2014-04-30 2014-07-02 陈银松 搓齿式无级变速器
CN113898590A (zh) * 2021-11-09 2022-01-07 安徽银龙泵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封自吸泵
CN113898590B (zh) * 2021-11-09 2023-10-13 安徽银龙泵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密封自吸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4191B2 (ja) ロータが制御された変速機
JP2010105047A (ja) 折り曲げダイに対して改善された運動伝達装置を有するパイプ折り曲げ装置
KR100710396B1 (ko) 동력전달장치
KR200403117Y1 (ko) 동력전달장치
US3894439A (en) Infinite speed drive
KR100688611B1 (ko) 자전거용 기어 변속장치
JP5116658B2 (ja) 連続入力可能なゼンマイ装置
KR100986127B1 (ko) 볼쐐기식 감속기
TWI755041B (zh) 周轉式變速機構
US4723360A (en) Rotary apparatus of die unit for manufacturing core lamination assembly
CN2883792Y (zh) 将往复运动变成旋转运动的传动装置
WO2002063185A1 (en) Bi-directional to unidirectional torque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10139805A (ko) 무단 변속장치
JP3758163B2 (ja) 駆動リング式連結器
CN100371143C (zh) 机械手存取交接装置
KR101538638B1 (ko) 왕복기어 동력전달장치
JPH1182662A (ja) ラックとピニオン機構により同一方向の回転運動を往復運動に 変換させる機械及びそれに利用するピニオン、歯車、軸継手
RU2708127C1 (ru) Бесступенчатая механическая передача
RU2760596C1 (ru) Трансмиссия велосипеда
KR20020087033A (ko) 무단변속 장치
CN201215164Y (zh) 高速自动纸板印刷成型机的皮带式摆动给纸装置
KR100609653B1 (ko) 보드 장치
JP2004520246A (ja) ベルト駆動装置用機器
CN104608872A (zh) 圆环曲面行星无级变速器及应用有该变速器的自行车
RU2130400C1 (ru) Способ привода велосипе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