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643Y1 - 지압용 베개 - Google Patents

지압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643Y1
KR200402643Y1 KR20-2005-0026405U KR20050026405U KR200402643Y1 KR 200402643 Y1 KR200402643 Y1 KR 200402643Y1 KR 20050026405 U KR20050026405 U KR 20050026405U KR 200402643 Y1 KR200402643 Y1 KR 200402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depression
traction
attached
acu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준
김상덕
유병석
Original Assignee
(주)이헬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헬스테크 filed Critical (주)이헬스테크
Priority to KR20-2005-0026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압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상부에 머리를 받치기 위한 함몰부를 지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함몰부의 전방에 함몰부보다 높게 위치하며, 가운데 부분에 파여 있는 홈이 인체의 후두골 기저부를 목 부분 쪽으로 잡아당겨 지압해 주는 견인 이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압용 베개{A PILLOW FOR PERFORMING THE FINGER-PRESSURE TREATMENT}
본 고안은 지압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상부에 머리를 받치기 위한 함몰부를 지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함몰부의 전방에 함몰부보다 높게 위치하며, 가운데 부분에 파여 있는 홈이 인체의 후두골 기저부를 목 부분 쪽으로 잡아당겨 지압해 주는 견인 이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베개는 외피 내부를 쿠션재로 충전하여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머리 뒷부분을 받쳐주는데, 이 때 머리 부위가 목 부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목의 경추가 역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베개는 사용시 경추에 부담을 주게 되고 장시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는 뒷목의 근육이 경직되어 목이 뻐근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C" 자 형태의 목의 경추가 역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완화시켜주는 메모리폼 베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메모리폼 베개는 경추의 휘어짐을 완화시켜 줄 수는 있지만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를 풀어주는 기능까지는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침은 원통을 반으로 잘라놓은 듯한 모양을 가지며 머리를 받치는 것이 아니라 둥근 면이 어깨와 머리 사이의 목에 끼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베개로서 경추들의 어긋남을 예방해주는 데에는 효과가 있지만,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익숙해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려 일반인들이 쉽게 쓰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베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의 경추가 역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완화하고, 두개골 기저부와 경추가 만나는 지점(이하 풍지혈이라 칭함)에 적당한 자극을 가할 수 있는 견인 이완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피로를 해소하면서도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지압용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용 베개는 상부에 머리를 받치기 위한 함몰부를 지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함몰부의 전방에 함몰부보다 높게 위치하며, 가운데 부분에 파여 있는 홈이 인체의 후두골 기저부를 목 부분 쪽으로 잡아당겨 지압해 주는 견인 이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압용 베개는 상부에 머리를 받치기 위한 함몰부를 지니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함몰부의 전방에 함몰부보다 높게 융기하여 형성된 목 지지부; 상기 목 지지부의 굴곡면 상측에 부착되어 인체의 후두골 기저부를 목 부분 쪽으로 잡아당겨 지압해 주는 띠 모양의 견인 이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압용 베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보조 수단과 결합한 형태의 견인 이완 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베개의 상 하판 분해도이고, 제4도의 (a)는 받침 다리가 부착된 형태의 본 고안의 측면도이며, 제4도의 (b)는 받침 다리가 부착된 형태의 본 고안의 후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지압용 베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와 견인 이완 수단(11)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에는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형태의 함몰부(10a)가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몸체는 모든 종류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지만, 특히 머리를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메모리폼, 스티로폼 등의 비교적 낮은 경도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견인 이완 수단(11)은 뒷머리의 풍지혈을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무, 플라스틱, 금속 또는 광물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고안들은 머리 또는 경추부의 자극을 위하여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의한 견인 이완 수단은 단순히 베개를 사용하기만 하면 머리의 압력에 의해 자연스러운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고안되었다.
실제로 본 고안의 견인 이완 수단에 의해 풍지혈이 자극되면, 전문가인 한의사에 의해 수작업을 통해 약 15분 내지 30분간 추나 요법 시술을 받은 것과 같은 효과가 나게 된다. 즉, 어긋나 있는 경추를 교정해주고 경추들의 어긋남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비인후과 계통의 질병, 치아의 이상이나 기관지 염증 등을 예방해주며, 소뇌와 연수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준다.
상기 견인 이완 수단(11)은 몸체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몸체 상부에 부착되는 형태로 몸체와 결합할 수 있다. 견인 이완 수단이 몸체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도면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머리 받침부인 함몰부(10a)와 견인 이완 수단이 목 부분과 닿을 수 있도록 파인 홈 부분(10b)을 가진 몸체 상판과 견인 이완 수단(11)이 부착되어 있는 몸체 하판이 조립되는 형태로 몸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여러 장의 쿠션 시트를 차례로 적층하면서 그 사이에 상기 견인 이완 수단을 삽입하여 몸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견인 이완 수단 위쪽으로 쌓이게 되는 층들은 인체의 목 부분과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견인 이완 수단의 지압 면이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홈이 파이게 된다.
메모리 폼과 같이 층으로 나누어져 있지 아니한 일체형의 몸체에도 측면을 통하여 틈을 내고 그 사이로 견인 이완 수단을 삽입하는 방법 등으로 몸체와 견인 이완 수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
몸체 부분이 메모리폼 등의 쿠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 견인 이완 수단(11)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보조 수단(12)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단(12)은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견인 이완 수단(11)의 양쪽 말단에 부착되어 상기 견인 이완 수단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 5에서 볼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의 함몰부(10a)의 전방에 함몰부(10a)보다 높게 융기된 목 지지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목 지지부(13)의 굴곡면 상측에 인체의 후두골 기저부를 목 부분 쪽으로 잡아당겨 지압해 주는 띠 모양의 견인 이완 수단(14)을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목 지지부(13)는 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 고안될 수 있다.
상기 견인 이완 수단(14) 역시 견인 이완 수단(11)과 마찬가지로 뒷머리의 풍지혈을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무, 플라스틱, 금속 또는 광물 등의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 4에서와 같이 보다 효율적인 지압 효과와 베개 사용시의 편리함을 위하여 몸체(10) 하부의 후단에 받침 다리(13)를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 다리(13)는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철식으로 상기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지압용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풍지혈과 목 부위의 경추를 자극하여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며, 혈액순환 장애를 해소하면서, 목디스크의 예방 및 기혈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한 경추와 목 근육의 이상 및 목디스크 등 여러 가지 질환을 예방, 치료를 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의 베개를 사용함으로써 뒷 머리의 풍지혈에 연속된 지압을 하여 사용자는 인체에 유익한 추나 요법을 사람의 손을 통하지 아니하고도 자동으로 시술받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제1도는 보조 수단과 결합한 형태의 견인 이완 수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지압용 베개의 상 하판 분해도.
제4도의 (a)는 받침 다리가 부착된 형태의 본 고안의 측면도.
제4도의 (b)는 받침 다리가 부착된 형태의 본 고안의 후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지압용 베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0a : 함몰부
11, 14 : 견인 이완 수단
12 : 보조 수단
13 : 목 지지부

Claims (6)

  1. 상부에 머리를 받치기 위한 함몰부(10a)를 지니는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함몰부(10a)의 전방에 함몰부(10a)보다 높게 위치하며, 가운데 부분에 파여 있는 홈이 인체의 후두골 기저부를 목 부분 쪽으로 잡아당겨 지압해 주는 견인 이완 수단(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견인 이완 수단(11)의 양쪽 말단에 부착되어 상기 견인 이완 수단(11)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주는 보조 수단(1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3. 상부에 머리를 받치기 위한 함몰부(10a)를 지니는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형태로서, 상기 함몰부(10a)의 전방에 함몰부(10a)보다 높게 융기하여 형성된 목 지지부(13); 상기 목 지지부(13)의 굴곡면 상측에 부착되어 인체의 후두골 기저부를 목 부분 쪽으로 잡아당겨 지압해 주는 띠 모양의 견인 이완 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4. 제1항 또는 제2항,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가 메모리폼 또는 스티로폼, 에어 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5. 제1항 또는 제2항,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이완 수단(11, 14)이 나무 또는 플라스틱, 금속, 광물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6. 제1항 또는 제2항,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10) 하부의 후단에 받침 다리(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용 베개.
KR20-2005-0026405U 2005-09-14 2005-09-14 지압용 베개 KR200402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405U KR200402643Y1 (ko) 2005-09-14 2005-09-14 지압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405U KR200402643Y1 (ko) 2005-09-14 2005-09-14 지압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643Y1 true KR200402643Y1 (ko) 2005-12-02

Family

ID=4370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405U KR200402643Y1 (ko) 2005-09-14 2005-09-14 지압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6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894A (ko) * 2016-12-29 2018-07-09 김래회 다기능 베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894A (ko) * 2016-12-29 2018-07-09 김래회 다기능 베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1658U (ja) 熟眠用整形枕
KR101077885B1 (ko) 물리치료용 근막 이완기
US20170128307A1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KR101474820B1 (ko)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KR20130087531A (ko) 경추질환 치료용 목 베개
KR101551150B1 (ko) 기능성 지압요법 근막 지압기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KR101036224B1 (ko) 지압용 배게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KR20150049415A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1378163B1 (ko) 멀티자세 교정기
US20210212483A1 (en) Pillow supporting alternate regions of a user's hea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user's recumbent position
KR20070081086A (ko) 베어 등목 베개
CN108095970A (zh) 颈椎治疗枕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0402643Y1 (ko) 지압용 베개
JP2008043709A (ja) こりほぐし器。
US5570703A (en) Contoured therapeutic spinal support
CN210748508U (zh) 一种使用颅骶疗法的矫形枕
KR20180004993A (ko) 지압기능이 있는 경추치료용 롤링마사지 베개
CN101966124A (zh) 一种新型颈椎保护枕
CN201855419U (zh) 一种新型颈椎保护枕
CN110537810A (zh) 一种使用颅骶疗法的矫形枕
CN215821301U (zh) 一种功能性矫形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