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394Y1 -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 Google Patents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394Y1
KR200402394Y1 KR20-2005-0024813U KR20050024813U KR200402394Y1 KR 200402394 Y1 KR200402394 Y1 KR 200402394Y1 KR 20050024813 U KR20050024813 U KR 20050024813U KR 200402394 Y1 KR200402394 Y1 KR 200402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ade
contact
arc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일
Priority to KR20-2005-0024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1Use of solid insulating compounds resistant to the contacting fluid dielectrics and their decomposition products, e.g. to SF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01H33/56Gas reservoi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0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making use of the energy of the arc or an auxiliary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1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air or gas
    • H01H2033/912Liquified gases, e.g. liquified SF6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로터리 퍼퍼(Rotary Puffer) 방식의 투, 개폐 때 발생하는 아크 에너지에 의해 로터리 퍼퍼 하우징의 내측 벽에 용착하는 카본성분 및 기타 비절연 성분 등으로 아크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따라오는 문제점을 제거하여 보다 신속하게 아크를 소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로터리 퍼퍼 타입(Rotary Puffer Type) 소호 방식의 부하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SF6 속에 잠겨져 고전압 전원을 스위칭하는 개폐장치의 탱크(W)의 공간에 설치되어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상호 간이 연결되는 3개의 삼각형태의 베이스(11)의 3개의 꼭짓점에 조립되는 제1~3 고정 접촉자(12, 13, 14)와,
상기 베이스(11)들의 중심에 관통하는 회전중심축(15)에 각각 축 결합하는 하우징(31), 이 하우징의 한쪽에 결합하는 블레이드(32), 이 블레이드의 접촉단(32a)을 남기고 에워싼 상태로 결합하는 절연베리어(33)가 구비된 각각의 가동접촉자(30)로 구비되되, 상기 가동접촉자(30)는 각 베이스(11)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중심 회전축(15)과 동기 회전으로 상기 각 제1~3 고정 접촉자(12, 13, 14)에 상기 접촉단(32a)이 접촉하도록 구성된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개폐기의 고정접촉자에 회전하여 스위칭하는 가동접촉자에 소호장치를 구성하여 가동접촉자의 회전에 따른 아크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따라오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소호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높임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에 의한 부피 최소화 및 설치의 용이, 개폐조작의 원활성에 의한 동작 안전성이 구현된다.

Description

부하개폐기의 소호부{ARC EXTINGUISHING DEVICE OF GAS INSULATED LOAD BREAK SWITCH}
본 고안은 기존의 로터리 퍼퍼(Rotary Puffer) 방식의 투, 개폐 때 발생하는 아크 에너지에 의해 로터리 퍼퍼 하우징의 내측 벽에 용착하는 카본성분 및 기타 비절연 성분 등으로 아크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따라오는 문제점을 제거하여 보다 신속하게 아크를 소호할 수 있도록 고안된 로터리 퍼퍼 타입(Rotary Puffer Type) 소호 방식의 부하개폐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기의 고정접촉자에 회전하여 스위칭하는 가동접촉자에 소호장치를 구성하여 가동접촉자의 회전에 따른 아크 에너지가 지속적으로 따라오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소호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높임과 동시에 간소한 구조에 의한 부피 최소화 및 설치의 용이, 개폐조작의 원활성에 의한 동작 안전성이 구현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기는 전기회로에 있어서 전력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제어하는 장치이고, 전기회로의 개폐 및 선로 절체를 할 수 있도록 전원과 부하 기기 사이에 설치되는 전기기기로서, 사용전압 또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매질에 따라 유입개폐기, 가스개폐기, 진공개폐기 등으로 구분된다.
본 고안은 소호매질이 6불화항가스(SF6 Gas)를 사용하는 가스개폐기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가스개폐기는 고전압회로에 주로 쓰이는 것으로서, 변압기의 부하전류의 개폐 또는 절체할 때 고정접촉자에서 이동하는 가동접촉자 간에 많은 아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아크는 개폐기의 부품들을 손상시킴으로써 수명을 단축하게 되고, 또한 개폐특성을 저하하게 된다.
최근에 와서 개폐기의 개폐특성 및 수명을 보장하고자 개시된 소호장치로서, 아크 발생시에 소호가스를 내뿜는 퍼퍼방식, 아크 전류를 코일에 흘려서 그 자기작용에 의해 아크를 구동하여 소호하는 로터리 아크 방식 및 양자를 공용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 기술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호장치는 고정접촉자에 이동하여 접촉하는 가동접촉자가 슬라이드 식으로 이동하여 부하전류의 개폐 및 절체가 제공됨으로써 그 구조가 커지는 문제점과, 가동접촉자의 이동거리가 길어 아크 발생이 커지는 단점 및 견고한 구조로 제공 되지 못하여 사용수명이 떨어지는 단점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즉, 퍼퍼방식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에게서 스위칭 될 때, 실린더에 의해 압축된 소호용 가스를 노즐을 통하여 계속 불어 냉각시킴으로 발생 아크를 소호 하여 대전류를 차단한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아크의 소호을 위해서는 별도의 퍼퍼실린더를 구동할 필요가 있고, 실린더작동에 따른 발생한 금속 이물질이 퍼퍼실 밖으로 방출되면서 높은 전계부분(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접촉부)에 부착되어 절연성능을 저하하여 개폐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은 물론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이 로터리 아크 방식이다.
이러한 로터리 아크 방식은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면 구동코일에 아크 전류가 흐르고, 이에 의해 발생한 자속에 의해 아크가 회전되면서 냉각 되어 아크가 소호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이 단순한 반면에 소 전류 차단이 어려운 단점, 차단용량의 증가에는 반드시 크기 및 행정의 증가를 수반하여 차단용량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로터리 아크 방식 역시 고정접촉자에 가동접촉자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스위칭함으로 전체적인 부피가 증가는 여전히 남아 있는 단점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개폐기의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슬라이드 접촉방식에서 로터리 접촉방식의 3상 일괄조작형으로 개선하여 간소한 구조에 의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접촉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극대화한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고안은 개폐조작의 원활성에 의한 더욱 신속하게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고안은 개폐조작의 원활성에 의한 개폐동작의 확실성으로 장치의 신뢰성이 보장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호부가 구성된 부하개폐기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소호부를 보여주는 부하개폐기의 측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부재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기 위한 발췌 확대도 및 분리 정 단면도이고, 도 4는 요부 구성부재의 발췌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부하개폐기(10)의 소호부는 개폐기의 탱크(W)의 공간에 설치되어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삼각형 형태의 베이스(11)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3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3개의 꼭짓점에는 제1~3 고정 접촉자(12,13,14)가 구성되며, 이들 고정접촉자에 스위칭하는 가동접촉자(30)가 상기 베이스(11) 들을 관통하여 축 결합하는 회전중심축(15)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1)의 제1~3 고정 접촉자(12, 13, 14)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고전압 전원이나 부하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베이스(11)들은 양방에 브라켓(11a,11b)이 각각 돌출되고, 이들 브라켓에 의해 상호 간은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재(BT)에 의한 체결로 연결되고, 상기 고정접촉자(12, 13, 14) 및 가동접촉자(30) 각각은 상기 각각의 베이스(11)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호 간은 격리된다.
상기 고정접촉자(12, 13, 14)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꼭짓점에 수평방향으로 인서트 성형으로 조립된 체결볼트(16)에 조립되고 너트(17)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각 고정접촉자(12, 13, 14)는 한 쌍의 판스프링(18)과 이 판스프링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상기 체결볼트(16)에 조립되는 연결스페이서(19)와,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18) 및 상기 연결스페이서(19)와 한 쌍의 판스프링(18)을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볼트(20)와, 이들 연결볼트 각각으로 상기 한쪽의 판스프링(18)의 외 측에서 끼움 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21)과, 상기 한쪽의 연결볼트(20)에 끼워서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18)들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지지스프링(22)과, 상기 한 쌍의 볼트(20)에 나사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21)을 압축하는 너트(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중심축(15)과 결합하고 상기 제1~3 고정 접촉자(12, 13, 14)에 스위칭하는 가동접촉자(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중심축(15)에 각각 축결합하는 하우징(31)과, 이 하우징의 한쪽에 결합하는 블레이드(32)와, 이 블레이드의 접촉단(32a)을 남기고 에워싼 상태로 결합하는 절연베리어(33)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베리어(33)는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축 결합하는 축심(35)을 갖는 원판(34)과 상기 축심(35)의 대향 측으로서 중심구멍에서 한쪽에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32)의 외부 면을 감싸 결합하는 차단보호편(36)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연베리어(33)와 결합하여 일체 회전하는 각 가동접촉자(30)의 블레이드(32)는 단일형 블레이드로서, 1회 조작으로 상기 블레이드(32)의 접촉단(32a)이 고정접촉자(12, 13, 14)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중심축(15)에 결합하는 가동접촉자(30)의 각 블레이드(32) 및 절연베리어(33)의 각도를 달리하여 축 고정함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동접촉자(30)의 스위칭 동작에 있어, 상기 중심회전축(15)에 스프링핀(15)으로 결합한 하우징(31)에 고정된 각 블레이드(32)는 회전중심축(15)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절연베리어(33)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각 고정접촉자(12,13,14)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18) 사이에 상기 차단보호편(36)으로 노출된 접촉단(32a)이 위치됨과 계속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볼트(20)의 축선 방향으로 벌리면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과정에서 상기 고정접촉자(12, 13, 14) 중 선택 위치된 고정접촉자의 한 쌍의 판스프링(18)은 내부의 지지스프링(22)의 탄성 지지로 용이하게 벌려져 블레이드(32)가 노출된 접촉단(32a)으로 접촉되고, 외부의 한 쌍의 압축스프링(21)의 압축에 의해 접촉이 확실하게 제공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가동접촉자(30)의 블레이드(32)의 접촉단(32a)이 접촉하는 고정접촉자(14)와 접촉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생성된 탄화성분(카본성분)이나 고정접촉자(14)와 가동접촉자(30)의 접촉부분에서 용융되면서 발생하는 동(Copper)가루 등 비 절연성분이 용착되는 것을 상기 블레이드(32)를 감싸고 있는 절연베리어(33)의 차단보호편(36)이 차단하여 수명을 보장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나머지 고정접촉자(12, 13)와 접촉되고 분리되는 가동접촉자(30)를 축 고정하고 회전중심축(15)와 동기회전하는 상기의 동작과정은 동일함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는 회전중심축(15)이 관통하는 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다수의 격막(11c,11d)은 상기 가동접촉자(30)의 블레이드(32)가 회전하여 접촉단(32a)이 상기 고정접촉자(12, 13, 14) 중 선택적인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과정의 회전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억제 및 아크에 의해 생성된 기포 및/또는 탄화성분, 동 가루를 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절연베리어(33)의 회전은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축 결합한 원판(34)에 의해 한쪽의 베이스(11)의 격막(11c)에 의해 분산하는 6불화항가스(SF6 Gas)가 노출된 상기 접촉단(32a)으로 분산되고 동시에 차단보호편(36)이 회전하면서 6불화항가스(SF6 Gas)가 대향 측의 격막(11d)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탄화성분, 동 가루의 분산은 신속하게 하여 상기 접촉단(32a)에 용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격막(11c,11d)은 상기 가동접촉자(30) 및 절연베리어(33)의 회전에 대한 간섭이 없는 형태로 돌출 구성되고, 상기 가동접촉자(30)의 블레이드(32)가 상기 고정접촉자(12, 13, 14) 중에서 선택적인 접촉 및 분리에 따른 회전 시에 발생하는 아크가 부딪히면서 서서히 소멸시킴으로써 소호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제공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소호부의 다른 실시 예인 로터리 퍼퍼타입을 적용한 실시 예로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제시된 베이스(11), 고정접촉자(12, 13, 14) 및 중심회전축(15)의 구성은 동일하고, 다른 점은 상기 절연베리어(33)를 퍼퍼하우징(50)과 이 퍼퍼하우징과 결합하고 동시에 가동접촉자(30)와 결합하여 상기 회전중심축(15)과 동기회전하면서 퍼퍼하우징(50) 내의 6불화항가스(SF6 Gas)를 압축, 방출하여 블레이드(32)의 접촉단(32a)에 용착하는 탄화성분, 동 가루를 분산시키는 퍼퍼노즐(55)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중앙축공(51)으로 관통하여 각 베이스(11)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퍼퍼하우징(50)과, 상기 가동접촉자(30)는 상기 회전중심축(15)과 각각 축 결합하는 하우징(31)과, 이 하우징의 한쪽에 결합하는 블레이드(32)와, 이 블레이드의 접촉단(32a)을 남기고 에워싼 상태로 조립되고 상기 퍼퍼하우징(50)의 중앙축공의 대향 측 개방부분을 덮고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축 결합한 퍼퍼노즐(55)로 구성된다.
상기 퍼퍼하우징(50)은 상기 회전중심축(15)의 축심방향으로 한쪽이 개방된 원통형 형태로서 외주 벽의 방사상의 일정간격을 갖고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되는 다수의 결합돌기(51)와 하나의 출구(52)가 구성되고, 상기 출구(52)에 연하여 내주 벽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차단막(53)이 돌출되어 구성되고,
상기 퍼퍼노즐(55)은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축 결합하는 축심(57)과 이 축심의 외주면 한쪽에서 돌출 연장하고 상기 퍼퍼하우징(50)의 내주 벽에 접하는 압축막(58)이 구성되고 상기 퍼퍼하우징(50)의 개방부분을 덮는 덮개원판(56)과, 상기 축심(35)의 대향 측으로서 중심구멍에서 한쪽에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32)의 외부 면을 감싸 결합하는 차단보호편(59)과 상기 압축막(58)으로 관통되어 상기 차단보호편(59)의 한쪽에 형성되는 퍼퍼노즐공(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퍼퍼하우징(50)의 내부는 상기 차단막(53)과 상기 퍼퍼노즐(55)의 압축막(58)에 의하여 2개의 격실(R1, R2)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 예는 도 11 내지 도 15의 작동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접촉자(30)는 블레이드(32)의 접촉단(32a)이 고정접촉자(14)와 접촉된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회전 분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은 나머지 고정접촉자(12, 13)와 접촉되고 분리되는 가동접촉자(30)가 회전중심축(15)과 각도를 달리하여 축 고정되고 동기회전에 의한 스위칭 과정은 동일함으로 생략하고, 상기 고정접촉자(14)와의 스위칭 동작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즉, 탱크(W)에 충진된 6불화항가스(SF6 Gas: 이하 SF6 가스라 함)는 퍼퍼노즐(55)이 가동접촉자(30)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압축막(58)은 격실(R1)에 충전된 SF6 가스를 압축하게 되고, 이렇게 압축된 SF6 가스는 상기 차단보호편(59)의 퍼퍼노즐공(60)을 통하여 방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막(58)의 회전으로 체적 변화된 격실(R2)에는 퍼퍼하우징(50)의 출구(52)를 통하여 SF6 가스가 충전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13과 같이, 완전회전에 의해 격실(R1)의 체적이 압축막(58)에 의하여 가장 작아지면서 더욱 강하게 방출됨으로써 가동접촉자(30)의 블레이드(32)가 고정접촉자(14)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신속하게 소호하여 아크에 의해 생성되는 탄화성분(카본성분)이나 고정접촉자(14)와 가동접촉자(30)의 접촉부분에서 용융되면서 발생하는 동(Copper)가루 등 비 절연성분이 접촉부분에 용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수명을 보장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접촉자(30)가 고정접촉자(14)에게서 완전히 분리된 위치에서 다시 접속에 따른 역회전 동작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 퍼퍼하우징(50)의 양측 격실(R1, R2)에 SF6 가스의 충전 및 방출에 따른 과정은 상기한 과정의 역순동작에 의해 진행됨으로 그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설명한 베이스(11)의 격막(11c,11d)의 기능은 동일함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 설명으로 대신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 예의 본 고안에 있어, 상기 회전중심축(15)의 전단은 각도회전연결부(40)와 연결되고, 이 각도회전연결부에 의한 회전제어로 회전중심축(15)은 일정각도 단위로 회전되어 각 베이스(11)의 꼭짓점에 배치 결합한 고정접촉자(12, 13,14)에 각 가동접촉자(30)의 블레이드(32)가 선택적으로 접촉(스위칭)은 각도회전조정부(40)의 동작에 의해 진행된다.
상기 각도회전연결부(40)는 탱크(W)의 외부에 위치하는 핸들(41)과, 이 핸들과 한쪽이 연결되고 탱크(W)의 내부로 연장되는 구동축(42)과, 이 구동축의 다른 쪽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회전중심축(15)의 전단에 스프링핀(15a)으로 결합하는 연결축(43)과, 상기 구동축(42)과 연결축(43)을 지지하도록 전단 측 베이스(11)의 브라켓(11a)에 체결부재(BT)로 조립되는 베이스플레이트(44)와, 이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에 장착되는 태엽의 기능의 스프링(45)을 포함한다.
핸들(41)은 구동축(42)을 회전시키고 이 구동축에 연결된 상기 스프링(45)은 탄성력이 충전된다. 그리고 스프링(45)의 충전이 해방되면 핸들(41)의 조작자의 속도에 상관없이 구동축(42)에 연결된 회전중심축(15)을 회전하여 각각의 가동접촉자(30)는 동시에 회전시켜 블레이드(32)의 접촉단(32a)을 각각의 베이스(11)에 결합한 고정접촉자(12, 13, 14)와 스위칭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는 고정접촉자로부터 가동접촉자의 분리시 발생한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탄화성분 및 동 가루가 접촉 단에 용착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접촉부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접촉방식을 로터리 접촉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부피 최소화로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호부가 구성된 부하개폐기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소호부를 보여주는 부하개폐기의 측 단면도.
도 3a는 도 1의 "F"부 발췌 확대도.
도 3b는 도 3a의 분리 정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부재의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에 접촉된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작동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소호부를 보여주는 부하개폐기의 측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요부 구성부재의 발췌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요부 구성부재인 퍼퍼노즐의 발췌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따른 퍼퍼노즐과 퍼퍼하우징의 결합관계 발췌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5는 도 7에 따른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부하개폐기 11: 베이스
12, 13, 14: 고정접촉자 15: 회전중심축
30: 가동접촉자 32: 블레이드
33: 절연베리어 40: 각도회전조정부
50: 퍼퍼하우징 55: 퍼퍼노즐

Claims (7)

  1. 6불화항가스 속에 잠겨져 고전압 전원을 스위칭하는 부하개폐기에 있어서,
    탱크(W)의 공간에 설치되어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상호 간이 연결되는 3개의 삼각형태의 베이스(11)의 3개의 꼭짓점에 조립되는 제1~3 고정 접촉자(12, 13, 14)와,
    상기 베이스(11)들의 중심에 관통하는 회전중심축(15)에 각각 축 결합하는 하우징(31), 이 하우징의 한쪽에 결합하는 블레이드(32), 이 블레이드의 접촉단(32a)을 남기고 에워싼 상태로 결합하는 절연베리어(33)가 구비된 각각의 가동접촉자(30)로 구비되되, 상기 가동접촉자(30)는 각 베이스(11)에 의해 격리되고 상기 중심 회전축(15)과 동기 회전으로 상기 각 제1~3 고정 접촉자(12, 13, 14)에 상기 접촉단(32a)이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베리어(33)는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축 결합하는 축심(35)을 갖는 원판(34)과, 상기 축심(35)의 대향 측으로서 중심구멍에서 한쪽에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32)의 외부 면을 감싸 결합하는 차단보호편(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축(15)에는 중앙축공(51)으로 관통하여 각 베이스(11)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퍼퍼하우징(50)과, 상기 회전중심축(15)과 각각 축 결합하는 하우징(31)과, 이 하우징의 한쪽에 결합하는 블레이드(32)와, 이 블레이드의 접촉단(32a)을 남기고 에워싼 상태로 조립되고 상기 퍼퍼하우징(50)의 중앙축공의 대향 측 개방부분을 덮고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축 결합한 퍼퍼노즐(55)로 각각 구성된 가동접촉자(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퍼퍼하우징(50)은 상기 회전중심축(15)의 축심방향으로 한쪽이 개방된 원통형 형태로서 외주 벽의 방사상의 일정간격을 갖고 상기 베이스(11)에 고정되는 다수의 결합돌기(51)와 하나의 출구(52)가 구성되고, 상기 출구(52)에 연하여 내주 벽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차단막(53)이 돌출되어 구성되고,
    상기 퍼퍼노즐(55)은 상기 회전중심축(15)에 축 결합하는 축심(57)과 이 축심의 외주면 한쪽에서 돌출 연장하고 상기 퍼퍼하우징(50)의 내주 벽에 접하는 압축막(58)이 구성되고 상기 퍼퍼하우징의 개방부분을 덮는 덮개원판(56)과, 상기 축심(35)의 대향 측으로서 중심구멍에서 한쪽에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32)의 외부 면을 감싸 결합하는 차단보호편(59)과 상기 압축막(58)으로 관통되어 상기 차단보호편(59)의 한쪽에 형성되는 퍼퍼노즐공(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접촉자(12, 13, 14)는 한 쌍의 판스프링(18)과 이 판스프링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11)의 꼭짓점에 인서트 결합한 체결볼트(16)에 조립되고 너트(17)로 체결되는 연결스페이서(19)와,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18) 및 상기 연결스페이서(19)와 한 쌍의 판스프링(18)을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연결볼트(20)와, 이들 연결볼트 각각으로 상기 한쪽의 판스프링(18)의 외 측에서 끼움 되는 한 쌍의 압축스프링(21)과, 상기 한쪽의 연결볼트(20)에 끼워서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18)들 사이에 개재 설치되는 지지스프링(22)과, 상기 한 쌍의 볼트(20)에 나사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압축스프링(21)을 압축하는 너트(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들은 양방에 브라켓(11a, 11b)이 각각 돌출되고, 이들 브라켓에 의해 상호 간은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재(BT)에 의한 체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7.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는 상기 가동접촉자(30)의 블레이드(32)가 회전하여 고정접촉자(12,13,14)와의 선택적인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과정의 회전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억제 및 아크에 의해 생성된 탄화성분 및/또는 동 가루를 분산시키는 다수의 격막(11c,11d)이 상기 회전중심축(15)이 관통하는 축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KR20-2005-0024813U 2005-08-29 2005-08-29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KR200402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13U KR200402394Y1 (ko) 2005-08-29 2005-08-29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813U KR200402394Y1 (ko) 2005-08-29 2005-08-29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055A Division KR100760660B1 (ko) 2006-08-11 2006-08-11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394Y1 true KR200402394Y1 (ko) 2005-12-02

Family

ID=4370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813U KR200402394Y1 (ko) 2005-08-29 2005-08-29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3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68Y1 (ko) 2012-05-17 2013-07-22 주식회사 평일 에폭시 몰드 부하개폐기용 상 연결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68Y1 (ko) 2012-05-17 2013-07-22 주식회사 평일 에폭시 몰드 부하개폐기용 상 연결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7807B2 (ja) 複合消弧機能を有する回路遮断器
WO2018086561A1 (zh) 一种气体绝缘母线接地组件、接地装置及气体绝缘开关柜
KR101463374B1 (ko) 스위칭 디바이스 및 개폐기
RU2361345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элегазовой изоляцией
KR100760660B1 (ko)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JPH06335125A (ja) 開閉装置
KR101977053B1 (ko) 친환경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퍼퍼와 아크슈트를 조합한 아크소호장치
KR200402394Y1 (ko) 부하개폐기의 소호부
WO2013175565A1 (ja) ガス遮断器
KR101231764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210007390A (ko)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소호장치
CN214848360U (zh) 采用组合操作机构的超快速分闸断路器
CN214848359U (zh) 超快速分闸的组合式断路器操作机构
KR100790559B1 (ko)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기
EP3631829B1 (en) Electrical contact system
EP0938736B1 (en)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current commutation
CN114649153A (zh) 一种开关
EP2866244B1 (en) Helicoidal switch
KR200402395Y1 (ko) 지상변압기용 부하개폐기
KR100371374B1 (ko) 회로차단기용 복합소호장치
CN221040885U (zh) 一种带灭弧装置的隔离开关
CN215933466U (zh) 一种旋转式隔离开关及多相隔离开关装置
CN220651928U (zh) 一种万能式断路器断弧结构
CN216528713U (zh) 一种灭弧装置及灭弧式断路器
CN113257644B (zh) 超快速分闸的组合式断路器操作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