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262Y1 - 장식테구조 - Google Patents

장식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262Y1
KR200401262Y1 KR20-2005-0023551U KR20050023551U KR200401262Y1 KR 200401262 Y1 KR200401262 Y1 KR 200401262Y1 KR 20050023551 U KR20050023551 U KR 20050023551U KR 200401262 Y1 KR200401262 Y1 KR 200401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ender
decorative frame
decorativ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5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케이엠
Priority to KR20-2005-0023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의 장식테 본체를 삼각형상과 유사한 단면으로 형성하면서 경사지게 위를 향하는 하나의 면에 투명한 보호필름이 구비된 은박필름인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본체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다른 하나의 면에는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휀더 하단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휠하우스와 휀더의 경계부를 은박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하우스의 경계에 위치하는 휀더 하단부가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테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 일측면에 은박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그 본체를 자동차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는 장식테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의 본체를 삼각형상에 유사한 형상의 단면으로 압출 성형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측면에 은박의 장식부재를 부착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이형지가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휀더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양면테이프 하측의 본체에는 돌출커버를 형성하여 휀더의 하단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장식테를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장식테구조{Ornament molding}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휀더 하단의 휠하우스에 부착하는 장식테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재질의 장식테 본체를 삼각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하면서 그 하나의 면에 은박필름인 장식부재와 투명한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그 다른 하나의 면에는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휀더 하단에 부착하는 장식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범퍼와 도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부분을 장식처리할 때는 알루미늄이나 은박지 등의 장식용품을 장식하고자 하는 곳에 부착함으로서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종래의 자동차나 뚜껑이 없는 실내용 쓰레기통 상단 등에 사용되는 장식테는 합성수지재질의 본체를 형성하고, 그 본체에 투명한 보호필름이 부착된 알루미늄이나 은박필름의 장식부재를 부착하여 장식테를 구성함으로서 장식테의 본체 저면에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장식하고자 하는 곳에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식테는 알루미늄이나 은박필름으로된 장식부재를 단순하게 본체의 위면에 부착하거나 본체를 감싸도록 부착한 것이므로 본체에 부착된 장식부재의 양측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장식테의 본체를 장식하고자 하는 곳에 부착하여 사용하며 본체에 부착된 장식부재의 양측단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장식테를 부착하고자 하는 곳의 형상에 따라 절곡하여 부착하면 상기와 같은 장식부재의 이탈현상은 더욱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식테를 부착하고자 하는 곳의 형상에 따라 절곡하여 부착하면 장식부재의 양단이 본체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장식부재와 보호필름에 주름이 생기게 되므로 장식효과를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에는 범퍼와 도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곳에 다양한 모양의 은박 장식테가 부착되고 있으나, 자동차의 앞바퀴와 뒷바퀴의 휠하우스 위로 구비되는 휀더 하단에는 반원형의 급격한 곡선으로 어떠한 장식테도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그 휀더 하단의 휠하우스 경계부분에는 바퀴에서 튄 아스콘 등이 달라붙어서 철재인 휀더를 쉽게 부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재질의 장식테 본체를 삼각형상과 유사한 단면으로 형성하면서 경사지게 위를 향하는 하나의 면에 투명한 보호필름이 구비된 은박필름인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본체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다른 하나의 면에는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휀더 하단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휠하우스와 휀더의 경계부를 은박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하우스의 경계에 위치하는 휀더 하단부가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장식테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재질의 본체 일측면에 은박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그 본체를 자동차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는 장식테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의 본체를 삼각형상에 유사한 형상의 단면으로 압출 성형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측면에 은박의 장식부재를 부착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이형지가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휀더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양면테이프 하측의 본체에는 돌출커버를 형성하여 휀더의 하단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장식테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수지재질의 본체 일측면에 은박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그 본체를 자동차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는 통상적인 장식테와 같이 본 고안 장식테(10)의 본체(11) 역시 압출에 의해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장식테(10)의 본체(11)는 삼각형상에 유사한 형상의 단면으로 압출 성형하고, 그 본체(11)의 압출과 동시에 상기 본체(11)의 경사진 일측면에 은박의 장식부재(20)를 부착한다.
이때 상기 본체(11)의 경사진 일측면에 부착되는 은박의 장식부재(20)는 표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은박지를 사용하면, 상기 장식부재(20)를 경사진 본체(11) 일측면에 부착하면서 그 장식부재(20)의 양단은 본체(11)의 덧살(12)(13)로 덮어서 장식부재(20)가 본체(11)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20)가 부착되는 본체(11)의 일측면에는 이형지(22)가 구비된 양면테이프(21)를 구비하여 그 양면테이프(21)를 이용하여 본체(11)를 자동차의 휀더(30) 하단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양면테이프(21)가 구비되는 본체(11)의 일측면 하단에는 본체(11)로부터 돌출된 돌출커버(14)를 형성하여 양면테이프(21)로 휀더(30)에 장식테(20)를 부착할 때 돌출커버(14)가 휀더(30)의 하단면(31)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하측 덧살(13) 아래의 본체(11) 저면에는 요홈부(15)를 형성하여 장식테(10)의 본체(11) 중에서 하측 덧살(13) 주변이 부드럽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장식테(10)의 본체(11) 일측면에 구비된 양면테이프(21)를 사용하여 상기 장식테(10)를 자동차의 휀더(30)와 바퀴(32)가 구비되는 휠하우스의 경계에 부착하는 것이다.
즉, 장식테(10)를 부착할 때는 본체(11)의 일측면에 구비된 양면테이프(21)에서 이형지(22)를 분리시키고, 상기 양면테이프(21) 하측의 본체(11)에 형성된 돌출커버(14)를 휀더(30) 하단에서 휠하우스로 꺾어진 하단면(31)에 밀착시키면서 양면테이프(21)를 휀더(30)에 부착하면 반원형의 휀더(30) 하단면(31)에 장식테(10)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휀더(30)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상기 장식테(10)는 휠하우스 쪽으로 꺾어진 휀더(30)의 하단면(31)에 본체(11)의 돌출커버(14)를 밀착시키면서 양면테이프(21)를 휀더(30)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돌출커버(14)가 양면테이프(21)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상태가 되어 장식테(10)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반원형 상태인 휀더(30)의 하단면(31)에 압출 성형된 장식테(1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휀더(30)의 하단면(31)에 밀착되는 돌출커버(14)는 금속판재로 구성되면서 외측면에 도색이된 휀더(30)의 절곡된 하단면(31)을 커버하는 상태가 되므로 회전하는 바퀴(32)로 인해 도로에서 튄 아스콘 등의 이물질이 휀더(30)의 하단면(3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휀더(30)의 하단면(31)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장식테(10)는 본체(11)의 경사진 하나의 면에 장식부재(20)를 부착하면서 그 장식부재(20)의 양단을 본체(11)의 덧살(12)(13)로 덮어서 구성한 것이므로 휠하우스와 경계를 이루는 반원형 상태의 하단면(31)에 장식테(10)를 부착하여도 장식부재(20)의 양단이 본체(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장식테(10)는 본체(11)의 저면에 요홈부(15)를 형성하되, 그 요홈부(15)는 본체(11)의 일측 덧살(13)에 가깝도록 정면측에 형성함으로써 휀더(300에 부착된 장식테(10)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의 본체(11)를 비교적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요홈부(15)가 형성된 본체(11) 부분은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고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므로 휀더(30)에서 돌출되게 부착된 장식테(10)로 인한 피해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의 장식테 본체를 삼각형상과 유사한 단면으로 형성하면서 경사지게 위를 향하는 하나의 면에 투명한 보호필름이 구비된 은박필름인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본체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다른 하나의 면에는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휀더 하단에 부착함으로써 자동차의 휠하우스와 휀더의 경계부를 은박장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하우스의 경계에 위치하는 휀더 하단부가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식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식테의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장식테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장식테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식테 11 : 본체
12, 13 : 덧살 14 : 돌출커버
15 : 요홈부 20 : 장식부재
21 : 양면테이프 22 : 이형지
30 : 휀더 31 : 하단면

Claims (3)

  1. 합성수지재질의 본체 일측면에 은박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그 본체를 자동차의 원하는 부위에 부착하는 장식테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의 본체를 삼각형상에 유사한 형상의 단면으로 압출 성형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측면에 은박의 장식부재를 부착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이형지가 구비된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휀더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양면테이프 하측의 본체에는 돌출커버를 형성하여 휀더의 하단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장식테구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경사진 일측면에 부착되는 장식부재는 그 양단을 본체의 덧살로 덮어서 장식부재가 본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장식테구조.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저면에는 덧살쪽으로 요홈부를 형성하여 장식테의 본체 전면부인 하측 덧살 주변이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장식테구조.
KR20-2005-0023551U 2005-08-16 2005-08-16 장식테구조 KR200401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551U KR200401262Y1 (ko) 2005-08-16 2005-08-16 장식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551U KR200401262Y1 (ko) 2005-08-16 2005-08-16 장식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262Y1 true KR200401262Y1 (ko) 2005-11-15

Family

ID=4370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551U KR200401262Y1 (ko) 2005-08-16 2005-08-16 장식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7502A (en) Bump-protection molding
US4709938A (en) Splash guard
CN106627780A (zh) 车辆发动机罩护罩和支架系统
USD935959S1 (en) Front bumper for automobile
DE69905842D1 (de) Ausbildung des hinteren Unterbodens eines Kraftfahrzeugs
CA2204224C (en) Splash guard
USD581320S1 (en) Vehicle upper body assembly
USD490033S1 (en) Exterior of vehicle hood
USD593455S1 (en) Vehicle lateral body assembly
USD539200S1 (en) Side skirt of a vehicle
KR200401262Y1 (ko) 장식테구조
CA2209105A1 (en) Bumper facade for motor vehicles
US20050252050A1 (en) License plate frame
KR200438720Y1 (ko) 휠 하우스 아치 몰딩
KR200240064Y1 (ko) 장식테구조
JPS628170Y2 (ko)
CN219257508U (zh) 前舱盖总成及车辆
JPH04293684A (ja) 車両用スプラッシュガードの取付構造
JP2020055508A (ja) 車の防災用保護カバー
KR200478877Y1 (ko) 타이어 휠 스포크용 커버
RU2042553C1 (ru) Щиток колесной ниши автомобиля
KR0135228Y1 (ko) 자동차용 범퍼보호대
KR200200771Y1 (ko) 승용차문 외벽보호대
US20100007974A1 (en) Auxiliary side view mirror
JPS5843472Y2 (ja) 自動車用弾性バンパのための合成樹脂モ−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