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90Y1 - 빨래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빨래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90Y1
KR200401190Y1 KR20-2005-0025186U KR20050025186U KR200401190Y1 KR 200401190 Y1 KR200401190 Y1 KR 200401190Y1 KR 20050025186 U KR20050025186 U KR 20050025186U KR 200401190 Y1 KR200401190 Y1 KR 200401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laundry
washing
was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모
Original Assignee
정원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모 filed Critical 정원모
Priority to KR20-2005-0025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00Hand rubbing apparatus
    • D06F3/02Rubb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 선단을 중심으로 내향으로 접히면서, 외향으로 전개되도록 회전하는 고정부에 의해 빨래판을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므로 세탁물의 손세탁시 빨래판이 바닥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를 빨래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분실의 우려가 없어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빨래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빨래판 고정구조{structure for fixed a wash board}
본 고안은 빨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빨래를 하기 위해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면에 빨래판의 저면에서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하면서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빨래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셔츠나 양말 등 소량의 빨래나 걸레와 같은 세탁물을 세탁할 경우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나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빨래판에 문질러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소정두께로 일정한 면적을 형성하는 몸체의 상면 또는 양면에 복수의 요철부를 성형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빨래판을 바닥면에 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구부려 앉은 상태에서 빨래를 해야 하므로 허리나 어깨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다르게 성형된 몸체(11)의 경사면(12)에 복수의 요철부(13)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2)의 상부에 비누보관부(14)을 형성한 빨래판(10)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바닥면으로부터 몸체의 높이 만큼 상부로 요철부가 이동되어 세탁물의 세탁시 사용자의 허리나 어깨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허리나 어깨의 통증 발생원인을 절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빨래판의 세탁물 세탁시, 세탁물을 요철부에 문질러 세탁할 경우, 빨래판이 유동하여 세탁작업을 힘들게 할 뿐만 아니라 빨래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빨래판의 단부를 측벽에 밀착시켜 사용할 경우, 빨래판의 단부가 측벽에 부딪혀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물의 손세탁시 빨래판이 바닥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빨래판과 일체로 성형하여 분실의 우려가 없으므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는 빨래판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게 성형되는 몸체의 경사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빨래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 선단을 중심으로 내향으로 접히면서, 외향으로 전개되도록 회전하여 빨래판을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게 성형되는 몸체(11)의 경사면(12)에 복수의 요철부(13)가 형성되는 빨래판(10)에 있어서, 상기 몸체(11) 선단을 중심으로 내향으로 접히면서, 외향으로 전개되도록 회전하여 빨래판(10)을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몸체(11)의 저면 선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는 수용공간(110)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단부에서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회전하는 고정판(120)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130)에 결합되어 고정판(12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고정돌기(130)와 대응하는 위치의 고정판(120)에 고정홈(140)이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고정부(100)가 구비된 빨래판(10)을 사용하려고 고정부(100)의 고정판(120)에 외력을 가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140)이 고정돌기(13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판(120)은 수용공간(110)의 선단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전개된다.
상기 수용공간(110)의 외측으로 전개된 고정판(120)을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면 일측에 밀착시키면, 상기 고정판(120)은 바닥면에 마찰력이 생성되면서 밀착되며, 이는 세탁물을 빨래판(10)의 요철부(13)에 세탁물을 문질러도 쉽게 밀리지 않을 정도면 된다.
상기 바닥면에 밀착된 빨래판(10)의 비누보관부(14)에 비누를 안착시키고,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요철부(13)에 세탁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비누보관부(14)에 안착된 비누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비누칠을 한 후, 사용자의 손으로 세탁물을 문질러 세탁한다.
이때, 상기 빨래판(10)은, 고정부(100)의 고정판(120)에 의해 바닥면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으므로, 빨래판(10)의 유동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과정으로 세탁물의 세탁이 완료되어 고정부(100)의 고정판(120)을 바닥면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고정판(120)과 바닥면과의 밀착된 부분이 줄어들면서 마찰력이 감소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닥면에서 분리된 고정판(1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0)의 선단을 중심으로 내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용공간(110)의 내측으로 고정판(120)이 회전됨과 아울러 고정판(120)에 구비된 고정홈(140)이 수용공간(110)의 저면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30)에 결합되어 이탈하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판(120)을 고정시켜 바닥면의 벽면에 비스듬히 세워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 선단을 중심으로 내향으로 접히면서, 외향으로 전개되도록 회전하는 고정부에 의해 빨래판을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므로 세탁물의 손세탁시 빨래판이 바닥면에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빨래판이 측벽에 부딪히지 않아 소음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고정부를 빨래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분실의 우려가 없어 안정감있으면서 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빨래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고정판이 회전하여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수용공간에 고정판이 보관되도록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부 110: 수용공간
120: 고정판 130: 고정돌기
140: 고정홈

Claims (2)

  1.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게 성형되는 몸체(11)의 경사면(12)에 복수의 요철부(13)가 형성되는 빨래판(10)에 있어서,
    상기 몸체(11) 선단을 중심으로 내향으로 접히면서, 외향으로 전개되도록 회전하여 빨래판(10)을 바닥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00)가 구성되는 빨래판의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100)는,
    상기 몸체(11)의 저면 선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되는 수용공간(110)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단부에서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회전하는 고정판(120)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130)에 결합되어 고정판(12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고정돌기(130)와 대응하는 위치의 고정판(120)에 고정홈(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판의 고정구조.
KR20-2005-0025186U 2005-08-31 2005-08-31 빨래판 고정구조 KR200401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86U KR200401190Y1 (ko) 2005-08-31 2005-08-31 빨래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86U KR200401190Y1 (ko) 2005-08-31 2005-08-31 빨래판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90Y1 true KR200401190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186U KR200401190Y1 (ko) 2005-08-31 2005-08-31 빨래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7879C (en) Laundry machine
RU244381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US20190387954A1 (en) Machine for managing laundry
KR200401190Y1 (ko) 빨래판 고정구조
US20050103061A1 (en) Washing machine
KR101012992B1 (ko) 손빨래 보조기구
KR200461051Y1 (ko) 세면대용 빨래판
KR200489565Y1 (ko) 빨래판이 구비된 세면기
JP2004180883A (ja) 収納機能付き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882412B1 (ko) 세탁기구
KR200164020Y1 (ko) 가정용입식빨래대
JPH11151396A (ja) 洗濯機能付容器及びその洗濯板
KR20140005072U (ko) 빨래판 겸용 변기커버
KR0139208Y1 (ko) 빨래판
KR200335966Y1 (ko) 빨래판
KR200365897Y1 (ko) 빨래판 겸용의 세수대야
KR101111506B1 (ko) 드럼세탁기의 운반용 손잡이
KR200261063Y1 (ko) 보조다리미판이 구비된 다리미판
KR200449001Y1 (ko) 발받침대를 구비한 세탁기
KR200350750Y1 (ko) 빨래판을 가지는 대야
KR200264262Y1 (ko) 칸막이를 가지는 욕조
EP2065507B1 (en) Laundry machine
KR200219925Y1 (ko) 높이조절 빨래판
JP2005160930A (ja) 洗濯板付き洗い桶
KR20050114393A (ko) 드럼세탁기의 외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