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277A -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277A
KR20040111277A KR1020040100719A KR20040100719A KR20040111277A KR 20040111277 A KR20040111277 A KR 20040111277A KR 1020040100719 A KR1020040100719 A KR 1020040100719A KR 20040100719 A KR20040100719 A KR 20040100719A KR 20040111277 A KR20040111277 A KR 2004011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adix
herbal
water
absor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계룡
Original Assignee
방계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계룡 filed Critical 방계룡
Priority to KR102004010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1277A/ko
Publication of KR2004011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의보감에 수록된 당뇨병과 그 합병증 예방에 효험이 있는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증과 그 합병증예방에 효험이 있는 처방인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여 쌀에 흡수시킨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백미를 세척하여 탈수하는 청결 미 제조단계와 시호, 반하, 황금, 작약(芍藥), 대조(大棗), 인삼, 감초, 생강, 지황을 함유한 소시호탕 가 지황에 물을 가하여 생약성분을 함유한 열수 주출액을 조제하는 단계와, 청결미와 생약 제주출 액을 배합하여 흡수 조에 넣어 침지시켜 균일하게 흡수시키기 위해 첨가한 생약제의 열수주출 액이 쌀 조직 속으로 완전히 흡수되기까지 일정시간 방치하는 흡수단계와, 압축공기를 취입(吹入)하여 여분의 수분을 제거한 후 밴드식 건조기(Band type)에 온풍을 송입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며 건조단계를 거친 쌀은 다시 반복하여 침지와 흡수 및 건조 단계를 거침으로서 쌀 속의 생약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재 흡수단계로 이루어지며 당뇨병과 그 합병증예방에 효험이 있는 생약성분을 쌀에 흡수시켜 탕약을 조제하여 먹는 번거로움 없이 성인병예방에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Rice of absorbed herb medicine}
본 발명은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 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병과 그 합병증예방에 효험이 있는 처방인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여 쌀에 흡수시킨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주식으로 섭취하는 쌀에는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지만 도정과정에서 상당량의 유효성분이 손실된다. 그래서 이것을 보완하고 밥맛과 영양분을 제고시킬 목적으로 다시마, 인삼, 클로레라등의 주출 액에 쌀을 침지시키거나 코팅등의 방법으로 영양소함량을 증가시킨 기능성 쌀이 출시되고있다.
그러나 각종 야채나 인삼등을 압착하거나 혹은 열수로 처리하여 얻은 주출 액을 쌀에 흡수시켜 영양소 함량의 제고를 도모하였지만 주출 액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가 희박하고 위 주출 액이 쌀에 흡수되는 양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한번 침지하는 것만으로는 영양소 함량의 증가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최근 습관화된 육식 위주의 식생활과 운동부족과 심한 스트레스는 인체기능을 해치고 급기야는 당뇨병, 고혈압등 성인병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건강을 위해서는 뭐보다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의 섭취를 피하고 자극성이 없고 섬유질이 많은 채소와 쌀 중심의 식생활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실천이 용이하지 않다.
현대인에게 많은 당뇨병은 일단 이환 되면 장기간의 투병에도 쉽게 완치되지 앉으며 적절한 운동과 더불어 평소의 식생활을 개선해야 만 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한방에는 오래 전부터 당뇨증을 위한 치료제로 한두 가지의 약제를 써서 병을 치료하는 민간약과 생약 제를 처방에 의해 배합한 한방약이 있으며 한방약은 한 처방 중에 함유된 여러 가지 성분이 서로 견제하고 장단상보(長短相補)하여 단일 처방과는 다른 다양한 약효를 나타내며 이것이 한 두 가지의 약제를 합친 것을 쓰는 민간약과 한방약의 차이점이며 한방약만이 가지는 특징이다.
한방에서 당뇨병과 그 합병증에는 양파, 보리쌀, 녹두, 두릅껍질, 솔입, 무화과, 나팔꽃 등처럼 한두 가지의 약제를 합해서 쓰는 민간약과 산수유, 시호, 반하, 황금, 작약(芍藥), 대조(大棗), 인삼, 감초, 생강, 지황, 당귀, 맥문동, 천궁, 황련, 천화분, 지모 밀초(知母 蜜妙), 황백 밀초(黃柏 蜜妙), 연육, 오매등과 같이 한약방 처방의 합제로 사용하는 한방약이 있으며 이들 생약은 한방약으로 쓰일 뿐만 아니라 민간 약으로도 쓰여 전승되고 있으며 그중 많은 약제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한방의학 동의보감 책임감수 홍문화)
즉 양파의 플라노이드 성분인 quercetin, quercetin monoglucoside, rutin, kaemferol외에 항당뇨효과가 있는 S-methylcysteine sulfoxide(SMCS), S-allylcysteine sulfoxide(SACS)가 함유되어 있으며 산수유의 oleanolic acid와 ursolic acid는 항당뇨 활성이 있으며, 맥문동에는 saponines, asparagine, oligosaccharide외 여러 성분이 들어 있어 그 물 엑스는 지속적인 혈당강하작용이 있으며, 지황에는 catalpol, leonuride, rhemannioside D. dihydrocornin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엑스는 혈당강하작용을 한다. (기능성식품의 천연물과학 박졸철 저: 현대생약학 생약학 연구회 저)
아와 같이 한방약은 그 성분이 알려진 것도 있고 또한 알려져 있는 경우에도 그 약리작용을 설명할 수 없는 것도 있다.
그러나 당뇨병에 효험 있는 약제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여 쌀에 흡수시킬 때 밥맛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산수유 같이 oleanolic acid와 ursolic acid 와 같은 항당뇨 활성성분이 있지만 맛이 시고 떫기 때문에 산수유와 그 것을 함유한 처방의 주출액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한방약은 그 성분이 알려진 것도 있고 또한 알려져 있어도 그 약리작용을 설명할 수 없는 것도 있지만 오랜 동안 우리의 병을 다스려 왔고 그 효능이 알려져 있지만 탕약(湯藥)을 조제하여 먹는 번거로움 때문에 이것을 섭취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의보감에 수록된 당뇨병과 그 합병증예방에 효험이 있는 처방인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열수로 주출하여 쌀에 흡수시킬 때 흡수와 건조를 반복함으로서 쌀에 흡수되는 생약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심한 탕약의 냄새를 없앰으로 밥 본래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하며 이 쌀로 밥을 지어먹을 때 탕약(湯藥)을 조제해서 달여 먹는 번거로움 없이 같은 효과를 가지는 소시호탕 기 지황의 생약 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의보감에 수록된 당뇨병과 그 합병증 예방에 효험이 있는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청결미 200. 소시호탕 가 지황의 열수주출액
300. 소시호탕 가 지황의 열수주출액을 함유한 쌀
본 발명의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백미 세척공정
시판 백미를 깨끗한 물로 3-4번 세척하여 하부에 망이 부착된 밀폐용기에 넣고 압축공기를 통하여 물을 분리한다. 물에 팽윤(澎潤)된 쌀은 입자강도가 약함으로 원심분리기 혹은 진동채(篩)로 탈수하면 충격에 의해 불완전미(분활된 쌀)가 생성되는 원인이 된다.
세척할 때 수분함량이 15.4%인 쌀은 세척 후 7.5%의 물을 더 흡수하고 한 시간 후에는 13.5%의 물을 더 흡수함으로 열수 주출액의 최대량을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세척 시간을 단축해야 하며 장시간동안 수중에 방치하면 팽윤하면서 균열이 생겨 불완전미가 생성되는 원인이 됨으로 신속하게 세척 처리를 해야 한다.
또한 쌀에 흡수되는 수분의 양은 물에 함유된 전해질이나 단백질 및 기타 성분의 함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 수돗물일 때 12시간 후에 흡수되는 물의 양은 28.5%이지만 4% 식염수의 흡수 량은 32%이며 두유나 미나리의 압착 주출 액처럼 단백질과 무기질을 함유한 주출액은 46%까지 흡수되며 그 이상 방치해도 흡수량은 증가하지 않지만 두유나 미나리를 흡수시킨 쌀을 건조와 흡수를 반복했을 때 흡수 량은 50%이상 증가하며 유효성분의 함량도 등차급수 적으로 증가하며 6회 이상 반복하면 쌀 입자는 파열되어 20-30mesh정도의 입자가 된다.
제 2공정 생약성분의 열수 주출공정
깨끗하게 세척한 생약제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주출하기 위하여 생약제에 계산량의 물을 넣고 2-3시간동안 화력을 조절하면서 가열하여 생약성분을 주출 하고 첨가한 물의 양이 7내지 8활이 될 때까지 달인 후 잔사와 분리한다.
일차 주출한 생약제 잔사에 처음 첨가한 물 양의 40%를 첨가하여 재탕을 하고 첨가한 물의 6내지 7활이 될 때까지 달이고 처음에 주출한 열수주출 액과 합하여 생약성분의 열수 주출공정을 완료한다.
제 3공정 침지 흡수공정
침지 흡수조는 쌀의 투입과 배출을 쉽게 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놓인, 상하 2개로 분활되고, 원통형의 용기 양 측면 원판의 중심에 회전축이 부착되고, 운전중에는 내부 주출 액이 새나오지 않게 고리를 걸어 잠그는 구조로 되어있다.
흡수조에 쌀과 계산 량의 생약제의 열수주출 액을 투입하고 뚜껑을 밀폐한 후 주출 액의 균일한 침지와 흡수를 위하여 2시간에 한번씩 상하를 전도(顚倒)시킨다. 12시간후 침지와 흡수를 종료한 쌀을 배출하여 건조공정에 보낸다. 일차 흡수 후 내용물은 곤죽모양의 반 유동성 상태가 되어 퍼내기 어렵지만 2차 흡수 후부터는 시루떡 모양의 덩어리로 뭉치기 때문에 배출이 용이하다. 그러나 그 화학적 기구는 불명하다.
제 4공정 건조공정
침지와 흡수공정을 종료한 쌀은 밴드형(Band type) 건조기로 건조한다. 기류건조기나 유동건조기는 쌀을 몹시 유동시킴으로 습윤(濕潤)상태의 쌀은 파괴되어 불완전미가 되기 쉽기 때문에 밴드형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다.
밴드형 건조기는 밴드형의 채(篩)로 된 콘베어 위에 건조시킬 쌀을 적재하고 위에서 콘베어를 향해 0.1-1.5m/sec 의 난풍(55℃ 미만)을 불어 넣고 측면에서 배풍한 바람을 위에서 다시 밴드에 불어넣어 순환시키며 채(篩)로 된 콘베어는 서서히 전진하면서 건조된 쌀을 배출구에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은 당뇨증에 효험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그 처방은 시호(柴胡)6.0gr, 반하(半夏)5.0gr,황금(黃芩)3.0gr, 작약(芍藥)3.0gr, 대조(大棗)3.0gr, 인삼(人蔘)3.0gr, 감초(甘草)2.0gr, 생강(生薑)4.0gr, 지황(地黃)4.0-6.0gr(총량35gr) 이며 여기에 물 500내지 600cc를 혼합하여 물의 양이 7내지 8활이 될 때까지 2내지 3시간 달이고 주출 잔사를 분리하면 350내지 420gr의 탕약(한첩 분량)이 생성되며 이것을 매일 2내지 3번에 나누어 음복한다고 되어 있다.
위 처방 분량의 10배 즉 10첩의 처방은 시호(柴胡)60gr, 반하(半夏)50gr, 황금(黃芩)30gr, 작약(芍藥)30gr, 대조(大棗)30gr,인삼(人蔘)30gr, 감초(甘草)20gr, 생강(生薑)40gr, 지황(地黃)40-60gr (총량 350gr)이다.
위 생약 제 속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주출하기 위하여 물 5lit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여 3500cc를 얻고 잔여 유효성분을 주출하기 위해 물 2lit 를 추가하여 다시 3시간동안 가열하여 열수로 주출하여 주출액 700cc를 얻고 처음 열수 주출액과 합하여 4200gr를 얻는다.
별도로 백미 800gr를 깨끗한 물로 씻은 청결미에 위 열수주출액 320gr를 혼합하여 원통형 침지 용기에 넣고 균일하게 흡수시키기 위해 가끔 상 하부를 전도시킨다. 12시간 후 320gr의 열수 주출 액 전량이 흡수된다. 이것을 60℃의 열풍이 순환하는 오븐에서 건조시켜 일차공정을 끝내고 위 실시 예 1과 같이 2차공정에 보낸다.
일차공정이 끝난 쌀은 다시 침지용기에 투입하고 400gr의 열수 주출액을 혼합하여 흡수와 건조처리를 하여 2차 공정을 완료하고 재차 400gr의 열수 주출 액을 첨가하여 흡수와 건조처리를 하여 3차 공정을 완료하면 쌀 800gr(실제로 흡수된 주출액 중의 고형물중량 만큼 증가)에 흡수된 열수 주출 액의 총량은 1120gr임으로 쌀300gr(밥 3그릇 분)을 섭취했을 때 소시호탕 가 지황 탕약 하루 분 420gr(한 첩분)를 함께 먹는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이 흡수와 건조를 반복함으로서 고농도의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봐와 같이 동의보감에 수록된 당뇨병과 그 합병증 예방에 효염이 있는 처방인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의 열수 주출액을 흡수시킬 때 흡수 와 건조를 반복하여 쌀에 흡수되는 생약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심한 탕약의 냄새를 없앰으로 본래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유지하며 이 쌀로 밥을 지어먹을 때 탕약(湯藥)을 조제해서 달여 먹는 번거로움 없이 같은 효과를 가지며 당뇨병의 예방과 증세의 진행을 완화시키면서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주 며 또한 열수 주출액을 쌀에 흡수시킬 때 공존하는 단백질의 열변성에 의해 생기는 단백질의 겔에 생약성분이 흡수되어 흡수와 건조를 반복할 때마다 등차급수 적으로 함량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동의보감에 수록된 당뇨병과 그 합병증 예방에 효험이 있는 처방인 소시호탕 가 지황에 물을 가하여 열수 주출한 생약성분을 쌀에 흡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 및 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쌀에 흡수되는 생약성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흡수와 건조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호탕 가 지황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1020040100719A 2004-11-30 2004-11-30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11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719A KR20040111277A (ko) 2004-11-30 2004-11-30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719A KR20040111277A (ko) 2004-11-30 2004-11-30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277A true KR20040111277A (ko) 2004-12-31

Family

ID=3738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719A KR20040111277A (ko) 2004-11-30 2004-11-30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12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086A (ko) * 2018-03-07 2019-09-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086A (ko) * 2018-03-07 2019-09-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8846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통유탕(通幽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40111277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소시호탕 가 지황(小柴胡湯 加 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77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보허탕(補虛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40111276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33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생진양혈탕(生津養血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11274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대시호탕 가 지황(大柴胡湯加地黃)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45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31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조위승기탕(調胃承氣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389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귀비탕(歸脾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28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황련지황탕(黃蓮地黃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47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교밀탕(膠密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27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29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70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11275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가감현기탕(加減賢氣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30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32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387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시호가 용골 모려탕(柴胡加 龍骨牡蠣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100613587B1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칠물강하탕(七物降下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388A (ko) 동의보감에 수록딘 반하 백출 천마탕(半夏 白朮 天麻湯)의생약성분을 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75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우귀음(右歸飮)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386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삼물황금탕(삼물황금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50018868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625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우슬탕(牛膝湯)의 생약성분을 함유한쌀의 제조방법
KR20040108385A (ko) 동의보감에 수록된 삼황사심탕(三黃瀉心湯)의 생약성분을함유한 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