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8Y1 - 전격 살충기 - Google Patents

전격 살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8Y1
KR200401108Y1 KR20-2005-0022926U KR20050022926U KR200401108Y1 KR 200401108 Y1 KR200401108 Y1 KR 200401108Y1 KR 20050022926 U KR20050022926 U KR 20050022926U KR 200401108 Y1 KR200401108 Y1 KR 200401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ectrode
brush
pulle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경
Original Assignee
송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경 filed Critical 송재경
Priority to KR20-2005-0022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격 살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격 살충기는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을 구비하고 개방된 전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인된 해충을 감전사시키는 전극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면서 그 상부를 커버하는 루프를 일체로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빗물 감지시 케이스의 전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 설치되는 셔터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유인등과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어 전극에 대한 이물질 제거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단이 전극에 접촉되는 솔을 구비하는 브러시 및 이 브러시가 전극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을 하도록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격 살충기는, 해충이 감전사하면서 전극에 형성시킨 체액으로 된 절연막이나 기타 이물질 등은 브러시에 의해 주기적으로 청소되어 제거되므로 전극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안정된 살충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격 살충기{ELECTRIC SHOCK APPARAUTS FOR KILLING INSECTS}
본 고안은 다수 배열된 전극 사이로 전압을 인가하여 유인등에 의해 유인된 해충을 감전사시키는 전격 살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 감지시 전장품을 외부와 차단하면서 주기적으로 전극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최적의 성능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전격 살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가축에게 해로운 모든 곤충이나 농작물, 가축, 과수, 잔디 등 각종의 식물 생육에 장해를 주는 해충으로 인하여 특히, 하절기에 사람이나 가축의 활동, 그리고 각종의 식물생장에 장해를 받게됨에 따라 이들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서 각종 살충수단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살충수단은 연무, 액무 형태로 살포되는 약제와, 해충이 선호하는 자외선을 점등 조사하여 일정 장소로 군집되는 해충을 흡입하여 가두는 포집기 또는 유인된 해충을 감전시켜 살충하는 살충기 등이 실용화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약제 살포방식은 살충범위가 넓고 그 효과가 신속한 특징이 있으나 약제에 의한 주변 공기나 물 또는 음식물, 농수산물 등이 오염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자외선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포집기는 포집설비를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해충이 완전 살충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2차 박멸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끝으로 자외선으로 유인된 해충을 감전시켜 살충하는 방식의 전격 살충기는, 약제 방식에 비해 주위 공기나 물 또는 농작물을 오염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집기와 같이 2차 박멸 작업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특징이 있으나 실외에서 사용시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다.
즉, 우천시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전극이나 유인등과 같은 전장품이 빗물에 의한 누전현상으로 인해 부품의 손상과 함께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전극에 접촉되는 해충은 감전되는 과정에서 내부압력이 상승되면서 터지게 되는데, 이때 해충의 체액이 전극에 달라붙어 굳어 버리면서 일종의 절연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해충의 체액이 형성한 절연막은 결과적으로 살충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므로 사용자가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전극을 자주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천시 내부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 개폐 커버를 구비시켜 부품의 손상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주기적으로 전극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최적의 성능이 유지되게 하는 전격 살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격 살충기는,내부에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을 구비하고 개방된 전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인된 해충을 감전사시키는 전극이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면서 그 상부를 커버하는 루프를 일체로 구비한 지지프레임과; 빗물 감지시 케이스의 전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 설치되는 셔터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유인등과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어 전극에 대한 이물질 제거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단이 전극에 접촉되는 솔을 구비하는 브러시 및 이 브러시가 전극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을 하도록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개폐수단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빗물감지센서 및 이 빗물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와; 상기 제어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정,역 구동되는 구동풀리를 구비한 개폐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셔터판들의 힌지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힌지풀리와; 상기 개폐모터의 구동풀리와 각 셔터판들의 힌지풀리를 연결하는 셔터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풀리를 정역 회전시키는 승강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더블풀리 및 이들 더블풀리의 하측에 케이스상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더블풀리 및 종동풀리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브러시가 승강될 수 있게 동일한 이동 방향을 갖는 양단에 브러시의 양측이 결합 고정되는 승강벨트와; 상기 승강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케이스의 내부 상,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리미트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승강모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격 살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격 살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셔터판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내측에서 바라본 승강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의 승강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격 살충기에서 제어기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격 살충기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면서 유인등(11)과 전극(12)을 구비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과,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시키는 개폐수단과 전극(12)을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브러시(45) 및 브러시(45)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대략 직육면체의 상자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에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등(11)이 횡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개방된 전면측에는 고전압이 흐르는 다수의 전극(12)이 수직하게 빗살 모양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케이스(10)에서 유인등(11)에 의해 유인된 해충은 전극(12)에 접촉되게 되면 고압의 전류에 의해 감전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스(10)에서 유인등(11)과 전극(12)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프레임(20)은 상술한 케이스(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부재로서, 파이프와 같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관형부재로 구성되며, 그 상측에는 케이스(10)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루프(21)를 일체로 구비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20)은 케이스(10)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스(10) 및 지지프레임(20)은 통상의 전격 살충기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은 우천시 케이스(10) 내부의 전장품 및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개폐수단과 오염된 전극(12)을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브러시(45) 및 승강수단을 부가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개폐수단은 빗물 감지시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차폐시킴과 동시에 전원을 차단시켜 빗물에 의한 케이스(10) 내부의 전장품(전극 및 유인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개폐수단은 전극(12)이 설치된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측에 설치되는 셔터판(31)과, 이 셔터판(31)을 구동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개폐모터(33) 및 셔터벨트(3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셔터판(31)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을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3개가 구비되며 케이스(10)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가감 또는 형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판(31)은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측에 상부 양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며, 셔터판(31)의 힌지축상에는 힌지풀리(34)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셔터판(31)의 힌지풀리(34)와 셔터벨트(35)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풀리(33p)를 회전축상에 일체로 구비한 개폐모터(33)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개폐모터(33)가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구동풀리(33p)가 일방향 회전을 이루게 되고, 이 구동풀리(33p)와 셔터벨트(35)로 연결된 힌지풀리(34)가 연동하여 일방향 회동하여 셔터판(31)을 회동시켜 케이스(10)의 전면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모터(33)는 제어기(m)의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제어기(m)는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빗물감지센서(ws)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하여 개폐모터(33)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셔터판(31)이 케이스(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판(31)이 케이스(10) 전면을 완전 커버하는 시점에서 유인등(11)과 전극(12)을 포함한 각종 전장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빗물감지센서(ws)는 습도 또는 물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도전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도전스위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수단은 빗물감지센서(ws)가 빗물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m)가 개폐모터(33)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셔터판(31)이 케이스(10)의 전면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셔터판(31)에 의해 케이스(10)의 전면이 완전 커버되는 시점에서 유인등(11)과 전극(12)을 포함한 각종 전장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누전에 의한 부품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빗물감지센서(ws)가 빗물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m)가 개폐모터(33)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셔터판(31)이 케이스(10)의 전면을 개방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인등(11)과 전극(12)을 포함한 각종 전장품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브러시(45)는 상술한 케이스(10)의 전면 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그 양단이 후술할 승강수단의 승강벨트(44)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구조로서, 그 일측면에는 전극(12)에 접촉하여 청소를 실시하는 솔(45p)이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45)의 솔(45p)은 전극(12)에 붙은 이물질이나 또는 해충이 감전사하면서 체액으로 형성된 절연막을 제거하는 것으로 전극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하므로 스파크 발생에 의한 전기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부도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브러시(45)는 솔(45p)이 전극(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케이스(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전극(12)에 붙은 이물질이나 체액으로 된 절연막 등을 제거하게 된다.
승강수단은 상술한 브러시(45)가 전극(12)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하도록 안내 유도하는 장치로서, 크게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승강모터(41)와, 이 승강모터(41)와 승강벨트(44)로 연결되는 더블풀리(42) 및 종동풀리(43) 그리고 승강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m)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승강모터(4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정역 방향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축상에는 구동풀리(41p)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더블풀리(42)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양측 상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2개의 풀리가 결합된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더블풀리(42)의 하측으로는 즉, 케이스(10)의 내부 양측 하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종동풀리(43)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승강벨트(44)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풀리(41p)와 더블풀리(42) 및 종동풀리(43)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브러시(45)가 선택적으로 승강될 수 있게 동일한 이동방향을 갖는 양단에 브러시(45)의 양측이 결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승강모터(41)는 제어기(m)의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제어기(m)는 승강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타이머(tm)와 리미트센서(ls)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기(m)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내장된 타이머(tm)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도록 구성되며,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임의로 동작시간과 브러시(45)의 승강 횟수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와 같은 입력수단과 이를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기(m)는 케이스(10)의 내부 상,하 일측에 브라켓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리미트센서(ls)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브러시(45)의 승강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리미트센서(ls)는 브러시(45) 접근시 소정의 신호를 제어기(m)로 인가하여 결과적으로 제어기(m)가 브러시(45)의 상승 완료된 시점과 하강 완료된 시점을 파악하도록 하여 승강모터(41)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cb)는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것이며, 상술한 제어기(m)를 포함한 각종 회로가 내장되면서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격 살충기의 동작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한 날씨 즉, 정상적인 경우에는 빗물감지센서(ws)가 빗물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개폐수단은 정상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즉, 셔터판(31)들은 상향 회동되어 케이스(10) 전면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각 전장품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인등(11)에 의해 유인된 해충은 케이스(10)의 전면측에 설치된 전극(12)에 접촉되면서 감전사하게 된다.
한편, 우천시에는 상기 빗물감지센서(ws)가 빗물을 감지하여 제어기(m)로 신호를 인가하고, 이 제어기(m)는 개폐모터(33)를 구동시켜 셔터판(31)들이 케이스(10)의 전면을 차페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판(31)에 의해 케이스(10)의 전면이 완전 차폐되는 시점에서 유인등(11)과 전극(12)을 포함한 각종 전장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누전으로 인한 부품손상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후 다시 건조한 상태가 되면 빗물감지센서(ws)가 빗물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기(m)는 상술한 초기의 정상 동작 상태를 수행하도록 개폐모터(33)를 제어함과 동시에 전원차단을 해제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전격 살충기는 주기적으로 승강되는 브러시(45)에 의해 전극(12)에 묻은 이물질이나 감전사하는 해충의 체액을 제거하게 된다.
즉, 제어기(m)는 리미트센서(ls)와 타이머(m)를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승강모터(41)를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모터(41)의 구동풀리(41p)는 더블풀리(42) 및 종동풀리(43)와 승강벨트(44)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고, 이 승강벨트(44)에서 동일 방향으로 진행하는 각 일단에 브러시(45)의 양단이 연결되는 구성에 의해 승강동작이 이뤄지게 된다. 따라서, 브러시(45)의 승강 동작시 솔(45p)이 전극(12)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므로 전극(12)에 대한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전격 살충기는, 빗물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유인등 및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커버를 닫도록 하여 케이스를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빗물에 의한 전장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동시에 누전 등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해충이 감전사하면서 전극에 형성시킨 체액으로 된 절연막이나 기타 이물질 등은 브러시에 의해 주기적으로 청소되어 제거되므로 전극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안정된 살충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격 살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셔터판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의 내측에서 바라본 승강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의 승강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격 살충기에서 제어기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유인등
12 : 전극 20 : 지지프레임
21 : 루프 31 : 셔터판
33 : 개폐모터 33p : 개폐모터의 구동풀리
34 :힌지풀리 35 : 셔터벨트
41 : 승강모터 41p : 승강모터의 구동풀리
42 : 더블풀리 43 : 종동풀리
44 : 승강벨트 45 : 브러시
45a : 솔 cb : 컨트롤박스
m : 제어기 ls : 리미트센서
tm : 타이머 ws : 빗물감지센서

Claims (3)

  1. 내부에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등(11)을 구비하고 개방된 전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인된 해충을 감전사시키는 전극(12)이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면서 그 상부를 커버하는 루프(21)를 일체로 구비한 지지프레임(20)과;
    빗물 감지시 케이스(10)의 전면측에 회동 가능하게 복수 설치되는 셔터판(31)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면서 유인등(11)과 전극(12)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 내측에 설치되어 전극(12)에 대한 이물질 제거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단이 전극(12)에 접촉되는 솔(45p)을 구비하는 브러시(45) 및 이 브러시(45)가 전극(12)을 따라 직선 왕복이동을 하도록 케이스(10) 내측에 설치되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격 살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풀리(41p)를 정역 회전시키는 승강모터(41)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더블풀리(42) 및 이들 더블풀리(42)의 하측에 케이스(10)상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종동풀리(43)와;
    상기 구동풀리(41p)와 더블풀리(42) 및 종동풀리(43)를 일체로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브러시(45)가 승강될 수 있게 동일한 이동 방향을 갖는 양단에 브러시(45)의 양측이 결합 고정되는 승강벨트(44)와;
    상기 승강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기준으로 내장된 타이머(tm)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케이스(10)의 내부 상,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리미트센서(ls)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승강모터(4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m);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격 살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 빗물을 감지하는 빗물감지센서(ws) 및 이 빗물감지센서(ws)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m)와;
    상기 제어기(m)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정,역 구동되는 구동풀리(33p)를 구비한 개폐모터(33)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셔터판(31)들의 힌지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힌지풀리(34)와;
    상기 개폐모터(33)의 구동풀리(33p)와 각 셔터판(31)들의 힌지풀리(34)를 연결하는 셔터벨트(3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격 살충기.
KR20-2005-0022926U 2005-08-08 2005-08-08 전격 살충기 KR200401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26U KR200401108Y1 (ko) 2005-08-08 2005-08-08 전격 살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26U KR200401108Y1 (ko) 2005-08-08 2005-08-08 전격 살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617A Division KR100663995B1 (ko) 2005-11-01 2005-11-01 전격 살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8Y1 true KR200401108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926U KR200401108Y1 (ko) 2005-08-08 2005-08-08 전격 살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0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600B1 (ko) * 2006-07-05 2007-08-06 오명호 파리살충기
KR100895484B1 (ko) * 2007-07-20 2009-05-06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100922329B1 (ko) 2007-12-14 2009-10-21 이은혜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101003015B1 (ko) 2008-05-13 2010-12-21 경기도농업기술원 학습관찰용 딱정벌레류 야간채집트랩
KR101196386B1 (ko) 2009-03-19 2012-11-02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912397A (zh) * 2017-11-13 2018-04-17 台江县革金爵田坝农场有限公司 一种山林养鸡驱蚊装置
CN116076471A (zh) * 2023-03-02 2023-05-09 灵石县农业农村局 一种农业病虫害诱杀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600B1 (ko) * 2006-07-05 2007-08-06 오명호 파리살충기
KR100895484B1 (ko) * 2007-07-20 2009-05-06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100922329B1 (ko) 2007-12-14 2009-10-21 이은혜 실내용 해충 포집 살충장치
KR101003015B1 (ko) 2008-05-13 2010-12-21 경기도농업기술원 학습관찰용 딱정벌레류 야간채집트랩
KR101196386B1 (ko) 2009-03-19 2012-11-02 주식회사 세스코 비래해충 포충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912397A (zh) * 2017-11-13 2018-04-17 台江县革金爵田坝农场有限公司 一种山林养鸡驱蚊装置
CN107912397B (zh) * 2017-11-13 2023-11-28 南京润途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山林养鸡驱蚊装置
CN116076471A (zh) * 2023-03-02 2023-05-09 灵石县农业农村局 一种农业病虫害诱杀装置
CN116076471B (zh) * 2023-03-02 2024-05-03 灵石县农业农村局 一种农业病虫害诱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108Y1 (ko) 전격 살충기
US10368536B2 (en) Insect trap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101232956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0663995B1 (ko) 전격 살충기
CN110881448A (zh) 一种农业大棚内用双吸引灭虫装置
KR100886244B1 (ko) 해충 살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해충 살충장치
KR100895502B1 (ko) 해충 포획장치
US6739086B1 (en) Rodent catching apparatus
KR101151824B1 (ko) 살충기
CN206498811U (zh) 一种环保型多功能杀虫灯
CN114532309B (zh) 一种用于林果防虫害的灭虫装置
KR20150134602A (ko) 해충 유인 포획 장치
CN214758833U (zh) 一种苹果园声光气一体驱虫驱鸟装置
CN210538358U (zh) 一种农业果树驱虫装置
CN211746363U (zh) 一种定时开闭和自动排料的昆虫诱捕器
CN215582972U (zh) 一种果蔬种植用防病虫装置
CN108064831A (zh) 一种可全天候捕虫器
KR960004778Y1 (ko) 자동청소장치가 내설된 전격식(電擊式)살충기
CN220044645U (zh) 一种种苗栽培用防虫装置
CN107926924B (zh) 一种农业用超声波驱虫装置
KR101821665B1 (ko) 가변 전극을 구비한 전격살충기
JP4634593B2 (ja) 電撃型自動カウント式トラップ
KR20120019875A (ko) 끈끈이 해충 포집기
CN219719511U (zh) 一种防虫害用捕虫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