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859A -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859A
KR20040110859A KR1020030040338A KR20030040338A KR20040110859A KR 20040110859 A KR20040110859 A KR 20040110859A KR 1020030040338 A KR1020030040338 A KR 1020030040338A KR 20030040338 A KR20030040338 A KR 20030040338A KR 20040110859 A KR20040110859 A KR 2004011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dentification code
data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크솔루션
장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크솔루션, 장재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크솔루션
Priority to KR1020030040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859A/ko
Publication of KR2004011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에서의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객이 필요로하는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서비스 방법의 일 형태는 온라인 상의 각종 경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단계; 적어도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단계;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에 연관된 상태로써 해당 이벤트 정보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신규 공지 데이터의 전송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연관되어 신규로 등록된 공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4운영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 서비스 방법의 다른 형태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에 의해 온라인 상의 각종 경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제1운영단계; 상기 과정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됨이 확인될 경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에 의해 해당 이벤트 정보 및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식별코드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공지 서버로 전송하는 제2운영단계; 그리고, 통합 공지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은 각 식별코드별 공지 데이터를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운영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service system for providing announcement to cli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수행한 전자 행위의 리퀘스트에 대한 결과(리플라이, 접수완료, 경매낙찰 등) 발생시 그 사실을 사용자 단말기로 자동 제공 해주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 통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은 업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의 일상적인 생활 방식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인터넷 분야의 기술은 급속히 발전되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위한 보편적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사용자들은 많은 웹사이트 내에서 각종 커뮤니티의 게시판 등에 게시물을 게시하는 행위, 민원/경매/시사회/복권/구매/등의 신청하는 행위, FAQ 등록하는 행위, 에로/고발/건의 사항을 접수하는 생위, 각종 납부 내역 신청하는 행위, 민원서류 등의 신청을 위한 행위 등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현재에는 게시물의 게시나, 신청 혹은, 요구에 대한 답신 및 진행 상황 등을 알기 위해서는 인터넷 브라우저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주기적으로 해당 사이트를 방문, 사용자 인증, 해당 서비스 페이지 방문등의 일련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즉,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의 취득을 위해서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필요로하는 자료를 검색하여야만 한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서비스는 후술하는 각종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사용자는 수 없이 많은 사이트들을 방문하여 일련의 전자행위를 수행하지만, 이 사용자의 전자행위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기존에는 이메일 혹은 단문메세지(SMS)만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내용의 한계를 가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구인구직의 경우에는 구인자의 인터뷰 요청 접수만 통보되고, 경품에 당첨되었을 경우에는 경품 당첨 사실만 통보되며, 경매에 낙찰되었을 경우 역시 경매 낙찰 사실만 통보될 뿐 그 각각의 내역에 대한 상세 내용의 제공이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정보를 받고자 하는 유형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존되기 보다는 사이트를 운영하는 회사의 정책에 따라 결정된다는 불만이 있었다.
둘째, 기존의 이메일 및 단문메세지를 통해 중요한 결과 정보를 수신받을 때 각종 스팸메일 및 스팸단문메세지들 중에 섞여 있게 되어 사용자들에게 많은 불편을 제공하게된 문제점이 발생된다.
셋째, 대부분의 사이트는 회원으로 가입하여야만 그 확인 내용을 메일 및 단문메세지로 전송받게 되어 비회원일 경우 각종 정보 제공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가 없다.
넷째, 게시판과 같은 곳에서 어떤 질문에 대한 불특정 사람으로부터 답변을 파악할려면 주기적으로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다섯째, 다수의 사이트의 게시판에 게시물을 올리고 그 답변을 얻으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어떤 사이트에 글을 올렸는지 기억하기가 쉽지 않아 재차적인 방문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여섯째, 임의의 사이트에 게시물을 올렸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게시물은 여러페이지 뒤로 밀려나게 되어 해당 게시물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작업을 동반하여야 한다.
일곱째, 임의의 사이트에서 사용자를 위한 각종의 이벤트 및 중요 공지사항을 사용자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메일 및 단문메세지를 사용자 각 개개인들에게 일일이 내용 전부를 전송하여야 하는 오버헤드가 수반된다. 즉 상당한 비용의 전산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하며 과중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유발하고 부가적인 경비가 소요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행위를 수행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그 행위의 결과를 확인해야 하는 단순 반복적인 일련의 과정을 생략하게 하여 인터넷 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스팸정보에 섞여 있는 중요한 결과정보를 혹시 간과하지 않았나, 혹은 스팸필터 프로그램 오동작으로 인한 중요 정보도 필터링되지 않았나 하는 불안을 해소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본인이 꼭 필요한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 및 정보를 제공, 유지하려 하는 업체나 기관에서는 고급정보를 제공하거나, 전자 행위의 결과를 통보하기 위한 이메일 시스템 구축 및 단문 전송 비용 등을 축소할 수 있으며 회원/비회원의 구분없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과정 중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요청을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과정 중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가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과정 중 사용자 단말기가 공지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과정 중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가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과정 중 통합 공지 서버가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사용자 단말기 110. 웹브라우저
120.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121. 코드 생성 모듈
122. 전송 모듈 123. 검색 모듈
200.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 210. 웹서버
220. 데이터 베이스 230. 정보 제공 모듈
300. 통합 공지 서버 310. 데이터 수신 모듈
320. 데이터 송신 모듈 330. 데이터 베이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웹브라우저가 포함되며, 별도로 프로그래밍 된 상태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유일키값 혹은, 유일 구분자)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 웹서핑시 상기 생성된 식별코드를 사용자의 전자 행위시 웹브라우저를 통해 자동 전송하는 전송모듈,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이벤트 혹은, 공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색 모듈 등을 가지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를 가지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저장함과 더불어 각종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연관된 식별코드별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등록된 식별코드별 공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가지는 온라인 상의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각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각각의 웹서버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각종 식별코드별 사용자에 관련된 각종 공지 데이터를 수신받는 데이터 수신 모듈을 가지고, 상기 수신받은 데이터를 각 식별코드별로 등록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모듈을 가지는 통합 공지 서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으로 온라인 상의 각종 경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단계; 적어도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단계;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에 연관된 상태로써 해당 이벤트 정보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신규 공지 데이터의 전송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연관되어 등록된 공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4운영단계:가 포함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으로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에 의해 온라인 상의 각종 경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제1운영단계; 상기 과정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됨이 확인될 경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에 의해 해당 이벤트 정보 및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식별코드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공지 서버로 전송하는 제2운영단계; 그리고, 통합 공지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은 각 식별코드별 공지 데이터를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운영단계:가 포함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이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가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계됨으로써 구축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에는 인터넷 혹은, 인트라넷 등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웹브라우저(110) 혹은, 모바일 프로그램 등이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별도로 프로그래밍 된 상태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121)과, 웹서핑시 상기 생성된 식별코드를 웹브라우저(110)를 통해 자동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122) 그리고, 폴링(polling) 방식 혹은, 전용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식으로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 혹은, 통합 공지 서버로 주기적인 공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색 모듈(123)을 가지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식별코드는 컴퓨터와 1대 1이 될 수 있는 유일키일 수 있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과 같이 고유의 유일키 값이 될수도 있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식별코드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변조할 수도 있고, 체크섬과 같은 코드를 첨부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전송 모듈(122)에서는 식별코드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쿠키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CGI의 파라미터로 추가할 수도 있으며, HTTP 헤더에 삽입(예컨대, UNIQUE ID 파라미터)될 수도 있다.
즉, 온라인 상에서는 상기 식별코드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의 고유한 이름(구분자)이 되는 것이다.
물론, 한대의 컴퓨터를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경우 각 사용자마다 각각의 식별코드가 별도로 부여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웹사이트에 등록된 공지 데이터라 함은 각 웹사이트에서 각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이벤트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의 전자 행위에 대하여 각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되는 응답 예컨대, 각종 문의에 대한 답변, 각종 주문에 대한 접수 완료, 입찰한 경매에 대한 상황 통보, 참여한 행사에 대한 결과 통보, 각종 공지, 각종 요청 사항에 대한 처리 결과 등과 같은 상황 정보를 데이터로 변환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스크탑이나 워크스테이션, PC 서버, 맥킨토시 등의 일반적인 컴퓨터가 될 수도 있고, 휴대가 가능한 랩탑컴퓨터, 노트북컴퓨터, 팜탑컴퓨터 등의 포터블 컴퓨터가 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폰, PDA, 샐룰러폰, IMT2000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셋톱박스, 인터넷 TV, 인터넷 냉장고 등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가전 기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슈퍼컴퓨터, 메인 프레임, 서버에 연결된 콘솔 및 더미터미널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메신저, 웹브라우저 혹은, 기타의 통신 프로그램, 개발 모듈 등에서 플러그인 기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는 웹서버(210)와, 정보 제공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축되며, 정보 저장이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220)도 포함된다.
상기 웹서버(210)는 온라인 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함과 더불어 상기 웹사이트 내에서 전자 행위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식별코드를 수신받으며, 각종 이벤트 발생을 확인함과 더불어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데이터화한 후 대응하는 식별코드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220)에 등록하도록 구축된다.
이와 함께, 상기 데이터 베이스(220)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식별코드가 저장됨과 더불어 각 식별코드에 연관된 공지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 모듈(23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 각 식별코드별 관련 공지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된 구성이다.
특히,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는 웹사이트 내에서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 파악하고,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가 각 식별코드와 연관있는지를 확인하도록 구축된다.
만일, 상기 이벤트가 특정 사용자가 수행한 전자 행위(예컨대, 각종 문의, 각종 주문, 경매 입찰, 행사 참여 등)에 대한 공지(혹은, 응답이나 답변 등)일 경우 혹은, 여타의 협력 웹사이트 등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행사 정보 등일 경우 해당 이벤트를 데이터화 한 후 관련 식별코드에 연관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며, 상기 이벤트가 해당 웹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인터넷 사용자(회원)들에게 제공하는 행사 등일 경우에는 전체 회원 식별코드에 연관하여 데이터화 한 후 데이터 베이스(220)에 등록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한 도 2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확인(S110)한 후 생성 모듈(121)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유일한 식별코드를 생성(S120)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단말기라면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시 각 사용자별 구분값을 파악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단지 1명의 사용자만 사용한다면 전술한 사용자 확인(S110)을 위한 일련의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식별코드는 악의적인 해킹에 대비하여 암호화 혹은, 체크섬과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S130)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웹브라우저(110)를 구동하여 온라인 상에서 운영되는 각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각종 전자 행위를 수행한다.
이 때, 해당 사용자가 웹브라우저(110)를 통하여 해당 웹사이트에서 각종 전자 행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리퀘스트가 발생된다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쿠키값 혹은, CGI 파라미터나 HTTP 요청 헤더 등으로 해당 웹서버(210)로 전송(S140)되도록 한다.
예컨대, HTTP 프로토콜의 GET 방식에서는 URL 링크에 파라미터로 추가될 수 있고, POST 방식에서는 POST 파라미터로 추가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쿠키값에 추가되어 보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HTTP 요청 헤더 내에 파라미터로 추가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도시한 도 3과 같이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식별코드를 수신(S210) 받고, 상기 수신받은 식별코드 및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행위에 대한 분류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20)에 등록(S220)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는 온라인 상의 각종 경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S230)한다.
이 때, 상기 이벤트는 특정 사용자가 수행한 전자 행위(예컨대, 각종 문의, 각종 주문, 경매 입찰, 행사 참여 등)에 대한 타 사용자의 응답이나 답변 등이 될 수도 있고, 여타의 협력 웹사이트 등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행사 정보가 될 수도 있으며, 해당 웹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행사 등이 될 수도 있다.
만일,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내역 중 적어도 어느 한 내역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된다면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가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 어떤 임의의 식별코드에 관련된 이벤트인지를 확인(S240)한다.
이 때, 상기 이벤트가 임의의 식별코드와 연관이 없는 일반적인 이벤트 행사라면 각 식별코드를 포함한 해당 이벤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220)에 등록(S250)하고, 상기 이벤트가 임의의 식별코드에 관련된 이벤트라면 해당 이벤트 정보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한 후 해당 식별코드와 상기 공지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220)에 서로 연관시켜 등록(S260)한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도중 사용자 단말기(10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도시한 도 4와 같이 검색 모듈(123)을 이용하여 폴링(polling) 방식 혹은, 전용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각 웹사이트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관련된 공지 데이터의 등록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S310)한다.
이 때, 상기 식별코드에 관련된 공지 데이터는 기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웹사이트에 리퀘스트를 요청한 내역에 대한 응답 혹은, 답변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이다.
물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웹서버(210)와 통신하면서 신규 공지 데이터의 발생에 대한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수신한 웹페이지 본문을 파싱하여 특정한 형식의 파라미터들을 판독함으로써 판악할 수도 있고, HTTP 응답헤더 내의 가장 최근 업데이트 일자 및 여러 헤더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도 있으며, 전용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에서 해당 식별코드에 관련된 신규 공지 데이터의 존재가 확인된다면 상기 존재하는 공지 데이터를 수신(S330)한 후 해당 사용자에게 통보(S340)한다.
물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HTTP 프로토콜이 아닌 전용의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서버(210)와 실시간적으로 동기화되어 공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해당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통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에 의해 각 공지 데이터의 존재 확인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연관된 새로운 공지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상기 공지 데이터가 타인으로부터 불법으로 조작되지 않은 유효한 공지 데이터인지를 판단(S320)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유효한 공지 데이터일 경우 팝업 윈도우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공지 데이터의 내용이 해당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유효하지 않은 공지 데이터일 경우에는 스팸으로 간주하고 삭제나 별도 관리 등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꼭 필요한 정보만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된 공지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보다 상세히 보고자 한다면 해당 공지 데이터를 디코딩하거나 혹은, 해당 공지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의 상세 내역은 윈도우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만일, 화면에 표시된 내역 중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공지 내역 등을 선택할 경우 해당 공지와 관련된 웹사이트 혹은, 웹페이지로 링크(S350)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종 전자 행위를 수행하는 사용자들이 그 행위의 결과를 확인해야 하는 단순 반복적인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써 인터넷 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도 5와 같이 전술한 제1실시예에의 구성에 각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와 연계되도록 구축되며, 상기 각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로부터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통합 공지 서버(300)가 더 포함되어 구축된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10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이 가지는 검색 모듈(123)은 폴링(polling)(CGI) 방식 혹은, 전용의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식으로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로부터 주기적인 공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는 데이터 수신 모듈(310) 및 데이터 송신 모듈(320)을 가지고, 데이터 베이스(330)를 가진다.
이 때, 상기 데이터 수신 모듈(310)은 각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각각의 웹서버(210)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각종 식별코드별 사용자에 관련된 각종 공지 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 베이스(330)에 등록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모듈(32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 등록된 공지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는 각 사용자의 식별코드가 각각 등록되어 있고, 상기 각 식별코드별로 연관이 있는 각종 공지 데이터가 상기 각 식별코드에 연관된 상태로 각각 등록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특정 식별코드에 연관된 각종 공지 데이터 등이 각 웹사이트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직접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에 의해 일괄적으로 취합된 후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에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공지 사이트 및 사이트 내의 공지 종류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는 각종 공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각 웹사이트가 유효한 사이트인지(예컨대, 공인된 혹은, 인가된 사이트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됨과 더불어 상기 수신받는 공지 데이터 자체가 유효한지에 대한 여부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되며, 상기 수신받는 공지 데이터에 포함된 공지 내용이 사용자가 원하는 공지인지에 대한 여부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온라인 상에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업체가 각각의 식별코드를 가지는 모든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도 6 및 도 7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웹브라우저(110)를 이용하여 웹서핑을 수행하는 도중 특정 전자 행위를 수행하고, 이 수행된 행위 과정 중에 해당 웹사이트로 식별코드를 자동 제공하는 과정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물론,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 역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코드 및 각 사용자를 대상으로 공지되어야 할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220)에 등록하는 일련의 과정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도 6과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가 특정 이벤트의 발생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이벤트와 각 식별코드 간의 연관 관계를 확인함과 더불어 어느 한 식별코드와 연관이 있다면 그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취합하여 공지 데이터로 변환(S270)하고, 이 변환한 공지 데이터를통합 공지 서버(300)로 전송(S280)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가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로 제공하는 공지 데이터에는 발생된 이벤트 정보 이외에도 공지 대상 사용자의 식별코드 및 전송 사이트명, 공지유형(회사공지, 처리결과, 게시판 리플라이 등), 확인(방문)용 URL 링크, 공지발생시간, 공지 타이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에서 통합 공지 서버(300)는 도시한 도 7과 같이 데이터 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로부터 공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상기 전송받은 공지 데이터가 유효한지에 대한 여부, 해당 공지 데이터를 전송한 웹사이트가 유효한 사이트(예컨대, 공인된 사이트)인지에 대한 여부 및 해당 공지 데이터의 공지유형이 그 제공 대상으로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인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필터링 한다.
여기서, 상기 공지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는 상기 공지 데이터가 타인으로부터 조작되지 않은지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사이트의 유효성 여부는 통합 공지 서버(300)에 공지 처리가 허가된 사이트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사이트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된다.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가 공지 데이터 취득을 원하는 사이트 인지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송받은 공지 데이터의 공지 유형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정보 만이 제공되도록 하여 스팸 정보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200)로부터 전송받은 공지 데이터가 유효하다고 확인된다면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는 상기 각 공지 데이터를 그에 대응되는 각 식별코드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330)에 등록함으로써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검색 모듈(123)을 이용하여 통합 공지 서버(3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관련된 공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의 경우, 통합 공지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330)를 검색하여 해당 식별코드에 관련된 신규 공지 데이터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만일 공지 데이터가 등록되었다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로부터 해당 공지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송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공지 데이터를 수신(S240)한 후 그 사실을 해당 사용자에게 통보(S250)한다.
물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120)은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330)에 등록된 공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공지 데이터가 타인으로부터 불법으로 조작되지 않은 유효한 공지인지를 판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유효한 공지일 경우 팝업 윈도우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공지 데이터에 포함된 공지 내용이 해당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유효하지 않은 공지 데이터일 경우에는 삭제나 별도 관리 등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꼭 필요한 정보만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만일, 전술한 일련의 과정 중 상기 데이터 베이스(320)에 신규 공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신규 공지가 없다는 결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된 공지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보다 상세히 보고자 한다면 해당 공지 데이터를 윈도우 화면에 그 상세 내역을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내역 중 사용자가 원하는 공지 내역 등을 선택할 경우 해당 공지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URL 링크로 접속시킨다.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은 단지 공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여부의 확인을 통합 공지 서버(300)로부터 제공받는 점에서만 제1실시예와 다를 뿐 여타의 과정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단지 전술한 제1실시예 혹은, 제2실시예의 구성에 의해서만 제공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전술한 제2실시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반드시 임의의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와 통합 공지 서버(300)가 서로 연계되어야 하며, 이의 경우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와 연계되지 않은 다른 웹사이트로부터는 각종 이벤트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가지되,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서비스가 각각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설정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와 연계되지 않은 웹사이트의 경우에는 해당 웹사이트에서 직접 사용자 단말기(100)로 관련 공지 데이터가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와 연계된 웹사이트의 경우 상기 통합 공지 서버(3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관련 공지 데이터가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일부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특허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이 이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수행한 일련의 전자행위에 대한 결과를 관련된 웹페이지 혹은, 별도의 윈도우를 통해 제공하기 때문에 제공되는 내용에 대한 한계가 해소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관련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종 스팸에 의한 사용자의 불만이 해소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즉, 사용자는 각종 전자 행위를 수행하면서 요청한 이벤트 정보만을 제공받기 때문에 각종 스팸성 정보 수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셋째, 정보의 수신을 위해 사용자가 별도의 메일계정 생성에 따른 회원가입을 행하지 않더라도 각종 정보 제공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게시판과 같은 곳에서 어떤 질문에 대한 불특정 사람으로부터 답변이이루어질 경우 해당 웹사이트에 방문하여 해당 답변이 기재된 웹페이지로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상기 답변에 대한 내용을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각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모든 사용자를 위해 일일이 정보 제공을 수행하지 않고, 통합 공지 서버로 일괄적인 정보 제공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의 전산 시스템을 별도 구비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과중한 네트워크 트래픽 유발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2)

  1.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웹브라우저가 포함되며, 별도로 프로그래밍 된 상태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생성 모듈, 웹서핑시 상기 생성된 식별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웹브라우저를 통해 자동 전송하는 전송 모듈,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들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신규 이벤트 혹은, 신규 공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색 모듈 등을 가지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 그리고,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를 가지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식별코드를 수신받아 저장함과 더불어 각종 이벤트의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연관된 식별코드별로 분류하여 등록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며, 상기 등록된 식별코드별 공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을 가지는 온라인 상의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각각의 웹서버로부터 온라인을 통해 각종 식별코드별 사용자에 관련된 각종 공지 데이터를 수신받는 데이터 수신 모듈을 가지고, 상기 수신받은 데이터를 각 식별코드별로 등록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며,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모듈을 가지는 통합 공지 서버가 더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3. 온라인 상의 각종 경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1운영단계;
    적어도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2운영단계;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에 연관된 상태로써 해당 이벤트 정보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3운영단계;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신규 공지 데이터의 전송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연관되어 등록된 공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의 제4운영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식별코드는
    온라인 상에서 운영되는 웹사이트를 통해 전자 행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리퀘스트 발생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컴퓨터 내에서 자동 생성되는 전세계 유일의 키값 혹은,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과 같이 고유의 유일키 값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일대 일 매핑될 수 있는 구분자이며,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리퀘스트 발생시 생성하여 웹브라우저를 통해 쿠키값 혹은, CGI 파라미터, HTTP 요청 헤더 내의 파라미터 등으로 해당 웹사이트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운영단계에서 확인하는 이벤트는 사용자가 수행한 전자 행위에 대한 타 사용자의 응답이나 답변 정보와, 여타의 웹사이트 등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행사 정보 그리고, 해당 웹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행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운영단계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폴링(polling) 방식을 통해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들과 통신하면서 해당 식별코드에 연관된 신규 공지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공지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공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요청하도록 프로그래밍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신규한 공지 데이터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등록된 공지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한 후 유효한 데이터일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통보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9.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에 의해 온라인 상의 각종 경로를 통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제1운영단계;
    상기 과정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한 이벤트가 발생됨이 확인될 경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에 의해 해당 이벤트 정보 및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식별코드를 공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공지 서버로 전송하는 제2운영단계; 그리고,
    통합 공지 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은 각 식별코드별 공지 데이터를 자체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3운영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운영단계에서 서비스 서버 네트워크가 통합 공지 서버로 전송하는 공지 데이터에는 발생된 이벤트 정보, 공지 대상 사용자의 식별코드 및 전송 사이트명, 공지유형, 확인용 URL 링크, 공지발생시간, 공지 타이틀 등의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폴링(polling) 방식을 통해 통합 공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하면서 해당 식별코드에 연관된 공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통합 공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연관된 신규 공지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해당 공지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제어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통합 공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특정 식별코드에 관련된 신규 공지 데이터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하였을 경우
    상기 등록된 공지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확인한 후 유효한 데이터일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에게 통보되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제어됨을 특징으로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030040338A 2003-06-20 2003-06-20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KR20040110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338A KR20040110859A (ko) 2003-06-20 2003-06-20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338A KR20040110859A (ko) 2003-06-20 2003-06-20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859A true KR20040110859A (ko) 2004-12-31

Family

ID=37383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338A KR20040110859A (ko) 2003-06-20 2003-06-20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0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7614A (zh) * 2014-10-14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匿名信息发布处理方法、装置、系统及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77614A (zh) * 2014-10-14 2016-05-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匿名信息发布处理方法、装置、系统及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3757B (zh) 通信系统和通信终端
US20090216643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2047281A (zh) Captcha广告
CN101783003A (zh) 电子优惠券处理系统
CN101026592A (zh) 社区信息更新通知方法及系统
KR102055897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서비스 접속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689868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13270B2 (ja) メッセージ共有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72574A (ja) 掲示板システムおよびその不正投稿防止方法
JP2003296278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管理システム用記録媒体
KR20040110859A (ko)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JP2009122953A (ja) 属性情報開示システム、属性情報開示方法および属性情報開示プログラム
KR20000059233A (ko) 무선통신 문자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5447A (ko) 커뮤니티 서버 통합 게시물 알림 시스템 및 게시물 알림 방법
KR20130087959A (ko) 멀티 포스팅이 가능한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00050178A (ko) 인터넷을 통하여 지역별로 선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60099748A (ko) 카테고리 컨텐츠 공유시스템 및 방법
US1114497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Awodele et al. An improved SMS user interface result checking system
JP2012113540A (ja) Webシステム、及び、webサーバ
KR101198686B1 (ko) 구독자 기반의 주제별 정보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2132674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30052672A (ko) 이동전화번호를 도메인으로 이용한 개인정보공간 제공방법
WO201910731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452926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문서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