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447A -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447A
KR20040110447A KR1020030039777A KR20030039777A KR20040110447A KR 20040110447 A KR20040110447 A KR 20040110447A KR 1020030039777 A KR1020030039777 A KR 1020030039777A KR 20030039777 A KR20030039777 A KR 20030039777A KR 20040110447 A KR20040110447 A KR 2004011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stylus pen
slide screw
writ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철환
Original Assignee
남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철환 filed Critical 남철환
Priority to KR102003003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0447A/ko
Priority to PCT/KR2004/001470 priority patent/WO2004110784A2/en
Publication of KR2004011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4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2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having storage compartmen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에 터치팁을 출몰가능하게 설치하여 필기용 펜과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를 위한 스타일러스펜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필기구하우징(3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홀더(34)에 의해 필기구(30)의 펜촉출몰기구(36)에 연결되는 전후진너트(40)와, 전후진너트(40)의 끝에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된 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중공형의 회전캡(42)과, 전후진너트(40)와는 나사결합되고, 회전캡(42)과는 스플라인 결합되는 슬라이드스크류(44)와, 슬라이드스크류(44)의 끝에 설치되어 회전캡(42)의 중심으로부터 안팎으로 출몰되는 터치팁(46)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기구와 스타일러스펜을 하나의 필기구하우징에 내장하였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예압스프링과 완충스프링에 의해 완충작용에 의해 터치패널을 보호하는 동시에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Pen with stylus}
본 발명은 필기용 펜과 터치패널을 위한 스타일러스펜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구에 터치팁을 출몰가능하게 설치하고 완충스프링을 갖추어 필기용 펜과 터치패널의 터치용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터치패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는 휴대를 위해 제한된 크기를 갖기 때문에 액정화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 터치패널을 채용하고 있으며, 조작을 위한 버튼은 소형화하는 동시에 그 개수를 최소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채용된 터치패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타일러스펜"이라 불리는 철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스타일러스펜으로는 필기용지에 필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필기구를 지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타일러스펜은 과도한 터치압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터치패널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필기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필기구와 스타일러스펜을 겸할 수 있는 동시에 과도한 터치압으로부터 터치패널의 표면을 보호하고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기구하우징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홀더에 의해 필기구의 펜촉출몰기구에 연결되는 전후진너트와, 전후진너트의 끝에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된 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중공형의 회전캡과, 전후진너트와는 나사결합되고, 회전캡과는 스플라인 결합되는 슬라이드스크류와, 슬라이드스크류의 끝에 설치되어 회전캡의 중심으로부터 안팎으로 출몰되는 터치팁으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1의 상태로부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터치팁이 돌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필기구로 사용되는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스타일러스펜으로 사용되는 예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필기구 32 : 필기구하우징
34 : 홀더 36 : 펜촉출몰기구
40 : 전후진너트 40a : 보스
40b : 환형홈 42 : 회전캡
44 : 슬라이드스크류 46 : 터치팁
46b : 환형돌기 50 : 예압스프링
64 : 펜촉 70 : 액상향신료
72 : 향신료저장실 80 : 완충스프링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하우징(3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홀더(34)에 의해 필기구(30)의 펜촉출몰기구(36)에 연결되는 전후진너트(40)와, 전후진너트(40)의 끝에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된 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중공형의 회전캡(42)과, 전후진너트(40)에 형성된 암나사부(40s)에 나사결합되고, 회전캡(42)과는 스플라인 결합되는 슬라이드스크류(44)와, 슬라이드스크류(44)의 끝에 설치되어 회전캡(42)의 중심으로부터 안팎으로 출몰되는 터치팁(46)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필기구하우징(32)과 전후진너트(40) 사이에 완충스프링(80)을 개재시켜서 터치팁(46)으로부터의 과도한 압력을 완충스프링(80)이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 상기 회전캡(42)의 외주면에는 요철부(42n)를 형성하여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그 후단부에는 슬라이드스크류(44)와의 결합을 위한 일방향성 후크부(42h)를 형성하여 축방향으로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였고, 중심에는 터치팁(46)을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42m)을 형성하였다.
상기 슬라이드스크류(44)는 그 후단부에 수나사부(44s)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캡(42)과의 스플라인결합을 위한 예컨대, 육각형 단면모양의 스플라인결합부(44h)가 형성되며, 그 끝에는 터치팁(46)을 끼우기 위한 보스(40a)가 형성되고, 수나사부(44s)와 스플라인결합부(44h)가 만나는 부위에는 걸림턱(44t)을 두어 슬라이드스크류(44)의 스트로크를 제한하였다.
또, 터치팁(46)은 보스(40a)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40b)에 의해 걸리어 결합되도록 그 내측에 환형돌기(46b)를 형성하여 마모된 터치팁(46)의 교환이 간편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홀더(34)를 통해 전후진너트(40)와 슬라이드스크류(44) 사이에서 반발하여 이 슬라이드스크류(44)에 돌출방향으로 상시(常時) 예압을 가하는 예압스프링(50)을 설치하여 터치팁(46)이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터치팁(46)에 향을 발산하기 이한 향신료를 함침하여 사용도중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향신료가 공기중으로 발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스크류(44)의 내부에 액상향신료(70)를 저장하기 이한 향신료저장실(72)이 형성하고, 터치팁(46)을 다공질로 형성하여 장시간 향신료를 발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팁(46)의 끝에 보조펜촉(64)을 설치하여 그 반대편의 펜촉(39)과 함께 필기용으로 번갈아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1은 포켓에 끼워서 걸기 위해 필기구하우징(32)에 설치된 통상의 클립을 나타낸 것이며, 90은 필기를 위한 필기면을 나타낸 것이고, 92는 터치패널을 나타낸 것이며, 39는 터치팁(46)의 반대편 끝에서 출몰하는 펜촉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팁(46)이 내측으로 숨겨진 상태에서 이를 돌출시켜서 스타일러스펜으로 사용하는 경우 필기구하우징(32)이 돌지 못하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회전캡(42)을 잡고 역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회전캡(42)이 전후진너트(40)에 축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진너트(40)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고, 회전캡(42) 만이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슬라이드스크류(44)는 전후진너트(40)에는 나사결합되어 있고, 회전캡(42)에는 축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스플라인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스크류(44)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끝에 설치된 터치팁(46)이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즉,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캡(42)과 전후진너트(40)는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전캡(42)과 슬라이드스크류(44)는 예컨대, 육각형의 형태로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스크류(44)가 회전캡(42)과 함께 회전되면서 동시에 축방향으로 움직여 터치팁(46)을 바깥쪽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이후 슬라이드스크류(44)에 형성된 걸림턱(44t)이 회전캡(42)의 단부에 접촉되면, 더 이상 축방향으로 진행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팁(46)이 밑을 향하도록 필기구(30)를 거꾸로 하여 터치팁(46)을 터치패널(92)에 접촉시키면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움직이게 되면, 스타일러스펜으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홀더(36)를 통해 전후진너트(40)와 슬라이드스크류(44)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된 예압스프링(50)은 슬라이드스크류(44)가 항상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예압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전후진너트(40)와 슬라이드스크류(44) 사이에 주어진 헐거운 유격에 의해 슬라이드스크류(44)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강하게 잡아 터치팁(46)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여 필기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필기구하우징(32)과 전후진너트(40) 사이에 개재된 완충스프링(80)은 터치팁(46)에 무리하게 작용되는 필기압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터치패널(92)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완충스프링(80)의 반발력을 넘어서는 힘으로 터치팁(46)을 터치패널(92)에 접촉시키게 되면, 이 힘이 터치팁(46)과 슬라이드스크류(44), 전후진너트(40)를 통해 완충스프링(80)으로 전달되면서 완충스프링(80)을 압축시키게 되어, 터치패널(92)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는 쓰는 동작 중에 터치팁(46)에 불규칙적으로 가해지던 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
이후, 다시 밖으로 돌출된 터치팁(46)을 내측으로 숨기어 필기구로서 사용하는 경우 회전캡(42)을 정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이번에는 슬라이드스크류(44)가 내측을 향해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이 끝에 설치된 터치팁(46)이 회전캡(42)의 내측으로 수납되는데, 이때 첨부도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30)를 원래의 상태로 세운 다음 회전캡(42)을 손으로 누르게 되면, 필기구(30)에 내장된 펜촉출몰기구(36)에 의해 필기구(30)의 끝으로부터 펜촉(39)이 출몰하여 필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터치팁(46)의 오랜 사용으로 끝 부분이 마모된 경우 이를 교환해 주어야 되는데, 이때 터치팁(46)이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이를 잡고 축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터치팁(46)이 슬라이드스크류(44)로부터 분리된다.
그 다음 새로운 터치팁(46)을 슬라이드스크류(44)에 형성된 보스(40a)에 맞추고 강한 힘으로 압입하게 되면, 터치팁(46)에 내측에 형성된 환형돌기(46b)가 보스(40a)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40b)에 걸리면서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새로운 터치팁으로의 교환이 완료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팁(46)의 끝에 보조펜촉(64)이설치된 경우에는 필기구(30)의 반대편이 설치된 펜촉(39)과 함께 양쪽으로 필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스크류(44)의 내부에 형성된 향신료저장실(72)에 액상향신료(70)가 수용되어 있고, 터치팁(46)이 다공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향신료저장실(72)에 저장된 액상향신료(70)가 모세관현상에 의해 다공질의 터치팁(46)으로 서서히 흡수되면서 대기중으로 증발되어 주변에 향기를 풍기게 되며, 터치팁(46)에 압력과 마찰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향신료의 증발이 촉진되어 사용 중에 더욱 많은 양의 향기가 공기중으로 발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반 필기구와 스타일러스펜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게 되며, 내부에 구비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터치패널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여 터치패널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터치압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는 작용도 하여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홀더를 통해 전후지너트와 슬라이드스크류 사이에 개재된 예압스프링에 의해 터치팁이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필기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터치팁의 끝에 보조펜촉을 설치한 경우 필기구의 양쪽으로 필기가 가능하게 되고, 내부에 액상향신료가 설치되거나 함침된 경우에는 사용중에 대기중으로 향기를 발산하여 쾌적한 필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필기구하우징(32)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홀더(34)에 의해 필기구(30)의 펜촉출몰기구(36)에 연결되는 전후진너트(40)와;
    상기 전후진너트(40)의 끝에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된 채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중공형의 회전캡(42)과;
    상기 전후진너트(40)와는 나사결합되고, 상기 회전캡(42)과는 스플라인 결합되는 슬라이드스크류(44)와;
    상기 슬라이드스크류(44)의 끝에 설치되어 회전캡(42)의 중심으로부터 안팎으로 출몰되는 터치팁(4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4)를 통해 전후진너트(40)와 슬라이드스크류(44) 사이에서 반발하여 이 슬라이드스크류(44)에 돌출방향으로 상시(常時) 예압을 가하는 예압스프링(5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스크류(44)에 설치되는 터치팁(46)은 이 슬라이드스크류(44)의 끝에 형성된 보스(40a)에 끼워지고, 그 보스(40a)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홈(40b)에 의해 걸리어 결합되도록 내측에 환형돌기(46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팁(46)의 끝에 보조펜촉(64)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팁(46)은 향을 발산하기 이한 향신료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스크류(44)의 내부에는 액상향신료(70)를 저장하기 이한 향신료저장실(72)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팁(46)이 다공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하우징(32)과 전후진너트(40) 사이에 완충스프링(80)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KR1020030039777A 2003-06-19 2003-06-19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KR20040110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777A KR20040110447A (ko) 2003-06-19 2003-06-19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PCT/KR2004/001470 WO2004110784A2 (en) 2003-06-19 2004-06-19 Pen with styl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777A KR20040110447A (ko) 2003-06-19 2003-06-19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676U Division KR200331252Y1 (ko) 2003-07-07 2003-07-07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447A true KR20040110447A (ko) 2004-12-31

Family

ID=3355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777A KR20040110447A (ko) 2003-06-19 2003-06-19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110447A (ko)
WO (1) WO200411078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28Y1 (ko) * 2009-02-17 2011-04-22 함미덕 터치펜 겸용 필기구
KR101243164B1 (ko) * 2011-10-11 2013-03-13 김대상 정전식 터치펜이 형성된 필기구
WO2014073745A1 (ko) * 2012-11-12 2014-05-15 Jin Jae-Seung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651258U (zh) * 2014-01-22 2014-06-18 上海思勤文具制造有限公司 具有触屏功能的中性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629A (en) * 1998-05-07 1999-06-22 Ttools, Llc Writing implement including an input stylus
US6533480B2 (en) * 2000-06-14 2003-03-18 Marc L. Schneider Adjustable finger stylus
KR200240697Y1 (ko) * 2001-05-09 2001-10-15 황순옥 향수 휴대용 필기구
KR20040014175A (ko) * 2003-05-20 2004-02-14 아이디어플라자(주) 피디에이 펜이 형성된 필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28Y1 (ko) * 2009-02-17 2011-04-22 함미덕 터치펜 겸용 필기구
KR101243164B1 (ko) * 2011-10-11 2013-03-13 김대상 정전식 터치펜이 형성된 필기구
WO2014073745A1 (ko) * 2012-11-12 2014-05-15 Jin Jae-Seung 스타일러스 펜 기능을 가지는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10784A3 (en) 2005-02-24
WO2004110784A2 (en)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05227A1 (ja) 熱変色性筆記具
KR20040110447A (ko)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KR200331252Y1 (ko) 스타일러스펜을 갖는 필기구
JP2013188922A (ja) 出没式筆記具
JP2002137592A (ja) 出没式筆記具
WO2003018328A1 (fr) Article pour l'ecriture
JP3189356U (ja) 静電型入力ペン
JP6774331B2 (ja) 熱変色性筆記具
JP4330123B2 (ja)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BR0316120A (pt) Instrumento de escrever, particularmente uma caneta esferográfica
JP2013140421A (ja) 静電型入力ペン
JP4165738B2 (ja) 筆記具
WO2005100045A1 (en) Front-knock type ballpen
JP6301087B2 (ja) 筆記具
JP6108813B2 (ja) スリムタイプボールペン
CN211195586U (zh) 一种签字笔
JPH0730386Y2 (ja) ノック式水性筆記具レフィールの空気孔開閉装置
JPH0370994U (ko)
JPS58143276U (ja) レフイ−ル式マ−キングペン
JPH11139080A (ja) 複式筆記具
KR200214559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171350Y1 (ko) 펜형 지우개 사용 기구
KR200214558Y1 (ko) 심회전식 필기구
JP2511745Y2 (ja) 2芯筆記具
KR200225436Y1 (ko) 심회전식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006

Effective date: 200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