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265A -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265A
KR20040108265A KR1020030039184A KR20030039184A KR20040108265A KR 20040108265 A KR20040108265 A KR 20040108265A KR 1020030039184 A KR1020030039184 A KR 1020030039184A KR 20030039184 A KR20030039184 A KR 20030039184A KR 20040108265 A KR20040108265 A KR 2004010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noids
quercetin
endothelial cells
vascular endothelial
tn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3003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8265A/ko
Publication of KR2004010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 B65D5/0015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 B65D5/0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tackable the container being formed by folding 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having ledges formed by extensions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혈관내피세포에 단핵구의 세포유착을 방지하여 동맥경화로의 발생을 초기에 차단시킬 수 있는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ANTI-ATHEROSCLEROSIS COMPOSITION CONTAINING FLAVONIDS}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혈중 고콜레스테롤은 죽상경화증을 발현시키는 핵심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Ross R. 1993.Nature362: 801-809 ; Krauss RM. 1987.Am Heart J113: 578-582 ; Steinberg D, Parthasarathy S, Carew TE, Khoo JC, Witztum JL. 1989.N Eng J Med320: 915-924). 죽상경화과정의 초기단계는 임파구, 다형다핵성 백혈구 및 단핵구가 손상된 혈관 내피조직에 결집되면서 나타나는데, 이는 세포유착분자들(cell adhesion molecules: CAMs) 예를들면,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intra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및 E-selectin 등에 의하여 수반된다고 알려져 있다(Scalia R, Appel JZ III, Lefer AM. 1998.Arterioscler Thromb Vasc Biol18: 1093-1100 ; Schonbeck U, Mach F, Libby P. 2001.Circ Res89: 1092-1103 ;Osborn L, Hessian C, Tizard R, Vassalio C, Luhowskyj S, Chi-Rosso S, Lobb R. 1989.Cell59: 1203-1211; Cybulsky ML, Gimbrone MA Jr. 1991.Science251: 788-791).
상기 CAMs은 인터루킨-I과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된다(Dustin ML, Rothlein R, Bhan AK, Dinarello CA, Springer TA. 1986.J Immunol137: 245-254). 또한 CAMs의 발현은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성장인자, 혈소판 활성자 및 주화성 인자(chemotactic factor)에 의한 복잡한 조절기전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CAMs은 토끼와 생쥐에서 뿐만 아니라 사람의 관상동맥과 복부대동맥의 죽상경화성 병변부위에서 발견되며, 신생혈관 및 염증성 침범부위의 죽상경화성 플라그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Iiyama K, Hajra L, Iiyama M, Li H, DiChiara M, Medoff BD, Cybulsky MI. 1999.Circ Res85: 199-207 ; Lessner SM, Prado HL, Waller EK, Galis ZS. 2002.Am J Pathol160: 2145-2155 ; Van der Wal AC, Das PK, Tigges AJ, Becker AE. 1992.Am J Pathol141: 161-168 ; O`Brien KD, Allen MD, McDonald TO, Chait A, Harlan JM, Fishbein D, McCarty J, Furgerson M, Hudkins K, Benjamin CD, Lobb R, Alpers CE. 1993.J Clin Invest92: 945-951).
플라보노이드는 녹차, 콩류, 포도, 마늘 및 양파류 등의 채소나 과일 등의 식물체에 존재하는 수용성 색소물질로, 프랑스인 등이 적포도주의 생리활성작용 효과를 설명한 프렌치 파라독스(French Paradox)에 잘 나타나 있다(Levy A, Fuhrman B, Markel A, Dankner G, Ben-Amotz A, Presser D, Aviram M. 1994.Ann Nutr Metab38: 287-294). 플라보노이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플라보놀, 플라본, 이소플라본, 플라보논, 플라반-3-올 및 안토시아니딘의 소그룹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모든 플라보노이드가 동일한 생리활성을 갖는다고 볼 순 없다.
플라보노이드는 세포나 조직에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자연적인 항산화제의 역할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Kris-Etherton PM, Keen CL. 2002.Curr Opin Lipidol13: 41-49 : Nijveldt RJ, van Nood E, van Hoorn DE, Boelens PG, van Norren K, van Leeuwen PA. 2001.Am J Clin Nutr74: 418-425 ; Braca A, Sortino C, Politi M, Morelli I, Mendez J. 2002.J Ethnopharmacol79: 379-381), CAMs과 기질 프로테아제(matrix protease)를 억제시키는 항염증성 물질로서도 보고되고 있다(Bito T, Roy S, Sen CK, Shirakawa T, Gotoh A, Ueda M, Ichihashi M, Packer L. 2002.FEBS Lett520: 145-152 ; Sartor L, Pezzato E, Dell'Aica I, Caniato R, Biggin S, Garbisa S. 2002.Biochem Pharmacol64: 229-237 ; Middleton E Jr, Kandaswami C, Theoharides TC. 2000.Rev52: 673-751). 또한, 플라보노이드는 프로안토시아니딘과 페놀릭산과 동일하게 폴리페놀릭 화합물로, 현재 순환기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그 활용성이 제시되고 있다(Cotelle N. 2001.Curr Top Med Chem1: 569-590 ; Hirano R, Sasamoto W, Matsumoto A, Itakura H, Igarashi O, Kondo K. 2001.J Nutr Sci Vitaminol(Tokyo) 47: 357-362). 그러나 플라보노이드의 생리적인 효과가 생체 내에서도 유효한지 확인된 바 없으며, 작용기작에 관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동맥경화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관내피세포에 단핵구의 세포유착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양괴사인자가 처리된 혈관내피세포에서의 플라본 및 쿼세틴의 활성을 확인하여 그 활용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혈관내피세포에 칼세인-AM으로 염색 표지된 단핵구의 유착을 확인한 사진(A) 및 THP-1 유착율을 나타낸 그래프(B)이다.
도 2는 플라보노이드을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플라보노이드가 TNF-α에 의해 유도된 VCAM-1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플라보노이드의 혈관내피세포에서 ICAM-1과 E-selectin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한 웨스턴 블롯사진이다.
도 5는 VCAM-1 및 ICAM-1의 mRNA 전사를 RT-PCR로 확인한 것이다.
도 6은 NF-κB의 전위에서 플라보노이드 영향을 확인한 웨스턴 블롯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NF-κB의 세포내 국지성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8은 플라보노이드의 NF-κB 핵전사인자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혈관내피세포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9는 플라보노이드의 AP-1 전사인자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혈관내피세포에서 확인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괴사인자-α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된 세포유착단백질의 발현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핵전사인자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플라보노이드의 항동맥경화작용을 연구하던 중, 플라보노이드 중 쿼세틴 및 플라본계 화합물(flavones)이 종양괴사인자로 유도된 세포유착분자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은 플라본 또는 플라본의 골격 구조를 갖는 통상의 화합물로, 대표적인 것으로는 플라본, 크리신, 프리메틴, 아피제닌 및 루테올린이 있다.
본 발명의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은 염증성 종양괴사인자인 TNF(tumor necrosis factor)-α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유착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죽상경화증으로의 진행을 방지한다. 대표적인 세포유착단백질로는 E-selectin,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과 ICAM-1(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가 있다.
이러한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의 항-죽상경화증 활성은 핵전사인자 예를들어 NF-κB 및 AP-1의 핵내 전위 또는 활성을 억제하고, 이로 인하여 세포유착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TNF-α를 처리한 혈관내피세포는 무처리군에 비하여 THP-1 단핵구 유착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플라본과 플라바놀 중 쿼세틴을 부가적으로 처리한 경우 혈관내피조직에 단핵구의 유착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1a 및 1b). 이러한 세포유착 억제활성은 플라본과 쿼세틴의 세포독성에 의한 것이 아닌(도 2), TNF-α에 의하여 유도된 세포유착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여 나타난 것이다(도 3, 4 및 5).
또다른 실시예에서, 세포유착단백질 발현 억제가 전사인자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플라본계 화합물과 쿼세틴이 NF-κB 및 AP-1의 핵내 활성을 저해함을 관찰하였다(도 6 내지 9).
따라서,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쿼세틴은 전사인자의 핵내 활성을 저해하며, TNF-α로 유도된 세포유착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키므로써 죽상경화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쿼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은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쿼세틴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물, 글리세롤 및 에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는 모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은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쿼세틴을 단독 또는 2종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함량은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으나 바람직하기로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에 2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항-죽상경화증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함량이 90 중량% 초과하는 경우 투여량 대비 효과가 다소 감소될 수 있어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은 약제 또는 식품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의 제형은 경고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액제, 유동엑스제, 유제, 현탁제, 침제, 정제, 주사제, 캅셀제, 크림제, 트로키제 또는 파스타제일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용이다.
본 발명의 항-죽상경화증 조성물의 투여량은 약제의 통상적인 투여량으로, 일예로 1일 300 내지 1,000 mg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쿼세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및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리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단핵구 세포유착 억제효과 검증
1-1. 실험방법
혈관내피세포
혈관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는 콜라게나제 효소(collagenase type III, Worthington Biochemicals Co., Lakewood, NJ, USA)를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37 ℃, 95 % O2+5 % CO2배양조건에서 일차배양 하였다(Jaffe EA, Nachman RL, Becker CG, Minick CR. 1973.Clin Invest52: 2745-2756). 혈관내피세포의 진위 판별은 DiI(1.1'-dioctadecyl-3,3,3,3- tetramethylindocarbocyanine perchlorate)의 형광물질(Molecular Probes Co., Eugene, OR, USA)로 표지된 아세틸화된 저밀도지단백의 축적 실험을 통하여 이루어졌다(Voyta JC, Via DP, Butterfield CE, Zetter BR. 1984.J Cell Biol99: 2034-2040).
세포배양실험
일차배양으로 준비된 미세혈관 내피세포는 10 % FBS(fetal bovine serum), 2 mM 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0.9 mg/mL bovine brain extract, 0.75 mg/mL 사람 외피성장인자 및 0.075 mg/mL 하이드로코르티존이 첨가되어 있는 25 mM HEPES-M199 배지(Sigma Co. St. Louis, MO, USA)에서 배양하였다. 사람 단핵구 백혈병 세포인 THP-1 단핵구 세포주는 RPMI-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소그룹으로 분류되는 4가지 형태는 각각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였다.
- 플라바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카테킨
- 플라보놀: 쿼세틴, 미리세틴
- 플라바논: 나리긴, 헤스페리딘
- 플라본: 루테올린, 아피제닌
플라보노이드는 세포배양실험을 위하여 미리 디메틸 술폭시드(DMSO)에 녹여서 사용하였고(Anderson JJ, Garner SC. 1998.Baillieres Clin Endocrinol Metab12: 543-557), 세포배양에 사용된 DMSO의 최종농도는 0.5 %로 하였으며, 예비실험을 통한 각각 플라보노이드의 배양실험을 위한 적정농도는 50 μM이었다.
In vitro유착 실험
플라보노이드 50 μM가 첨가된 M199 배지에서 혈관내피세포를 20분간 전처리하여 10 ng/mL TNF-α로 6시간 활성화시켰다.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한 THP-1 단핵구는 5 μM 칼세인-AM(Molecular Probes Co.)으로 30분간 염색시키고, 혈관내피세포와 동시배양시켜서 세척한 다음 SPOT II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형광현미경 상에서 485 nm 여기, 538 nm 방출 파장으로 THP-1 단핵구의 혈관내피세포에 유착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평균 ± SEM으로 표시하였으며, SAS PC 프로그램(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그룹간의 차이(p<0.05)를 비교하였다. 2 웨이 ANOVA로 검증하였고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그룹에 대해서는 투키 검정(Tukey correction)으로 검증하였다.
1-2. 결과
TNF-α로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와 단핵구의 유착에, 50 μM 플라보노이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다. 최 등(Choi YJ, Choi JS, Lee SH, Lee YJ, Kang JS, Kang YH. 2002.J Soc Food Sci Nutr31: 672- 678)의 연구결과에 따라 50 μM 플라보노이드를 세포배양에 사용하였는데, 이 농도에서는 혈관내피세포의 증식과정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 1은 혈관내피세포에 칼세인-AM으로 염색 표지된 단핵구의 유착을 확인한 사진(A) 및 THP-1 유착율을 나타낸 그래프(B)이다.
TNF-α를 6시간 처리한 혈관내피세포는 이것을 처리하지 않은 혈관내피세포에 비하여 THP-1 단핵구 유착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한편, TNF-α를 처리한 혈관내피세포에 각각의 플라보노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단핵구 유착을 억제시키는 플라보노이드의 효과는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플라본인 아피제닌과 루테올린은 TNF-α에 의한 단핵구 유착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플라보놀인 쿼세틴에서도 상당한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반면에, 플라바논인 나린긴, 헤스페리딘, 그리고 플라바놀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 (+)카테킨에서는 이러한 억제효과가 전혀 보여지지 않았다. 따라서, 플라본과 플라바놀 중 쿼세틴은 죽상경화과정에서 활성화된 혈관내피조직 부위에 단핵구의 유착을 억제하여 죽상경화과정의 초기단계를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루테올린 아피제닌 및 쿼세틴에 의한 단핵구 유착 억제가 플라보노이드가 TNF-α-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에 세포독성을 유발하여 혈관내피세포의 숫적 감소로 인하여 나타난 것인지를 조사하였다. TNF-α 존재하에 플라보노이드의 세포독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세포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세포생존율은 TNF-α가 처리된 세포에 플라보노이드를 가한 후 5시간 후 MTT법으로 측정하였다.
도 2는 플라보노이드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혈관내피세포의 THP-1 유착에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인 루테올린, 아피제닌 및 쿼세틴은 혈관내피세포 대조군의 세포생존율과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았으므로, 플라보노이드 50 μM은 TNF-α로 처리된 혈관내피세포에 세포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TNF-α로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의 단핵구 유착은 플라보노이드의 세포독성이 아닌 플라보노이드의 생리활성으로 인하여 억제되었다고 볼 수 있다.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의 단핵구 유착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억제효과는 플라보노이드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능과는 무관한 것이 아닌가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플라보노이드는 세포나 조직에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자연적인 항산화제의 역할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본 실험에 사용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카테킨 및 아피제닌의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DPPH) 자유 라디칼의 소거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 (+)카테킨은 DPPH를 50 % 소거할 수 있는 농도인 SC50이 10 μM 이하로 상당한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혈관내피세포의 단핵구 유착에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인 아피제닌의 DPPH 소거활성인 SC50은 10 mM 이상으로 항산화능을 전혀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H2O2의 하이드록실 라디칼에 의하여 유발된 세포사멸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전혀 갖지 못하였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의 단핵구 유착 억제작용은 라디컬 소거활성작용으로 인하여 발휘되는 것으로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TNF-α로 증가된 CAMs 단백질 발현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억제효과 검증
2-1. 실험방법
단백질 분리와 웨스턴 블롯 분석
혈관내피세포의 VCAM-1, ICAM-1 및 E-selectin의 CAMs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엿다.
혈관내피세포에 100 % 글리세롤, 10 % SDS, 1 %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0.1 M Na3VO4, 0.5 M NaF 및 프로테아제 저해 칵테일이 함유된 1.0 M Tris-HCl(pH 6.8) 세포용혈 완충액을 처리하여 세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세포 추출물의 단백질은 8 % SDS-PAGE를 수행하였다. 전기영동된 단백질 밴드들은 나이트로셀룰로스막으로전이시키고, 비특이적인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5 % 스킴 밀크를 처리한 다음 각각의 CAMs 단백질의 일차항체(monoclonal rabbit anti-human antibody, Santa Cruz Biotech. Inc., Santa Cruz, CA, USA)를 1,000배로 희석하여 교반하면서 반응시키고, 염소 항-토끼 호스래디시 페록시다제(1:7,500, Jackson Immuno Research Lab., West Grove, PA, USA)의 이차항체로 1시간 반응시켰다. 나이트로셀룰로스막에 있는 CAMs 단백질은 슈퍼시그널 웨스트 피코 화학발광기(Supersignal West pico chemiluminescence, Pierce Biotech. Inc., Rockford, IL, USA)로 검출하여 코니카 X-레이 필름으로 촬영하였다.
2-2. 결과
CAMs은 주로 혈관내피조직에 단핵구가 결집하는 것을 담당하고, 죽상경화성 혈관손상을 초래하며 죽상경화성 플러그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ustin ML, Springer TA. 1988.J Cell Biol107: 321-331). TNF-α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단핵구 유착에 있어 플라보노이드의 억제효과가 혈관내피세포의 CAMs 발현 억제에 기인한 것일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CAMs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시도하였다.
도 3은 플라보노이드가 TNF-α에 의해 유도된 VCAM-1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다. 혈관내피세포 대조군은 TNF-α 무처리시 VCAM-1 단백질을 거의 발현하지 않으나, TNF-α를 처리하였을 때 VCAM-1 단백질을 10배 이상 발현하였다. 반면에 TNF-α로 처리된 내피세포에 각각의 50 μM 플라보노이드로 처리한 경우 각각의 플라보노이드는 VCAM-1 발현을 억제하였다. 특히, 루테올린과 아피제닌은 TNF-α에 의하여 증가된 혈관내피세포의 VCAM-1 발현을 완전히 억제시켰으며, 쿼세틴 역시 TNF-α에 의하여 증가된 VCAM-1 발현을 3배 정도 억제시켰다. 그 외에도 단핵구의 유착에는 별 효과를 보이지 않은 미리세틴과 헤스페리딘도 VCAM-1 발현을 유의적인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그러나, 녹차의 폴리페놀릭 화합물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 (+)카테킨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VCAM-1 발현에 전혀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VCAM-1 단백질 발현 억제가 THP-1 단핵구의 유착을 차단시키는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4는 플라보노이드의 혈관내피세포에서 ICAM-1과 E-selectin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한 웨스턴 블롯사진이다. TNF-α로 활성화되지 않은 정상세포는 ICAM-1과 E-selectin을 아주 약하게 발현하나, TNF-α 처리로 인하여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각각의 플라보노이드 전처리후 TNF-α를 처리한 경우 특히 쿼세틴, 루테올린 및 아피제닌에서 TNF-α에 의하여 증가된 ICAM-1 및 E-selectin 발현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 외 플라보노이드는 ICAM- 1과 E-selectin 발현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쿼세틴, 루테올린 및 아피제닌은 혈관내피세포의 CAMs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므로써 적어도 혈관내피조직에 단핵구의 유착을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CAMs 단백질 발현 억제작용에 있어서 플라보노이드는 억제능이 다르게 나타나며, VCAM-1 단백질 발현에 대한 억제작용이 여러 플라보노이드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모든 플라보노이드가 이러한활성을 지니지 않으며, 라디컬 소거활성이 낮은 플라본 계통의 플라보노이드가 죽상경화의 초기과정을 차단시키면서 죽상경화증과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 3: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의 CAMs 단백질 전사작용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억제효과 검증
3-1. 실험방법
RNA 분리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
배양실험 후에 혈관내피세포의 RNA를 상업용 트리졸 시약(Gibco BRL, Gainsberg, MD, USA)을 제조회사의 사용법에 따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RNA (5 μg)를 Tris 완충액(50 mM Tris-HCl(pH 8.3), 75 mM KCl, 3 mM MgCl2, 10 mM DTT, 1 mM dNTP)에서 10,000 units 역전사효소(Promega Co., Madison, WI, USA) 및 500 μg/ mL oligo-(dT)15프라이머(Bioneer Co., Korea)를 넣고 42 ℃에서 50분간 역전사 과정을 실시하였다. RT-PCR은 70 ℃에서 15분간 실시한 다음 중지하였다.
VCAM-1 mRNA 증폭용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및 2의 서열을 사용하였고, ICAM-1 mRNA 증폭용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3 및 4의 서열을 사용하였으며, β-엑틴(a housekeeping gene) mRNA 증폭용 프라이머로 서열번호 5 및 6의 서열을 사용하였다.
PCR 과정은 트리스 완충액(10 mM Tris-HCl (pH 8.3)), 25 mM MgCl2, 10 mM dNTP, 100 unitsTaqDNA 중합효소(Promega Co.), 0.1 μM β-엑틴 프라이머 및0.1 μM VCAM-1 프라이머 또는 ICAM-1 프라이머로 94 ℃에서 1분간, 55 ℃에서 2분간 그리고 72 ℃에서 3분간씩 30번 반복 실시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5 μL)은 EtBr(0.5 μg/mL)이 함유된 1 % 아가로즈-포름알데하이드 겔 상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으며, 겔상의 밴드들은 UV 트랜스-일루미네이터(Amersham Pharmacia Biotech., Piscataway, NJ, USA)로 가시화 시킨 후 폴라로이드 타입 667 양성/음성 필름으로 현상하였다. 또한 프라이머를 음성 대조구 시료로 RT-PCR을 동일하게 실시하여 오염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사하였다.
3-3. 결과
활성화된 CAMs 단백질 발현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억제효과가 CAMs 단백질의 mRNA 수준에서 조절되는 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에서의 CAMs 단백질의 mRNA 수준을 반정량적인 RT-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도 5는 VCAM-1 및 ICAM-1의 mRNA 전사를 RT-PCR로 확인한 것이다.
도 5에서, TNF-α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세포에서는 VCAM-1과 ICAM-1 각각의 mRNA 발현이 매우 낮았으나, TNF-α 처리시 전사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루테올린과 아피제닌은 VCAM-1 mRNA의 발현을 상당히 억제하였으며, ICAM-1 mRNA의 전사는 다소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쿼세틴은 VCAM-1과 ICAM-1 mRNA 전사를 다소 억제시켰다.
따라서, 단핵구의 세포유착을 억제시키는 플라보노이드들은 CAMs 단백질 발현과정에서 유전자 전사단계에 직접 작용하여 CAMs의 발현을 억제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활성화된 혈관내피세포의 CAMs 단백질 전사작용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의 핵전사인자 활성 억제효과 검증
4-1. 실험방법
NF-κB 단백질 국재화
혈관내피세포(6.0 x 104cells)를 4-웰 글라스 챔버에서 배양하고, TBS로 세척한 다음 TBS에 10 % 염소 혈청을 가하여 1시간동안 배양하여 비특이적인 결합을 방지하였다. 세포들은 4 % 차가운 포름알데하이드로 30분간 고정시키고 TBS로 두차례 세척한 다음 토끼 다클롱성 항-인간 NF-κB 일차항체(1:50 희석)를 충분히 가하였다. 4 ℃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는 TBS로 세척한 다음 이차항체인 형광성 이소티오시아네이트-접합된 염호 항-토끼 IgG(1:200 희석)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세포는 올림푸스 BX50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핵 추출물 준비
핵 단백질 추출물은 NF-κB 및 AP-1 의 DNA 결합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혈관내피세포의 세제 용해물 준비방법으로 준비하였다(Baer M, Dillner A, Schwartz RC, Sedon C, Nedospasov S, Johnson PF. 1998.Mol Cell Biol18: 5678-5689).
세포는 PBS로 세척하고 완충액(20 mM HEPES, pH 7.9, 1 mM EDTA, 10 mM NaCl, 1 mM DTT, 0.1% Nonidet-P40, 0.4 mM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 0.1 ng/mL 루펩틴 및 5 g/mL 아포트로닌)으로 용해시킨 다음 10분간 얼음에 방치하였다. 이후 3,000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거하고, 펠렛은 고농도 염 완충액(420 mM NaCl, 1 mM EDTA, 20 mM HEPES (pH 7.9), 25% 글리세롤, 1 mM DTT, 0.4 mM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0.1 ng/mL 루펩틴 및 5 g/mL 아포트로닌)에 4 ℃에서 20분간 교반하였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여 -70 ℃에 보관하였다.
또한 NF-κB 국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핵단백질 추출물로 실시하였다. 웨스턴 블롯에 사용한 항체는 항-인간 NF-κB 일차항체(1:1,000 희석)를 사용하였고, 방법은 상기에 언급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상 이동변이 분석(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NF-κB 및 AP-1에 대한 결합부위의 보존적 서열을 포함하는 두가닥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각각 서열번호 7 및 8로 제조하여 프로메가사로부터 구입하였고, 이를 EMSA에 프로브로 이용하였다(Lee YW, Hennig B, Yao J, Toborek M. 2001.J Neurosci Res66: 583-591). NF-κB 및 AP-1 각각의 프로브들은 30 μCi의 [γ-32P]ATP(Amersham Pharmacia Biotech)로 표지하였다.32P-표지된 프로브에 25 μL 반응혼합물(250 mM NaCl, 5 mM MgCl2, 2.5 mM EDTA, 2.5 mM DTT, 50 mM Tris-HCl (pH 7.5), 25 % 글리세롤, 0.25 mg/mL poly(dl-dC)poly(dI-dC) 및 4 μg 핵추출물)을 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두어 DNA 결합반응을 유도하였다. 프로브-DNA 복합체는 5 %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상에서 0.25배 TAE(40 mM Tris-acetate, 1.0 mM EDTA, pH 8.0) 완충액으로 전기영동하였으며, 겔은 건조시킨 후 X-레이 필름에 현상하였다.
4-2. 결과
NF-κB p65의 세포내 국재성 확인
쿼세틴, 루테올린 및 아피제닌이 TNF-α에 의한 CAMs 단백질 발현을 전사인자들의 결합 및 트랜스엑티베이션(transactivation) 간섭으로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라보노이드의 NF-κB 세포내 국재성에 미치는 영향을 TNF-α 처리된 혈관내피세포에서 조사하였다.
도 6은 NF-κB의 트랜스엑티베이션에서 플라보노이드 영향을 확인한 웨스턴 블롯을 나타낸 것이다. TNF-α가 처리된 혈관내피세포에서는 NF-κB가 다량 핵내로 전위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를 각각 50 μM로 처리한 세포의 핵에서는 NF-κB의 수준이 감소하였고, 세포질에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가 NF-κB의 핵내 국재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7은 NF-κB의 세포내 국재성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한 것이다. 대조군에서는 세포질 염색이 확인되었으나 TNF-α를 처리한 경우 핵내 염색이 확인되었다. 즉, TNF-α는 NF-κB의 핵내 국재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TNF-α 및 플라보노이드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핵내 염색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의 존재 유무 조건에서, 전사인자인 NF-κB 및 AP-1의 DNA 결합활성을 TNF-α처리한 혈관내피세포의 핵추출물에서 EMSA로 확인하였다.
도 8은 플라보노이드의 NF-κB 전사인자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혈관내피세포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8에서, TNF-α처리군은 NF-κB 결합활성이 핵추출물에서 매우 강한 것으로 확인되어, 단백질-NF-κB DNA 복합체가 TNF-α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플라보노이드 처리군에서는 활성화된 NF-κB결합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플라보노이드가 NF-κB-의존적 DNA-단백질 복합체 형성을 특이적으로 방지하여 내피세포의 CAMs 유전자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AP-1을 통한 CAMs 프로모터 활성은 TNF-α 및/또는 플라보노이드 처리한 혈관내피세포 핵추출물의 AP-1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DNA 결합활성 실험으로 조사하였다. AP-1 결합 특이성은 비표지된 AP-1과의 결합능으로 결정하였다.
도 9는 플라보노이드의 AP-1 전사인자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혈관내피세포에서 확인한 것이다. TNF-α가 처리된 세포의 핵추출물에서는 AP-1 결합활성이 유도되었으나, 반면에 플라보노이드 처리된 세포에서는 AP-1 결합활성이 매우 약하게 유도되었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는 TNF-α로 인하여 유도된 AP-1 활성을 저해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쿼세틴 및 플라본계 화합물은 혈관내피세포에 단핵구의 세포유착을 방지하여 동맥경화로의 발생을 초기에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항-죽상경화증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110> HALLYM UNIVERSITY <120> ANTI-ATHEROSCLEROSIS COMPOSITION CONTAINING FLAVONIDS <130> dpp20031459 <160> 8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VCAM-1 mRNA <400> 1 atgcctggga agatggtcgt ga 22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VCAM-1 mRNA <400> 2 tggagctggt agaccctcgc tg 22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ICAM-1 mRNA <400> 3 ggtgacgctg aatggggttc c 21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ICAM-1 mRNA <400> 4 gtcctcatgg tggggctatg actc 24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beta-actin <400> 5 gactacctca tgaagatc 18 <210> 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beta-actin <400> 6 gatccacatc tgctggaa 18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F-kB probe <400> 7 agttgagggg actttcccag gc 22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p-1 probe <400> 8 cgcttgatga gtcagccgga a 21

Claims (7)

  1.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본계 화합물은 루테올린 또는 아피제닌인 것인 조성물.
  3.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괴사인자-α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된 세포유착단백질의 발현억제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유착 단백질은 E-셀렉틴(selectin),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및 ICAM-1(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본계 화합물은 루테올린 또는 아피제닌인 것인 조성물.
  6. 쿼세틴 또는 플라본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사인자 핵내 활성 저해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인자는 NF-κB 또는 AP-1인 것인 조성물.
KR1020030039184A 2003-06-17 2003-06-17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KR2004010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84A KR20040108265A (ko) 2003-06-17 2003-06-17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84A KR20040108265A (ko) 2003-06-17 2003-06-17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265A true KR20040108265A (ko) 2004-12-23

Family

ID=3738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184A KR20040108265A (ko) 2003-06-17 2003-06-17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82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97A (ko) 2016-12-29 2018-07-09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90050674A (ko) 2017-11-03 2019-05-1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2422A (ko) 2020-02-25 2020-03-0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EP3801585A4 (en) * 2018-06-07 2022-03-16 Tufts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OMPLICATIONS OF OBES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97A (ko) 2016-12-29 2018-07-09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90050674A (ko) 2017-11-03 2019-05-1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EP3801585A4 (en) * 2018-06-07 2022-03-16 Tufts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OMPLICATIONS OF OBESITY
KR20200022422A (ko) 2020-02-25 2020-03-0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re et al. Apigenin attenuates doxorubicin induced cardiotoxicity via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in male rats
Shen et al. Structurally related antitumor effects of flavanones in vitro and in vivo: involvement of caspase 3 activation, p21 gene express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Martin et al. [10]-gingerol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metastatic dissemination of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in vivo
Shi et al. Chlorogenic acid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fibrosis in rats
Zanotto-Filho et al. The curry spice curcumin selectively inhibits cancer cells growth in vitro and in preclinical model of glioblastoma
Charoensinphon et al. 5‐D emethyltangeretin inhibits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growth by inducing G 2/M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Patlolla et al. β-Escin inhibits colonic aberrant crypt foci formation in rats and regulates the cell cycle growth by inducing p21waf1/cip1 in colon cancer cells
Lee et al. Inhibitory effects of a spinasterol glycoside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via down-regulating MAP kinase pathways and NF-κB activation in RAW264. 7 macrophage cells
Rashmi et al. A new pyrrole based small molecule from Tinospora cordifolia induces apoptosis in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via ROS mediated mitochondrial damage and restoration of p53 activity
Kang et al. Expression of NSAID-activated gene-1 by EGCG in head and neck cancer: involvement of ATM-dependent p53 expression
Khazaei et al. Evaluation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Trifolium pratens L. for its anti-cancer potential on U87MG cell line
Shibata et al. Mulberry leaf aqueous fractions inhibit TNF-α-induced nuclear factor κB (NF-κB) activation and lectin-like oxidized LDL receptor-1 (LOX-1) expression in vascular endothelial cells
JP2014237727A (ja) レスベラトール含有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KR101780456B1 (ko) 크로몬 유도체의 상피간엽이행 억제 활성을 이용한 섬유증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의 새로운 용도
Karki et al. Nelumbo nucifera leaf extract inhibits neointimal hyperplasia through modulation of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JP5902174B2 (ja) 抗癌性抽出物及び化合物
Kang et al. Sappanone A protects mice against cisplatin-induced kidney injury
Wan Osman et al. Epicatechin and scopoletin rich Morinda citrifolia (Noni) leaf extract supplementation, mitigated Osteoarthritis via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d anti‐protease pathways
Annamalai et al. JAK1/STAT3 regulatory effect of β‐caryophyllene on MG‐63 osteosarcoma cells via ROS‐induced apoptotic mitochondrial pathway by DNA fragmentation
Kim et al. Caesalpinia sappan induces cell death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p53 and p21WAF1/CIP1 in head and neck cancer cells
Kaur et al. An appraisal on the value of using nutraceutical based senolytics and senostatics in aging
Song et al. Glioma progression is suppressed by Naringenin and APO2L combination therapy via the activation of apoptosis in vitro and in vivo
AU2004279260B2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containing apigenin as chondroregenerative agent
KR20040108265A (ko)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죽상경화증 조성물
Siamayuwa et al. Chemopreventive effec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mbined leaf extracts of Sesamum angustifolium (Oliv.) Engl. and Hibiscus articulatus on Rhabdomyosarco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