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177A -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177A
KR20040108177A KR1020030038926A KR20030038926A KR20040108177A KR 20040108177 A KR20040108177 A KR 20040108177A KR 1020030038926 A KR1020030038926 A KR 1020030038926A KR 20030038926 A KR20030038926 A KR 20030038926A KR 20040108177 A KR20040108177 A KR 2004010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use
sectional area
cross
me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8177A/ko
Publication of KR2004010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1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7Testing the correctness of wire connections in electric apparatus or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74Testing of fu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용량을 가지는 전원 퓨즈, 특히 SB 퓨즈(Slow blow fuse)의 일단과 일정 단면적을 가지는 대상 와이어 간을 단락시켜, SB 퓨즈는 용단되지 않고 대상 와이어가 먼저 용단되는 경우에는 SB 퓨즈가 먼저 용단될 때까지 대상 와이어의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상기의 단락시험을 반복함으로써, SB 퓨즈의 최저 허용전류를 만족하는 대상 와이어의 용량을 최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차량 내의 와이어의 길이조건, 선로조건, 분기점 여부, 온도환경, 부하 조건 등의 제반 조건에 따라 SB 퓨즈 용량별로 적절한 단면적을 가지는 와이어를 시험을 통해 최적화할 수 있어, 와이어 선택에 따른 원가 절감, 중량 감소, 와이어 과부하에 의한 발열과 이로 인한 화재 방지 및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이어에 대한 품질 문제에의 사전 대응 가능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Method for optimizing wire in car}
본 발명은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원 퓨즈, 특히 SB 퓨즈의 전류용량 이하의 전류에서는 용단되지 않는 단면적을 가지는 대상 와이어로 최적화함으로써, SB 퓨즈가 용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여기에 연결된 대상 와이어가 미리 과열되어 용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내 와이어링은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이러한 전류를 허용전류로 하여 와이어 단면적을 일괄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왔다. 다시 말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 방법은 차량 내 퓨즈의 용량은 고려하지 않은 채 차량 내 실제로 흐르는 전류를 허용전류 설정의 기준으로 하여 이를 만족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와이어를 선정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만일 헤드 램프에 흐르는 전류가 5 [A]일 경우에는 이에 대한 와이어의 단면적은 이를 기준으로 하여 0.85 mm2으로 결정하는 식의 방법을 적용하여 온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은 퓨즈의 용량과는 상관없이 와이어의 단면적을 선정하다 보니 퓨즈 용량이 클 경우에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퓨즈는 사용 중인 전기 기기에 과부하나 선간의 단락 등으로 과전류가 흘렀을 때, 그 일부를 이루는 가용체(可熔體)가 녹아 끊어져서 전로를 차단하여 기기 및 전로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 장치의 일종이다. 따라서, 퓨즈는 정상 상태에서 흐르는 전류를 기준으로 하여 그 용량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락 등에 의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기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락 등으로 인한 과전류 발생시를 고려하여 그 용량이 정해지게 되는 것이며, 이는 차량 내 퓨즈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과전류에 대비하기 위하여 선정된 퓨즈와 실제 전류를 고려하여 선정된 와이어가 연결됨으로 해서, 종래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은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퓨즈가 용단되기도 전에 와이어가 과열되거나 이로 인해 용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퓨즈의 용량이 클 경우에는 과부하에 의해 과전류가 흐르거나와이어 간에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순간 과도전류에 대해 퓨즈가 용단되기도 전에 와이어가 과열되어 이로 인해 와이어가 용단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도 1은 실제 차량 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B 퓨즈단의 8.0mm2와이어단(A)와 접지와이어단(B) 간에 상호 단락 발생 시 SB 퓨즈(101)의 용량 대비 접지 와이어의 단면적이 작아 접지와이어가 과열, 용단되거나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점화스위치(102) 후단의 스타터 전원(106)단(ST전원 단)의 와이어가 가늘 때, SB 퓨즈단의 8.0mm2와이어단(A)이 접점 F와 연결된 상태에서 접점 E가 차체와 단락될 경우에는 SB 퓨즈(101, 예를 들어, 60[A] 용량)가 용단되기도 전에 상기 와이어가 먼저 과열 또는 손상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제 차량 내의 와이어의 길이조건, 선로조건, 분기점 여부, 온도환경, 부하 조건 등의 제반 조건에 따라 전원 퓨즈, 특히 SB 퓨즈의 용량별로 적절한 단면적을 가지는 와이어를 시험을 통해 최적화함으로써, 와이어 과부하에 의한 발열과 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 차량 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SB 퓨즈 102 : 점화스위치
103 : 퓨즈박스 104 : 상시 부하
105 : 악세서리 전원 106 : 스타터 전원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 전원에 연결되어 일정 용량을 가지는 전원퓨즈의 일단과 일정 단면적을 가지는 대상 와이어 간을 단락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원퓨즈는 용단되지 않고 상기 대상 와이어가 먼저 용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퓨즈가 먼저 용단될 때까지 대상 와이어의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상기의 단락시험을 반복함으로써, 전원퓨즈가 먼저 용단될 때의 대상 와이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대상와이어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전원퓨즈로는 SB 퓨즈(Slow blow fuse)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상기에서 단락시험은 상기 전원 퓨즈 또는 상기 SB 퓨즈의 일단과 상기 대상 와이어 간에 간헐적 단락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차량 내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용량을 가지는 전원퓨즈의 일단을 단락 시험을 실시하려고 하는 일정 단면적을 가지는 대상 와이어와 단락을 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원퓨즈가 먼저 용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전원퓨즈 용량에 해당하는 전류를 감당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원퓨즈는 용단되지 않고 상기 대상 와이어가 먼저 용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는 적합한 단면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고, 시험 대상 와이어의 단면적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단락시험을 반복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단락시험을 반복하여 상기 전원퓨즈가 먼저 용단될 때까지 이를 실시하여 이 때의 상기 전원퓨즈가 먼저 단락될 때의 대상와이어의 단면적은 상기 전원퓨즈의 전류 용량을 감당할 수 있는 적합한 와이어로 최적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 차량 내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험하려고 하는 대상 와이어를 선정하여 차량 내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용량을 가지는 전원퓨즈의 일단과 연결하여 단락 시험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퓨즈로서 특히 SB 퓨즈(Slow blow fuse, 101)를 사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SB 퓨즈(101)에 연결되어 있는 8.0mm2와이어의 일단의 접점 A를 접지선으로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의 접점 B, 악세서리 전원(105)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접점 C, 또는 스타터 전원(106)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접점 D와 연결하여 단락을 시키는 시험을 실시한다. 또한, 점화스위치(102)와 퓨즈박스(103)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시키고 있는 와이어를 선정하기 위하여, 8.0mm2와이어의 일단의 접점 A와 점화스위치(102) 상의 접점 F를 연결하고 동시에 접점 E를 접지선 등과 단락을 시키는 시험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 판정기준은 상기와 같이 각 접점을 단락시켰을 때, SB 퓨즈(101)는 용단되어야 하며 와이어는 열화되거나 용단되어서는 안 된다.
여기서, SB 퓨즈(101)가 먼저 용단되는 경우에는 대상 와이어는 적어도 SB 퓨즈(101) 용량에 해당하는 전류를 감당할 수 있는 단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정된다.
반면, 상기 SB 퓨즈(101)는 용단되지 않고 대상 와이어가 먼저 용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는 적합한 단면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고, 시험 대상 와이어의 단면적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상기 단락시험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와이어 단면적의 증가 간격은 시험 조건 및 와이어의 허용전류에 대한 오차 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단면적을 일정 간격으로 증가시키면서 단락시험을 반복하여 상기 SB 퓨즈(101)가 먼저 용단될 때까지 이를 실시하며, SB퓨즈(101)가 먼저 용단되었을 때에는 이 때의 와이어의 단면적은 상기 SB 퓨즈(101)의 전류 용량을 감당할 수 있는 적합한 와이어인 것으로 인정하여 최적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실제 와이어의 적용 단면적을 결정함에 있어, 상기 단락 시험을 통해 SB 퓨즈(101) 전류용량을 감당한 것으로 인정된 단면적에 대해 일정 허용오차를 적용하여 최적화할 수도 있다.
다음은 실 차량에서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SB 퓨즈용량[A] 와이어 단면적(mm2) 검토결과
2.0 1.25 0.85 0.5 0.3
30 퓨즈용단 퓨즈용단 퓨즈용단 퓨즈용단 와이어용단 0.3mm2는 부적합최소와이어 단면적 0.5mm2
40 퓨즈용단 퓨즈용단 퓨즈용단 와이어 열해(미용단) 0.5mm2는 부적합최소와이어 단면적 0.85mm2
50 퓨즈용단 퓨즈용단 와이어 열해(미용단) 0.85mm2는 부적합최소 와이어 단면적 1.25mm2
60 퓨즈용단 퓨즈용단 와이어 열해(미용단) 0.85mm2는 부적합최소 와이어 단면적 1.25mm2
80 퓨즈용단 와이어 열해(미용단) 1.25mm2는 부적합최소 와이어 단면적 2.0mm2
상기의 시험 결과는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 진 것이며, 다만, 와이어와 SB 퓨즈(101) 양자가 모두 용단되지 않았더라도 와이어가 과열되어 열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인정하여 퓨즈용단 될 때까지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시험을 실시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차량 내의 와이어의 길이조건, 선로조건, 분기점 여부, 온도환경, 부하 조건 등의 제반 조건에 따라 SB 퓨즈 용량별로 적절한 단면적을 가지는 와이어를 시험을 통해 최적화할 수 있어, 와이어 선택에 따른 원가 절감, 중량 감소, 와이어 과부하에 의한 발열과 이로 인한 화재 방지 및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이어에 대한 품질 문제에의 사전 대응 가능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 내 전원에 연결되어 일정 용량을 가지는 전원퓨즈의 일단과 일정 단면적을 가지는 대상 와이어 간을 단락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원퓨즈는 용단되지 않고 상기 대상 와이어가 먼저 용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퓨즈가 먼저 용단될 때까지 대상 와이어의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상기의 단락시험을 반복함으로써, 전원퓨즈가 먼저 용단될 때의 대상 와이어의 단면적을 기준으로 대상와이어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퓨즈는 SB 퓨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B 퓨즈의 일단과 상기 대상 와이어 간에 간헐적 단락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KR1020030038926A 2003-06-16 2003-06-16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KR20040108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26A KR20040108177A (ko) 2003-06-16 2003-06-16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926A KR20040108177A (ko) 2003-06-16 2003-06-16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177A true KR20040108177A (ko) 2004-12-23

Family

ID=3738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926A KR20040108177A (ko) 2003-06-16 2003-06-16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8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9256B2 (ja) ワイヤハーネスにおける正特性サーミスタの使用
KR101201569B1 (ko) 보호 회로
KR100920874B1 (ko) 수리 가능한 접속부를 가지는 퓨즈 시스템
US8432650B2 (en) Relay switching method and hybrid relay switch
KR101936796B1 (ko) 자동차 전력 공급 네트워크
US58545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abnormal current in automotive wiring harnesses
JP2007174889A (ja) リセット可能な回路保護装置
KR20080015215A (ko) 퓨즈 불량의 자체 모니터링이 가능한 2차 전지 보호회로,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및 퓨즈 불량 모니터링 방법, 및불량 퓨즈가 포함된 전지 조립체 분류 방법
CN101379580A (zh) 带有热机械保险丝的电路
US7064448B2 (en) Power controller with bond wire fuse
KR20040108177A (ko) 차량 내 와이어 최적화방법
US5590011A (en) Short circuit protected splice connector
JP3742253B2 (ja) 車両の給電装置
KR20110013344A (ko) 퓨즈 불량의 자체 모니터링이 가능한 2차 전지 보호회로,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및 퓨즈 불량 모니터링 방법, 및 불량 퓨즈가 포함된 전지 조립체 분류 방법
GB2077500A (en) Thermal fuse
US10381184B1 (en) Multiple-use interlocking fused power and grounding distribution block
GB2320984A (en) Electrical fuses
US20210017944A1 (en) Vehicle electrical starter circuit protection
KR100222561B1 (ko) 차량의 전장 보호장치
JPH0477674A (ja) プローブ
Maas Electrical Modifications II
JPH097496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回路保護装置
JP2023148925A (ja) バッテリー管理装置及びバッテリー管理装置の製造方法
KR200153029Y1 (ko) 퓨즈 용단시험용 고정지그
JP2001327068A (ja) 車両用配線系統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