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924A - 기능성 접착제 - Google Patents

기능성 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924A
KR20040107924A KR1020030038605A KR20030038605A KR20040107924A KR 20040107924 A KR20040107924 A KR 20040107924A KR 1020030038605 A KR1020030038605 A KR 1020030038605A KR 20030038605 A KR20030038605 A KR 20030038605A KR 20040107924 A KR20040107924 A KR 2004010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element
adhesive
radioactive
mineral
potass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종
Original Assignee
김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종 filed Critical 김규종
Priority to KR102003003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7924A/ko
Publication of KR2004010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1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 E02F3/434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bucket-arms, front-end loaders, dumpers or the like providing automatic sequences of movements, e.g. automatic dumping or loading, automatic return-to-di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이온이 발생되는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반적인 접착제의 성분에 방사성 원소가 함유된 물질과 초전성 물질을 함유시켜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에 들어가는 방사성 원소로는 칼륨(K), 셀렌(Se), 바나듐(V), 루비듐(Rb), 인듐(In), 텔루르(Te), 란탄(La), 세륨(Ce), 네오디뮴(Nd), 사마륨(Sm), 카돌리늄(Gd), 루테륨(Lu), 하프늄(Hf), 탄탈(Ta), 레늄(Re), 오스뮴(Os), 백금(Pt), 폴로늄(Po), 아스타틴(At), 프랑슘(Fr), 라듐(Ra), 악티늄(Ac), 토륨(Th), 프로트악(Pa), 우라늄(U)등을 들 수 있다. 방사성 원소가 함유된 물질로는 칼륨(K)함유 광물, 희토류 원소 함유 광물, 희토류 원소 산화물, 우라늄 함유 광물, 토륨 함유 광물, 지르코늄 광물, 섬아연석 등을 들 수 있다. 초전성 물질로는 전기석, 석류석, 주석산, 강유전체, 초전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는 음이온을 항시 방출하므로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방충, 항공팡이의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접착제를 건축재료보드나 내장제에 사용하면 포름알데히드를 대표로 하는 유기계 항균제를 사용에 의한 화학물질 과민증, 시크하우스증후군(빌딩증후군)을 방지하는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접착제{Functional adhesive}
본 발명은 기능성 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이온이 발생되는 접착제에 관한것이다.
음이온이란 공기 중에 음(-)의 전기를 띠고 있는 이온을 말하는데 순수한 공기가 안정된 상태에 있을 때 음이온과 양이온의 비율은 약 1 : 1.2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간 문명의 발달로 산업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자연적인 환경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 고도화된 산업화의 사회로의 변화는 합성 고분자, 시멘트, 전자파, 환경오염 등에 의하여 정상 상태의 이온 구성비가 파괴되어 양이온이 우세한 조건으로 변하며, 이렇게 되면 공기의 이온들은 브라운 운동에 의해 빠른 속도로 부딪혀서 생물학적으로 아무런 활성을 갖지 못하는 큰 입자 덩어리로 된다. 이 때의 큰 입자 덩어리로 된 이온 수는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두통, 긴장 등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보통 도시 생활자들은 약200개/cc(max.)의 음이온을 마시는데 이 수치는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1000개/cc의 음이온을 마시면 뇌에서 α파의 활동을 증가시키고 serotonin과 free histamine을 억제하여 긴장완화에 따른 건강에 도움을 준다. 음이온은 건강유지의 3가지 원칙인 혈액의 정화, 세포의 활성화, 신경의 조절 등을 조화 있게 유지시켜 전신의 기능을 원활하게 촉진시켜 준다. 음이온이 많은 숲 속이나 계곡, 폭포 주변에 오랫동안 있으면 기분이 상쾌해지고 싱그러움을 느끼며 몸의 컨디션도 좋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음이온을 "공기의 비타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음이온의 기능으로는 탈취, 방균, 탈습, 연수화작용(물), 공기청정 등을 들 수 있으며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전기석을 들 수 있다. 전기석은 전기적으로 자발 분극하고 있고 수분이 존재할 경우 방전을 일으켜 물을 전기분해시키고 이 과정에서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한편, 접착제는 건축재료, 가구류, 벽지 등의 가옥의 내장재 및 내부에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접착제에 화학물질 과민증, 시크하우스증후군(빌딩증후군)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기석을 함유시킨 접착제가 공개되어 있다(일본공개특허 1999-343473호, 일본공개특허 2002-80800호). 한국공개특허 2001-77173호에는 숯, 맥섬석, 옥, 맥반석 등의 음이온성 무기물질이 함유시킨 음이온 접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전기석 자체만으로는 음이온의 발생이 충분하지 않고 숯, 맥섬석, 옥, 맥반석 등 또한 음이온의 발생이 매우 미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접착제에 사용된 종래의 음이온 발생 물질이 대부분 전기석이며 전기석 자체로는 음이온의 발생이 미약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이온이 다량 발생되는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반적인 접착제의 성분에 방사성 원소가 함유된 물질과 초전성 물질을 함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접착제로는 유기계 무기계 어느 것이나 좋다. 유기계 접착제로는 밀가루풀, 밥풀, 덱스트린 등의 녹말계와 아교, 카세인, 라텍스 등의 천연계 유기 접착제와 초산비닐, 폴리비닐알콜계, 폴리비닐아세탈계, 아크릴계, 폴리에틸렌계, 셀룰로우스계 등의 열가소성 접착제와 수소계, 멜라민계, 페놀계, 에폭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로매틱계 등의 열경화성 접착제와 네오프렌계, 니트릴고무계, 스티렌고무계, 부틸고무계, 실리콘고무계 등의 고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무기계 접착제로는 규산소다, 시켄트, 세라믹계 무기접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에 사용되는 방사성 원소로는 칼륨(K), 셀렌(Se), 바나듐(V), 루비듐(Rb), 인듐(In), 텔루르(Te), 란탄(La), 세륨(Ce), 네오디뮴(Nd), 사마륨(Sm), 카돌리늄(Gd), 루테륨(Lu), 하프늄(Hf), 탄탈(Ta), 레늄(Re), 오스뮴(Os), 백금(Pt), 폴로늄(Po), 아스타틴(At), 프랑슘(Fr), 라듐(Ra), 악티늄(Ac), 토륨(Th), 프로트악(Pa), 우라늄(U)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사성원소가 함유된 물질로는 칼륨(K)함유 광물, 희토류 원소 함유 광물, 희토류 원소 산화물, 우라늄 함유 광물, 토륨 함유 광물, 지르코늄 광물, 섬아연석 등을 들 수 있다.
칼륨함유광물로는 Sylvite(KCl), Sylvinite(KCl·NaCl), Carnallite(KCl·MgCl2·6H2O), Harsalz(KCl·NaCl·MgSO4·H2O), Kainite(KCl·MgSO4·3H2O) 등의 염화물 광물, Glaserite(3K2SO4·3H2O), Leonite(K2SO4·MgSO4·4H2O), Schonite(K2SO4·MgSO4·6H2O), Langbenite(K2SO4·2MgSO4), Polyhalite(K2SO4·MgSO4·2CaSO4·2H2O), Kalinite(K2SO4·Al2(SO4)·24H2O), Alunite(명반석,K2SO4·3(Al2O3·SO3)·6H2O), Jarosite(철명반석,K2SO4·3(Fe2O3·SO3)·6H2O) 등의 황산염 광물과 질산염광물(Nitre, KNO3), Potassium nephelite(K2O·Al2O3·2SiO2), Glauconite(해록석,K2O·Fe2O3·4SiO2·xH2O), Leucite(백류석,K2O·Al2O3·4SiO2), Orthoclase(칼륨장석,K2O·Al2O3·6SiO2), Potassium liparite(칼륨석영조면암,(K,Na)2O·Al2O3·6SiO2+(2∼3)SiO2), Sericite(견운모,K2O·3Al2O3·6SiO2·2H2O), Phlogopite(금운모,K2O·MgO·Al2O3·6SiO2·2H2O), Biotite(흑운모,K2O·4(Mg,Fe)O·2(Al,Fe)2O3·4SiO2·H2O) 등의 규산염광물을 들 수있다.
희토류 함유광물로는 Fluocerite(tysonite), 형석(ytttofluorite, yttrocerite), Gagarinite, Tveitite, Ancylite, Bubankite, Calkinsite, Carbocernaite, Donnayite, Ewaldite, Lanthanite, Mckelveyite, Sahamalite, tengerite, 바스트네사이트(Bastnasite), Parisite, Corisite, Cardylite, Huanghoite, Parisite, Synchysite, Zhonghuacerite, Aeschynite-priorite계열, Betafite, Brannerite, Cerianite, Cerotungsitite, Davidite, 갈렴석(Allanite), 인회석, 모나자이트(Monazite), 지르콘(Zircon) 등을 들 수 있다.
우라늄 함유광물로는 Uraninite(UO2), Pitchblend(UO2+U3O8), Coffinite(U(SiO2)1_x(OH)4), Brannerite(UTi2O6), Carnotite(K2(UO2)2(VO4)3·H2O), Tyuyamunite(Ca(UO2)(VO4)25∼8H2O), Torbernite(Ca(UO2)2(PO4)212H2O), Autunite(Ca(UO2)2(PO4)2·10∼12H2O), Uranophan(Ca(VO2)2(SiO3)2)등을 들 수 있으며, 토륨 함유광물로는
모나자이트(Monazite, (Ce,La,Nd,Th)PO), 토륨석(Thorite, ThSiO), 방토륨석(Thorianite, (ThU)O), 브래너라이트(Brannerite, (U,Ca,Ce)(Ti,Fe)O), 세리아나이트(Cerianite, (CeTh)O), 로파라이트(Loparite, (Ce,Th,na,Ca)(Ti,Nb)O), 폴리믹나이트(Polymignite, (Ca,Fe,Y,Th)(Nb,Ti,Ta,Zr)O), 이트로크라시이트(Yttrocrasite, (Y,Th,U,Ca)(Ti,Fe)(O,OH)), 지르켈라이트(Zirkelite, (Ca,Th,U,Ce)Zr(Ti,Nb)O), 인회석(Apatite, Ca(PO)F), 브리톨라이트(Britholite, (Ca,Ce)(SiO PO)(OH, F)), 그레이아이트(Grayite, (Th,Pb,Ca,Ce)PO(H O)), 허트나이트(Huttonite, ThSiO)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초전성 물질로는 전기석, 석류석, 주석산, 강유전체, 초전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강유전체로는 BaTiO3, NaKC4H4O6·4H2O(로셀염), KH2PO4(인산2수소칼륨), PbZrO3(지르콘산염), C(NH2)3Al(SO4)2·6H2O(GASH), (NH2·CH2COOH)3H2SO4(TGS), Pb(Ta0.5Fe0.5)O3(철탈탄산납), NH4H2PO4(인산2수소암모늄), SbSI(황요드화안티몬), PbTiO3(티탄산납) 등을 들 수 있다. 초전성 고분자로는
고분자로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F(Polyvinyl fluoride), polypropylene, PAN(Polyacrylonitrile), Polyacrylamide, PVC(Polyvinyl chloride), Nylone-11, P(VDF-TFE)[poly(vinylidene fluoride-co-retrafluoroeth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음이온 발생 접착제에서 음이온이 발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겠다.
결정판 온도를 바꿀 때 나타나는 양·음의 전하를 피로(pyro)전기라고도 한다. 또한 결정의 이와 같은 성질을 초전성이라 하는데, 결정은 미시적으로 볼 때 양·음의 전하를 지닌 몇 종류의 미립자로 성립되어 있다. 결정은 특히 외부에서 전하를 주지 않는 한 전체가 전기적으로 중성을 띠므로 결정 내 양전하의 총계와 음전하의 총계는 절대값이 같다. 그러나 양전하와 음전하의 무게중심 위치는 결정의 대칭성에 따라 일치하는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일치하지 않는 결정을 극성결정이라 하며, 이것은 자연상태에서 전기분극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넓은 뜻의 자발 분극이라 한다. 자발 분극은 일반적으로 온도에 의존하므로 극성결정판의 온도를 바꾸면 자발 분극이 변화하고 그 변화 분에 상당하는 양·음의 전하가 판의 양쪽 면에 나타난다. 이와 같은 극성 결정은 모두 초전성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초전성 물질로는 전기석을 들 수 있다. 전기석은 열을 받으면 전기석 결정이 +극과 -극으로 분극하고 전기석에 수분이 닿으면 순간적으로 수분에 방전을 한다. 이때 물은 전기분해되고 물분자(H2O)는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 (OH-)로 분리된다. 분리된 수소이온(H+)은 마이너스 전극에 끌려서 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결합되어 중화되고 수소가스(H2)가 되어 증발한다. 즉, 물이 알카리 이온화가 된다. 또 수산이온(OH-)은 주변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히드록실(H3O2) 음이온이라고 하는 계면활성물질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음이온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초전성 물질 단독으로는 음이온이 발생되지 않거나 발생되더라도 극히 미약하므로 초전성 물질 단독으로는 음이온발생 재료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방사성 원소가 함유된 물질에 함유된 방사성 원소는 붕괴하여 α선, β선, γ선 등의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α선은 헬륨의 원자핵, β선은 전자로 된 입자선, γ선은 매우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이며, 모두 기체나 고체를 이온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방사성 원소로부터 방사선의 방출은 방사성 원소의 화학적 형태나 물리적 상태와는 관계없다. 본 발명에 의한 음이온 발생 소재에는본 발명에서 제시한 방사성 원소가 함유되어 있기만 하면 되며, 음이온 발생량은 방사성 원소의 전체 함유량에 관련되게 된다. 일 예로 방사성 원소인 K-40의 경우 동위원소 존재비가 0.0118%이므로 칼륨(K)이 함유된 광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광물의 칼륨 함유량이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함유한 광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륨의 함량이 낮으면 방사선 방출량이 너무 작기 때문에 음이온 발생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우라늄 등 붕괴계열을 형성하는 방사성 원소의 농축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방사성 원소 함유 광물은 붕괴계열을 형성하는 방사성 원소의 함량이 미량이거나 인체에 무해한 미약 방사능을 방출하므로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지지만, 허용 방사선량 이하의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원소가 함유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방사성 원소를 함유한 물질 모두가 본 발명의 음이온 발생 소재에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음이온 방출량은 방사성 원소의 종류 또는 함유량이 다른 방사성 원소 함유 물질을 사용함으로서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방사성 원소 자체만으로는 음이온 발생량이 충분하지 않거나 가격적인 면에서 합리적이지 않다.
음이온의 발생은 전기석과 같은 초전성 물질과 방사성 원소 함유 물질이 혼합되면, 방사성 원소를 함유한 물질에서 방출된 방사선이 주위의 자발 분극하고 있는 초전성 물질의 이온화를 촉진시켜 음이온의 방출을 쉽게 하고 따라서 음이온 방출량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기 한다.
실시예 1)
실리콘 수지 접착제(LG실리콘 공업(주), LG실란트 909) 100중량%에 방사성 원소가 함유된 물질로서 바스트네사이트(bastnasite) 분말 15중량%, 전기석 15중량%를 함유시켜 음이온 발생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음이온의 측정은 상자의 안쪽 벽면을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수지 접착제로 바르고 충분이 경화(7일 이상)시킨 다음, 이온 카운터를 상자안에 장착시키고 상자의 뚜껑을 덥어 밀폐 시킨 다음 1시간 방치한 후 이온 카운터(일본 제품, Model : KEC-900)를 작동시켜 음이온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28℃, 상대습도 40%에서 음이온의 발생량은 1800개/cm3였다.
실시예 2)
실리콘 수지 접착제(LG실리콘 공업(주), LG실란트 909) 100중량%에 방사성원소가 함유된 물질로서 바스트나사이트 분말 15중량%, 강유전체분말 15중량%를 함유시켜 음이온 발생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음이온의 측정은 실시예 1과 같으며 음이온의 발생량은 1900개/cm3였다.
실시예 3)
실리콘 수지 접착제(LG실리콘 공업(주), LG실란트 303) 100중량%에 방사성원소가 함유된 물질로서 모나자이트 분말 5중량%, 전기석 5중량%를 함유시켜 음이온 발생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음이온의 측정은 실시예 1과 같으며 음이온의 발생량은 1200개/cm3였다.
실시예 4)
도배에 사용되는 통상의 전분계 접착제에 바스트나사이트 분말 10중량%, 강유전체분말 10중량%를 함유시켜 음이온 발생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음이온의 측정은 실시예 1과 같으며 음이온의 발생량은 900개/cm3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착제는 음이온을 항시 방출하므로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방충, 항공팡이의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접착제를 건축재료보드나 내장제에 사용하면 포름알데히드를 대표로 하는 유기계 항균제를 사용에 의한 화학물질과민증, 시크하우스증후군(빌딩증후군)을 방지하는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고, 싱크대 벽면 봉합 접착제나 바닥타일 사이의 봉합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음이온의 발생에 의한 항균, 탈취 등의 기능을 부여 할 수 있다.

Claims (4)

  1. 방사성 원소 함유 물질과 초전성 물질이 함유된 접착제
  2. 청구항 1에서 방사성 원소가 칼륨(K), 셀렌(Se), 바나듐(V), 루비듐(Rb), 인듐(In), 텔루르(Te), 란탄(La), 세륨(Ce), 네오디뮴(Nd), 사마륨(Sm), 카돌리늄(Gd), 루테륨(Lu), 하프늄(Hf), 탄탈(Ta), 레늄(Re), 오스뮴(Os), 백금(Pt), 폴로늄(Po), 아스타틴(At), 프랑슘(Fr), 라듐(Ra), 악티늄(Ac), 토륨(Th), 프로트악(Pa), 우라늄(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원소
  3. 청구항 1에서 방사성 원소가 함유된 물질이 칼륨(K)함유 광물, 희토류 원소 함유 광물, 희토류 원소 산화물, 우라늄 함유 광물, 토륨 함유 광물, 지르코늄 광물, 섬아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원소가 함유된 물질
  4. 청구항 1에서 초전성 물질이 전기석, 석류석, 강유전체, 초전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전성 물질
KR1020030038605A 2003-06-16 2003-06-16 기능성 접착제 KR20040107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05A KR20040107924A (ko) 2003-06-16 2003-06-16 기능성 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605A KR20040107924A (ko) 2003-06-16 2003-06-16 기능성 접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924A true KR20040107924A (ko) 2004-12-23

Family

ID=37381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605A KR20040107924A (ko) 2003-06-16 2003-06-16 기능성 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792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33B1 (ko) * 2005-04-26 2007-02-27 대성이삭산업주식회사 음이온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0717509B1 (ko) * 2005-10-05 2007-05-16 박영웅 항균 및 소취 기능이 있는 플라스틱 및 그 제품
KR100760327B1 (ko) * 2005-11-28 2007-10-04 권정자 도배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CN113461249A (zh) * 2020-03-30 2021-10-01 中石化南京化工研究院有限公司 基于生物增效手段的对苯二甲酸生产废水处理方法
KR102529515B1 (ko) 2023-02-06 2023-05-08 동양에폭시 주식회사 다기능성을 보유한 친환경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타일 대리석 시공방법
KR102573844B1 (ko) 2023-04-05 2023-09-01 주식회사 삼성에코텍 다기능성을 보유한 친환경 석재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33B1 (ko) * 2005-04-26 2007-02-27 대성이삭산업주식회사 음이온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0717509B1 (ko) * 2005-10-05 2007-05-16 박영웅 항균 및 소취 기능이 있는 플라스틱 및 그 제품
KR100760327B1 (ko) * 2005-11-28 2007-10-04 권정자 도배용 접착제의 제조방법
CN113461249A (zh) * 2020-03-30 2021-10-01 中石化南京化工研究院有限公司 基于生物增效手段的对苯二甲酸生产废水处理方法
KR102529515B1 (ko) 2023-02-06 2023-05-08 동양에폭시 주식회사 다기능성을 보유한 친환경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타일 대리석 시공방법
KR102573844B1 (ko) 2023-04-05 2023-09-01 주식회사 삼성에코텍 다기능성을 보유한 친환경 석재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iphant et al. Transmutation effects observed with heavy hydrogen
Garrels et al. Reactions of feldspar and mica with water at low temperature and pressure
Jenny Simple kinetic theory of ionic exchange. I. Ions of equal valency
Das et al. Chemistry of fluid inclusions in halite from the Salina Group of the Michigan Basin: Implications for Late Silurian seawater and the origin of sedimentary brines
KR20040107924A (ko) 기능성 접착제
Bisi et al. Long lifetime of positrons in ionic crystals
Sudnitsyn et al. The theory of Maxwell-Boltzmann-Helmholtz-Gouy about the double electric layer in disperse systems and its application to soil science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paper published by Gouy)
Nishizawa et al. Extractive behavior of magnesium chloride and isotopic enrichment of magnesium by a crown ether
Abu-Jarad et al. Effect of internal wall covers on radon emanation inside houses
Paige et al. Solution equilibria for uranium ore processing: the BaSO4-H2SO4-H2O system and the RaSO4-H2SO4-H2O system
KR20040107922A (ko) 기능성 도료
KR20040107923A (ko) 음이온 발생 유약
KR20040101770A (ko) 음이온 발생 소재
KR200378339Y1 (ko)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발생용 건축마감재
Jamil et al. Relative performance of different types of passive dosimeters employing solid state nuclear track detectors
KR20060072179A (ko)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발생용 건축마감재 조성물, 이의시공방법 및 시공한 건축마감재
Lemire Effects of high ionic strength groundwaters on calculated equilibrium concentrations in the uranium-water-system
Blackmon Regge Poles with Absorptive-Correction Cuts and Exchange Degeneracy in the Reaction π− p→ η n
Beneš et al. Interaction of radium with freshwater sediments and their mineral components: III. Muscovite and feldspar
JP2004155898A (ja) 塗料
Kozlov et al. On behaviour of the form factor of decay of the 63-1k63-1k63-1kinto the dalitz pair in a region of small invariant masses
Shahwan et al. Sorption studies of Cs+, Ba2+, and Co2+ ions on bentonite using radiotracer, ToF-SIMS, and XRD techniques
Mishra et al. Radiotracer technique in adsorption study XVI: an efficient removal of cadmium ions by sodium titanate from aqueous solutions
JP2003321267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セラミック物質及びその製法
KR20170102626A (ko) 라돈가스와 포름알데히드 및 VOCs 방출을 차단해줄 수 있는 물질의 조성물과 그의 물질을 이용한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