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449A - 황토 도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 도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449A
KR20040107449A KR1020040055838A KR20040055838A KR20040107449A KR 20040107449 A KR20040107449 A KR 20040107449A KR 1020040055838 A KR1020040055838 A KR 1020040055838A KR 20040055838 A KR20040055838 A KR 20040055838A KR 20040107449 A KR20040107449 A KR 20040107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powder
paint
weight
natura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6858B1 (ko
Inventor
김종표
양승호
Original Assignee
김종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표 filed Critical 김종표
Priority to KR102004005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85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8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80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면에서 크랙의 발생함이 없이 견고하게 밀착도포되고, 시공이 용이하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분말을 침전조에 투입하여 침전시킨후, 상기 침전조에서 탈수 건조하여 황토 침전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토침전분말 65~75중량%, 게르마늄분말 15~25중량%, 이온파우더 5중량%, 제올라이트 5중량%를 배합기에서 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배합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대해 4:6의 비율로 천연고무수액을 주입하여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황토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황토 도료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Ocher Painting Composition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 외부용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수용성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시공면에 크랙이 발생함이 없이 견고하게 밀착 도포되고, 시공이 용이하며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토란 일반적인 표층 상의 적토와는 구별되게 적토 하부층에서 채취되는 약 알카리성 흙으로써, 황토에 탄산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물을 섞으면 찰흙으로 변하는 것도 이 탄산칼슘 때문이다. 황토입자의 크기는 대략 0.02∼0.05㎜이며, 석영, 장석, 운모 방해석 등 다양한 광물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화학적으로 보면 실리카, 철분, 알루미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석회 등으로 조성된다. 또한 황토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물을 정화시키는 효과, 꽃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야채를 생생하게 소생시키는 효과,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돕는 효과, 요통 및 어깨 결림의 완화효과, 피로회복 효과, 통증 완화 효과, 숙면을 돕는 효과 등을 나타내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토는 지표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는 붉은 색을 띄는 흙으로서 다량의 탄산칼슘(CaCO3)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서지지않는 점력을 지니고 있으며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황토는 탄산칼슘외에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철분,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동, 식물의 성장에 필요하고 항균,탈취기능과 같은 유익한 작용을 일으키는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황토의 이러한 특성 및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고 있다. 예를들어 황토방, 황토 찜질방, 황토 사우나 등의 바닥 또는 벽면에 시공되는 반죽형태의 제품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황토를 이용한 건축시공 제품은 황토와 백시멘트가 혼합된 반죽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기존의 황토제품은 시공후에 크랙이 많이 발생하여 시공 면에서 쉽게 떨어져 나갈 뿐만 아니라 시공이 불편한 등의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의 모색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황토의 클랙의 이유는 자연상태에서 비교적 불균질한 재료에 황토와 더해서 가해지는재료의 혼합성에 관련되어 불균질함이 가중되어서 석인 재료와의 이질성과 더불어서 클랙이 쉽게 가는 문제가 있다.
한편, 게르마늄은 인체의 산소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을 돕는 산소 촉매제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인체에 게르마늄을 공급하면 세포의 산소 요구 량이 감소됨으로써 산소가 몸속에 사용되고도 남게 됨 에 따라 인체의 자연치료제인 엔돌핀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피로회복이 빠르게 되고, 만성 산소 결핍증에서 벗어나게 해주며 밝은 정신을 갖게 해준다. 그리고 음식물을 소화시킬 때 발생하는 수소는 양이온으로 생체 내에서 전혀 쓸모가 없으며, 이 수소가 많으면 우리 몸은 산성인 것이며 이 척도를 PH라하고, PH가 높을수록 산성이 강하다. 따라서 수소 이온은 우리 몸을 산성화 시켜 모든 병의 원인이 되게 하는 데 유기 게르마늄은 산소를 대신하여 물이 되어 배설되기 때문에 체질을 알카리성으로 만들어 병을 예방해 주므로 이를 건축 재료에 함유시키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선행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체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점증하는 현대인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황토 도료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시공면에서 견고하게 밀착되며 시공이 간편한 새로운 황토도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황토분말을 침전조에 투입하여 침전시킨후, 상기 침전조에서 탈수 건조하여 황토 침전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토침전분말 65~75중량%, 게르마늄분말 15~25중량%, 이온파우더 5중량%, 제올라이트 5중량%를 배합기에서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대해 4:6의 비율로 천연고무수액을 주입하여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황토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황토 침전분말 65~75중량%, 게르마늄분말 15~25중량%, 및 이온파우더 5중량%와 제올라이트5중량%를 배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제조후, 천연고무수액을 황토 혼합물에 대해 4:6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황토도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황토 도료 제조방법에서는 우선, 황토분말을 침전조에 투입하여 침전시킨후, 상기 침전조에서 탈수 건조하여 황토 침전분말을 제조하게 되는 데, 황토 분말은 볼밀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600 메쉬(mesh) 이상의 미분말로 한 후에 침전조에 공급하여 72시간 이상 침전시킨 후에 탈수 및 건조하여 얻어진다.
다음에 얻어진 상기 황토침전분말 65~75중량%에 대해 게르마늄 분말 15~25중량%, 이온 파우더 5중량%, 제올라이트(상품명 NI#100) 5중량%를 배합기에 공급하여 약 900 ~ 1,200 RPM 속도로 1 시간 정도 배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 때, 황토 침전 분말과 게르마늄 분말의 양을 70중량%와 20중량%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배합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대해 4:6의 비율로 천연고무수액을 주입하여 1200RPM의 속도로 약 1시간 동안 배합하는 데, 이 때 사전에 천연고무수액은 원액과 정제수를 50:50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내지 800 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제조하여 사용한다.
다음에 얻어진 황토 혼합물과 고무수액의 혼합물인 황토 도료를 포장 용기(일 예로서 18ℓ)에 주입하여 포장한 후에 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황토 도료를 구성하는 각 성분의 작용 및 수치 한정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효과에 의해 항균, 탈취 작용은 물론 인체에 대해 제독 또는 해독 등의 유익한 작용을 일으키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황토의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침전하여 분말화 한 형태로 이러한 침전황토분말은 대략 600 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사용하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총량의 65~75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75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분산성과 같은 도료 물성이 저하되고 65중량% 미만으로 사용시는 첨가효과가 떨어지는 미미한 문제가 있다.
이 때, 황토 분말의 입도를 600 메쉬 이상으로 하는 것은 다른 성분들과 혼합시 잘 배합되고 제품을 제조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침전 시간을 72 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은 불순물을 충분히 제거하고 황토 자체를 숙성시켜 순황토 분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순황토는 찰기가 강하고 약알카리 성분으로 이물질이 다량 함유된 일반 황토와는 상이하다.
그리고, 게르마늄분말 역시 600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사용하는데, 게르마늄은 경도가 높으므로 습식 분쇄법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건조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바람직한 사용량은 15~25중량% 범위로서, 25중량% 초과 사용시는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15중량% 미만으로 사용시는 그 첨가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온 파우더(ion powder)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이온 세라믹 파우더(예컨대, 성분으로서 이산화질소 45~66%, 이산화규소 23~36%, 산화 알루미늄 1% 미만, 오산화인 0.5~5%, 산화제2철 0.2% 미만, 이산화티타늄 0.2% 미만을 포함) 또는 무기금속산화물의 일종인 π물질을 이용한 이온파우더(국내의 이박세라톤주식회사가 판매하는 상품명 황토 엑기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악취 제거 뿐만 아니라 총체적인 인체의 생리작용을 개선하고 자연 치유력을 향상시켜 세포를 활성화하므로 5중량% 정도 혼합한다. 이온 파우더로서는 상기와 같은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이온을 발생하는 것이라면 다른 분말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Zeolite)(상품명 NI#100)는 결정성 규산알루미늄 화합물로서 비석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결정 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하여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성질에 기인하여 흡착제로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흡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를 첨가하며, 5중량%가 적당한 양이다.
한편, 황토 혼합물에 배합되는 천연고무수액은 고무 나무에서 흘러나오는 수액으로 라텍스(latex)라고 하는데 우유처럼 흰 액체로 60∼65%가 물이고 고무 성분, 수지, 단백질, 당질, 기타 무기물 등이 섞여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황토 혼합물에 대해 4:6의 비율로 배합하는 바, 이는 최적의 황토 도료의 접착성을 확보하기위한 수치이다. 이와 같은 천연고무수액은 원액과 정제수를 5:5의 비율로 혼합하고 500 내지 800 RPM의 속도로 회전시켜 제조하며, 이러한 회전 속도 및 배합 시간에서 최적의 품질을 가지는 고무수액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 황토분말에 각종 성분을 배합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속도 및 시간과 황토 혼합물에 천연고무수액을 배합하여 혼합시 회전속도 및 시간은 모두 최적 품질을 가지는 도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설정된 수치들로서 수많은 반복 시험의 결과 확정된 수치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도료 제조방법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볼밀로 갈아서 600메쉬 정도의 세분말화한 황토분말을 침전조에 투입하여 72시간 침전후, 탈수 건조하여 황토 침전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황토침전분말 70중량%에 대해 게르마늄 분말 20중량%, 이온 파우더 5중량%, 제올라이트 5중량%를 배합기에 공급하여 1,000 RPM의 속도로 약 1시간 정도 배합하여 황토 혼합물을 제조하고, 얻어진 황토 혼합물에 대해 천연고무수액(원액:정제수가 5:5)을 4:6의 비율로 배합하여 교반기에서 약 1,200 RPM의 속도로 약 1시간 정도 배합하여 황토 도료를 제조후 포장용기에 주입하여 출시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달리 황토침전분말 75중량%에 대해 게르마늄분말 15중량%로 배합하고, 이온파우더와 제올라이트는 같은 양이며, 천연고무수액과 황토 혼합물의 비율도 동일하게 하여 황토 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황토침전분말과 게르마늄 분말의 양을 65중량%와 25중량%로 한 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황토 도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는 공정 순서는 동일하나 조성량에서 황토침전분말을 60중량%, 게르마늄분말을 30중량%로 하며, 이온파우더와 제올라이트는 각각 6중량%와 4중량% 양으로 배합하며, 이후의 공정은 동일하였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는 황토침전분말등 황토 혼합물을 조성하는 양들은 실시예와 동일하나 이온파우더 및 제올라이트를 각각 4중량% 및 6중량%의 양으로 배합하며 천연고무수액과의 배합비율을 5:5로 하여 황토 도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도료 조성물은 18ℓ 용기에 포장하여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황토 도료의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검사에서 분석된 본 발명의 도료 성능에 대한 비교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2와 3에서와 같이 황토침전분말이 75 또는 65중량%일때에는 부착성이 다소 떨어지나 본 발명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비교예 1에서 황토침전분말이 60중량% 일때 도료로서의 성능을 기대할 수 없으며, 비교예 2에서와 같이 천연고무수액과 황토혼합물과의 비율이 5:5인 경우는 도료로서 부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황토 혼합물과 천연고무수액의 비율을 35:65로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는 고무수액의 과다로 제 1 재료의 특성을 살릴 수가 없으며 도료를 칠한 후 표면강도가 약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황토 혼합물과 천연고무수액을 45:55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황토 도료에 대해 시험한 결과에서도 고무수액의 부족으로 접착제 역할을 제대로 못하여 도료로서 사용시 부착성이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의해 제조된 황토 도료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내외장 시공을 시행후의 원적외선 방사율 시험을 시행하였는 바, 본 발명 실시예들의 경우 흑체 대비 90%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나 비교예들의 경우는 불량하였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황토침전분말 (중량%) 70 75 65 60 70
게르마늄분말 (중량%) 20 15 25 30 20
이온파우더 (중량%) 5 5 5 6 4
제올라이트 (중량%) 5 5 5 4 6
황토혼합물: 고무수액 4:6 4:6 4:6 4:6 5:5
도료부착성 최적합 적합 적합 부적합 부적합
원적외선방사율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황토 도료의 경우 황토의 특성을 충분 살리면서 도료로서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각종 건축용 내장 도료 및 외장 도료로써 널리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 게르마늄 성분 및 이온 파우더에 의해 인체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점증하는 현대인의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3)

  1. 황토분말을 침전조에 투입하여 침전시킨후, 상기 침전조에서 탈수 건조하여 황토 침전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토침전분말 65~75중량%, 게르마늄분말 15~25중량%, 이온파우더 5중량%, 제올라이트 5중량%를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대해 4:6의 비율로 천연고무수액을 주입하여 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황토도료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황토침전분말은 70중량%이고 게르마늄분말이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도료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고무수액은 원액과 정제수를 50:50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도료 제조방법.
KR1020040055838A 2004-07-19 2004-07-19 황토 도료 제조방법 KR10063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838A KR100636858B1 (ko) 2004-07-19 2004-07-19 황토 도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838A KR100636858B1 (ko) 2004-07-19 2004-07-19 황토 도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49A true KR20040107449A (ko) 2004-12-20
KR100636858B1 KR100636858B1 (ko) 2006-10-20

Family

ID=3738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838A KR100636858B1 (ko) 2004-07-19 2004-07-19 황토 도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74B1 (ko) * 2006-11-27 2008-04-30 김태우 천연 소재를 이용한 도료용 도포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871A (ja) 2001-05-14 2002-11-27 Shoichi Tojo 光触媒含有コーティング組成物による室内のエア浄化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74B1 (ko) * 2006-11-27 2008-04-30 김태우 천연 소재를 이용한 도료용 도포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858B1 (ko) 200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098B1 (ko) 시멘트가 함유되지 않은 몰탈 조성물
KR101969960B1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CN105272055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凹凸棒彩色涂料粉
CN105218031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海泡石彩色涂料粉
KR100361904B1 (ko) 음료수 정수제의 제조방법
KR101997101B1 (ko) 황토벽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309182B1 (ko)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 방법
CN105272114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沸石彩色涂料粉
CN105198360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绿蒙混层粘土彩色涂料粉
KR100636858B1 (ko) 황토 도료 제조방법
JP5527803B2 (ja) きのこの栽培用添加材、きのこの人工培養基、及びそれを用いた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KR101310776B1 (ko) 원적외선 세라믹 도료
RU2413693C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масса
KR20020021180A (ko) 황토와 일라이트, 이산화티탄을 활성화한 황토벽돌과황토타일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198359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高岭土彩色涂料粉
KR20040107450A (ko) 황토 바닥재 제조방법
CN105218036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硅藻土彩色涂料粉
KR100336441B1 (ko) 맥반석 도료의 조성물
CN107382269A (zh) 一种具有缓释功能的养生陶壶
KR102380089B1 (ko) 기능성 인조대리석용 조성물
KR20140119328A (ko) 마사지볼의 제조 방법
KR102288485B1 (ko) 항균 수축튜브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수축튜브
KR100422057B1 (ko) 지점토 제조방법
KR102048629B1 (ko) 탄수화물 발효액을 함유한 황토 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243515B1 (ko) 게르마늄광석 및 명반석을 이용한 다기능 용도의 분말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