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109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109A
KR20040107109A KR1020030037959A KR20030037959A KR20040107109A KR 20040107109 A KR20040107109 A KR 20040107109A KR 1020030037959 A KR1020030037959 A KR 1020030037959A KR 20030037959 A KR20030037959 A KR 20030037959A KR 20040107109 A KR20040107109 A KR 2004010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xchange
test
tes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674B1 (ko
Inventor
박종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67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율 테스트 호가 시도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유휴 상태로 천이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적어도 한번 이상 소정 시간 간격으로 페이징하며, 페이징마다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 간의 링크 구성 정보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링크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특정 톤을 전송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ceiving Rat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율 측정을 위한 호가 시도되면 교환기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갖는 각각의 페이징 신호와 음성 신호 또는 특정 톤을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신 신호를 통해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시장규모가 급격히 커지면서 이동전화 서비스업체 간의 경쟁도 더 강화되고 있다. 이는 이동전화 가입자가 증가할수록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가입자의 사용 요금 대비 통화 품질 및 서비스에 대한 욕구도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통화 품질은 각 서비스업체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받을 것인가를결정하는 중요한 판단 기준 중 하나이다.
현재, 이동 통신망은 사업자별 경계와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의 경계, 세대(95A, 1X, 1x EV-DO 등)간 경계, 무선 교환 장치(WPABX) 경계, 주파수 경계 등 많은 경계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계 지역에서의 착신율을 점검 및 검증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경계 지역에서의 착신율이나 음질, 채널 상태 등을 최적화하기 위해 경계 지역에서 수동으로 단말 간에 착신 및 발신을 하여 시험하고 있는 실태이며, 기지국의 채널 및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 이상 유무를 시험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현재 경계 지역의 착신율을 점검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 상태이며, 따라서 착신 관련 고객 불만 발생시 정확한 원인의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보완을 통해 착신율 시험 및 관련 메시지나 테스트용 음성 신호의 전송으로 기지국 채널 카드 및 교환기의 보코더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 통신 단말기 11 : 기지국(BTS)
12 : 기지국 제어기(BSC) 13 : 교환기(MSC)
14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15 : 데이터 코어망(DCN)
20 : 운용 서버 21 : 데이터베이스(DB)
30 : 컴퓨터 단말기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율 테스트 호가 시도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유휴 상태로 천이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적어도 한번 이상 소정 시간 간격으로 페이징하며, 페이징마다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 간의 링크 구성 정보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링크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특정 톤을 전송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교환기로 테스트 호가 시도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유휴 상태로 천이되는 제1단계와;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휴 상태로 천이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서로 다른 링크 구성 정보를 갖는 페이징 신호 및 이상 유무 점검을 위한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을 전송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0)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담당하는 기지국(11)과, 상기 기지국(11)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12)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12)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13)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 및 데이터 코어망(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착신율 측정을 위한 것으로,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착신율 테스트 호가 시도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유휴 상태로 천이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교환기(13)와 기지국 제어기(12) 및 기지국(11) 간의 링크 구성 정보를 달리하여 페이징하고, 응답시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전송하여 링크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교환기(13) 및/또는 데이터 코어망(15)에는 운용 서버(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운용 서버(20)는 상기 착신율 테스트 결과 정보를 교환기(13)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고, 운용자가 컴퓨터 단말기(30) 등을 통해 상기 테스트 결과를 확인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착신율 테스트 호라 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착신율 측정을 위해 지정된 피쳐 코드 또는 특수 번호 및 비밀 번호(XXXX)를 입력하여 상기 교환기(13)로 발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비밀 번호의 입력은 필요에 따라 요구되는 부가적인 것이다.
상기 교환기(13)는 상기와 같이 경계 지역 등 착신율 측정 대상 지역에 위치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착신율 테스트 호가 시도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단말 고유 번호(ESN), 단말 수신 번호(MIN)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유휴(IDLE) 상태로 천이된다.
그리고, 상기 교환기(13)는 소정 시간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소정 시간 간격으로 페이징을 실시하며, 각각의 페이징마다 서로 다른 링크 구성 정보를 할당한다. 여기서 링크 구성 정보라는 것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교환기(13) 사이의 구체적인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교환기(13) 번호, 보코더 번호, 기지국 제어기(12) 번호, 기지국(11) 번호, 기지국 채널 카드 번호 등을 서로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할당하므로써 이상시에 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링크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일정 횟수 이상 페이징을 실시하여야 하며, 페이징 횟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요구되는 횟수 또는 특정 페이징 요구 횟수가 없는 경우에는 정해진 횟수만큼 실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환기(13)는 각각의 페이징마다 번호를 부여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상기와 같이 교환기(13)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페이징 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며, 상기 응답 이후 교환기(13)로부터 테스트를 위한 음성 신호 또는 특정 톤이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통해 착신율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스트를 위한 음성 신호는 특정 레벨의 신호를 의미하고, 특정 톤은 특정 주파수 및 특정 레벨의 신호를 의미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및 레벨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페이징을 실시할 때 테스트임을 알리는 음성 또는 문자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여 측정자가 용이하게 테스트 흐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음성 또는 문자 안내 메시지는 상기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을 대신하여 착신율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각각의 페이징마다 상기와 같이 교환기(13)로부터 전송된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에 대한 수신 신호 데이터 및 이와 함께 수신한 링크 구성 정보를 내부 메모리(도면 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저장된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 데이터는 교환기(13)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교환기(13)로 전송된 데이터는 교환기(13)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가, 다시 교환기(13)로부터 운용 서버(2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 및 데이터 코어망(15)을 통해 운용 서버(20)로 직접 전송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전송 시기는 실시간, 페이징 완료 후, 일정 시간 수집 후 등에 일괄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도2 내지 도4의 호 흐름도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때, 상기 착신율 측정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0) 및 교환기(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교환기(13)로 특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테스트 호를 시도하면(S101), 상기 교환기(1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단말 고유 번호(ESN) 및 단말 수신 번호(MIN)를 획득하여 인증한 다음 응답 신호를 전송하며(S102),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유휴(IDLE) 상태로 전환된다(S103).
다음,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테스트 호를 시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소정 시간 간격으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며, 각각의 페이징마다 번호를 부여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링크 구성을 할당하여야 한다. 여기서 링크 구성이란,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교환기(13) 사이의 구체적인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교환기 번호, 보코더 번호, 기지국 제어기 번호, 기지국 번호, 기지국 채널 카드 번호 등을 말한다.
먼저,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제1링크 구성 정보를 갖는 1차 페이징을 시도하여(S104),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S105) 상기 제1링크 구성에 대한 착신율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S106). 이때, 상기 테스트용 음성 신호는 테스트를 하기 위해 전송되는 신호의 하나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문자 메시지 등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수신한 음성 신호에 대한 1차 테스트 결과를 상기 교환기(13)로 전송한다(S107).
상기와 같이 상기 교환기(13)는 테스트 호를 시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정해진 횟수만큼 페이징 단계(S104) 내지 테스트 결과 수신 단계(S107)를 반복하여 각각의 링크 구성에 대한 착신율 측정을 위한 단계를 수행한다. 즉, 정해진 횟수가 N인 경우,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제N링크 구성 정보를 갖는 N차 페이징을 시도하며(S108), 단말기(10)로부터 응답 신호가 전송되면(S109) 상기 단말기(10)로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전송하여(S110) 단말기(10)로부터 N차 테스트 결과를 수신한다(S111).
상기와 같이 지정된 횟수 만큼 페이징이 완료되면,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테스트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문자 메시지 또는 기타 신호를 통해 통지할 수 있다(S112).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테스트 결과를 교환기(13)로 전송하도록 하였으나, 이 단계는 필요 여부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다음,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로서, 도2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각각의 테스트에 따른 테스트 결과를 테스트가 완료된 후 교환기로 일괄 전송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테스트 호가 시도되는단계(S201) 내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206)는 도2의 단계 S101 내지 단계 S106과 동일하여 생략한다.
다음, 상기 교환기(13)가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1차 페이징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S206)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1차 테스트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부의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다(S207).
또한, 지정된 횟수만큼 상기 과정(S208 내지 S210)을 반복한 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지정된 회차인 N차 페이징(S208)에 따른 N차 테스트 결과를 상기와 같이 메모리에 임시 저장한다(S211).
상기와 같이, N차 테스트가 완료되면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테스트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며(S212), 상기 테스트가 완료되었음을 인지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저장한 1차 내지 N차 테스트 결과를 상기 교환기(13)로 일괄 전송하는 것이다(S213).
이때, 교환기(13)가 테스트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S212)는 생략 가능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일정 시간 동안 페이징되지 않으면 테스트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로서, 페이징 횟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교환기(13)로 테스트 호를 시도하면(S301),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페이징 요구 횟수의 입력을 요청하며(S302),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페이징 요구 횟수(N)이 전송되면 상기 단말기(10)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여(S303) 상기 페이징 요구 횟수만큼 링크 구성을 할당하고 페이징을 실시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테스트 호의 시도에 따라 교환기로부터 응답이 있은 후 페이징 요구 횟수를 입력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테스트 호의 시도 시 페이징 요구 횟수를 함께 입력하여 호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교환기(13)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S304)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유휴 상태로 전환되며(S305), 상기 교환기(13)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여(S306) 응답하고(S307), 교환기(13)로부터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S308) 테스트 결과를 상기 교환기(13)로 전송한다(S309). 테스트 결과 전송 단계(S309)는 도3에서와 같이 테스트 완료 후 일괄 전송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테스트 결과를 수신한 교환기(13)는 페이징 횟수가 페이징 요구 횟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S310), 판단 결과 페이징 요구 횟수가 페이징 횟수보다 크면 페이징 단계(S306)로 피드백하여 링크 구성을 달리하여 상기 테스트를 반복한다. 이때, 페이징 횟수의 판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 또는 테스트 결과 데이터에 이전 페이징 회차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므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교환기(13)는 페이징 횟수가 페이징 요구 횟수와 일치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테스트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S311)를 실행하여 테스트를 완료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신율 측정 시스템 즉,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교환기(13) 및 운용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도5 내지 도8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각 실시예는 착신율 분석을 담당하는 운용 서버(20)로의 테스트 결과 전송 시기에 차이를 두고 있다.
먼저,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교환기(13)로 테스트 호를 시도함에 따라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1차 페이징을 실시하고(S401), 상기 단말기(10)로부터의 응답(S402) 후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전송하며(S403) 상기 단말기로부터 1차 테스트 결과가 전송되면(S404) 이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405).
다음, 상기 교환기(13)는 지정된 횟수가 N이라면, N차 페이징 단계(S406),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응답(S407)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 전송 단계(S408), N차 테스트 결과 수신 단계(S409), N차 테스트 결과 저장 단계(S410)를 수행하며, 테스트가 완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1차 내지 N차 테스트 결과를 상기 운용 서버(20)로 일괄 전송한다(S411).
상기 운용 서버(20)로의 테스트 결과 전송은, 상기 운용 서버(20)를 통해 운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집된 모든 테스트 결과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1)를 이용하여 착신율 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로서, 교환기(13)가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실시간으로 운용 서버(20)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교환기(13) 간의 1차 페이징 단계(S501), 단말로부터의 응답(S502)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 전송 단계(S503) 및 상기 단말기(10)로부터 교환기(13)로의 1차 테스트 결과 전송 단계(S504)가 완료되면, 상기 교환기(1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1차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운용 서버(20)로 전송한다(S505).
다음, 지정된 횟수인 N차 페이징 단계(S506), 단말로부터의 응답(S507)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 전송 단계(S508) 및 상기 단말기(10)로부터 교환기(13)로의 N차 테스트 결과 전송 단계(S509)가 완료되면,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N차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운용 서버(20)로 전송하며(S510), 테스트가 완료되어 더 이상 결과 데이터의 전송이 없을 것임을 상기 운용 서버(20)로 알린다(S511).
다음, 도7과 도8은 도5와 도6의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테스트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기(10)가 직접 운용 서버(20)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운용 서버(20)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 및 데이터 코어망(15)을 통해 테스트 결과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데이터 코어망(15)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교환기(13) 간의 1차 페이징 단계(S601), 단말로부터의 응답(S602)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 전송 단계(S603)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1차 테스트 결과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S604).
다음, 지정된 횟수인 N차 페이징 단계(S605), 단말로부터의 응답(S606)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 전송 단계(S607)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N차 테스트 결과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며(S608), 상기 교환기(13)로부터 테스트가 완료되었음을 통보받거나(S609), 또는 테스트가 완료되었음을 내부적으로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1차 내지 N차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운용 서버(20)로 일괄 전송한다(S610).
이때, 상기 운용 서버(20)로의 결과 데이터 전송 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상기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있던 메모리를 자동으로 포맷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교환기(13) 간의 1차 페이징 단계(S701), 단말로부터의 응답(S702)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 전송 단계(S703)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1차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운용 서버(20)로 전송한다(S704).
다음, 지정된 횟수인 N차 페이징 단계(S705), 단말로부터의 응답(S706)에 따른 테스트용 음성 신호 전송 단계(S707)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N차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운용 서버(20)로 전송하며(S708), 경우에 따라 모든 테스트에 대한 결과 전송이 완료되면 이를 상기 운용 서버(20)로 통보한다(S709).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은 경계 지역의 착신율 시험을 통해 착신율 향상에 기여하고 착신 불량에 대한 고객불만 발생시 신속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며, 기지국의 하드웨어 문제점을 사전에 발췌할 수 있으며, 교환기로부터 기지국 채널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음질 불량 요인의 사전 제거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율 테스트 호가 시도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 고유 번호(ESN), 수신 번호(MIN)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유휴 상태로 천이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적어도 한번 이상 소정 시간 간격으로 교환기와 기지국 제어기 및 기지국 간의 링크 구성 정보를 달리하여 페이징하고, 페이징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링크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특정 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성 정보는 교환기 번호, 기지국 제어기 번호, 보코더 번호, 기지국 제어기 아이디, 기지국 채널 카드 번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테스트 호가 시도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요구 횟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페이징 요구 횟수 만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페이징하며, 각각의 페이징마다 테스트 안내 멘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에 따르는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율을 분석하는 운용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에 따르는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운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에 따르는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페이징이 완료되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용 음성 신호는 특정 레벨의 신호이고, 상기 테스트용 특정 톤은 특정 주파수와 특정 레벨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8.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교환기로 착신율 테스트 호를 시도하여 착신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교환기로 테스트 호를 시도하여 단말 번호 및 수신 번호 정보를 전송하고 유휴 상태로 천이되며, 상기 교환기로부터 서로 다른 링크 구성 정보를 갖는 페이징 신호 및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을 수신하여 링크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을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을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페이징 신호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율을 분석하는 운용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교환기로부터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을 수신함에 따라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페이징 신호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용 음성 신호는 특정 레벨의 신호이고, 상기 테스트용 특정 톤은 특정 주파수와 특정 레벨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4.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무선 구간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스템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로 테스트 호가 시도됨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유휴 상태로 천이되는 제1단계와;
    상기 교환기가 상기 유휴 상태로 천이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서로 다른 링크 구성 정보를 갖는 페이징 신호 및 이상 유무 점검을 위한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을 전송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로 테스트 호가 시도됨에 따라 상기 교환기가 상기 호 시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유휴 상태로 천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전에,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테스트 요구 횟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테스트 요구 횟수 정보에 따라 페이징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페이징 신호에 대한 테스트 결과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모든 페이징 신호 수신이 완료되면, 각각의 페이징 신호에 따른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일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어 교환기로부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율을 분석하는 운용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테스트 결과 정보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페이징 신호에 대한 테스트 결과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모든 페이징 신호 수신이 완료되면, 각각의 페이징 신호에 따른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교환기로 일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 테스트용 음성 신호 또는 톤에 따르는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페이징이 완료되면, 상기 교환기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및 데이터 코어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 코어망과 연결되어 착신율을 분석하는 운용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및 데이터 코어망을 통해 상기 운용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운용 서버로 테스트 결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교환기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면, 각각의 페이징 신호에 대한 테스트 결과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임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로부터의 모든 페이징 신호 수신이 완료되면, 각각의 페이징 신호에 따른 테스트 결과 정보를 상기 운용 서버로 일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용 음성 신호는 특정 레벨의 신호이고, 상기 테스트용 특정 톤은 특정 주파수와 특정 레벨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방법.
KR1020030037959A 2003-06-12 2003-06-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6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959A KR100561674B1 (ko) 2003-06-12 2003-06-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959A KR100561674B1 (ko) 2003-06-12 2003-06-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109A true KR20040107109A (ko) 2004-12-20
KR100561674B1 KR100561674B1 (ko) 2006-03-15

Family

ID=3738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959A KR100561674B1 (ko) 2003-06-12 2003-06-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06B1 (ko) * 2004-09-20 2007-01-31 김기종 에프에이 무선통신 전파환경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06B1 (ko) * 2004-09-20 2007-01-31 김기종 에프에이 무선통신 전파환경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674B1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7089C (zh) 支持移动台测试软件代理器的无线电通信系统以及收集其中的测试系统性能信息的方法
CN111327450B (zh) 一种质差原因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89958A (zh) 用于服务小区规划的收发机测试
EP2963980A1 (en) Wireless access network sharing among core networks and methods
US20110299473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identifying radio network service availability
WO1999051011A1 (en) Controlling the set-up of calls between subscriber stations
CN1973564A (zh) 用于控制和分析电话网络中的通信的方法
EP11295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nd periodically updating mobile station location data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1371598B (zh) 通信系统和信息管理方法
US20110090869A1 (en) Method and system supporting handover from macro node b to home node b
CN105052189A (zh) 最小化路测的处理方法、网络设备及通信系统
CN111372183A (zh) 一种识别质差终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639527A (zh) 网络调整工程的测试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6185419B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453485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경로조정과사용료기록을점검하는테스트장치및테스트시스템
KR10056167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율 측정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H10500552A (ja) 無線カバーエリアを測定するための組み込み測定装置を有する移動無線通信装置
CN112566190A (zh) Lte切换优化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1417143A (zh) 小区上报方法及网络设备
CN110536369B (zh) 一种同时获取lte主邻小区tac、ci信息的装置及方法
EP1745665B1 (en) Method of testing a cellular network system
KR100559599B1 (ko) 로밍 히스토리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 망 리스트 설정방법
CA2515864C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identifying radio network service availability
US20050130625A1 (en) Apparatus for reporting a fee discount z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same
CN107466065B (zh) 网络质量的确定方法、装置、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