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7Y1 -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 Google Patents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7Y1
KR200401067Y1 KR20-2005-0024920U KR20050024920U KR200401067Y1 KR 200401067 Y1 KR200401067 Y1 KR 200401067Y1 KR 20050024920 U KR20050024920 U KR 20050024920U KR 200401067 Y1 KR200401067 Y1 KR 200401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window
electric meter
se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송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규
송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송진수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20-2005-0024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에 관한 것으로, 전기계량기(60)를 보호하고 수납하며,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투시창(40)이 결합되는 덮개몸체(30)와; 전기계량기(60)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숫자판(61)과 전기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회전원판(62)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가장자리에 고무패킹(50)이 끼워지도록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31)상에 위치하면서 덮개몸체(30)와 결합하는 투시창(40) 및 상기 투시창(40)과 덮개몸체(30) 사이의 결합부분으로 우수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시창(40)의 삽입홈(42)에 끼워지는 고무패킹(50)으로 구성됨으로써, 주기적으로 또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한 전기계량기의 숫자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경우에,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투시창만 교체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을 통해, 종래의 전기계량기함의 전면교체에 비하여 상당 부분의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ELECTRIC METER BOX FRONT COVER}
본 고안은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또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한 전기계량기의 숫자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경우에,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투시창만 교체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을 통해, 종래의 전기계량기함의 전면교체에 비하여 상당 부분의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전기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계량기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전면덮개(10)가 후면판(20)과 결합하여 그 내부 공간에 전기계량기(60)가 안전하게 수납되어 보호받게 된다.
한전에서는 법률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노후된 전기계량기함을 교체하기도 하고, 공기의 유입이 자유롭지 못한 전기계량기함의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전기계량기함 내부의 습기와 외부에서 전기계량기함의 틈새로 유입되는 먼지 및 부식 등으로 인한 이물질에 의해 전기계량기함의 전면덮개(10)의 투명부를 통해 사용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숫자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경우에도 전기계량기함을 교체하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기존의 전기계량기함은 상기와 같이 전기계랑기함을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10)와 후면판(20)을 전부 교체하여야 하고, 그러기 위해 개인이 임의로 교환할 수 없도록 하고 계량기의 변경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봉인장치를 뜯어낸 후 다시 교체된 전기계량기함을 재봉인하여야 함은 물론, 전기계량기(60)를 고정시키고 있는 후면판(20)의 철거시 전기계량기(60)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을 분리해야 하므로 감전사고 등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는 간단치 않은 작업과정을 거쳐야 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전기 수용가의 모든 전기계량기함의 전면덮개와 후면판 전부의 계속적인 교체는 불가피하므로, 상기 교체에 투입되는 인력과 비용 및 행정력은 무시할 수 없는 정도이고, 그 비용들의 부담은 결국 수용가에게 돌아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계량기함은 주기적으로 또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한 전기계량기의 숫자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경우에,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투시창만 교체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을 통해, 종래의 전기계량기함의 전면교체에 비하여 상당 부분의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계량기를 보호하고 수납하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투시창이 결합되는 덮개몸체와; 전기계량기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숫자판과 전기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회전원판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가장자리에 고무패킹이 끼워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 상에 위치하면서 덮개몸체와 결합하는 투시창 및 상기 투시창과 덮개몸체 사이의 결합부분으로 우수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시창의 삽입홈에 끼워지는 고무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몸체와 투시창의 결합은 투시창의 배면에 구비된 일정 갯수의 걸림편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한, 덮개몸체의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투시창의 걸림편이 삽입·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갯수의 걸림공이 추가로 구성됨으로써 결합이 가능할 수도 있으며, 투시창의 배면에 구비된 결합홈과 덮개몸체의 개구부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결합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 는 도 2 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2 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덮개몸체(30)는 전기계량기를 수납하기 위한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33)의 상부에는 투시창(40)이 결합되는 부분인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돌출부(33) 전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사각통체이나, 덮개몸체(30)의 형상은 여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덮개몸체(30) 전체가 돌출부(33) 없이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도 있고 전력소모량을 확인할 수 있는 개구부(31)만 형성되어 있으면 덮개몸체(30) 또는 돌출부(33)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본 고안은 투시창(40)을 통해 전기계량기(60)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숫자판(61)과 전기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회전원판(62)을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투시창(40)에는 덮개몸체(30)와의 용이한 결합과 교체를 위해 일정 갯수의 걸림편(41)을 투시창(40)의 배면에서 투시창(40)과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림편(41)은 화살촉 모양의 머리부 경사면 끝단에서 일정깊이까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투시창(40)이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에 결합시 소정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투시창(40)과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 형상은 모서리가 굴곡있게 처리된 사각형상으로, 걸림편(41)은 화살촉 모양의 머리부와 목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상기 투시창(40)과 덮개몸체의 개구부(31)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걸림편(41)도 투시창(40)과 덮개몸체의 개구부(31)가 결합하는 데 적합한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본 고안에 적용이 가능하고, 걸림편(41)의 갯수도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은 걸림편이 덮개몸체의 개구부에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로,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 주변에 걸림편(41)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편(41)과 동일한 갯수의 걸림공(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투시창이 덮개몸체의 개구부에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투시창(40)의 배면에는 결합홈(43)이 투시창(40)의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일체로 연결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3)에 끼워지도록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 주변에는 결합홈(43)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결합구(34)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홈(43)과 돌출결합구(34)는 도면과 같이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데 한정되지는 않고 일정 갯수의 독립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도 투시창이 덮개몸체의 개구부에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돌출부(33) 자체가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에 결합되는 투시창(40)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덮개몸체(30)와 투시창(40)인 돌출부(33)가 결합하는 방식에는 상기에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구비된 걸림편(41)·걸림공(32)·결합홈(43)·돌출결합구(34) 등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투시창(40)과 덮개몸체의 개구부(31)가 결합하는 데 적합한 방식이라면 어떤 방식이라도 본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덮개몸체(30)와 투시창(40)의 재질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외형이 쉽게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실시예에서 덮개몸체(30)와 투시창(40)의 결합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필요가 없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에서 살펴보았듯이, 투시창(40)은 외부에서 전기계량기함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당연히 투명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기 투시창(40)이 덮개몸체(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투시창(40)이 덮개몸체(30)와 중첩되는 투시창(40)의 가장자리 부분은 덮개몸체(30)와 완전 밀착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우수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투시창(4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42)으로 '○'링 형상의 고무패킹(50)이 삽입된다.
이러한 본 고안인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덮개몸체와 투시창의 결합·교체 작업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고무패킹(50)이 투시창(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42)에 끼워진 상태에서, 투시창(40)에 구비된 걸림편(41)은 결합시 투시창(40)에 가해지는 누름 압력에 의해 화살촉 모양의 경사면이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 모서리에 접촉하면서 걸림편(41)의 머리부에 형성된 홈이 오므라들고 이와 동시에 걸림편(41)의 화살촉 모양의 머리부가 덮개몸체(30) 내측으로 완전히 밀려들어가 덮개몸체(30) 내측 표면에 걸리게 되면서 결합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덮개몸체 개구부(31)의 주변에 걸림공(32)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걸림편(41)이 상기 걸림공(32)에 삽입·결합되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투시창(40)에 구비된 결합홈(43)과 덮개몸체(30) 개구부(31)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결합구(34)가 누름압력에 의해 연질의 합성수지재가 약간의 신축을 발휘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투시창(40)의 교체시에는 일정한 도구를 이용하거나 인력만으로 걸림편(41)의 목부분을 부러뜨리거나 결합홈(43)을 돌출결합구(34)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투시창(40)을 전기계량기함의 덮개몸체(30)에서 떼어낼 수 있고, 다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새로운 투시창(40)을 결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투시창만 교체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을 통해, 종래의 전기계량기함의 전면교체에 비하여 상당 부분의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는, 주기적으로 또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로 인한 전기계량기의 숫자판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경우에,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투시창만 교체하는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을 통해, 종래의 전기계량기함의 전면교체에 비하여 상당 부분의 비용을 절감하고 인력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전기계량기함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 4 는 도 2 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도 2 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 과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종래의 계량기함 전면덮개 20 : 계량기함 후면판
30 : 덮개몸체 31 : 개구부
32 : 걸림공 33 : 돌출부
34 : 돌출결합구 40 : 투시창
41 : 걸림편 42 : 삽입홈
43 : 결합홈 50 : 고무패킹
60 : 전기계량기 61 : 숫자판
62 : 회전원판

Claims (4)

  1.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에 있어서,
    전기계량기(60)를 보호하고 수납하며, 개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투시창(40)이 결합되는 덮개몸체(30)와;
    전기계량기(60)에서 사용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숫자판(61)과 전기의 사용여부를 나타내는 회전원판(62)을 확인할 수 있게 하고, 가장자리에 고무패킹(50)이 끼워지도록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31)상에 위치하면서 덮개몸체(30)와 결합하는 투시창(40) 및
    상기 투시창(40)과 덮개몸체(30) 사이의 결합부분으로 우수 등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시창(40)의 삽입홈(42)에 끼워지는 고무패킹(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30)와 투시창(40)의 결합은 투시창(40)의 배면에 구비된 일정 갯수의 걸림편(4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 주변에는 상기 투시창(40)의 걸림편(41)이 삽입·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편(41)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편(41)과 동일한 갯수의 걸림공(32)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30)와 투시창(40)의 결합은 투시창(40)의 배면에 구비된 결합홈(43)과 덮개몸체(30)의 개구부(31)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결합구(34)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KR20-2005-0024920U 2005-08-30 2005-08-30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KR200401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20U KR200401067Y1 (ko) 2005-08-30 2005-08-30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20U KR200401067Y1 (ko) 2005-08-30 2005-08-30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7Y1 true KR200401067Y1 (ko) 2005-11-28

Family

ID=4370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920U KR200401067Y1 (ko) 2005-08-30 2005-08-30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95Y1 (ko) 2011-02-09 2012-05-09 한국전력공사 카드탈착방식 검침창 합성수지 단독계기함
KR101455294B1 (ko) * 2013-10-04 2014-10-31 남영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계량기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95Y1 (ko) 2011-02-09 2012-05-09 한국전력공사 카드탈착방식 검침창 합성수지 단독계기함
KR101455294B1 (ko) * 2013-10-04 2014-10-31 남영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 계량기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9398A1 (en) Piece of baggage
KR200438358Y1 (ko) 투명창이 구비된 용기
CN102450785B (zh) 座椅安全带扣
KR200401067Y1 (ko) 전기계량기함 전면덮개
KR101931882B1 (ko) 봉인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용 보호판
JP6379452B2 (ja) 腕時計ケースおよび腕時計
WO2014188786A1 (ja)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JP2002172243A (ja) 遊技機における回路基板の閉止構造
JP2002159707A (ja) 遊技機における回路基板の閉止構造
KR20070092564A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뚜껑 및 그 제조방법
CN206270387U (zh) 一种上盖组件及具有该上盖组件的电表壳
JP4075098B2 (ja) 遊技機の制御基板収納ボックス
SK287804B6 (sk) Elektrická zástrčka
KR200440290Y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보호커버
KR200301717Y1 (ko) 수도미터기함의 뚜껑
KR200455205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뚜껑
EP3710656B1 (en) An improved key
CN211628913U (zh) 开关装置的翻盖结构
KR0128506Y1 (ko) 안경 케이스
KR20100023060A (ko) 콘센트 커버
ITTO20070811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meccanismi elettrici montati ad incasso
KR102579488B1 (ko) 계량기용 봉인장치
KR101262805B1 (ko) 밀폐용기용 잠금부의 결합 구조
CN217454684U (zh) 一种注塑机箱箱体结构
CA3015117A1 (en) Tamper-evident attachment for cable 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