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716A -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716A
KR20040106716A KR1020030037533A KR20030037533A KR20040106716A KR 20040106716 A KR20040106716 A KR 20040106716A KR 1020030037533 A KR1020030037533 A KR 1020030037533A KR 20030037533 A KR20030037533 A KR 20030037533A KR 20040106716 A KR20040106716 A KR 20040106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core
transformer
voltag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095B1 (ko
Inventor
강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095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7/00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K47/02AC/DC converters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세 개의 철심을 갖는 코어에 1차측 코일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이 각각 감겨 있다.
코어는 1차측 코일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각각 감을 수 있도록, 중앙 철심과, 중앙 철심 좌측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과, 중앙 철심을 중심으로 일측 철심에 대칭되는 위치에 타측 철심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앙 철심에는 1차측 코일이, 일측 및 타측 철심에는 각각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이 감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앙 철심의 단면적은 일측 또는 타측 철심 단면적의 두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는 철심의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어, 권선수를 늘리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코어에, 1차측 코일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모두 권선할 수 있고, 코일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감을 수 있어 승압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Transformer, Power Supp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사이즈로, 승압비를 높일 수 있는 트랜스포머와,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부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컨버터, 백라이트 및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액정 패널은 그 자체가 비발광성이기 때문에 빛이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액정 패널의 후면에서 액정 패널 전체에 고르게 빛을 전달하는 백라이트로서 다양한 램프가 이용된다.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램프에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이 있으며, 외부 전극을 갖으며, 병렬 구동이 가능한 EEFL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램프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고전압의 출력을 만들 수 있는 트랜스포머가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직하형 백라이트에서 램프의 개수를 증가시켜 휘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에는 트랜스포머의 개수를 늘려야 하거나, 상기 트랜스포머의 승압비를 높여야 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평면 구조 특성상, 트랜스포머의 크기가 작아야 하는데, 고전압으로의 승압이 요구되는 트랜스포머의 크기를 줄이는 것은, 트랜스포머의 일정 용량이 있기 때문에, 절연구조 등으로 크기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도 8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정면도이다.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8)와 하부 코어(9) 사이에 1차측 및 2차측 각각의 코일이 감겨 있는 구조이다.
상기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두께(d)를 얇게 유지하도록 하고, 회로에 장착하여 작은 사이즈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트랜스포머의 승압비를 높이기 위해, 2차측 코일 턴수를 증가시킬 때, 상기 상 하부 코어(8, 9) 내부에서 턴을 계속 감아야 하는데,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코어의 면적을 넓혀야 하므로, 트랜스포머를 작은 사이즈로 구성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작고 승압비를 높일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동하기 위해 고전압으로 승압시킬 수 있고,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패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권선의 입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정면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중앙 철심, 상기 중앙 철심 옆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 상기 중앙 철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에 대칭되는 타측 철심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중앙 철심에 권선된 1차측 코일; 상기 일측 철심에 권선된 2차측 제1 코일; 상기 타측 철심에 권선된 2차측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철심의 단면적은 상기 일측 또는 타측 철심 단면적의 두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에 각각 삽입되는 1차측 보빈 및 2차측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코어는 EE형 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범용 교류 전압을 입력받는 AC 입력부; 상기 범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정류부; AC-DC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을 승압시키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인버터; 상기 AC-DC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적합한 소정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부에 제공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중앙 철심, 상기 중앙 철심 옆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 상기 중앙 철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에 대칭되는 타측 철심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철심에 각각 권선되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에 각각 삽입되는 1차측 보빈 및 2차측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출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1차측 코일은 상기 1차측 보빈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된 두 개의 입력 단자를 입력으로 사용하고, 상기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은 각각 상기 2차측 보빈의 일측에 형성된 하나의 출력 단자를 저전위 출력으로 사용하고, 상기 보빈의 타측에 형성된 하나의 출력 단자를 고전위 출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을 승압시키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받는 다수의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상기 직류 전압을 소정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는 액정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중앙 철심, 상기 중앙 철심 옆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 상기 중앙 철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에 대칭되는 타측 철심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철심에 각각 권선되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패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AC 입력부(11), AC-DC 정류부(12), 인버터(13) 및 컨버터(14)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10)와, 백라이트부(20), 액정 패널부(30)를 포함한다.
AC 입력부(11)는 외부로부터 범용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이 전압을 AC-DC 정류부(12)에 인가한다.
AC-DC 정류부(12)는 상기 범용 교류 전압(AC)을 직류 전압(DC)으로 변환하고, 상기 직류 전압을 후술하는 인버터(13) 및 컨버터(14)에 각각 제공한다.
인버터(13)는 AC-DC 정류부(12)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백라이트부(20)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백라이트(20)는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램프(LAMP)를 포함하는데, 상기 백라이트(20)는 다양한 램프가 채용될 수 있으며,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ce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 등이 일반적이다.
컨버터(14)는 상기 AC-DC 정류부(12)에서 인가받은 직류 전압을 적합한 소정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액정 패널부(30)에 제공한다.
액정 패널부(30)는 상기 컨버터(14)로부터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아 화상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며,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 게이트 구동부(32), 소스 구동부(3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게이트선(G)과 이 게이트선(G)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선(D)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게이트선과 하나의 데이터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행렬 형태의 각각 화소 영역에 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 개의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만을 도시하였다.
게이트 구동부(32)는 상기 게이트선(G)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게이트 신호를 인가한다.
소스 구동부(33)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데이터 신호를 모든 데이터선(D)에 인가한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인버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는 풀 브리지(Full Bridge)(100), 전원변환부(200), 정류부(300), 컨트롤러(400),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500)를 포함한다.
풀 브리지(100)는 액정 표시 장치의 AC-DC 정류부(12)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스위칭 동작을 한다.
전원변환부(200)는 권선형 변압기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로 구성 가능하며, 풀 브리지(100)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 코일(210)과, 1차측 코일(210)로부터 유도된 승압 전압이 인가되는 2차측 제1 및 제2 코일(220, 230)을 포함한다. 2차측 제1 및 제2 코일(220, 230)의 전압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부(30)를 이루는 램프(LAMP)의 양단 전극에 인가되어 램프를 구동시킨다.
정류부(300)는 상기 램프의 흐르는 전류를 피드백하기 위해,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트롤러(400)는 상기 정류부(300)로부터의 피드백 신호(F/B)를 인가받아, 풀브리지(100)의 스위칭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게이트 시그널(gate signal)을 게이트 드라이버(500)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500)는 컨트롤러(4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풀 브리지(100)의 스위칭 시간을 조절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상기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세 개의 철심을 갖는 코어(1)에 1차측 코일(210)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220, 230)이 각각 감겨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포머의 코어(1)는 E모양의 코어가 마주보도록 하여 이루어진, EE 형 코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는 1차측 코일(210)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220, 230)을 각각 감을 수 있도록, 중앙 철심(2)과, 상기 중앙 철심(2) 좌측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3)과, 상기 중앙 철심(2)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3)에 대칭되는 위치에 타측 철심(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철심(2)에는 1차측 코일(210)이, 일측 및 타측 철심(3, 4)에는 각각 2차측 제1 및 제2 코일(220, 230)이 감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어에 플럭스(FLUX)가 흐르게 되며, 그 플럭스의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다. 즉, 1차측에서 2차측 양쪽으로 플럭스가 유도되는 형태이므로 1차측 코일(210)이 감기게 되는 중앙 철심(2)의 단면적은 2차측 코일(220, 230)이 감기는 일측 및 타측 철심(3, 4)의 단면적보다 충분히 커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 철심(2)의 단면적은 상기 일측 또는 타측 철심(3, 4) 단면적의 두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1)는 상기 철심(2, 3, 4)의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어, 권선수를 늘리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램프를 구동하는데에 필요한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포머의 2차측 권선수를 많이 늘려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코어(1)의 형태는 2차측 코일(220, 230)을 중앙 철심(2) 양쪽의 두 철심(3, 4)에 권선할 수 있고, 코일의 권선수를 많이 늘릴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트랜스포머 크기 내에서, 승압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의 상기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앞서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원통형의 보빈(5, 6, 7)에 1차측 코일(210)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220, 230)이 각각 감겨 있고, 코일이 감겨 있는 각각의 보빈(5, 6, 7)이 코어(1)의 세 개의 철심(2, 3, 4)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포머의 코어(1)는 E모양의 코어가 마주보도록 하여 이루어진, EE 형 코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는 중앙 철심(2)과, 상기 중앙 철심(2) 좌측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3)과, 상기 중앙 철심(2)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3)에 대칭되는 위치에 타측 철심(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앙 철심(2)에는 1차측 코일(210)이 감긴 보빈(5)이, 일측 및 타측 철심(3, 4)에는 각각 2차측 제1 및 제2 코일(220, 230)이 감긴 보빈(6, 7)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앙 철심(2)의 단면적은 상기 일측 또는 타측 철심(3, 4) 단면적의 두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1)는 상기 철심(2, 3, 4)의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어, 권선수를 늘리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보빈(5, 6, 7)은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원통형의 케이스로서, 그 일측에는 코일을 외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각각 두 개씩 입/출력 단자(51, 52, 61, 62, 71, 7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도 각각 두 개씩 입/출력 단자(53, 54, 63, 64, 73, 7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압이 흐르는 1차측 코일(210)과 고압이 흐르는 2차측 코일(220, 230)간에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서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저압과 고압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 권선의 입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코일(210)은 보빈(5)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된 단자(51, 52)를 입력으로 하고, 2차측 코일(220, 230)에서는, 접지되는 쪽을 저압이 흐르는 1차측 입력 단자(51, 52)와 같은 방향 단자 중 하나를 출력으로 하며, 고압이 흐르는 쪽을 그 반대편 방향의 단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전압과 저전압이 흐르는 코일을 최대한 인접하지 않게함으로써, 고전압과 저전압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누설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코어에, 1차측 코일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모두 권선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감을 수 있어 권선수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용 인버터에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승압비가 높은 트랜스포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코어에 1차측 코일 및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모두 권선하고, 코일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감아 권선수를 늘릴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요구되는 작은 사이즈를 유지하면서도 승압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8)

  1. 중앙 철심, 상기 중앙 철심 옆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 상기 중앙 철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에 대칭되는 타측 철심을 포함하는 코어;
    상기 중앙 철심에 권선된 1차측 코일;
    상기 일측 철심에 권선된 2차측 제1 코일; 및
    상기 타측 철심에 권선된 2차측 제2 코일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2. 제1항에서,
    상기 중앙 철심의 단면적이 상기 일측 또는 타측 철심의 단면적보다 더 큰 트랜스포머.
  3. 제2항에서,
    상기 중앙 철심의 단면적이 상기 일측 또는 타측 철심 단면적의 두 배 정도인 트랜스포머.
  4. 제1항에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에 각각 삽입되는 1차측 보빈 및 2차측 보빈을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5.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제1항에서,
    상기 코어는 EE형 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7. 외부로부터 범용 교류 전압을 입력받는 AC 입력부;
    상기 범용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정류부;
    AC-DC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을 승압시키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인버터;
    상기 AC-DC 정류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적합한 소정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부에 제공하는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중앙 철심, 상기 중앙 철심 옆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 상기 중앙 철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에 대칭되는 타측 철심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철심에 각각 권선되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에 각각 삽입되는 1차측 보빈 및 2차측 보빈을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중앙 철심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철심에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중앙 철심의 단면적은 상기 일측 또는 타측 철심 단면적의 두 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8항에서,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입/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1차측 코일은 상기 1차측 보빈의 일측에 나란히 형성된 두 개의 입력 단자를 입력으로 사용하고, 상기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은 각각 상기 2차측 보빈의 일측에 형성된 하나의 출력 단자를 저전위 출력으로 사용하고, 상기 보빈의 타측에 형성된 하나의 출력 단자를 고전위 출력으로 사용하는 전원 공급 장치.
  14. 제7항에서,
    상기 코어는 EE형 코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5. 외부로부터의 직류 전압을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을 승압시키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받는 다수의 램프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상기 직류 전압을 소정의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는 액정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중앙 철심, 상기 중앙 철심 옆에 위치하는 일측 철심, 상기 중앙 철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 철심에 대칭되는 타측 철심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철심에 각각 권선되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1차측 코일과 2차측 제1 및 제2 코일이 권선되어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에 각각 삽입되는 1차측 보빈 및 2차측 보빈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서,
    상기 중앙 철심에, 1차측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일측 및 타측 철심에 2차측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중앙 철심의 단면적은 상기 일측 또는 타측 철심 단면적의 두 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코어의 중앙 철심, 일측 및 타측 철심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30037533A 2003-06-11 2003-06-11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99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533A KR100999095B1 (ko) 2003-06-11 2003-06-11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533A KR100999095B1 (ko) 2003-06-11 2003-06-11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716A true KR20040106716A (ko) 2004-12-18
KR100999095B1 KR100999095B1 (ko) 2010-12-07

Family

ID=37381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533A KR100999095B1 (ko) 2003-06-11 2003-06-11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5B1 (ko) * 2007-10-10 2014-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13424278A (zh) * 2019-02-07 2021-09-21 Lg 伊诺特有限公司 变压器和包括该变压器的dc-dc转换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58881A (fr) * 1987-04-15 1989-08-29 Leonard Bolduc Transformateur-inducteur auto-regule a entrefers
DK173534B1 (da) * 1990-11-14 2001-02-05 Scanpower Strømforsyningskredsløb med integrerede magnetiske komponenter
JP2600155Y2 (ja) * 1992-12-07 1999-10-04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陰極管点灯用dc−acインバータ電源
JP3110327B2 (ja) * 1996-11-11 2000-11-20 株式会社東京精密 差動変圧器
KR200159079Y1 (ko) * 1997-09-08 1999-10-15 윤태명 점화 트랜스
KR19990084836A (ko) * 1998-05-12 1999-12-06 이태관 계측기용 변압기
KR100402091B1 (ko) * 2001-02-06 2003-10-17 주식회사 지엘디 압전형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백라이트 구동 회로
KR100815890B1 (ko) * 2001-03-31 2008-03-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코일 권선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코일이 권선된 트랜스포머및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
KR200292121Y1 (ko) * 2002-04-25 2002-10-14 트랜스테크 마그네틱스 2개의 1차 코일과 2개의 2차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215B1 (ko) * 2007-10-10 2014-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113424278A (zh) * 2019-02-07 2021-09-21 Lg 伊诺特有限公司 变压器和包括该变压器的dc-dc转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095B1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7372B2 (en) Multi-lamp driving system
US7075248B2 (en) Lamp driving system
US7274282B2 (en) Transformer
US7456719B2 (en) Inverter transformer
KR100815890B1 (ko) 코일 권선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코일이 권선된 트랜스포머및 액정표시장치의 인버터
US7365501B2 (en) Inverter transformer
US6894596B2 (en) Inverter transformer to light multiple lamps
KR200352353Y1 (ko) 트랜스포머 및 조명 튜브용 전압 공급 회로
US20080079526A1 (en) Light tube driving circuit and transformer thereof
KR20070074999A (ko) 램프 구동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7271548B2 (en) Multi-lamp drivers and transformers thereof
US7528552B2 (en) Power transformer combined with balance windings and application circuits thereof
KR100999095B1 (ko)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N2891238Y (zh) 双磁路四通道双绕线架变压器结构
KR20030000468A (ko) 무전극 형광램프를 이용한 엘시디용 백라이트 유닛
US20100164674A1 (en) Combined transformer and multi-lamp driving circuit
US20070001618A1 (en) Driving apparatus for lamp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53161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N100391314C (zh) 多灯管驱动系统
KR100864905B1 (ko) 램프 구동 회로
US20070262843A1 (en) Structure for high voltage bearable transformers
KR200324658Y1 (ko) 냉 음극관용 인버터를 구비한 변압기
KR20050000639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523875B1 (ko) 다 출력 인버터 변압기
CN2904240Y (zh) 双磁路三绕线架四通道背景光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