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669A -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 Google Patents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669A
KR20040106669A KR1020030037468A KR20030037468A KR20040106669A KR 20040106669 A KR20040106669 A KR 20040106669A KR 1020030037468 A KR1020030037468 A KR 1020030037468A KR 20030037468 A KR20030037468 A KR 20030037468A KR 20040106669 A KR20040106669 A KR 20040106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ove
melamine
flooring materi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839B1 (ko
Inventor
성재완
김형주
장동식
민일홍
박성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3003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839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이면에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위로부터 투명보호층, 모양층 및 코아층으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층, 접착층, 기재층 및 하부시트층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층의 이면에 폭이 0.5 내지 1.0 ㎜, 깊이가 바닥장식재 전체 두께의 5 내지 30%인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면에 홈부가 형성된 바닥장식재를 시공할 때, 시공접착제가 상기 홈부에 스며들어 몰탈, 콘크리트 등의 바닥과 제품을 한층 강하게 접착시킴으로써, 온도와 습도와 같은 기후변화에 따라 바닥 시공후에도 변할 수 있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치수안정성, 휨안정성 등의 기본적인 물성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 {Melamine sheet layered flooring having grooves on bottom thereof}
본 발명은 제품 이면에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58,600호 및 제295,341호에서 그 제조방법 및 구조가 잘 나타나 있다. 대표적인 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염화비닐 기재층(10)의 상부에 투명보호층(13), 모양층(14), 코아층(15) 및 접착층(16)으로 구성된 상부시트층(12)과 하부에 하부시트층(11)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품 이면은 요철없이 평평하거나, 가공시 엠보싱 롤이나 엠보싱 판에 의해 0.05 내지 0.20 ㎜ 이내의 엠보싱이 있다.
멜라민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는 투명보호층(13)을 모스 경도 9인 산화알루미늄이 고르게 분산된 오버레이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함침시켜 경화시켰기에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내오염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염화비닐 기재층(10)의 사용으로 인한 소음흡수성, 내충격성, 내수성 및 쿠션성을 부여하여 보행감을 좋게 하고, 시공시 안착성이 증진되며, 발란스층인 하부시트층(11)은 제품의 휨 현상에 대한 균형을 최대한 잡아주고 방수의 기능에 시공 접착제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보이기에 이상적인 바닥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투명보호층(13)과 모양층(14)은 종이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를 함침시켰고, 코아층(15)은 종이에 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를 함침시켰기에 종이의 성질과 함침용 수지의 친수성 특성때문에 습기에 아주 민감한 거동을 보이고, 염화비닐 기재층(10)은 열가소성 수지이기에 온도변화에 따라 치수가 변화한다.
그 결과, 멜라민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는 이를 구성하는 각층이 온도, 습도 등 기후 및 환경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의 물리적인 거동이 각기 다르기에 휨안정성과 치수안정성이 염화비닐 바닥장식재 및 온돌마루판으로 불리우는 합판마루나 강화마루 대비 불안정하다.
이에 따라, 멜라민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는 적합한 접착제로 바닥에 시공해도 컬링이나 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상존해 있어 콘크리트, 몰탈 등의 바닥과 제품이 좀 더 완벽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제품 이면의 형태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제품 이면에 홈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시공접착제가 제품 이면의 홈부에 스며들어 몰탈, 콘크리트 등의 바닥과 제품을 한층 강하게 접착시켜 온도 및 습도 등 기후변화에 따라 바닥 시공후에도 변할 수 있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치수안정성, 휨안정성 등의 기본적인 물성을 더욱 안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를 제조한 후 시공접착제가 제품 이면에 스며들기 용이하도록 제품 이면에 다양한 형태와 모양의 제품 이면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제품 이면 홈부의 깊이 및 폭은 깊고 넓을수록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가 바닥에 시공되었을 때, 어떤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바닥 홈부의 모양 및 형태가 제품 표면에 전사되어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상기의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바닥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면서 100 ㎏의 하중이 나가는 성인이 밟는 힘보다 큰 1 ㎏/㎠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제품 표면에 바닥 홈부의 모양 및 형태가 전사되지 않는 홈부의 깊이 및 폭을 한정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단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횡방향(Cross Direction)으로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배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종방향(Machine Direction)으로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배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동시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배면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홈부의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재층 11: 하부시트층
12: 상부시트층 13: 투명보호층
14: 모양층 15: 코아층
16: 접착층 30: 바닥 홈부
40: 횡방향 홈부 50: 종방향 홈부
본 발명은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위로부터 투명보호층, 모양층, 코아층 및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층, 기재층 및 하부시트층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층의 이면에 폭이 0.5 내지 1.0 ㎜, 깊이가 바닥장식재 전체 두께의 5 내지 30%인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의 깊이는 제품과 바닥과의 접착력을 강하게 한다는 면에서는 깊을수록 좋지만 너무 깊을 경우에는 시공 후 바닥 홈부가 전사되어 육안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제품 두께의 5 내지 30%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닥 홈부의 폭도 표면 전사를 고려하여 그 폭을 0.5 내지 1.0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는 일정한 간격, 예를 들면 1 내지 10 ㎝의 간격으로 규칙적 또는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는 어느 한 방향, 예를 들면 가공방향과 직교되는 횡방향 또는 가공방향인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두 방향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닥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단부 형상으로 삼각형, 갈매기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형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바닥장식재는 기재층(10)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 투명보호층(13), 모양층(14), 코아층(15) 및 접착층(16)으로 구성된 상부시트층(12)과 그 하부에 하부시트층(11)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시트층 이면에는 홈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시공접착제가 상기 홈부에 스며들어 제품과 바닥과의 접착력을 강하게 한다.
상기 투명보호층(13)은 산화알루미늄와 같은 고내마모 입자가 고르게 분산된 오버레이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함침시켜 경화한 것으로 내마모성, 내스크레치성, 내오염성,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상기 모양층(14)은 인쇄층으로서 종이에 인쇄한 후 멜라민수지로 함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아층(15)은 종이에 열안정성이 있는 페놀수지가 함침되어 건조된 시트로 이루어진 층이다. 접착층(16)은 상온 경화형 우레탄수지와 같은 접착제로 이루어진 층으로, 상기 접착제를 기재층(10) 상부에 소정량 도포하여 접착층(16)을 형성시킨다.
상기 기재층(10)은 염화비닐 시트층으로 소음흡수성, 내충격성, 내수성 및쿠션성을 부여하여 보행감을 좋게 하고, 시공시 안착성을 증진시킨다. 발란스층인 하부시트층(11)은 종이에 변성 페놀수지나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가 함침되어 건조된 시트를 사용하거나 염화비닐 수지가 함침된 글라스 페이퍼나 부직포 또는 연질 염화비닐 시트층으로, 제품의 휨 현상에 대한 균형을 최대한 잡아주고 방수의 기능에 시공 접착제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식재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각 층들을 적층한 후 프레스 압착공정을 수행하여 가열가압에 의해 일체로 압착하거나, 또는 상기 기재층(10) 상부에 상부시트층(12)을 상온 압착적층하고 하부에 소정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부시트층(11)을 상온 압착적층하여 일체화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하부시트층(11) 이면에 소정의 패턴으로 홈가공을 실시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부(30)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배면도이다.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는 모양층(14)에 인쇄하기에 따라 나무, 돌, 단색 등 외관의 표현이 자유로와 나무외관의 온돌마루를 대체할 제품으로 쪽마루로 재단될 수 있고, 마블외관의 돌모양의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태로 재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시 기계가공 방향인 종방향(Machine Direction)과 기계가공 방향과 직교된 횡방향(Cross Direction)으로 방향성도 가지고 있다.
도 3은 횡방향으로 바닥 홈부(40)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배면도로서, 상기 횡방향 홈부(40)는 1 내지 10 ㎝의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쪽마루 형태의 제품이고, 도 3b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품이며, 도 3c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품을 나타낸다.
도 4는 종방향으로 바닥 홈부(50)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배면도로서, 마찬가지로 상기 종방향 홈부(50)는 1 내지 10 ㎝의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쪽마루 형태의 제품이고, 도 4b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품이며, 도 4c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품을 나타낸다.
도 5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동시에 바닥 홈부(40, 50)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배면도로서, 횡방향 홈부(40) 및 종방향 홈부(50)는 각각 1 내지 10 ㎝의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쪽 방향으로 바닥 홈부를 가지는 이유는 바닥 홈부를 형성시 비용은 더 많이 들어가나 제품과 바닥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도 5a는 쪽마루 형태의 제품이고, 도 5b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품이며, 도 5c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품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홈부의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바닥 홈부의 형태는 도 6a처럼 삼각형, 도 6b처럼 갈매기형, 도 6c처럼 사각형, 도 6d처럼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바닥 홈부의 깊이는 제품과 바닥과의 접착력을 강하게 한다는 면에서는 깊을수록 좋지만 너무 깊을 경우에는 시공 후 바닥 홈부가 전사되어 육안으로 노출되기때문에 제품 두께의 5 내지 30%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3 ㎜ 두께의 제품에서는 0.15 내지 0.90 ㎜ 정도 깊이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바닥 홈부의 폭은 0.5 내지 2.5 ㎜로 형성시키는 것이 홈부 형성용 톱날 및 도구의 제조 용이성 때문에 보편적으로 채택되나, 본 발명에서는 홈부의 표면 전사를 고려하여 홈부의 폭을 0.5 내지 1.0 ㎜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58,6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멜라민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를 제조하되, 상부시트층(12)의 두께는 0.60 내지 0.70 ㎜, 염화비닐 기재층(10)의 두께는 2.20 내지 2.30 ㎜, 하부시트층(11)의 두께는 0.10 내지 0.20 ㎜로 하여 전체 두께가 3.0 ㎜인 제품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부시트층(11)의 이면에 횡방향과 종방향의 양쪽 방향으로 표 1과 같은 폭과 깊이에 따라 30 ㎜ 간격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홈부를 형성하였다. 몰탈 바닥과 제품을 시공한 접착제는 ㈜화성에서 제조한 아크릴 수성 접착제인 W-200 화성본드이고, 0.7 ㎏/㎡ 정도의 양을 바닥에 도포하여 시공하였다.
표 1은 몰탈 바닥에 시공한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를 1 ㎏/㎠의 힘으로 누른채 10만회 마찰시켰을때, 바닥 홈부가 제품 표면에 전사되지 않는 홈부의 깊이와 폭을 나타낸 것이다.
바닥 홈부의 깊이 및 폭에 따른 홈부의 제품 표면으로의 전사
홈부의 폭(㎜) 1.0 1.5 2.0
홈부의 깊이(㎜) 0.2 0.5 1.0 0.2 0.5 1.0 0.2 0.5 1.0
표면전사 안됨 안됨 안됨 안됨 안됨 안됨
표 1에서 나타내었듯이, 홈부의 폭이 1.0 ㎜일때는 홈부의 깊이가 1.0 ㎜까지 홈부가 전사되어 보이지 않았는데, 홈부의 폭이 1.5 ㎜일때는 홈부의 깊이가 1.0 ㎜이면 홈부가 전사되어 육안으로 관찰되었고, 홈부의 폭이 2.0 ㎜일때는 홈부의 깊이가 0.5 ㎜만 되어도 홈부가 전사되어 육안으로 관찰되었다.
표 2는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 염화비닐 바닥장식재의 바닥과의 접착력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사용한 제품 및 접착제는 표 1과 동일한 것이며, 박리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벽산에서 제조한 3 ㎜ 두께의 밤라이트를 제품과 접착시킨 바닥의 역할로 사용하였다.
바닥 홈부 유무에 따른 상태 접착력 비교
경과시간\박리강도 바닥 홈부가 없는 경우(㎏/2.5 ㎝) 바닥 홈부가 있는 경우(㎏/2.5 ㎝)
1일 후 4.0 4.8
2일 후 6.5 7.7
3일 후 6.8 8.6
4일 후 8.2 10.8
표 2에서 나타내었듯이, 제품 이면 바닥홈부가 있는 제품으로 시공한 경우가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바닥과의 접착력이 20% 이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 및 형태로 바닥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를 적합한 접착제로 바닥에 시공할 때 바닥과 보다 완벽하게 시공접착제가 붙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리하여 표면물성이 우수하고 시공성도 용이한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의 실용화 가능성을 더 한층 높였다.

Claims (5)

  1. 위로부터 투명보호층, 모양층, 코아층 및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층, 기재층 및 하부시트층을 포함하는 바닥장식재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층의 이면에 폭이 0.5 내지 1.0 ㎜, 깊이가 바닥장식재 전체 두께의 5 내지 30%인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1 내지 10 ㎝의 간격으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두 방향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단부 형상이 삼각형, 갈매기형,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민시트 적층 바닥장식재.
KR1020030037468A 2003-06-11 2003-06-11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KR10055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468A KR100554839B1 (ko) 2003-06-11 2003-06-11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468A KR100554839B1 (ko) 2003-06-11 2003-06-11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669A true KR20040106669A (ko) 2004-12-18
KR100554839B1 KR100554839B1 (ko) 2006-03-03

Family

ID=3738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468A KR100554839B1 (ko) 2003-06-11 2003-06-11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8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839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469B2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EP1691005B1 (en) Method to make a floorboard with compressed edges
US8429872B2 (en) Building panel with compressed edg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597766B2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surface elements
EP199249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and panel obtained thereby
EP2834076B1 (en) Laminat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panel
WO2006015313A2 (en) Laminate flooring members
US20150258845A1 (en) Decorative panel
EP2523805A1 (en) Fibre based panels with a decorative wear resistance surface
US20220251854A1 (en) A floor panel
CA2435673C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EP245522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rface element
KR101755075B1 (ko)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KR100554839B1 (ko) 제품 이면에 바닥 홈부를 가지는 멜라민시트 적층바닥장식재
JPH06108626A (ja) 木質複合化粧材
KR200314732Y1 (ko) 온돌 및 강화겸용 마루판
RU2819092C2 (ru) Напольная панель, имеющая текстурные зоны на верхней стороне
EP1687137B1 (en) A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a decorative surface elements with a surface structure
WO2023237951A1 (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70120274A (ko) 강마루용 hpm시트 제조방법
KR20080004648U (ko) 화장재의 밀착면에 홈을 형성한 화장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