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462A -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462A
KR20040106462A KR10-2004-7017735A KR20047017735A KR20040106462A KR 20040106462 A KR20040106462 A KR 20040106462A KR 20047017735 A KR20047017735 A KR 20047017735A KR 20040106462 A KR20040106462 A KR 20040106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digital
unit
version
stre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835B1 (ko
Inventor
쿠렛도미니크
레리어스테파니
로욱스캐더린
마이소네우브안토인
Original Assignee
프랑스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텔레콤 filed Critical 프랑스 텔레콤
Publication of KR2004010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7/52Systems for transmission of a pulse code modulated video signal with one or more other pulse code modulated signals, e.g. an audio signal or a synchroniz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그것을 대응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연관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스트림 식별자를 갖는, 하나의 채널에서 스트림 유닛의 형태로 전송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별자를 디지털 스트림에 할당하는 것은 할당 테이블에 의해서 정해지고, 시간에 의해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동적인 멀티플렉싱이 가능하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를 갖고, 할당 테이블의 버전에 있어서 변화가 주어진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의 식별자와, 스트림 유닛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고, 또한 버전 넘버가 상기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가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과 함께 버스트가 전송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시스템{SYSTEM FOR THE DYNAMIC MULTIPLEXING OF DIGITAL STREAMS}
본 발명은, 특히 MPEG2 (Motion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MPEG4, DVB (Digital Video Broadcast) 타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기술에 있어서는, 대역폭을 절감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신호에서 상이한 디지털 스트림을 멀티플렉스한다. 그러한 멀티플렉싱은 미리 정해질 수 있고, 따라서, 그 구조는 시간이 흘러도 일정하다.
멀티플렉싱은 또한 동적일 수 있다. 즉 멀티플렉스된 신호의 구조는 시간이 흐르면 변화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멀티플렉스 신호의 한 부분인 구성 테이블(configuration table)은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멀티플렉싱은 멀티플렉스와 동일한 전송 채널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고("in-band" 신호방식으로 불림), 또는 다른수단, 예를 들어 요구되는 디지털 스트림이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과 구분되는, 신호 채널이라고 하는 특정 채널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다.("out-of-band" 신호방식으로 불림)
따라서, MPEG4 표준의 프레임워크 내에서는, FlexMuxChannelTable로 불리는 구성 테이블(또는, 할당 테이블)은, 그것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특정 스트림 유닛이 어떤 디지털 스트림에 연관되는지 나타낸다. 스트림 유닛의 특정 필드에 기재된 인덱스는 256 비트로 엔코드된다. 예를 들어, 주어진 구성 테이블에서, 인덱스 112는 오디오 스트림에 해당하고, 인덱스 118은 비디오 스트림에 해당한다.
스트림 유닛이 수신되면, 수신기는 FlexMuxChannelTable 구성 테이블에 문의하고, 스트림 유닛 인덱스에 따라서, 수신기에 적용되는 프로세싱을 판단한다. 이전의 예에 있어서는, FlexMuxChannelTable은 인덱스 118의 스트림 유닛은 비디오 디코더에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수신기에 지시한다.
"멀티캐스트" 모드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에 있어서는, 방금 접속한 유저에게 신속하게 유효하기 위해서, 할당 테이블이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 유형 어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에서는 초당 1회)
동적 멀티플렉싱의 프레임워크에 있어서는, 멀티플렉스 구성에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할당 테이블이 전송된다. 각각의 순간에서 수신기는 수신된 마지막 구성 테이블을 사용하여 특정 스트림 유닛에 적용될 프로세싱을 판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확고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할당 테이블 전송시에 손실 또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싱이 정확하지 않다. MPEG4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위에서 주어진 예를 다시 사용하여, 수신기는 인덱스 118의 스트림 유닛을 비디오 디코더로 스위치할 수 있고, 반면에 네트워크의 장애로 수신되지 않은 신규한 구성 테이블은 인덱스 188이 장면 묘사에 해당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한 버스트의 손실 또는 악화는 자주 발생하며, 특히, 교란을 받기 쉬운 네트워크 전송의 프레임워크에서는 더욱 자주 발생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디지털 스트림의 전송 및 방송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을 위한 방법, 그 방법에 연관된 신호, 멀티플렉싱 장치 또한 그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MPEG4 타입의 어플리케이션 플렛폼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2는 도 1의 어플리케이션 플렛폼의 프레임워크 내에 구현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테이블의 버전 변화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필요한 또는 유익한 스트림 유닛 및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의 비교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 환경에서 발생가능한 교란을 회피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하는 확고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 변화면에서 정확하고, 통과 밴드면(또는, 대역폭)에서 비용의 효율성을 갖는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변화하는 시간에 있어서 다양한 멀티플렉스된 스트림으로부터 독립성을 보장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과 앞으로 서술될 다른 목적들은, 단일 채널에서 스트림 유닛의 형식으로 전송된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식에 의해서 구현된다. 이러한 스트림 유닛의 각각은 해당하는 디지털 스트림을 대응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연관시키는 스트림 식별자를 전송하고, 식별자를 디지털 스트림에 할당하는 것은 할당 테이블에 의해서 정해지고, 시간에 의해서 변하여 동적 멀티플렉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 테이블의 버전에 있어서 변화가 주어진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버스트가,
- 상기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 식별자;
- 스트림 유닛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시자;
- 상기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가능한 버전 넘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과 함께 전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에 있어서 신규하고 진보성 있는 해결에 기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구성 테이블의 버전 넘버의 도입에 기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멀티플렉스 구성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전송하는,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로 불리는, 가공의 컨텐츠 요소의 도입에 기반한다. 이러한, 가공의 컨텐트 요소는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의 식별자를 갖고 있고, 다양한 멀티플렉스된 스트림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은 구성에서 변화의 전이 위상 동안에만 사용되어, 본 발명의 방법은 통과 밴드면(대역폭)에서 많은 폭을 차지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트는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의 손실 또는 악화에 내재하는 위험은 감소되어, 본 발명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을 더욱 확실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버스트는 충분한 수의 연속적인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포함하여, 스트림 유닛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을 가능성 있는 미리 결정된 교란 윈도우를 커버하도록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또는 전송 채널의 교란이 발생한 경우에 패킷(또는 버스트)이 손실 또는 악화되는 문제점은 감소하고, 구성에 있어서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수신기는 사용될 할당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항상 인식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교란 윈도우의 시작 이전 및/또는 상기 윈도우의 종료 이후에 수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란 윈도우는 0.2 내지 1 초 사이에 포함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교란 윈도우의 지속 기간은 네트워크 특성에 달려있고, 따라서 버스트의 길이는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시자는 스트림 유닛(또는 사용되는 섹션)의 요구되는 섹션의 길이를 특정하는 필드이다. 이 값은, 버젼 변화 스트림 유닛이 포함되는 경우에 정의에 의해서 0과 동일하다.
따라서, 버젼 변화 스트림 유닛은 요구되는 또는 유익한 스트림 유닛에 해당하는 스트림 유닛과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그것은 해당하는 필드에 있어서 지시에 의해서, 스트림 유닛이 여백 길이(null length)을 갖는다는 것이 수신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검지된다. 하나의 "리얼(real)" 컨텐츠 요소는 여백 길이를 갖을 수 없고, 따라서, 수신기는 컨텐츠 요소는 구성 테이블의 버전 변화를 나타내는 가공의컨텐츠 요소임을 직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에 있어서, 버전 넘버는 상기 스트림 유닛의 사용되는 섹션에 기재된다.
따라서, 유익한 스트림 유닛의 구조는, 특히, 필드는 컨텐츠 요소의 사용된 섹션을 위해서 예약되어, 문제가 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사용되어야 하는 할당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은 정보 스트림 유닛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채널에서, 멀티플렉스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버스트의 전송 후의 전송 위상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전송된다.
따라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 후에 수신된 제1의 비 공백 길이 스트림 유닛(the first not null length stream unit)을 고려하여야 하는 구성 테이블의 버젼 수를 나타내기 위해서 2 개의 유익한 스트림 유닛 사이에 삽입된다.
제 1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은 상기 채널에서 전송될 수 있는데, 이것은 "in-band" 전송에 해당한다.
제 2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은 상기 채널의 구별되는 경로에 의해서 전송될 수 있는데, 이것은 "out-of-band" 전송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할당 테이블은 상기 스트림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적용되기 전에 적어도 2번 전송된다.
따라서, 버전 스트림 변화 유닛이 디지털 스트림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전에, 수신기가 새로운 구성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것은 본 발명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의 확고성에 기여한다.
바람직하게는, 버전 변화가 상기 버스트 후에 수신된 문제의 스트림의 제 1 스트림 유닛으로부터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림은,
- 자연 오디오 비디오 신호;
- 합성 오디오 비디오 신호;
- 2 또는 3 차원 장면;
- 데이터의 기술적 정보 (메타 데이터로 불림)
- 엑세스 및 허가 보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룹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MPEG4 또는 MPEG2 타입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채널에서 스트림 유닛의 형태로 전송된 디지털 스트림을 동적으로 멀티플렉스하는 신호에 관련된 것이다. 스트림 유닛의 각각은 스트림 유닛을 대응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연관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트림 식별자를 전송한다. 식별자를 디지털 스트림에 할당하는 것은 할당 테이블에 의해서 정의되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여, 동적 멀티플렉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를 전송하고, 상기 할당 테이블의 버전 변화는 주어진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신호는,
- 상기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 식별자;
- 스트림 유닛이 버젼 변화 스트림 유닛이라고 판단하는 지시자;
- 상기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가능한 버전 넘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을 갖는 버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시자는 스트림 유닛의 요구되는 섹숀(또는 사용되는 섹션)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 값은, 정의에 의해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관계된 경우에는 0 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는,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채널과 구별되는, 필요한 스트림 유닛을 전송하는 데이터 채널로 전송된다. 상기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은 상기 필요한 스트림 유닛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상기 데이터 채널에 의해서 전송된다.
따라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은 필요하거나 유익한 스트림 유닛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가공의 컨텐츠 요소를 보상하고, 구별되는 신호 채널에 의해서가 아니고 후자와 동일한 채널에 의해서 전송된다. 스트림 유닛의 길이 및 필요한 섹숀을 위해서 할당된 필드는,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의 경우에 있어서, 공백 값(가공의 컨텐츠 스트림 유닛가 관련되었음을 나타내는)과 문제가 되는 스트림에 적용가능한 할당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각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신호는 위에서 기재된 동적 멀티플렉싱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채널에서 스트림 유닛의 형태로 전송되는 디지털 스트림을 위한 동적 멀티플렉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트림 유닛의 각각은 대응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스트림 유닛을 연관시키는 스트림 식별자를 전송한다. 디지털 스트림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것은 할당 테이블에 의해서 정의되고, 동적 멀티플렉싱을 하기 위해서 시간에 따라서 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를 전송하고, 상기 할당 테이블의 버전 변화가 주어진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의 버스트는 전송된다. 이 버스트는,
- 상기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의 식별자;
- 스트림 유닛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라는 것을 판단하는 지시자;
- 상기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서 적용가능한 버전 넘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장치는 위에 기재한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을 구현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는,
- 인터넷; 및/또는
- DVB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송수단에 입력(feed)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에 따른 멀티플렉스된 신호의 수신기에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수신기는 상기 버스트를 감지하는 수단과, 문제가 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대응하는 버전 변화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에 의해서 보다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는, 한편으로는 할당 테이블 버전 넘버, 다른 한편으로는 주어진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서 버전 변화를 나타내는 가공의 컨텐츠 요소의 도입에 기반을 두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MPEG4 타입의 어플리케이션 플렛폼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한 플렛폼의 구조는 MPEG4 표준의 고전적인 구조이고, 이하에서 간단하게 기술한다. 더 구체적인 정보는, MPEG-4 시스템 표준 (ISO/IEC 14496-1.)을 참작할 수 있다.
블럭 1은, 본 발명이 동적으로 멀티플렉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MPEG4 타입의 파일을 저장하고 복수의 관련된 디지털 스트림을 생성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한다.
전송 기간동안에, 본 발명은 여러가지 디지털 스트림을 동기화하고 멀티플렉싱하는 동작은 블럭 (2)에서 구현된다. MPEG4 표준의 프레임워크 내에서, 멀티플렉싱 블럭(2)은 Flexmux 멀티플렉싱 도구를 사용한다. FlexMux 도구의 출력은 실시간에서 블럭(4)에 되고, 또는 지연된 시간에 블럭(3)에 저장된다. (다양하게 대응되는 FlexMux 파일은 블럭(3)에 저장된다.)
따라서, MPEG4 시스템 계층은 MPEG4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과, 또한 예를 들어, MPEG4 비디오에서 대상의 분할(segmentation)을 설명하고, 다양한 분할된 비디오 대상에 연결된 링크를 설명하는 MPEG7 데이터를 멀티플렉스하고 동기화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디지털 멀티플렉스는 참조번호 4의 RTP (Real Time Transfer) 네트워크 계층을 통과하고, IP (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5)를 지나, 블럭(6)을 통과한다. 여기에서 지역적으로 저장된 FlexMux 파일(7)에 대해서, MPEG4 표준의 Transmux 도구(8)을 사용하여 처리되어, MPEG-4 신호의 압축을 풀기 위한 RTP 프로토콜의 압축을 보장한다.
수신기간 동안에, 본 발명은 블럭(9)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수신된 멀티플렉스는 디멀티플렉스되어 오디오, 비디오, 장면 기술(scenedescription) 또는 메타데이터 기본 스트림(101, 102, 103, 104)를 생성한다. 이러한 다양한 디지털 스트림은, 그것들의 성질과 목적지에 따라서, 계속하여 블럭(11)에 의해서 처리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구현된 멀티플렉스의 구조가 도시된다. 여기서는 여러가지 컨텐츠 또는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 버전이 임시적으로 독립된 변화를 하는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포함한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서, 컨텐츠 "A" 및 컨텐츠 "B"라고 각각 불리는 2개의 디지털 스트림의 멀티플렉스(20)를 고려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 내에 구현된 멀티플렉스는 일반적으로 2 보다 더 큰 디지털 스트림의 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신호 데이터(21)는 out-of-band 또는 in-band에 전송될 수 있다. 특히, 그들은, 현재 구성 테이블의 버전 넘버 232및 버전 넘버 233인, 구성 테이블(또는 할당 테이블)을 전송하는 패킷 221에서 223을 포함한다.
멀티플렉스(20)은, 컨텐츠 "A"에 대해서(또한, 컨텐츠 "B"에 대해서), 복수의 유익하고 또는 필요한 스트림 유닛 (241내지 247)(또한 컨테츠 "B"에 대해서는 각각, 251내지 25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A"에 적용할 수 있는 구성 테이블은 변화한다(예를 들어, 도 1에서 버젼 수 i의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 i+1의 할당 테이블로 이동함)는 것을 나타내고, 버스트(28)(각각, 29)는 가공의 컨텐츠 요소, 또는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로 보내진다. 가공의 컨텐츠 요소(28, 29)는 도 1에 유익한 스트림 유닛 241내지 247및 251내지 255보다 더 적은 패킷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나는 것을 유의하라. 이것은 가공의 컨텐츠 요소가 여백의 길이를 갖는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것이다.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의 버스트 (28, 29)는 문제가 되는 컨텐츠 "A", "B"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 i+1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컨텐츠 "A"(또한, 컨텐츠 "B"에 대해서)에 대해서, 정보 스트림 유닛 241내지 244(또한, 각각 251내지 253)는 구성 테이블의 버전 i를 나타낸다. 가공의 컨텐츠 요소의 버스트 (28) (각각, 29)를 수신하면, 시점(26)에서 컨텐츠 "A"에 대해서, 버전 i+1 구성 테이블이 후속하여 수신되는 컨텐츠 요소(245내지 247) (각각, 254내지 255)를 고려하기 시작하는 때에, 트리거한다.
적용가능한 구성 테이블이 변화하는 시간 (26 및 27)은 컨텐츠 "A" 및 컨텐츠 "B"에 대해서 구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구성에 있어서 변화가 생기는 시간에 대해서 멀티플렉스된 컨텐츠로부터 독립성을 획득할 수 있다.
주어진 컨텐츠에 대한 적용가능한 구성 테이블의 버전 변화는 제 1의 유익한 스트림 유닛(245, 254)이 수신되는 경우(즉, 제 1 비-가공성 컨텐츠 요소가 수신되면)에 고려된다.
버전 넘버 i+1 구성 테이블 231은,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의 버스트(28, 29)를 전송하기 전에, 몇 가지 경우에 송신되는 것에 주목하라.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i+1 구성 테이블은 그것이 적용가능한 시점 (26, 27)의 시점 이전에 디코드될 수 있다. 또한, 그 테이블의 반복적인 전송은, 전송 네트워크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교란이 발생하면, 수신기에 의해서 적어도 한번씩 정확하게 수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스트 (28 및/또는 29)의 전송 이후의 전송 위상 기간에 적어도 하나의 가공적인 컨텐츠 요소가 "A" 및/또는 "B"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패킷 245및 246사이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선택된 것은 멀티플렉스 20 에 의해서 사용된 네트워크에서 관찰된 에러 버스트의 기간 보다도 더 큰 버스트 28, 29 기간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본 발명의 멀티플렉싱 방법의 확고성은, 새로은 테이블이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교란에 직면하여 적용가능한 시간인 26, 27에서 수신자가 할당 테이블의 버전 변화를 정확하게 통지받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 에 대하여 기재된 본 발명의 멀티플렉싱 절차는, 버전 넘버를 구성 테이블에 연관시키는데 충분한, 더욱 정리된 멀티플렉싱 해결책에 대해서 많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은, 버전 넘버가 구성 테이블에만 연관된 동적인 멀티플렉싱 방법보다 더 확고하고, 더 정확하고, 더 탄력적이다. 그러한 장점에 의해서 수신자는 테이블의 버전 넘버에 있어서 변화를 모니터하여, 버전 넘버가 이전의 테이블과 상이한 경우에만 할당 테이블을 고려한다. 그러한 방법은 전송 기간에 할당 테이블의 손실 또는 악화를 받을 가능성 있다. 또한, 구성에 있어서 변화가 멀티플렉스의 모든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서 동시에 수행되는데, 그것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인 요구에 해당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멀티플렉싱 절차는, 구성 테이블 및 그것과 관련된 버전 넘버가 전송되는 각각의 시점에서, 현재의 구성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특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동적 멀티플렉싱 절차에 비하여 몇가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컨텐츠 요소 또는 스트림 유닛에서, 멀티플렉스 테이블의 버전 넘버의 삽입 메카니즘에 의해서 out-of-band 신호방식 기간에 삽입 메카니즘에 의해서 완성되는 절차에 비하여 몇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만약 각각의 멀티플렉스된 컨텐츠 요소가 멀티플렉스의 구성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전송한다면, 크기에 있어서 과부하가 되어, 그 결과에 의해서 통과 대역 혼잡이 버전 넘버에 의해서 발생하고, 그것은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이러한 할당 테이블의 버전 넘버는, 멀티플렉스 구성이 변화하지 않는 특히 장시간의 정적 위상 동안에, 또한 멀티플렉스 구성의 변화 위상 기간에, 또한 문제가 되는 스트림 유닛이 그러한 변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은 경우에, 각각의 멀티플렉스된 스트림 유닛에서 존재한다.
또한, in-band 신호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버전 넘버는 각각의 멀티플럭스된컨텐츠 요소에 기재되어야 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구성 변화를 고려하는 것은 모든 멀티플렉스된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서 같은 시간에 발생하고, 그것은 고려되는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타입의 필요를 반영하지 않는다.
반대로, 본 발명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은 멀티플렉스된 컨텐츠가,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서로 공동으로 하지 않지만 구성을 변화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컨턴츠 요소에서 버전 넘버의 나타내는 것에 기인한 사이즈에 있어서 과부하에 관련된 앞에서 기술된 단점을 갖지 않는다. 그것과 대비하면, 본 발명은 리얼 구성 변화의 전이 위상 기간 동안에만, 또한, 구성 특성이 변화하는 컨텐츠 요소에 대해서만 스트림 유닛 레벨에서 버전 넘버를 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동적 멀티플렉싱 절차에 따르면, 할당 테이블의 변화 전이 위상 기간에 새로운 적용가능한 구성 테이블의 버전 넘버는, 구성 특성이 변화한 멀티플렉스된 컨텐츠에 대해서만, 가능한 가장 높은 정확도를 갖고 있고 가공적인 컨텐츠 요소에 의해서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 테이블의 버전 넘버는 여러가지 멀티플렉스된 스트림 유닛에 대한 할당 안정 위상의 기간에는, 그것의 구성 특성이 변화했는지 여부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할당 테이블의 변화 전이 위상 기간 동안에는 구성 특성이 변화하지 않은 멀티플렉스의 스트림 유닛에 대해서 나타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더 정리된 동적 멀티플렉싱 절차와 대비하여 멀티플렉스의 전체적인 작업량의 감소, 멀티플렉스된 플로우의 구성 변화의 시간에 대하여 독립성, 또한 가능한 가장 높은 정확성을 제공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서 구현되는 유익한 스트림 유닛의 구조 및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도입되는 가공적인 컨텐츠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리얼 컨텐츠 요소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멀티플렉스 내에서 동일한 전송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하나의 예로서, 이후에 설명될 것은 MPEG4 표준에 의해서 제시된 스트림 유닛의 케이스 이다.
ISO/14496-1(MPEG4 시스템) 표준의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FlexMux로 불리는 멀티플렉스의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스트림 유닛은 3 개의 필드 (30 내지 32) 을 포함하고, 각각은
- 일반적으로 0 에서 255 사이의 코드로서, 멀티플렉스 채널 넘버에 해당하고 문제가 되는 디지털 스트림을 인식하도록 하는 인덱스 (30);
- 패킷의 길이(31)
- 컨텐츠 요소의 적정한 섹션(32)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사용되는 섹션(32)에 전송하지 않는 FlexMux 패킷에 대응되는, 가공의 컨텐츠 요소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한 패킷은 길이 필드(31)에 있어서 여백 값의 존재에 의해서 특징되고, 그것에 의해서 그 패킷은 수신기에서 용이하게 검출된다. 패킷은 또한 그들의 적정한 섹션 (32)에서 인덱스(30)에 의해서 지시된 스트림에 적용가능한 할당 테이블 (FlexMuxChannelTable에 대해서는 FMC 테이블)의 다른 버전 넘버를 전송한다.
.
본 발명은, 특히 MPEG2 (Motion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MPEG4, DVB (Digital Video Broadcast) 타입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동적 멀티플렉싱을 허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채널에서 스트림 유닛의 형태로 전송되고, 각각의 스트림 유닛은 그것을 대응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연관시키는 스트림 식별자를 갖고, 식별자의 디지털 스트림에의 할당은 할당 테이블에 의해서 정해지고, 또한 그것은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고, 상기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를 갖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의 버전 변화가 주어진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버스트가,
    - 상기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의 식별자;
    - 스트림 유닛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시자; 및
    - 상기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서 적용가능한 버전 넘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갖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2.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는 적어도 2 개의 연속되는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3. 상기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는 충분한 수의 연속되는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포함하여 스트림 유닛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는 가능성 있는 기간의 미리 정해진 교란 윈도우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4. 상기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 윈도우는 0.2 와 1 초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5. 상기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스트림 유닛의 적정한 섹션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고, 상기 값은, 정의에 의해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관련된 경우에는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6. 상기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에 있어서, 버전 넘버는 상기 스트림 유닛의 적정한 섹션에 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7. 상기 청구항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의 전송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전송 위상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8. 상기 청구항 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은 상기 채널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9. 상기 청구항 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은 상기 채널의 구별되는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10. 상기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은 상기 스트림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적용가능하게 되기 전에 적어도 2 번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11. 상기 청구항 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전 변화는 상기 버스트 이후에 수신되어 포함된 스트림의 제 1 스트림 유닛으로부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12. 상기 청구항 1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은
    - 자연의 오디오 비디오 신호;
    - 합성의 오디오 비디오 신호;
    - 2차원 또는 3 차원의 화면;
    - 데이터의 기술적 정보 (메타 데이터로 불림); 및
    - 접근 및 허용 보호 데이터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13. 상기 청구항 1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PEG4 또는 MPEG2 타입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
  14. 동적 멀티플렉싱을 허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채널에서 스트림 유닛의 형태로 전송되고, 각각의 스트림 유닛은 그것을 대응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연관시키는 스트림 식별자를 갖고, 식별자의 디지털 스트림에의 할당은 할당 테이블에 의해서 정해지고, 또한 그것은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고, 상기 할당 테이블은 버전 넘버를 갖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신호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의 버전 변화는 주어진 디지털 플로우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 상기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의 식별자;
    - 스트림 유닛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임을 판단하는 지시자; 및
    - 상기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서 적용가능한 버전 넘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갖는 버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신호.
  15. 상기 청구항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스트림 유닛의 적정한 섹션의 길이를 특정하는 필드이고, 상기 값은 정의에 의해서,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이 포함된 경우에는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신호.
  16. 상기 청구항 제14항 및 제15항 중에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신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신호 채널과 구별되는 적정한 스트림 유닛을 전송하는 데이터 채널을 경유하여 전송하고, 상기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은 상기 적정한 스트림 유닛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데이터 채널에 의해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신호.
  17. 상기 청구항 제14항 내지 제16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구항 제1 내지 제1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에 의해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신호.
  18. 동적 멀티플렉싱을 허용하기 위해서, 하나의 채널에서 스트림 유닛의 형태로 전송되고, 각각의 스트림 유닛은 그것을 대응되는 디지털 스트림에 연관시키는 스트림 식별자를 갖고, 식별자의 디지털 스트림에의 할당은 할당 테이블에 의해서 정해지고, 또한 그것은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고, 상기 할당 테이블의 버전 넘버를 갖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할당 테이블의 버전 변화는 주어진 디지털 스트림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 상기 디지털 스트림의 현재의 식별자;
    - 스트림 유닛이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임을 판단하는 지시자; 및
    - 상기 디지털 스트림에 대해서 적용가능한 버전 넘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전 변화 스트림 유닛을 갖는 버스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장치.
  19. 상기 청구항 제18항에 있어서, 상기의 장치가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장치.
  20. 상기 청구항 제18 항 및 제19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 인터넷; 및/또는
    - DVB 네트워크을 통하여 전송 수단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스트림의 동적 멀티플렉싱 장치.
  21. 상기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동적 멀티플렉싱 방법에 따른 멀티플렉스된 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버스트를 감지하는 수수단, 및 문제가 되는 스트림에 대응되는 버전 변화를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멀치플렉스된 신호 수신기.
KR1020047017735A 2002-05-03 2003-04-30 디지털 스트림의 프로세싱 방법 KR100973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5605A FR2839403A1 (fr) 2002-05-03 2002-05-03 Procede de multiplexage dynamique de flux numeriques, signal dispositif de multiplexage dynamique et recepteur correspondant
FR02/05605 2002-05-03
PCT/FR2003/001370 WO2003094531A1 (fr) 2002-05-03 2003-04-30 Systeme de multiplexage dynamique de flux numer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462A true KR20040106462A (ko) 2004-12-17
KR100973835B1 KR100973835B1 (ko) 2010-08-04

Family

ID=2922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35A KR100973835B1 (ko) 2002-05-03 2003-04-30 디지털 스트림의 프로세싱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577170B2 (ko)
EP (1) EP1504610B1 (ko)
JP (1) JP4391412B2 (ko)
KR (1) KR100973835B1 (ko)
CN (1) CN100592802C (ko)
AT (1) ATE358948T1 (ko)
AU (1) AU2003246884A1 (ko)
BR (1) BR0309704A (ko)
DE (1) DE60312976T2 (ko)
ES (1) ES2285160T3 (ko)
FR (1) FR2839403A1 (ko)
WO (1) WO2003094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7915B1 (en) * 2004-06-18 2010-02-0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for combining and splitting signal in a cable modem terminal system
KR100664178B1 (ko) * 2004-11-1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갱신 방법
EP1811767A1 (en) * 2006-01-19 2007-07-25 Motorola, Inc. Enhanced digital video broadcast idl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09038440A2 (en) 2007-09-21 2009-03-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56139B1 (ko) * 2007-09-21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565382B1 (ko) * 2007-09-21 201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GB2473258A (en) * 2009-09-08 2011-03-09 Nds Ltd Dynamically multiplexing a broadcast stream with metadata-based event inclusion decisions and priority assignment in case of conflict
RU2514092C2 (ru) * 2012-03-30 2014-04-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остовский-на-Дону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радиосвязи" (ФГУП "РНИИРС")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инхронизации и де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компонентных сигналов в цифровых потока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9533B2 (ja) * 1997-02-28 2009-10-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柔軟性の有る多重化信号の送信システム
US7113523B1 (en) * 1997-06-11 2006-09-26 Sony Corporation Data multiplexing device, program distribution system, program transmission system, pay broadcast system, program transmission method, conditional access system, and data reception device
US6072771A (en) * 1997-09-26 2000-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on of errors in table data
US6205140B1 (en) * 1997-12-01 2001-03-20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of dynamic dependencies along media streams
FR2797548A1 (fr) * 2000-01-24 2001-02-16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sur un canal de diffu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46884A1 (en) 2003-11-17
DE60312976T2 (de) 2007-12-13
BR0309704A (pt) 2005-02-09
CN1659891A (zh) 2005-08-24
US7577170B2 (en) 2009-08-18
WO2003094531A1 (fr) 2003-11-13
ES2285160T3 (es) 2007-11-16
EP1504610B1 (fr) 2007-04-04
JP2005530376A (ja) 2005-10-06
JP4391412B2 (ja) 2009-12-24
DE60312976D1 (de) 2007-05-16
EP1504610A1 (fr) 2005-02-09
KR100973835B1 (ko) 2010-08-04
CN100592802C (zh) 2010-02-24
FR2839403A1 (fr) 2003-11-07
ATE358948T1 (de) 2007-04-15
US20060232706A1 (en)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6581B2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US10848796B2 (en)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US6026506A (en) Concealing errors in transport stream data
EP1407596B1 (en) Video stream switching
CA2965667C (en) Methods of implementing multi mode trickplay
US70352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d utilizing a slotted MPEG transport stream
EP2637414A2 (en) Method for transreceiving media content and device for transreceiving using same
US8832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C encoding and decoding
KR20100037659A (ko) 디지털 방송에서 계층적인 전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40090A (ko) 복합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328301A1 (en)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JP7361287B2 (ja)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US200300976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rovisioning of IP-based services in a DVB network
KR100973835B1 (ko) 디지털 스트림의 프로세싱 방법
Civanlar et al. RTP payload format for bundled MPEG
KR100710393B1 (ko) 압축 스트림의 복호방법
EP3172901A1 (en) Methods of implementing multi mode trickplay
KR101955690B1 (ko) 복합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0957A (ko) 인터랙티브 프로세스 시스템
JPH11340936A (ja) データ多重化方法及び装置
KR101855327B1 (ko) 복합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955391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naging program switch requests
KR20010114246A (ko) 다중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송신기 및, 송신 시스템
KR20190021300A (ko) 복합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2377A (ko) 디지털 방송에서 계층적인 전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