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090A -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 Google Patents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090A
KR20040106090A KR1020030037293A KR20030037293A KR20040106090A KR 20040106090 A KR20040106090 A KR 20040106090A KR 1020030037293 A KR1020030037293 A KR 1020030037293A KR 20030037293 A KR20030037293 A KR 20030037293A KR 20040106090 A KR20040106090 A KR 2004010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enser
distribution pipe
air distribu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성균
이동명
Original Assignee
오성균
이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균, 이동명 filed Critical 오성균
Priority to KR102003003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090A/en
Publication of KR2004010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090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2Protecting metallic construction elements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06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spherical, semispherical or polyhedral connect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Screw connections with axis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n outdoor unit integrated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by uniformly contacting all air sucked into a condensation chamber with a surface of a condenser and securing a wide area of the condenser. CONSTITUTION: A casing(1) has a condensation chamber(5) having an air suction port and an air discharge port, and an evaporation chamber(7). An air circulation pipe(13) is installed in the condensation chamber and is communicated with the air discharge port. A condensation fan(23) sucks air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and discharges the sucked air to the air discharge port through the air circulation pipe. A compressor(15) is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casing, and compresses a refrigerant. Condensers(17a) are installed in the air circulation pipe and converts vapor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into liquid refrigerant of high pressure. An expansion valve drops a pressure of the liquid refrigerant. An evaporator(19) is install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and vaporizes the liquid refrigerant of low pressure.

Description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An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본 발명은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축실, 증발실의 효과적인 배치 및 이에 적절한 형태로 설치된 응축기에 의하여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에서도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측기를 확보하면서, 응축실에 흡입된 모든 공기를 확보된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균일하게 접촉시킴으로써 냉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데 적당하도록 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ir conditioner integrated with an outdoor unit, and in particular, the condenser chamber and the evaporation chamber are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while ensuring a condenser having a larger surface area even in a product having a small volume by the condenser installed in an effective 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suitable for greatly improving cooling performance by uniformly contacting all the air to the secured condenser surface.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라 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 (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 (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장치를 일컫는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refers to a refrigerant compressed in a compressor and liquefied in a condenser, and then vaporized again in an evaporator through an expansion valve, thereby cooling the room by the heat of vaporization absorbed. Refers to a device to make.

이와 같은 에어컨에서는 냉매를 응축시킬 때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가가 에어컨 전체의 성능과 냉방용량을 좌우하게 된다.In such an air conditioner, how effectivel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ndenser is removed when condensing the refrigerant determines the performance and cooling capacity of the entire air conditioner.

따라서,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공냉식과 수냉식, 또는 공냉식과 수냉식을 혼합한 형태인 혼합식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Therefore, various methods and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effectively cool the condenser, and a method of cooling the condenser is known as a mixture of air-cooled and water-cooled or a mixture of air-cooled and water-cooled.

최근에는, 실외기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 확보의 어려움과 미관상의 이유로 실외기 없는 에어컨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펀리하게 이동시키면서 소규모의 실내를 냉방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포터블 에어컨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작은 크기를 갖는 에어컨에서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확보된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Recently, the demand for air conditioner without outdoor unit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difficulty of securing installation space for outdoor unit installation and aesthetics. Especially, portable air conditioner of small size that can cool a small room while moving in a wide range is widely used. There is a trend that is spreading.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effectively cool the condenser obtained while securing a condenser having a larger surface area in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mall size.

이에, 도 1 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Thus,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rtable air conditioner.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은 증발실(53)과 응축실(51)이 각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케이싱(55)과, 상기 증발실(51)에 설치되는 증발기(57)와, 상기 응축실(51)에 설치되는 압축기(59)와, 응측기(61), 배기팬(63)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conventional portab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ing 55 having an evaporation chamber 53 and a condensation chamber 51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reof, an evaporator 57 installed at the evaporation chamber 51, and The compressor 59 provided in the condensation chamber 51, the condenser 61, and the exhaust fan 63 were compris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기팬(63)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상기 응축실(5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응축실(51) 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61)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is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1 from the room by the exhaust fan 63, and the air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1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ndenser 61 while exchanging heat. Will be performed.

이렇게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응축기(61)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배기팬(63)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The air that cools the condenser 61 by performing heat exchang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exhaust fan 63.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증발실(53)과 응축실(51)이 배치된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응축실(51)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통상 수직 또는 약간 경사진 형태로 설치되는 응축기(61)가 충분한 크기로 설치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은 일정한 설치공간에 대하여 열교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evaporation chamber 53 and the condensation chamber 51 are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1 is not sufficiently secured, so it is usually installed in a vertical or slightly inclined form. There was a limit to the condenser 61 to be installed to a sufficient size.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portable air conditioner has a problem that the heat exchange area is not sufficiently secured for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pace.

더욱이, 종래의 에어컨에서는 흡입되는 전체 공기가 열교환을 위하여 응축기(61)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이중 많은 양의 공기는 응축기(61)와 접촉되지 못한 채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he entire air sucked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denser 61 for heat exchange, but a larg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denser 61.

이는, 상기 응축실(51) 내에 압축기, 응축기(61) 및 배출팬(63) 등이 최적의 형태로 배치되더라도 유체 흐름의 특성상 상기 응축실(51) 내에서 공기 흐름이 불규칙적이 되기 쉽기 때문이었다.This is because the air flow in the condensation chamber 51 tends to be irregular even if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61, the discharge fan 63, etc. are arranged in the optimum shape in the condensation chamber 51. .

더욱이, 지금까지는 고하중을 갖는 압축기(59)가 응축실(51)의 저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응축기(61) 및 배출팬(63)의 위치, 공기 흡입구 및 배출구 등의 위치를 구성하는 데 자유롭지 못하여, 실제로 상기 응축실(51)에 흡입된 공기 중 많은 양의 공기는 상기 응축기(61)에 접촉되지 못하고 배출되었다.Furthermore, since the compressor 59 having a high load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ing chamber 51, it is not free to configure the positions of the condenser 61 and the discharge fan 63, the air inlet and the outlet, and so on. In fact, a large amount of air actually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1 was discharged without contacting the condenser 61.

이처럼,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에서는 응축기(61)를 충분한 면적으로 확보하지 못하였고, 더욱이 불충분하게 확보된 응축기(61)에 대하여도 충분한 양의 공기를 접촉시키지 못하는 관계로 일정 이상의 냉방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제품 크기의 증가 및 대량의 전력소비가 불가피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air conditioner, the condenser 61 has not been secured to a sufficient area. Furthermore, in order to have a cooling performance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a sufficient amount of air cannot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denser 61 which is insufficiently secured. Increasing size and large power consumption are inevitab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실에 흡입된 모든 공기를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그리고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door unit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capable of bringing all the air sucked into the condenser into contact with the condenser surface. I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축실, 압축실, 증발실의 효과적인 배치 및 이에 적절한 형태로 설치되는 응축기에 의하여 작은 부피의 제품에서도 보다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를 확보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distribution pipe suitable for securing a condens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even in a small volume product by the effective arrangement of the condensing chamber, the compression chamber,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condenser installed in a suitable for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air conditioner integrated with an outdoor unit.

도 1 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rtable air conditioner.

도 2 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with the front open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도 2 의 입면도.3 is an elevational view of FIG.

도 4 는 본 발명의 좌측면이 개방된 좌측면도.Figure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도 5 는 본 발명의 우측면이 개방된 우측면도.Figure 5 is a right side view of the open righ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상면이 개방된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도 7 은 본 발명의 중요부위를 분해한 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importa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도 7 의 조립 투사도.8 is an assembled projection of FIG. 7.

도 9 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9 is a front view with the front open to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 modified embodiment.

도 10 은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좌측면이 개방된 좌측면도.10 is a left side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 modified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케이싱 3 : 압축실1: casing 3: compression chamber

5 : 응축실 7 : 증발실5 condensation chamber 7 evaporation chamber

11 : 공기 배출구 13 : 공기 흡입구11 air outlet 13 air inlet

15 : 압축기 17a,17b : 응축기15 compressor 17a, 17b condenser

19 : 증발기 23 : 응축팬19: evaporator 23: condensation fa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은,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응축실과, 증발실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유통관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응축실 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응축팬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공기 유통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densation chamber in which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re formed, a casing in which an evaporation chamber is formed, and the condensation chamber is installed. An air distribu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port, a condensation fan for sucking air from the air intake port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air outlet port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and a bottom portion of the casing; A pressure drop in the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 condenser installed in the air distribution pipe and converting the vapor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into a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and a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converted in the condenser into a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A low pressure liquid installed in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pressure drop in the expansion valv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vaporator for vaporizing the refrigerant.

여기서, 상기 공기 유통관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응축기는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의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팬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을 흐르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양측변 및 상변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ir distribution pipe is formed as a square tube is installed vertically, the upper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outlet, the condenser is composed of a V-shaped first condenser and a second condenser adjacent to the lower side, the condensation fan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 and top sides of the first condenser and the second condenser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so that all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passes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condenser.

또한, 상기 응축팬은 흡입측과 토출측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 상부 및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결되게 상기 공기 유통관 상측에 설치되고, 응축실 내의 모든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흡입되도록 상기 응측팬의 흡입측이 상기 공기 유통관의 상부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densation fan is installed above the air distribution pipe so that the suction side and the discharge side ar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and the air outlet, respectively, and the suction side of the condensing fan so that all the air in the condensation chamber is sucked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It is preferable to be hermetically connect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한편, 상기 공기 유통관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응축기는 상변이 인접된 역브이자형의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팬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을 흐르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양측변 및 상변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ir distribution pipe is formed as a square tube is installed vertically, the upper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the condenser is composed of a first condenser and a second condenser of the reverse V-shape adjacent the upper side, Both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denser and the second condenser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so that all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passes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condenser.

또한, 상기 응축팬은 상기 공기 유통관의 하측에 설치되고, 응축실 내의 모든 공기를 상기 공기 유통관 내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팬의 토출측이 상기 공기 유통관의 하부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densation fan is installed below the air distribution pip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ndensation fan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so as to discharge all the air in the condensation chamber to the inside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또한,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핀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ns of the first condenser and the second condenser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케이싱에는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실이 더욱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상기 공기 유통관이 설치되는 응축실이 배치되고, 타측 상하부에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이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ression chamber in which the compressor is installed is further formed in the casing, and a condensation chamber in which the air distribution pipe is installe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ing, and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compression chamber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ing.

또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통관은 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 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격된 사이에 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inlet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compression chamber wall and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compression chamber wall so that the sucked air can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에는 배관 연결용 프랜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lange for pipe connection, respectively.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응축기 및 증발기가 하나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일체형 제품으로 컴팩트한 외관을 갖는 작은 부피의 외형을 가지며, 실내에서 이동 및 설치가 대단히 간단하고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nolithic product in which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re installed in one casing, has a small volume appearance with a compact appearance, and is very simple and easy to move and install indoors.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가 내부에 설치되고, 설치된 응축기에 대하여는 충분한 양의 냉각공기가 원활한 흐름을 갖고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열교환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로써, 전력소모는 적으면서도 냉방효율이 뛰어나 제품이 크기는 작지만 작은 규모의 실내는 물론 중간급 규모의 실내까지도 충분히 냉방 가능할 정도의 냉방성능을 갖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pite the product having such a small volume, a condenser having a large surface area is installed therein, and the installed condenser is configured to have a sufficient amount of cooling air to be in uniform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 effect. Is maximized.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the cooling efficiency is excellent, so the product is small but has a cooling performance that can be sufficiently cooled even in a small-sized room as well as a medium-sized room.

본 발명의 경우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것은 공지의 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known that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is liquefied in a condenser and then vaporized again in an evaporator through an expansion valve, thereby cooling the room by the heat of vaporization absorbed. It'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technology.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응축실, 압축실, 증발실의 효과적인 배치 및 최대한 열교환 면적의 확보를 위해 제한된 공간에 적절한 형태로 설치된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echnical features in the condenser installed in a suitable form in a limited space for effective arrangement of the condensing chamber, the compression chamber, the evaporation chamber and ensuring the maximum heat exchange area, and a configuration for effectively cooling the condenser. Based on thi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입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좌측면이 개방된 좌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우측면이 개방된 우측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상면이 개방된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with the front open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levation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igh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n right side view, and FIG. 6 is a plan view in which the top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과, 공기 유통관(13)과, 압축기(15)와, 응축기(17a,17b)와, 팽창밸브(미도시됨)와, 증발기(19)와, 응축팬(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ing 1, an air distribution pipe 13, a compressor 15, a condenser 17a, 17b,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n evaporator 19,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densation fan (23).

먼저, 상기 케이싱(1)은, 응축기(17a,17b)의 설치를 위한 응축실(5)이 도면상 좌측에 형성되고, 도면상 우측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증발기(19) 설치를 위한 증발실(7) 및 압축기(15) 설치를 위한 압축실(3)이 형성되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First, the casing 1, the condensation chamber (5)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ndenser (17a, 17b)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evaporator chamber for installing the evaporator 19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respectively. (7) and the compression chamber 3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mpressor 15 has a unique configuration.

이처럼, 도면상 케이싱(1)의 좌측 전체 공간을 할당하여 응축실(5)이 형성되면 통상 수직에 가까운 형태로 세워져 설치되는 응축기(17a,17b)의 실직적인 설치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케이싱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증발실 및 응축실이 형성되던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응축실(5)의 경우 내부공간의 부피에는거의 변함이 없으면서도 실질적으로 필요한 상하폭을 늘림으로써 유휴공간을 더욱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As such, when the condensation chamber 5 is formed by allocating the entire left side of the casing 1 in the drawing,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a practical installation space of the condenser 17a and 17b, which is usually erected upright. .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n which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condensation chamber we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sing, respectively, the condensation chamber 5 further increases the idle space by substantially increasing the required upper and lower widths without substantially changing the volume of the inner space. It was made available.

또한, 도면상 케이싱(1)의 우측이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어 그 하부에 압축기(15)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압축실(3)이 형성되는 것에 유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종래에 응축기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크게 방해함에도 불구하고 응축실(5)의 저면에 설치되었던 압축기(15)를 격리된 압축실(3)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압축기(15)의 설치로 인해 응축실(5)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는 것은 물론, 응축실(5)의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may be noted that a separate compression chamber 3 is formed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casing 1 is divided into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so that the compressor 15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art thereof. The compressor 15, which wa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 can be installed in the isolated compression chamber 3 even though the flow of air to the condenser is greatly disturbed. As a result, the air flow in the condensation chamber 5 is not disturb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compressor 15, and the space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 can be secured more widely.

또한, 상기 공기 유통관(13)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응축실(5)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상측에는 흡입측과 토출측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상부 및 상기 공기 배출구(11)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응축팬(23)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formed as a square tube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the suction sid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the upper and A condensation fan 23 is installed to be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air outlet 11.

여기서, 상기 공기 유통관(13)과 상기 응축팬(23)의 흡입측과의 기밀한 연결을 위해 상기 공기 유통관(13)과 상기 응축팬(23) 사이에는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상부 커버(14)가 구비된다.Here, the upper cover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betwee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the condensation fan 23 for the airtight connection betwee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the suction side of the condensation fan 23 ( 14).

이로써, 상기 응축실(5)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응축팬(23)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빠짐없이 통과하게 된다.As a result, the air flowing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passes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by the suction force of the condensation fan 23.

또한, 상기 공기 유통관(13)은 상기 응축실(5) 벽에 소정정도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공기 흡입구(9)를 통해 응축실(5)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이격된 사이로 흘러서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하부까지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egree on the wall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 In this way, the air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through the air inlet 9 flows through the spaced apart to smoothly reach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여기서, 상기 공기 유통관(13)은 사방의 외측벽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응축실(5) 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유통관(13)이 상기 응축실(5)과 상기 증발실(7) 및 압축실(3)의 공동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응축실(5) 내로 흡입되는 공기가 응축기(17a,17b)가 설치되는 상기 공기 유통관(13)과 상기 증발실(7) 사이를 흐르면서 상기 응축기(17a,17b)의 일부 열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관벽을 통해 방출된 후 상기 증발실(7) 내로 유입되어 에어컨의 냉방성능을 조금이라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may be install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outer walls of the four sides are spaced apart from the wall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 preferably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the condensation chamber 5 and the evaporation It is preferabl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avity walls of the chamber 7 and the compression chamber 3. This is because the air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flows betwee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the evaporation chamber 7 in which the condensers 17a and 17b are installed. This is because after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pipe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the gas can be introduced into the evaporation chamber 7 to prevent any decrease in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er.

또한, 상기 공기 유통관(13)은 흡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가 섞이지 않게 구분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 흡입구(9) 및 공기 배출구(11)를 인근에 형성시켜도 응축실(5) 내에 흡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를 구분하기 위하여 별도의 배관이나 그 밖의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lso serves to distinguish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d air from mixing, the air inlet 9 and the air outlet 11 may be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even if the air inlet 11 is formed nearb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pipe or other means to distinguish the air from the discharged air.

이로써, 상기 공기 흡입구(9) 및 공기 배출구(11)에 각각 연결되는 배관들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게 되어 설치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ipes connected to the air inlet 9 and the air outlet 11 can be collected in one place, thereby enabling the installation space to be used more efficiently.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9) 및 공기 배출구(11)에 각각 배관 연결용 프랜지(미도시됨)가 설치되며, 이로써, 실외로부터 상기 응축실(5)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배관 및 상기 응축실(5)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flange (not shown) for pipe connection is installed at each of the air inlet 9 and the air outlet 11, whereby a pipe for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and the condensation chamber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a pipe for discharging air from (5) to the outside.

이처럼, 상기 배관 연결용 프렌지가 설치되면, 실외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위한 배관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되어 본 발명의 에어컨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flange for pipe connection is installed, installation of pipes for suction and discharge of outdoor air becomes very easy, and thus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여기서, 본 발명에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플렉시블한 실외공기 흡입용 배관 및 배출용 배관이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몰론이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include a flexible outdoor air suction pipe and the discharge pipe that is easy to change the direction.

이처럼, 상기 응축실(5)에 상기 공기 유통관(13)과, 응축팬(23)이 설치되면, 상기 공기 흡입구(9)를 통하여 응축실(5) 내에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될 때까지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the condensation fan 23 are installed in the condensation chamber 5, the air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through the air inlet 9 is provided in the air outlet 11. Smooth air flow can be maintained until it is discharged through.

또한, 상기 압축기(15)는 상기 압축실(3) 저면부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mpressor 15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mpression chamber 3 to compress the refrigerant.

이처럼, 상기 압축기(15)가 상기 응축실(5)에 설치되지 않고 별도의 압축실(3)에 설치되면 전술된 것처럼 응축실(5)에 흡입되어 상기 응축기(17a,17b)를 향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압축기(15)로 인해 방해받지 않게 된다.As such, when the compressor 15 is not installed in the condensation chamber 5 but is installed in a separate compression chamber 3, air is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and flows toward the condensers 17a and 17b as described above. Flow is not disturbed by the compressor (15).

뿐만 아니라, 상기 응축실(5) 내의 수직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응축기(17a,17b), 응축팬(23) 및 지지대(25)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설치가 더욱 자유롭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vertical space in the condensation chamber 5, so that the installation of components such as the condenser (17a, 17b), the condensation fan 23 and the support (25) is more free.

또한, 도시되지 않은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증발기(19)와 상기 응축기(17a,17b)를 연결하는 중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증발실(7) 혹은 응축실(5) 내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expansion valve (not shown)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connecting the evaporator 19 and the condenser 17a, 17b, and is install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7 or the condensation chamber 5.

이로써, 상기 팽창밸브는 상기 응축기(17a,17b)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expansion valve pressure-drops the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converted in the condenser 17a and 17b to the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또한, 상기 증발기(19)는 상기 증발실(7)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19 is install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7 to vaporize th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pressure drop in the expansion valv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응축기(17a,17b)가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제한된 공간에서도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응축기(17a,17b)의 구성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17a, 17b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 surface area even in the limited space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denser 17a, 17b will be described.

이에, 도 7 은 본 발명의 중요부위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8 은 도 7 의 조립 투사도이다.Therefore,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mportant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assembled projection view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17a,17b)는 상기 공기 유통관(13)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15)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the condenser 17a, 17b is installed i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serves to convert the vapor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15 into a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여기서, 상기 응축기(17a,17b)는 사각의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17a) 및 제 2 응축기(17b)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Here, the condenser 17a, 17b is provided with a first condenser 17a and a second condenser 17b having a rectangular panel shape, and is provided symmetrically in a V-shape adjacent to the lower side.

이처럼, 상기 제 1 응축기(17a) 및 제 2 응축기(17b)가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으로 설치되기 위해서 상기 제 1 응축기(17a) 및 제 2 응축기(17b)의 인접된 하변을 지지하는 응축기 받침대(18c)와, 상기 제 1 응축기(17a) 및 제 2 응축기(17b)를 각각 경사지게 지지하는 응축기 지지대(18a,18b)가 구비된다.As such, the first condenser 17a and the second condenser 17b are condenser pedestals supporting adjacent lower sides of the first condenser 17a and the second condenser 17b in order to be installed in a V-shape adjacent to the lower side. 18c and the condenser support 18a, 18b which incline and support the said 1st condenser 17a and the 2nd condenser 17b are provided,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 1 응축기(17a) 및 제 2 응축기(17b)의 양측변 및 상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사방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both side and top sides of the first condenser 17a and the second condenser 17b are provided adjacent to four inner side walls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즉, 상기 제 1 응축기(17a)의 경우 하변은 상기 제 2 응축기(17b)의 하변과인접된 상태로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하부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 양측변은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내측벽에 인접된 상태로 하변에서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상변이 양측변이 인접되지 않은 공기 유통관(13)의 다른 내측면 상단 근방에 인접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condenser 17a,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ndenser 17a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ondenser 17b. It extends obliquely from the lower side in the state adjacent to the inner side wall of 13), and the upper side is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other inner side of the air circulation pipe 13 in which both sides are not adjacent.

또한, 상기 제 2 응축기(17b)의 경우 상기 제 1 응축기(17a)와 대칭되게 설치되어, 측변은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내측벽에, 상변은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다른 내측벽 상단 근방에 인접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denser 17b is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ondenser 17a, the side side is on the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the upper side is the upper end of the other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djacent to the vicinity.

이처럼, 상기 응축기(17a,17b)가 브이자 형태로 그 측변들과 상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내측벽에 인접되어 설치되면,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경유하여 흐르는 모든 공기는 빠짐 없이 상기 응축기(17a,17b)의 표면을 접촉하여 통과되어진다.As such, when the condensers 17a and 17b are installed in a V-shape, the sides and the upper sides of the condensers 17a and 17b are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ll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free of all. The surfaces of the condensers 17a and 17b are contacted and passed through.

또한, 상기 응축기(17a,17b)가 브이자형의 대칭된 형태에 의해 경사지게 설치된 것에 주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noted that the condenser 17a, 17b is installed obliquely by a V-shaped symmetrical form.

이는 제한된 크기를 갖는 상기 공기 유통관(13) 내부공간에 더 넓은 면적의 응축기(17a,17b)를 확보하여 설치하는 것은 물론,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응축기(17a,17b) 표면에 보다 균일하게 접촉시키기 위함이다.This secures and installs a larger area of condenser 17a, 17b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having a limited size, as well a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to the condenser 17a, 17b. This is to contact the surface more uniformly.

이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흐르는 공기의 움직임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o explain this, briefly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s follows.

상기 응축팬(23)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13) 하부로부터 공기 유통관(13)에 진입하게 되며 중앙부에서 상기 응축기(17a,17b)의 하부와 접촉된 일부 공기는 상기 응축기(17a,17b) 표면을 통과하게 된다.Air enters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by the suction force of the condensation fan 23, and some air contacted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condensers 17a and 17b at the central portion is the condenser 17a. 17b) passes through the surface.

그러나, 대부분의 공기는 상기 응축기(17a,17b)의 브이자형 하부 형상에 의해 갈라지면서 상기 응축기(17a,17b)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However, most of the air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condensers 17a and 17b while being split by the V-shaped lower shapes of the condensers 17a and 17b.

이때, 상기 응축기(17a,17b)는 점차적으로 양편을 향해 넓혀지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상기 응축기(17a,17b)의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공기는 점차적으로 상기 응축기(17a,17b) 표면을 통과하게 되며, 결국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17a,17b)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응축기(17a,17b)를 접촉하여 통과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denser 17a, 17b is gradually widened toward both sides, so the air sliding along the surfaces of the condenser 17a, 17b gradually passes through the surfaces of the condenser 17a, 17b. In the end, all the air moves along the surfaces of the condenser 17a and 17b to contact and pass through the condenser 17a and 17b.

이로써,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통과하는 모든 공기는 상기 응축기(17a,17b)의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Thus, all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in uniform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condenser 17a, 17b.

단, 이와 같이 공기가 상기 응축기(17a,17b)에 균일하게 접촉되기 위해서는 상기 응축기(17a,17b)의 경사진 정도, 공기가 통과되는 응축기(17a,17b) 핀 사이의 간격,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응축팬(23)의 흡입력의 크기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However, in order for the air to be in uniform contact with the condenser 17a and 17b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condenser 17a and 17b, the interval between the fins of the condenser 17a and 17b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The magnitude of the suction force of the condensation fan 23, etc.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combination.

이처럼, 상기 응축실(5) 내에 흡입된 모든 공기는 상기 공기 유통관(13) 내에 집중적으로 모아져 배출되면서 상기 응축기(17a,17b) 표면에 높은 밀도로 빠짐 없이 접촉된다. 더욱이, 상기 공기 유통관(13) 내를 통과하는 공기는 적당한 형태로 설치된 응축기(17a,17b)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어 뛰어난 열교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such, all the air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is concentrated and discharged i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s of the condensers 17a and 17b at high density.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uniformly in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condenser 17a, 17b installed in a suitable form to obtain an excellent heat exchange effect.

또한, 상기 응축기(17a,17b)의 방열핀은 수직한 방향으로 물순환관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방열핀이 공기의 흐름방향과 일치하게 형성된 것으로 공기가 상기 방열핀이 형성된 결을 따라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eat radiation fins of the condenser (17a, 17b) is formed in the water circulation pi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heat dissipation fin is formed to match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so that air can flow naturally along the grain formed with the heat dissipation fi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응축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 of air for cooling the condenser.

먼저, 본 발명의 응축팬(23)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공기가 공기 흡입구(9)를 통해 응축실(5)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계속해서 공기 유통관(13)의 외측벽과 응축실(5)의 내측벽 사이에 형성된 공기의 흐름통로를 따라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하부까지 도달하게 된다.First, the outdoor air is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through the air inlet 9 by the suction force of the condensation fan 2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cked air continues with the out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the condensation chamber ( Along the flow passage of air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5) to reach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이후, 상기 응축팬(23)의 흡입력이 계속 작용하여 상기 공기 유통관(13) 하부까지 도달한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13)에 진입하게 된다.Thereafter, the suction force of the condensation fan 23 continues to act so that the air reac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enters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이후,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공기 유통관(13)에 대칭된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브이자형 응축기(17a,17b) 하부에 접촉하게 된다.Thereaft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comes into contact with lower portions of the V-shaped condensers 17a and 17b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symmetrical form to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이때, 공기는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17a,17b)의 하부 중앙에서 일부 통과하고, 나머지는 양측으로 갈라져서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17a,17b)의 표면을 타고 흐르면서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17a,17b) 전체를 균일하게 접촉하여 통과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passes a part of the lower center of the V-type condenser (17a, 17b), the remainder is divided into both sides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V-type condenser (17a, 17b), the entire V-type condenser (17a, 17b) It will pass through evenly contact.

이후, 상기 응축기(17a,17b)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Thereaft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densers 17a and 17b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1.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한다.Subsequently,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 는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이고, 도 10 은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좌측면이 개방된 좌측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with the front open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and FIG. 10 is a left side view with the left side ope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응축팬(24)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팬(24)으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통과하는 공기가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8a,18b)는 역브이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densation fan 24 is installed below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discharged from the condensation fan 24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denser (18a, 18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se V-shaped configuration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ipe 13 can be uniformly contacted.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공기 유통관(13)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공기 배출구(12)와 연통되게 설치된다.In more detail,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formed as a square tube and installed vertically as in the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outlet (12).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구(12)는 상기 공기 유통관(13)과 용이하게 연통되도록 응축실(5) 배면이 아닌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14) 역시 상기 공기 배출구(12)와 나란하게 상기 응축실(5) 상면에 형성된다.Here, the air outlet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rather than the back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 so as to easily communicate wit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the air inlet 14 is also parallel to the air outlet 12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

또한,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하단부 흡입측에는 응축팬(24)이 연결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a condensation fan 2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suction side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여기서, 상기 응축팬(24)은 공기의 입구 및 출구가 분명하게 형성된 통관 내에 팬을 구비한 파이프팬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출측 출구가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하단부에 기밀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연결부위에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Here, the condensation fan 24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ipe fan provided with a fan in the pipe through whic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is clearly formed, and the discharge side outle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Do not allow air to escape from above.

또한, 상기 응축팬(24)의 하측에는 상기 응축팬(24)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흡입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응축팬(24)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응축팬(24)이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변형된 형태의 지지대(26)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suction space must be provided below the condensation fan 24 so that air can be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fan 24 smoothly. For this purpose, the condensation fan 24 is supported and the A support 26 of a deformed type is installed to allow the condensation fan 24 to smoothly suck air.

여기서, 상기 지지대(26)는 상면에 상기 응축팬(24)의 흡입구가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지주들에 의해 상기 응축실(5)의 저면에 세워지고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사방은 넓게 개방된다.Here, the support 26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inlet of the condensation fan 24 is connected, is er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ion chamber 5 by the struts and is wide in all directions for the smooth movement of air Open.

이처럼, 상기 응축실(5)에 상기 공기 유통관(13)과, 응축팬(24)과, 지지대(26)가 수직하게 설치되어 연결되면,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 흡입구(14)를 통하여 응축실(5) 내에 흡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흘러 상기 공기 배출구(12)로 배출된다.As such, when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the condensation fan 24, and the support base 26 are vertically installed and connected to the condensation chamber 5, the condensation chamber is connected through the air inlet 14 as in the embodiment. Air sucked in 5 flows smoothly and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2.

또한, 상기 응축기(18a,18b)는 사각의 패널 형상을 갖는 제 1 응축기(18a) 및 제 2 응축기(18b)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변이 인접된 역브이자형으로 대칭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denser 18a, 18b is provided with a first condenser 18a and a second condenser 18b having a square panel shape, and are installed symmetrically in an inverted V-shape adjacent to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제 1 응축기(18a) 및 제 2 응축기(18b)의 양측변 및 하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사방 내측벽에 인접된다.In addition, both side and bottom sides of the first condenser 18a and the second condenser 18b are adjacent to four inner side walls of the air circulation pipe 13.

즉, 상기 제 1 응축기(18a)은 상변이 상기 제 2 응축기(18b)의 상변과 인접된 상태로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상부 중앙부를 가로지르고, 그 양측변은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내측벽에 긴밀하게 인접된 상태로 상변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하변이 양측변이 인접되지 않은 공기 유통관(13)의 다른 내측면 하단 근방에 인접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condenser 18a crosses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with the upper side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ndenser 18b, and both sides of the first condenser 18a respectively have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t extends obliquely from the upper edge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lower edge so that the lower edge thereof is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other inner side of the air circulation pipe 13 in which both sides are not adjacent.

또한, 상기 제 2 응축기(18b)는 상기 제 1 응축기(18a)와 대칭되게 설치되어, 측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내측벽에, 하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다른 내측벽 하단 근방에 인접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denser 18b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condenser 18a, and the side is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nd the lower side is near the bottom of the other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djacent to.

이처럼, 상기 응축기(18a,18b)가 역브이자 형태로 그 측변들과 하변이 상기 공기 유통관(13)의 내측벽에 인접되어 설치되면,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통하여 흐르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팬(24)에 의해 토출되면서 빠짐 없이 상기 응축기(18a,18b)의 표면을 통과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condensers 18a and 18b are installed in reverse v-shape and the side and bottom sides thereof are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all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is condensed. As it is discharged by the fan 24, it passes through the surfaces of the condensers 18a and 18b without missing.

여기서, 상기 공기 유통관(13)을 통과하는 공기의 움직임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응축팬(24)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13)에 진입하게 되면, 주변부를 흐르는 일부 공기가 상기 응축기(18a,18b)와 접촉되면서 응축기(18a,18b) 표면을 먼저 통과하게 되고, 그 외의 공기는 상기 응축기(18a,18b)를 따라 계속 흐르게 된다.Here, briefly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when the air discharged by the condensation fan 24 enters the air distribution pipe 13, some air flowing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ondenser In contact with 18a and 18b, it first passes through surfaces of condenser 18a and 18b, and other air continues to flow along the condenser 18a and 18b.

이때, 상기 응축기(18a,18b)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좁혀지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나머지 공기도 점차적으로 상기 응축기(18a,18b)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하게 되어 결국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18a,18b)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접촉하여 통과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ondenser 18a, 18b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upper side, the remaining air gradually passes through the surfaces of the condenser 18a, 18b so that all air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18a, 18b. The entire surface is brought into uniform contact with each other.

단, 변형된 실시예 역시 공기가 상기 응축기(18a,18b)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기 위해서는 상기 응축기(18a,18b)의 경사진 정도, 공기가 통과되는 응축기(18a,18b) 핀 사이의 간격, 공기를 공급하는 응축팬(24)의 토출력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However, in the modified embodiment, in order for air to be uniformly in contact with the entire condenser 18a, 18b,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condenser 18a, 18b, the spacing between the fins of the condenser 18a, 18b through which air passes, Of course, the earth output of the condensation fan 24 for supplying air, etc. should be considered in combination.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은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is similar to that of the embodiment and thus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은 응축실과 증발실이 효과적으로 배치되고 이에 적절한 형태로 응축기가 설치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에서도 보다 넓은 크기의 응축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denser and an evaporation chamber effectively disposed and a condenser is installed in an appropriate form to secure a condenser of a wider size even in a product having a small volume. It can b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가 설치되는 별도의 압축실이 마련되어 압축기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mpression chamber in which the compressor is installed so that the flow of air is not disturbed by the compressor.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통관에 의해 응축실에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모아서 응축기에 빠짐없이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all the air sucked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by the air distribution pipe and can be brought into uniform contact with the condenser, thereby effectively cooling the conden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과들에 의해 뛰어난 냉방성능을 가지면서도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전기 사용량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while having excellent cooling performance by the above effects, and ha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is significantly reduced.

Claims (9)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응축실과, 증발실이 형성되는 케이싱과;A condensation chamber in which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are formed, and a casing in which an evaporation chamber is formed; 상기 응축실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공기 유통관과;An air distribution pipe installed in the condensation chamb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outlet;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응축실 내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응축팬과;A condensation fan for sucking air from the air intake port into the condensation chamber and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air discharge port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상기 케이싱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A compres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sing and compressing the refrigerant; 상기 공기 유통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와;A condenser installed in the air distribution pipe and converting the vapor refrigerant compressed by the compressor into a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상기 응축기에서 전환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An expansion valve for dropping the high pressure liquid refrigerant converted in the condenser into a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상기 증발실에 설치되고, 상기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And an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the evaporation chamber and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configured to evaporate a low pressure liquid refrigerant that has been pressure-falled in the expansion val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유통관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며,The air distribution pipe is formed as a square pipe is installed vertically, the upper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outlet, 상기 응축기는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의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팬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을 흐르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양측변 및 상변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The condenser is composed of a first condenser and a second condenser having a lower sid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ndenser and the second condenser such that all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by the condensation fan passes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condenser. An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wherein both side and top sides of the condenser are installed adjacent to an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응축팬은 흡입측과 토출측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 상부 및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결되게 상기 공기 유통관 상측에 설치되고, 응축실 내의 모든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을 통하여 흡입되도록 상기 응측팬의 흡입측이 상기 공기 유통관의 상부와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The condensation fan is installed above the air distribution pipe so that the suction side and the discharge side a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and the air outlet, respectively, and the suction side of the condenser fan is sucked so that all air in the condensation chamber is sucked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An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which is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in an airtight mann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유통관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며,The air distribution pipe is formed as a square pipe is installed vertically, the upper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상기 응축기는 상변이 인접된 역브이자형의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팬에 의해 상기 공기 유통관을 흐르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의 표면을 접촉하면서 통과되도록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양측변 및 상변이 각각 상기 공기 유통관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The condenser is composed of a first condenser and a second condenser having an adjacent upper side, and the first condenser and the first condenser such that all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pipe by the condensation fan passes while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condenser. 2, the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 and top sides of the condenser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응축팬은 상기 공기 유통관의 하측에 설치되고, 응축실 내의 모든 공기를 상기 공기 유통관 내측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팬의 토출측이 상기 공기 유통관의 하부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The condensation fan is installed below the air distribution pipe, and the air discharge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ndensation fan is airtight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so as to discharge all the air in the condensation chamber to the inside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Portable air conditioner integrated with an outdoor unit.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상기 제 1 응축기 및 제 2 응축기의 핀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The air conditioner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 of the first condenser and the second condenser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싱에는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실이 더욱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상기 공기 유통관이 설치되는 응축실이 배치되고, 타측 상하부에 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The casing further includes a compression chamber in which a compressor is installed, and a condensation chamber in which the air distribution pip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ing is disposed, and an evaporation chamber and a compression chamber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sing. Portable air conditioner integrated with an outdoor unit.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유통관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통관은 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 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이격된 사이에상기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The air distribution pipe is provided with an air distribution pipe, wherein the air inlet is formed between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compression chamber wall and spaced apart from the evaporation chamber and the compression chamber wall so that the sucked air can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tribution pipe. Portable air conditioner with one outdo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에는 배관 연결용 프랜지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An outdoor unit integrated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n air distribution pipe, wherei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re provided with flanges for pipe connection, respectively.
KR1020030037293A 2003-06-10 2003-06-10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KR200401060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93A KR20040106090A (en) 2003-06-10 2003-06-10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93A KR20040106090A (en) 2003-06-10 2003-06-10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090A true KR20040106090A (en) 2004-12-17

Family

ID=3738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293A KR20040106090A (en) 2003-06-10 2003-06-10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09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JPH0861710A (en) Outdoor machine for air conditioner
KR20060129789A (en) An air-conditioner without out-door machine
CN207378968U (en) A kind of high efficiency semiconductor dehumidifier
KR20040106090A (en)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KR200339846Y1 (en)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KR100400740B1 (en) drain treatment structure in single body-type air conditioner
KR200335239Y1 (en) A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KR200335240Y1 (en)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KR200335241Y1 (en)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having air flowing tube
JP2003240275A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CN216557414U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109737626A (en) The air-cooled condensate compressor group of low-temperature vortex parallel-connection of the outdoor version with Gas-supplying enthalpy-increasing
KR20080011510A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219141422U (en) Air duct structure of dryer unit
CN220042032U (en) Air conditioner
KR100626455B1 (en) Multi-airconditioner
KR101464952B1 (en) Cooling apparatus of compact type
KR200300913Y1 (en)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V-shaped condenser
KR20040106092A (en) A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KR20080040950A (en) Air conditioner
KR20050081774A (e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KR200300018Y1 (en)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outer- unit
JP4055264B2 (en) Air conditioner
KR20030023100A (en) Air cooled condenser for refrigeration 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