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908A -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908A
KR20040105908A KR1020030037049A KR20030037049A KR20040105908A KR 20040105908 A KR20040105908 A KR 20040105908A KR 1020030037049 A KR1020030037049 A KR 1020030037049A KR 20030037049 A KR20030037049 A KR 20030037049A KR 20040105908 A KR20040105908 A KR 2004010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ifer
strain
present
seawater
development instit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민
민광식
지영주
문태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to KR102003003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5908A/ko
Publication of KR2004010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 순치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기존의 로티퍼 스트레인에 비해 그 크기가 현저하게 작으므로, 다양한 범위의 수서생물 및 그 자어를 위한 먹이생물로서 사용되어 사육생물의 생존율과 산업적 생산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수 순치 배양 방법은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을 해수에서 충분히 대량배양할 수 있게 하므로, 해산어의 종묘 생산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 순치 배양 방법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o. 1 Rotifer strain and the seawater acclimation cul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로티퍼(Rotifer) 스트레인(strain) 및 그의 해수순치(海水馴致, seawater acclimation)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티퍼는 대부분 댐, 저수지 등 유속이 완만한 담수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윤형동물문(Rotifera)의 동물플랑크톤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전세계적으로 2500 여종이 분포하고 있다.
그 중에서 순수 해수역에 서식하는 로티퍼는 10 여종에 불과하며, 담수 유래종 중 극히 일부만이 담수와 해수의 중간 정도 수준의 염도를 나타내는 영역, 즉 자연 수역의 기수(汽水, brackish water) 영역에 적응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티퍼 중에서 특히 브라키오누스 속(Brachionus) 로티퍼는 해산어의 종묘생산 과정에서 초기 자어(子魚, fry)에게 가장 먼저 급이되는 '먹이생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Fulk and Main, 1991; Furusawa, 1989; Hirayama, 1985; Jung and Rho, 1999).
먹이생물이란 수서생물(aquatic creature)이 어린 시기에 먹게 되는 식물ㆍ동물플랑크톤을 의미한다. 수서생물의 자어는 입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이들 자어에 대한 먹이생물은 그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한다. 또한 먹이생물은 자어의 생장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골고루 함유해야 한다.
기존에 먹이생물로 사용되어 온 인공 배합사료의 평균 크기는 100㎛ 수준이므로 이론적으로는 먹이생물로서 적당한 크기인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제조과정상 그 크기의 편차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모든 자어에게 적절한 먹이생물이 될 수는 없다. 또한 인공적으로 제조되었으므로 영양적인 문제도 배제하기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배합사료를 공급하여 자어를 생산할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사료가부패되어 수질을 악화시키므로 자어의 폐사를 유발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반면 로티퍼는 크기의 편차가 비교적 작으며 살아있는 생물체라는 특성상 자어에 필요한 영양분을 고루 갖추고 있으므로, 배합사료보다 훨씬 우수한 먹이생물이 될 수 있다.
먹이생물학적 측면에 있어서, 로티퍼는 부유성을 지니고 그 크기가 160∼320㎛로 매우 작으며 느린 유영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양식용으로 사육 중인 어린 자어가 포식하기 용이하다. 또한 로티퍼는 배양환경이 매우 광범위하며 번식력이 대단히 높고 높은 밀도 배양이 가능하므로 안정적이고 계획적인 대량 배양이 가능하다(Hino, 1990; Jung and Rho, 1998; Jung et al., 1997; Jung et al., 1998a; Jung et al., 1998b; Park et al., 2001).
실제로 수산 분야에서 증식ㆍ양식 대상 생물이 되는 어류의 자어를 비롯하여, 갑각류 중 일부는 수정난에서 부화된 후 먹이로서 로티퍼를 섭취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 이처럼 로티퍼 없이는 수산 증양식 분야의 생물들을 사육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로티퍼는 이들 수서생물 종묘의 대량 생산시 유용한 먹이생물로서 그 산업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기수 또는 해수역, 즉 염분 환경에 적응되어 있는 브라키오누스 속 로티퍼는 매우 국지적으로 서식ㆍ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알려진 자연 수역 서식지는 10∼20 여곳에 불과하며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학술적으로 보고된 예는 없다. 브라키오누스 속 로티퍼는 채집된 생물학적 생식 격리 현상과 그 조건, 예를 들면 외부 형태, 생식 패턴 및 유전적 형질에 따라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스트레인 구분의 기준이 된다.
로티퍼를 먹이생물로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특성은 그 로티퍼 스트레인의 크기, 즉 피갑장(lorica length)이 자어의 입 크기에 맞을만큼 작은 크기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용되고 있는 로티퍼 스트레인은 전부 외국에서 분리 후 배양된 것으로(Fu et al., 1991), 해산어의 종묘 생산 시설에서 초기 자어의 동물먹이생물로 이용되는 로티퍼는 브라키오누스 로툰디포미스(Brachionus rotundiformis)와 브라키오누스 플리카틸리스(Brachionus plicatilis)의 2 종이 알려져 있다. 담수어의 종묘 생산 시설에서 초기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로티퍼는 순수 담수산 로티퍼 브라키오누스 칼리시플로루스(Brachionus calyciflorus)와 브라키오누스 루벤스(Brachionus rubens)의 2종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이들 로티퍼 스트레인의 가장 큰 문제점은 피갑장이 150㎛ 이상이라는 점이다. 알에서 태어나서 처음으로 먹이를 먹어야 하는 자어의 경우에는 매우 작은 크기의 먹이생물만을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붉바리와 같은 고가의 해산어의 자어는 입크기가 매우 작아 150㎛ 크기 이하의 먹이생물만을 섭취할 수 있는데, 먹이생물의 크기가 상기 기준보다 클 경우에는 제대로 먹이생물을 섭취할 수가 없어 사망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로티퍼 스트레인들은 경제적인 양식 산업 대상 생물로서 개발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으므로, 현재까지 분리된 로티퍼를 자어의 먹이생물로 공급할 경우 다소 입크기가 큰 일부 어종을 제외하고는 양식이 가능한 해산어종이 극히 제한된다.
또한,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먹이생물로 이용 가능한 로티퍼는 보통 기수역에서 채집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동물먹이생물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해수에서 배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수에서 채집ㆍ분리한 로티퍼를 우수한 생존율을 유지시키면서 해수로 적응시켜 대량배양할 수 있는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어류에 먹이생물로서 적용시킨 예도 전무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양식 분야의 활성을 위해, 기존의 로티퍼보다 크기가 작은 신규 로티퍼 스트레인의 분리를 비롯하여, 이를 안정적으로 해수 순치 배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발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범위의 수서생물을 위한 먹이생물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로티퍼 스트레인에 비해 개체 크기가 현저히 작은 먹이생물용 로티퍼 스트레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서생물 종묘 생산 현장에서 먹이생물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로티퍼 스트레인을 안정적으로 해수 순치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400배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분류학적 외형 특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과 기존의 먹이생물용 로티퍼 스트레인들 간의 평균 피갑장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과 기존의 먹이생물용 로티퍼 스트레인들 간의 먹이생물학적 크기 빈도 분포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o. 1 Rotifer strain; NFRDI No. 1 Rotiferstrain)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국내 최초로 자연 수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스트레인이며,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 최소형의 크기를 갖는 스트레인이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채집ㆍ분리 및 동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담수와 해수의 중간 염도를 지니는 기수에서 채집되어 분리된 것이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특정 지역에 아주 국지적으로 서식하고 있어서, 강원도 동해 연안에 접해 있는 일부 석호(潟湖, lagoon)의 한정된 수역에서만 채집이 가능하다.
석호는 해류, 조류, 또는 하천 등의 작용으로 운반된 토사가 바다의 입구에 모래언덕을 형성함으로써 바다로부터 격리되어 해안 가까이 생성된 호소(湖沼)로, 기수호(汽水湖)인 경우가 많다. 석호에서는 모래언덕 사이로 바닷물이 천천히 침투하기 때문에 바다에 서식하던 생물들이 서서히 기수에 적응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수산 플랑크톤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상기와 같은 자연 수괴로부터 분리 채집된 로티퍼는 우선 식물먹이생물로 전배양(pre-stock culture)을 통하여 안정화시킨다. 포란된(egg-carried) 로티퍼 개체가 다수 관찰되면 카필라리 피펫(capillary pipets)을 이용하는 희석법에 의해 단일 개체를 분리하고, 25℃ 전후로 온도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다.
이렇게 하여 분리한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분류학적 위치를 동정하기 위해, 단성란(mictic egg)을 소량 채집하여 수온 25℃ 전후, 염분 32ppt 전후의 배양 조건하에서 일시에 부화시켜 배양한다. 배양 후, 생물학적 최소형에 이르는 첫포란 개체를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하에서 외부형태를 관찰하여, 분류학적 고찰을 실시한다(Nogrady et al., 1993; Segers, 1995).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형태분류학적 특징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전체적으로 매우 둥근 형태의 단지 모양을 하고 있다(도 1).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배갑(背甲, dorsal plate)은 복갑(腹甲, ventral plate)에 비교하여 납작하므로 복갑과 배갑의 구분이 뚜렷하고, 단성란의 모양은 장타원형이다(도 2a).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4개의 낮고 둥근 배갑전록(frontal spines)을 지닌다(도 2b).
이와 같은 특성을 비롯하여, 피갑(lorica)에 나타나는 뚜렷한 모양의 돌기는 브라키오니다에(Brachionidae) 과의 일반적인 특성이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후두극(occipital spines)은 6개의 날카로운 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도 2c), 이는 브라키오누스 로툰디포미스(Brachionus rotundiformis)의 전형적인 후두극 형태와 일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발에는 뚜렷한 마디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끝에는 2개의 발톱이 있다(도 2d). 이처럼 마디가 없는 발은 브라키오누스 속의 일반적인 특성이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저작기(trophi)는 5개의 빗살모양의 구(uncus)와 1장의 넓적한 병(manubrium)이 양쪽 대칭을 이루면서 속이 비고 복잡한가지(ramus)에 연결되어 있다(도 2e).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에서, 발이 들어가고 나오는 입구는 작으며, 반타원 모양을 지니고 있다(도 2f).
한편, 대표적인 담수산 로티퍼 종인 브라키오투스 칼리시플로루스에서 관찰되는 후극(posterior spines)은 찾아볼 수 없다(도 2).
상기에서 관찰된 외부형태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기존 S형 또는 SS형으로 불리웠던 브라키오누스 로툰디포미스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된다(Tschugunoff, 1921).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개발된 국내 최초의 먹이생물용 스트레인이며, 그 크기가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의 다른 로티퍼 스트레인에 비해 크기가 월등하게 작은 최소형 스트레인이라는 점에서,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으로 명명한다.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은 로티퍼 스트레인의 주요한 구분 기준, 더 나아가 먹이생물학적 가치 여부를 결정하는 개체 크기에 있어서 지금까지 보고되거나 이용되고 있는 로티퍼 스트레인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최소 개체의 크기는 80㎛이고, 최대 개체의 크기는 210㎛이다. 피갑장의 평균 크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152 ±25㎛의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크기는 먹이생물로 사용되던 기존의 외국 도입종 로티퍼 스트레인들,즉 타이 로티퍼 스트레인, 괌 로티퍼 스트레인, 발리 로티퍼 스트레인 및 제주 로티퍼 스트레인들에 비해 현저히 작은 것이며, 전세계적으로 보고된 로티퍼 스트레인 중에서도 가장 작은 세계 최소형 수준이다.
이처럼 초소형의 크기로 인해,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은 기존의 로티퍼 스트레인을 먹기에는 입이 지나치게 작았던 초기 부화 자어 및 소구경 해산 자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범위의 수서생물들을 위한 먹이생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은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양식분야에 있어서 고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은 담수와 해수의 염분 농도의 중간 지역, 즉 염도가 매우 낮은 기수역에서 채집ㆍ분리한 것이므로, 실제로 먹이생물로 사용될 때는 고농도의 염분이 존재하는 해수에서 배양되어야 한다. 해수보다는 낮은 농도의 기수에서 채취되고 분리되는 생물은 곧바로 해수에 옮기면 염분 적응에 실패하여 폐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수에 적응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을 순치 배양함으로써, 일반해수에서 대량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을 채집 분리된 수역과 같은 농도의 저농도수에서 배양을 시작한다. 이때 배양 초기 염도는 구체적으로 채집지의 염분 환경과 비슷하게 맞춘다. 채집지의 염도는 보통 2∼4ppt 정도이나, 때로는 9ppt인 경우도 있음을 고려하여 초기 염도를 결정한다.
이후 며칠에 걸쳐 염분 농도를 차차 증가시켜, 며칠 후에는 해수와 같은 수준의 염분 환경을 조성하여 고염도에 적응시킨 후, 해수로 옮긴다. 염분 농도를 증가시킬 때는, 2∼5일 간격으로 배양 환경 염분 농도를 전 배양 염분 농도의 5∼10% 정도 범위내에서 상향 조정하여 실시한다. 이때 염분의 최종 농도는 구체적으로 32∼34ppt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순치 배양 방법이 염분증가율 및 시기 등의 조건을 잡기가 어려워 실패가 빈번한 반면, 본 발명의 순치 배양 방법은 기수에서 채집ㆍ분리된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을 우수한 생존율을 유지하면서 해수에서 대량배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순치 배양 방법은 양식장 등 로티퍼를 먹이생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각종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분리, 동정 및 특성 확인
1)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분리 및 동정
국내 고유의 로티퍼 스트레인을 분리하기 위해, 로티퍼의 서식이 가능한 전국의 수역들을 조사하였다. 저수지, 소규모 하천, 대규모의 강, 댐, 방조제, 석호, 강 하구의 기수역 및 연안의 해수역 등 전 수역권을 대상으로 로티퍼의 서식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강원도 동해 연안의 경포호에서 먹이생물로 이용 가능한 기수산 브라키오누스 속 로티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연 수괴로부터 분리 채집된 로티퍼는 바로 분리를 시도하지 않고, 식물먹이생물로 정치 배양을 통하여 안정화시켰다. 포란된 로티퍼 개체가 다수 관찰되면 카필라리 피펫(capillary pipets)을 이용하는 희석법에 의해 단일 개체를 분리하고, 25℃ 전후로 온도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이렇게 하여 분리한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분류학적 위치를 동정하기 위해, 단성란을 소량 채집하여 수온 25℃ 전후, 염분 32ppt 전후의 배양 조건하에서 일시에 부화시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생물학적 최소형에 이르는 첫 포란 개체를 대상으로 광학현미경 하에서 외부형태를 관찰하고 스케치하였다. 그리고 관찰된 외부 형태를 중심으로 분류학적 고찰을 실시하였다(Nogrady et al., 1993; Segers, 1995).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전체적으로 매우 둥근 형태의 단지 모양을 하고 있었다(도 1).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배갑은 복갑에 비교하여 납작하므로 배갑과 복갑의 구분이 뚜렷하고, 단성란의 모양은 장타원형이었다(도 2a).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4개의 낮고 둥근 배갑전록을 지니고 있었다(도 2b).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후두극은 6개의 날카로운 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도 2c), 이는 브라키오누스 로툰디포미스의 전형적인 후두극 형태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발에는 뚜렷한 마디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끝에는 2개의 발톱이 있었다(도 2d). 이처럼 마디가 없는 발은 브라키오누스 속의 일반적인 특성이었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저작기는 5개의 빗살모양의 구와 1장의 넓적한 병이 양쪽 대칭을 이루면서 속이 비고 복잡한 가지에 연결되어 있었다(도 2e).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에서, 발이 들어가고 나오는 입구는 작으며, 반타원 모양을 지니고 있었다(도 2f).
한편, 대표적인 담수산 로티퍼 종인 브라키오투스 칼리시플로루스에서 관찰되는 후극은 찾아볼 수 없었다(도 2).
상기에서 관찰된 외부형태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기존 S형 또는 SS형으로 불리웠던 브라키오누스 로툰디포미스(Brachionus rotundiformis)에 속하는 스트레인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러한 동정결과는 일본의 주변 자연 수역에서는 브라키오누스 플리카틸리스(Brachionus plicatilis)가 주로 채집되는 현상과 비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개발된 국내 최초의 먹이생물용 스트레인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다른 스트레인과 구별하기 위해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먹이생물학적 가치 확인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먹이생물학적 가치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실제 해산어 종묘 생산 시설에서 산업적으로 이용가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해산자어의 입크기에 맞는 작은 개체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본 발명의 스트레인의 먹이생물학적 크기 빈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현재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외국 도입종 로티퍼 스트레인들, 즉 타이 로티퍼 스트레인, 괌 로티퍼 스트레인, 발리 로티퍼 스트레인 및 제주 로티퍼 스트레인을 선택하여 함께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스트레인에 대해, 수온 25℃ 전후, 염분 32ppt 전후의 배양 조건 하에서 1리터의 비이커에서 단일종 배양된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Nannochloropsis oculata)를 급이하였다.
각 로티퍼 스트레인의 크기 비교는 기능적으로 기존의 소형 로티퍼 크기에 해당되는 210㎛ 이하, 초소형의 크기에 해당되는 150㎛ 이하, 그 보다 더 작은 120㎛ 이하의 개체가 각 개체군 중에서 차지하는 누적비율(%)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전개체군 중 누적 크기 비율로서 80%에 해당되는 크기를 비교하였다. 각 스트레인의 개체 크기는 각 배양구에서 무작위로 150개체를 임의 표본 채집하고, 광학현미경 하에서 측정하여 얻은 수치로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각 군의 피갑장 평균 크기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의 생물학적 최소형에 이르는 개체의 평균 피갑장 크기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평균 피갑장은 152 ±25㎛이고 괌 로티퍼 스트레인은 165 ±24㎛, 타이 로티퍼 스트레인은 164 ±26㎛이며, 발리 로티퍼 스트레인은 168 ±23㎛ 그리고 제주 로티퍼 스트레인은 173 ±25㎛이었다(도 3).
또한 각 군으로부터 얻은 개체군 크기의 빈도 분포 분석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우선 눈에 띄는 점은,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에서는 다른 스트레인에 비해 작은 크기의 개체가 현저히 많이 분포한다는 점이다.
각 스트레인의 배양 개체군 중의 크기 범위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이 80∼210㎛, 괌 스트레인이 130∼280㎛, 괌타이와 제주 스트레인이 130∼260㎛, 그리고 발리 스트레인이 120∼240㎛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어서, 본 발명의 스트레인 크기가 다른 스트레인에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도 4).
초기 부화 자어 및 입이 작은 소구경 자어에게 이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150㎛ 이하 크기의 개체는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이 41.3%로 매우 높았으나, 다른 로티퍼 스트레인은 16∼28.6%에 불과하였다(도 4).
특히, 이용도가 가장 높은 최소형 범위에 속하는 80∼120㎛의 개체는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에서 전개체군의 14.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4개의 로티퍼 스트레인에서는 80∼120㎛ 크기의 개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도 4).
또한, 기존 S형의 생물학적 최소형의 평균 크기 범위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은 전개체군의 100%가 210㎛의 범위에 포함되었으나, 괌 스트레인은 80.6%, 괌타이 스트레인은 95.3%, 제주 스트레인은 90% 그리고 발리 스트레인은 95.3%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데 그쳤다.
한편, 괌타이 로티퍼 스트레인과 제주 로티퍼 스트레인의 크기 범위 분포는 130∼260㎛로 유사한 누적빈도 분포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제주지역에서 분리되어 단일종 스트레인 배양된 제주 로티퍼 스트레인의 기원이 괌타이 스트레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기존의 로티퍼 스트레인에 비해 그 크기가 현저하게 작아 세계 최소형 수준의 크기이므로, 기존의 로티퍼 스트레인을 적용하기 어려웠던 초기 부화 자어 및 소구경 자어의 양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의한 '국립수산과학원 제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의 해수 순치 배양
본 발명의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을 안정적으로 대량배양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해수 순치 배양을 시행하였다.
우선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을 4ppt의 염분 환경에서 배양을 시작하였다.
배양 2일째, 염분 농도가 6ppt가 되도록 염분을 추가하여 계속 배양한 후, 4일 후에 염분 농도가 9ppt가 되도록 염분을 추가하여 계속 배양하고, 6일 후에 염분 농도가 13ppt가 되도록 염분을 추가하여 계속 배양하는 방식으로 염분 농도를 점차 증가시켰다.
그리고 염분의 상승이 로티퍼의 생존과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를 관찰하면서 계속 염분 농도를 증가시켜 2∼5일 간격으로 전단계 염분 농도의 5∼10%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해수 염분 농도인 32ppt 전후까지 배양하였다. 완전히 해수에 적응된 로티퍼는 현재 32∼34ppt의 염분 농도에서 종보존 배양 중이며, 정상적으로 증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순치 배양 방법은 기수에서 채집ㆍ분리된 로티퍼를 우수한 생존율을 유지하면서 해수에서 대량배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은 기존의 로티퍼 스트레인에 비해 그 크기가 현저하게 작으므로, 다양한 범위의 수서생물 및 그 자어를 위한 먹이생물로서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수 순치 배양 방법은 본 발명의 로티퍼 스트레인을 해수에서 충분히 대량배양할 수 있게 하므로, 양식장을 비롯하여 해산어의 종묘 생산장 등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분류학적으로 브라키오누스 로툰디포미스(Brachionus rotundiformis)에 속하며, 개체 크기는 80㎛∼210㎛의 범위이고, 피갑장 크기가 평균 152±25㎛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티퍼 스트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o. 1 Rotifer strain; NFRDI No. 1 Rotifer strain)
  3. 제 2항에 있어서, 석호에서 채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로티퍼 스트레인을 먹이생물로 이용하여 수서생물 또는 그 자어를 양식하는 방법
  5. 기수에서 채집ㆍ분리된 로티퍼를 2∼4∼9ppt 염도의 저염도수에서 배양한 후, 2∼5일 간격으로 배양 환경 염분 농도를 전 배양 염분 농도의 5∼10% 정도 범위내에서 상향 조정하여 최종 염도가 32∼34ppt가 되도록 한 후, 해수로 옮겨 배양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티퍼의 해수 순치 배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로티퍼는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로티퍼 스트레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티퍼의 해수 순치 배양 방법
KR1020030037049A 2003-06-10 2003-06-10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 KR20040105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049A KR20040105908A (ko) 2003-06-10 2003-06-10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049A KR20040105908A (ko) 2003-06-10 2003-06-10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908A true KR20040105908A (ko) 2004-12-17

Family

ID=3738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049A KR20040105908A (ko) 2003-06-10 2003-06-10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59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293A1 (en) * 2007-08-03 2009-02-12 Jong Cheol Kim Fish breeding method using osmotic pressure control ability
CN103858815A (zh) * 2012-12-18 2014-06-18 上海市水产研究所 一种夏季东方鲀鱼种养殖池内生态培养轮虫的方法
CN109691407A (zh) * 2019-01-29 2019-04-30 深圳金普迈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建立轮虫单个体无性繁殖种群的方法
KR20190111328A (ko) 2018-03-22 2019-10-02 새론아쿠아 주식회사 화학적으로 처리된 로티퍼를 이용한 미세조류 억제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660B1 (ko) * 1994-07-26 1998-06-15 한일성 광합성 세균을 이용한 이료생물의 배양방법
KR20010019235A (ko) * 1999-08-26 2001-03-15 박흠기 로티퍼의 고밀도 배양장치 및 배양방법
JP2002306015A (ja) * 2001-04-10 2002-10-22 Nagasaki Univ Ss型ワムシ耐久卵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660B1 (ko) * 1994-07-26 1998-06-15 한일성 광합성 세균을 이용한 이료생물의 배양방법
KR20010019235A (ko) * 1999-08-26 2001-03-15 박흠기 로티퍼의 고밀도 배양장치 및 배양방법
JP2002306015A (ja) * 2001-04-10 2002-10-22 Nagasaki Univ Ss型ワムシ耐久卵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quaculture Vol.11, No.4, pp.449-455, 1998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293A1 (en) * 2007-08-03 2009-02-12 Jong Cheol Kim Fish breeding method using osmotic pressure control ability
CN103858815A (zh) * 2012-12-18 2014-06-18 上海市水产研究所 一种夏季东方鲀鱼种养殖池内生态培养轮虫的方法
KR20190111328A (ko) 2018-03-22 2019-10-02 새론아쿠아 주식회사 화학적으로 처리된 로티퍼를 이용한 미세조류 억제방법
CN109691407A (zh) * 2019-01-29 2019-04-30 深圳金普迈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建立轮虫单个体无性繁殖种群的方法
CN109691407B (zh) * 2019-01-29 2023-08-25 深圳金普迈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建立轮虫单个体无性繁殖种群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tton et al. Developmental ecology of the American horseshoe crab Limulus polyphemus
KR100777242B1 (ko) 입이 작은 부화자어의 먹이생물로 유용한 초소형 윤충의 배양방법.
Arimoro Culture of the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and its application in fish larviculture technology
Harris et al. Sea urchin ecology and biology
Yang et al.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mbryo, larvae and juvenile in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Ovie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algal densities of Scenedesmus acuminatus on the population growth of Moina micrura Kurz (Crustacea: Anomopoda, Moinidae)
Eddy et al. Aquaculture of the green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droebachiensis in North America
Madhu et al. Spawning and larval rearing of Amphiprion ocellaris under captive condition
CN105557584A (zh) 一种松江鲈鱼全海水苗种繁育及室内工厂化养殖方法
CN109362610A (zh) 莱氏拟乌贼苗种培育方法
Gravili et al. Clytia hummelincki (Hydroidomedusae: Leptomedusae) in the Mediterranean Sea
McLaughlin et al. Effect of suspended inorganic matter on fertilization success, embryonic development, larval settlement, and juvenile survival of the vase tunicate Ciona intestinalis (Linnaeus, 1767).
KR20040105908A (ko) 국립수산과학원 제 1 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
Kaviyarasan et al. Population growth, nauplii production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Pseudodiaptomus annandalei (Sewell, 1919) in response to temperature, light intensity, pH, salinity and diets
Gopakumar et al. Hatchery production of the clownfish Amphiprion hrysogaster
Robinson et al. Scallop aquaculture and fisheries in Eastern North America
Lapegue et al. European flat oyster-Ostrea edulis
KR100574762B1 (ko) 한국산 연산호류의 유생 채취방법 및 유생 배양방법
Leighton et al. THE PURPLE‐HINGE ROCK SCALLOP: A NEW CANDIDATE FOR MARINE AQUACULTURE 1
KR100588419B1 (ko) 말쥐치의 조기산란유도 및 종묘 생산방법
KR101317143B1 (ko) 능성어류의 초기 먹이생물 및 그 배양방법
Bushehr Captive breeding of Banggai cardinalfish, Pterapogon kauderni (Koumans, 1933) for exit of IUCN Red List
Jagadis et al. Observations on broodstock maintenance, breeding and early larval development of the common spider conch Lambis lambis (Linnaeus, 1758) in captivity
Madhu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ulture of the marine rotifer Colurella adriatica Ehrenberg, 1831 (Family: Lepadellidae) from Andaman & Nicobar Islands: A promising live feed for larval rearing of high value shellfishes and finfishes
Madhu et al. Breeding and seed production of Clown fishes under cap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