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752A - 대화 기회 데이터의 관리 - Google Patents

대화 기회 데이터의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752A
KR20040104752A KR10-2004-7018924A KR20047018924A KR20040104752A KR 20040104752 A KR20040104752 A KR 20040104752A KR 20047018924 A KR20047018924 A KR 20047018924A KR 20040104752 A KR20040104752 A KR 20040104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con
user
compartmen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닝 마스
클라우스 바이덴호우트
레오나르드 하. 데. 폴
폴 제이. 랜킨
스테펜 라이만
요하네스 아. 얀센
이스카 엠. 데비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4010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7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120)는 장치의 사용자에게 대화 기회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기회를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제공한다. 각각의 식별된 대화 기회에 대해, 처리기(13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38, 18)을 발생시킨다. 처리기는 적어도 제 1 디스플레이 구획(12), 제 2 디스플레이 구획(16) 및 제 3 디스플레이 구획(14)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며, 새로이 발생된 디스플레이 아이콘(38)은 초기에는 제 1 디스플레이 구획(12)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어서 아이콘(18)은 제 2 디스플레이 구획(16)으로 이동되고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에 따라 정렬된다.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추가의 데이터가 제 3 디스플레이 구획(14)에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대화 기회 데이터의 관리{MANAGEMENT OF INTERACTION OPPORTUNITY DATA}
최근 몇 년간 이동 전화망에 대해 세계적으로 가입자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기술의 향상과 기능성의 추가를 통해 셀룰러 전화가 개인의 신뢰 디바이스로 되었다. 이 결과, 이동 정보 사회는 발전하고 개인화 및 국부화 서비스가 점점 보다 중요해 진다. 그러한 {문맥 인식(CA: Context-Aware)}이동 전화는 위치 특정 정보(location-specific information)를 제공하도록 쇼핑몰과 같은 장소에서 저 전력 단거리 기지국과 함께 사용된다. 이 정보는 지역 지도, 인근 상점 및 식당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대화를 지원하도록 기술적 특성을 얻게 하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랩탑(laptop) 컴퓨터와 같은 다른 개인용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경우, CA 단말기의 수가 또한 증가하기 시작한다.
CA 단말기의 한 예는 광고판의 문맥 내에서 무선 전화의 사용을 개시하는 미국 특허 제 5,835,861호에서 제시된다. 무선 전화의 사용자는 프롬프트 신호를 능동 광고원에 송신하고 광고원으로부터 광고 판매자(vendor)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그의/그녀의 무선 전화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판매자의 전화번호를 얻는다. 전화 번호는 그 다음에 일반 전화 교환망을 통해 그 판매자에게 자동으로 전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전화 번호는 나중에 사용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전화번호를 쓰지 않고 판매자에게 전화를 거는데 사용할 수 있다. 광고 게시판과 호출자 사이의 신호는 변조된 적외선(IR) 신호로서 송신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점점 더 직면하는 문제점은 사용할 수 있는 대화 기회와 관련된 데이터의 양이다. 사용자의 CA 단말기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기호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여과하도록 설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특정 관심 있는 데이터의 아이템이 수신되면 단지 경보를 받지만, 여전히 필터를 통과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는 있다.
본 발명은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대화 기회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배타적이지는 않게, 본 발명은 단일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윈도우{이하 보통 구획(pane)이라 칭함}에서 그러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와, 그러한 데이터 디스플레이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및 갱신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0은 대화 기회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대화 기회의 외부 소스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한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화면의 단위 면적당 디스플레이 능력의 사용 효율이 향상된 대화 정보 프리젠테이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부차적인 목적은 사용자를 위한 향상된 색인 및 액세스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장치 사용자에게 대화 기회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대화 기회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장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접속되고 각각의 식별된 대화 기회에 대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발생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처리기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작동가능 입력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기는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하고 새로이 발생된 디스플레이 아이콘은 초기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 디스플레이되고 이어서 다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으로 이동하며, 상기 처리기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아이콘을 배열하도록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추가의 데이터가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 디스플레이된다. 구획의 특정 배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새로이 도착한 대화 기회를 빨리 식별할 수 있고(제 1 구획), 보다 쉽게 관심 있음직한 대화 기회를 찾으며(제 2 구획에서의 우선순위 선정된 배열), 처음 두 구획을 감추지 않고 추가 정보를 불러낸다(제 3 구획).
상기 장치는 대화 기회 식별 정보로부터 각각에 대해 각각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배열되며,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은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의 위치와 관련된 우선순위 순으로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배치하는 처리기에 의해 적용된다. 처리기에 의해 적용된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은 기회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복잡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서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이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 도착한 순서로 디스플레이되는 일시적 우선순위 선정과 같은 단순한 방식일 수 있다.
명료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처리기는 수신된 정보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종류의 대화 기회를 식별하고, 각각의 식별된 대화 기회를 위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형태에 의해 대화 기회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상이한 형태의 아이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데이터 저장 수단에 보유된 데이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있거나, 대화 기회 데이터를 갖춘 원격 소스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처리기는 아이콘이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이미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대화 기회와 관련된 추가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처리기는 추가 아이콘을 부가함으로써 제 2 구획을 혼잡하게 하기보다는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외형을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의 도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처리기와 접속되어,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무선 다운로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소스로부터 상기 대화 기회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소스와의 대화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하여, 처리기는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장치의 위치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소스의 위치의 가시적 프리젠테이션 및/또는 둘 이상의 원격 소스에 대해 상대적 가치의 프리젠테이션을 장치에 발생하도록 더 작동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아이콘의 외형과 함께, 장치는 처리기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새로운 아이콘의 발생시(즉, 새로운 대화 기회의 검출시)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수단은 예를 들면 혼잡한 환경에서 걸을 때 필요할 수 있는 것처럼, 그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지 않는 경우조차도 사용자가 경보를 받을 수 있도록 음향기 또는 진동 디바이스를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얼마나 최근에 새로운 기회가 발생하였는가를 사용자에게 식별하기 위하여 처리기는 그러한 아이콘을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으로 이동하기 전에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 있는 아이콘을 구획의 한 에지로부터 반대 에지로 스크롤링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기회가 가까이 함께 수신되면 제 1 구획은 아이콘이 제 2 구획에서 우선순위 선정 순으로 배열되기 전에 통과하는 파이프라인으로 작용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배열을 통하여 디바이스 세팅의 사용자 변경을 용이하게 하도록 더 작동할 수 있으며, 세팅을 위한 옵션은 각각의 엔트리에 대해 서브메뉴를 갖는 메뉴에 자리잡게 되어 있고,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각각의 아이콘은, 각각의 서브메뉴 옵션을 나타내는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제시된 아이콘 중 한 아이콘 선택할 때, 메뉴 아이템을 나타내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아이콘 중 한 아이콘을 선택할 때 그 서브메뉴 하에서 개별 디바이스 세팅 옵션은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 도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대화 기회 식별 정보의 프리젠테이션을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하는 단계와,
각각의 식별된 대화 기회에 대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발생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 동일한 아이콘을 초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이어서 아이콘을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으로부터 다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아이콘을 배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선택할 때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추가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성 및 장점은 단지 예를 통해서만 주어지고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아래에, 대화 메커니즘은 이동할 때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활성화의 휴대용 디바이스 사용자의 관리를 지원하도록 설명된다. 이들 메커니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0에서 설명되며, 여기서
- 메커니즘은 사용자 개시 애플리케이션{풀(pull)}과 새로운 상태, 디바이스, 망, 시간 ,장소 또는 사회 문맥 이벤트(social-context event)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개시된 애플리케이션{푸시(push)}의 쉬운 관리를 허용한다.
- 동등 계층(peer-to-peer) 및 클라이언트-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회의 관리는 모두 사용하기 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에 단일화된다.
- 설계는 두 모드 - 이동시 사용자를 지원하는 모드(기회 관리 모드)와, 사용자가 상이한 문맥에서 접할 수 있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기회에 대해 다수의 개인적 기호, 필터 및 우선순위의 세트를 구성하도록 하는 모드(개인용 세팅 모드)-를 갖는다.
설계가 PDA의 화면 설계에 의해 설명되지만, 휴대용 전화 또는 랩탑과 같은 다른 핸드셋 포맷 및 디바이스는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기회 관리 모드
대화를 위한 기회의 단순한 예는 호출신호 톤과 호출자의 ID에 의해 신호를 발하는 착신 전화 호출 또는 SMS 메시지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기회는 TV, 또는사용자가 프리젠테이션을 보낼 수 있는 근방의 컴퓨터 투사 시스템 또는 프린터의 범위 내에, 또는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큰 공공 디스플레이의 근방에 있을 때 사용자의 무선 핸드셋이 오디오를 사적으로 수신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한 이벤트는 또한 전화를 걸도록 하는 독촉 경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독촉 경보는 사용자의 달력 시스템에 의해 트리거링된다. 다른 예는 지역 서비스 또는 포인터를 광역망 서비스에 제공하는 단거리 RF 비컨(beacon)의 커버리지에 사용자가 들어가는 이벤트일 수 있다. 다른 예는 비즈니스 카드의 무선 교환을 제공하는 다른 사용자의 핸드셋으로부터 송신되는 IR 신호의 범위 내로 들어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의 시퀀스를 초기에 고려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은 중앙 구획(12)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을 보고 대화하기 위한 상단부(14)와 기회의 현재 세트 및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하단부(16)로 나누어진다. 구획(12)은 사용자의 현재 개인용 필터을 통과하는 새로운 기회/이벤트의 도착을 알리는 '파이프라인(pipeline)'으로 작동한다. 새로운 기회/이벤트는 우측으로부터 구획에 도달하는 아이콘(18)에 의해 신호로 보내지며, 아이콘(18)의 특정 형태는 기회의 종류를 타나낸다. 새로운 이벤트는 특별 진동 패턴에 의해 사용자에게 신호로 보내지거나 또는 예를 들면 이벤트의 카테고리 또는 종류를 나타내는 서명 사운드를 동반할 수 있다.
이들 아이콘(18)에는 설명 명칭(20)이 따르고 자동 수신 테이프(ticker-tape)를 사용하는 것처럼 우측에서 좌측으로 스크롤링하는 추가 메시지(22; 도 2)도 따를 가능성이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벤트는 사용자가 방금 접했던RF 또는 IR 비컨으로부터 사용자의 핸드셋에 발견되었거나 또는 '푸시'된 비컨 신호의 결과로 위치에 근거한 서비스와 대화할 기회이다.
사용자의 대화를 위한 새로운 기회는 그 다음에 구획(16)에서 푸시다운 스택(push-down stack)에 유지되는 기회의 랙(rack)으로 아래로 이동한다(도 2 및 도 3). 이 스택은 다른 방향으로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최근 기회는 단순히 상단으로 놓여서, 그 다음에 날짜 또는 주(week)의 이벤트의 전체 스택이 긴 랙을 통하여 하향 스크롤링에 의해 재검토될 수 있다(review). 대안으로, 새로운 이벤트 또는 기회가 그 현재 문맥에서 사용자를 위해 갖는 우선순위(예를 들면, 개인의 기호의 현재 세트에 의해 세팅되는 우선순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벤트 아이콘(18)이 리세팅 하게 되는 스택에서 더 높아진다(즉, 제 1 구획(12)에 가장 가까움). 새로운 높은 우선순위 이벤트는 따라서 더 오래된 이벤트를 아래로 푸시할 수 있고, 새로운 낮은 우선순위 이벤트는 스택에서 더 낮은 자신의 위치를 찾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의 중심에 가장 가까운 바(랙에서 수평 라인)에서 최고 우선 순위 이벤트에 집중할 수 있다. 랙은 예를 들면 화면의 우측에서 핫스팟(hotspot) 또는 제어 아이콘(24)을 통하여 상향 또는 하향 스크롤링 될 수 있다.
단거리 RF 비컨을 접하는 것과 같은 각각의 새로운 기회는 다수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컨은 사용자가 판독할 장소에 있는 항해 보조, 상업적 오퍼(commercial offer) 또는 저장된 메시지를 위한 서비스(로의 포인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16)에서 랙에 있는 수평 바(26)는 다음과 같이 보여줄 것이다.
- 좌측에서, 기회와 그 카테고리의 소스(예를 들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RF 비컨)를 식별하는 이벤트 아이콘(18). 이 아이콘은 오퍼에 관한 서비스의 신뢰도 또는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메시지의 송신자를 얼마나 잘 아는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소스의 몇 가지 특징에 사용자가 신속히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 우측으로, 제안된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그래픽/수반하는 사운드를 선택적으로 또다시 구비하고, 아이콘이 상단 구획(애플리케이션 공간)(14)에서 볼 수 있는가 또는 {예를 들면, 도 4에서처럼 핸드 아이콘(30)에 의해} 사용자 대화를 위해 대기할 수 있는가 또는 (예를 들면 일방 방송 정보와 같이) 이제 반응이 없거나 대화가 없는가의 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한 태깅되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당 하나씩인 다수의 아이콘(30, 도 4).
도 4는 RF 비컨을 접한 후 방문자의 안내를 제공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PDA 포인터(32)를 사용하여}를 도시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대화 전용인 상단 구획(14)에서 핸드셋 화면 공간의 크기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조정되어, 더 많은 화면 영역이 애플리케이션에 전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 기회를 감시하는 하단 구획(16)에 있는 랙(rack)에 전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파이프라인 구획(12)은 핫스팟을 통하여 화면에서 하단으로 드래그(drag) 될 수 있다.
호스트 디바이스가 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또는 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대안적인 배열에서, 두 화면은 동기화될 수 있으며, 한 화면은 기회 모니터용이고 한 화면은 애플리케이션 대화용이다.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때, 상단 구획(14)에서 애플리케이션-대화 영역(34)은 도 5에서처럼 중앙 구획(12)으로부터 위로 스크롤링하고 예를 들면 도 6에서처럼 사용자 검사 디스플레이 옵션 박스를 사용하여 대화가 진행된다. 애플리케이션은 그 다음에 도 7에서처럼 애플리케이션 대화 영역(34)의 상단 우측 코너에 있는 '최소화' 핫스팟(36)을 선택함으로써 닫힌다. 애플리케이션 대화 영역(34)은 그 다음에 도 8에서처럼 중앙 구획으로 아래로 미끄러지고 사라진다.
도 9는 새로운 기회-소스 외형을 도시하며, 핸드셋의 RF 유닛은 개인인 미스터 맥피터슨(Mr. McPeterson)이 근방에 존재함을 검출한다. 이러한 이벤트-아이콘(38)은 중앙 구획(12)을 가로질러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에 아래로 이동하여 하단 구획(16)에서 사용자 대화를 위한 현재의 활성화 기회의 랙에 제 2 바를 형성한다(도 10 및 도 11). 도 2의 예에서와 같이, 아이콘(38)은 중앙 구획(12)을 가로질러 스크롤링하는 추가 메시지(40)가 뒤따라온다.
도 12에서 사용자는 미스터 피터슨이 대화를 위해 제안한 한 애플리케이션을 핸드 아이콘(44)의 포인터(32) 선택에 의해 활성화시킨다. 활성화 중에, 이 애플리케이션은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스터 맥피터슨에 대해 비즈니스 카드(46)를 전달한다.
본 설명에 한하여, 이벤트는 외부에서 트리거링 되었고, 대화를 위한 기회는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나타난다{푸시(push)된다}. 도 13 내지 도 18을 커버하는 다음 시퀀스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수동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풀(pull)}을 설명한다. 도 13에서 'me'로 도시된 중앙 구획(12)의 우측 상의 아이콘(48)을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활성화중인 문맥에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사전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세트 또는 툴(tool)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구획(12)을 가로질러 좌측에서 우측으로 출현한다. 이러한 툴은 도 14에서 제 1 구획(12) 상에 아이콘으로 그려진 예를 들면 뮤직 플레이어(50) 또는 달력(52)일 수 있다. 도 15에서 '레이더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구획(14)으로부터 이전의 아이템{비즈니스 카드(46)}을 클리닝(cleaning)함과 동시에 핸드셋이 검출할 수 있는 RF '오러(aura)'를 발사하는 근방의 사람들 또는 외부 기반 구조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추적된 자신의 위치를 갖는 근방의 사람들 중 가까운 사용자를 검색하여 경고한다.
레이더 기능은 사용자의 현재의 문맥에 따라 근방의 사람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얼마나 관심 있는가를 명시화한다(56). 근방의 사람들 각각은 기술 이름{예를 들면 도 17의 오토(Otto)}과 관련된 레이더 내부 아이콘으로 명시화된다. 다른 사람들이 더 많이 관심을 갖거나 관련되면 될수록 레이더의 중심에 더 가까이 끌어 당겨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화 기회를 위해 다수의 근방 사람들에게 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 레이더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근방의 디바이스, 서비스 및 장소의 관련성을 보여주도록 확장될 수 도 있다. 위치 지정 장소가 원격 소스용으로 사용 가능한 대안(또는 추가의 기능성)으로서, 레이더 아이콘의 레이더 상의 관련 위치는 사용자에게 그 관련된 지리학적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8에서 사용자는 그 다음에 이하 좀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그들 개인적인 세팅을 보고 조정하며 착신 기회 이벤트의 현재의 선택된 문맥 및 그 필터링을 또한 변경 할 수 있도록 {상단 구획(14)의 에지에서 수직 바(60)의 포인터 선택에 의해} 모드를 스위칭 한다.
사용자는 적절하게 자신이 실행하는 '푸시'된 이벤트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린 아웃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다수의 그러한 기회 필터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문맥 즉,
- 집에서
- 업무중
- 운동중
- 여가 시간
- 이동 중
을 실행하기 위한 이들 필터가 있을 수 있다.
도 18의 제 1 구획(12)의 우측에 있는 아이콘'me'(48)은 '도중에' 문맥( 및 그 관련 필터링 및 우선순위 선정)이 현재 활성화됨을 나타낸다. 이와 대조적으로, 도 29는 파이프라인의 우측에 '집'을 도시하며 '집에서' 세팅이 현재 활성화됨을 나타낸다. 현재의 필터와 세팅은 사용자가 핸드셋에 직접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대화하지는 않는 (보이지 않는) 프로그램 또는 원격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주목하자. 예를 들면, '집에서' 문맥 선택은 그들의 집의 난방, 응답 장치 또는 보안 시스템의 세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어느 '문맥'이 활성화되는가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명시적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주목하자. 대안적으로, 그러나 사용자는 외부 전용 이벤트에 문맥 스위칭{및 따라서 활성 필터, 우선순위및 애플리케이션 툴(tool)의 선택}을 위임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문맥 제어 이벤트 또는 환경은 (RF/IR 비컨, RF-ID 태그 또는 GPS 위치에 의해 감지되는)스포츠 홀, 쇼핑몰 또는 사무실로의 - 또는 시각에 또는 실제로 특정 그룹의 다른 사람들의 근방에 - 진입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태의 임의의 자동 검출된 변경은 자동 문맥 변경을 위한 트리거일 수 있다.
개인적 세팅 모드
도 18에서, 사용자는 우측 바(60)에 클릭함으로써 모드의 변경을 활성화 시켰다. 개인적 세팅 화면 뷰(62)는 그 다음에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회 이벤트 및 애플리케이션 뷰위에서 스크롤링 한다. 모드는 도 26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된 도 20의 파이프라인의 우측 단부에 화살표 아이콘(64)을 선택함으로써 또다시 반전될 수 있다.
개인적 세팅 모드에서, 화면은 또다시 사용자용 가시적 초점으로 작동하는 수평 중앙 구획(12')으로 나누어지는 상단 구획 및 하단 구획(14', 16')으로 나누어진다. 하단 부분(16')은 상이한 사용자 문맥('집', '여행자', '비즈니스' 등)과 그들의 관련 애플리케이션 세트의 할당 사이의 주요 선택을 위한 것이다. 상단 부분(14')은 애플리케이션 기호의 상세한 셋업(set-up)을 위한 것이다.
도 20에서, 4 툴은 레이더, 달력, 음악 및 정보 보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12') 상의 아이콘의 존재에 의해 '도중에' 문맥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툴은 '도중에'{활성화됨을 나타내도록 음영으로 도시된 (16')의 우측의 열에 있는 위에서 3번째 아이콘(66)}의 문맥에서 사용 가능하다.
도 21에서 변경은 '비즈니스' 문맥{(16')의 우측의 열에 있는 최하위 아이콘(68)}에서 이루어진다. 오래된 애플리케이션 툴 세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흘러가며, 새로운 세트는 파이프라인 상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나타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모든 다른 작동을 하는 경우처럼, 그러한 작용에 대한 피드백은 핸드셋, 상태, 동료, 기회 소스 문맥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특성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채널일 수도 있는 음성, 곡 또는 진동 패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도 22에서 '비즈니스 문맥' 툴(70)중 하나가 개인적인 조정을 위해 선택된다. 이 정보 툴을 위한 프로필 세팅 뷰(72)가 나타나서, 도 23에서처럼 중앙 구획(12')으로부터 위로 스크롤링 한다. 다른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사용자는 (74)에서 스크롤 핫스팟(hotspot)을 통하여 이 애플리케이션의 세팅을 보고, 중앙 구획(12')을 아래로 이동시켜 도 24에서의 뷰로 안내하도록 더 많은 화면 공간을 할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모드에서 임의의 개인적인 기호와 세팅 조정, 그리고 상이한 문맥에 대한 툴/애플리케이션/경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우선 순위 선정을 완성한 후(도 25참조), 사용자는 중앙 구획(12')의 우측 끝에 있는 화살표 핫스팟(72)을 작동시킨다. 화살표 핫스팟(72)을 작동시키는 것은 세팅 뷰(72)를 닫고(도 26에서처럼) 제 2 모드의 화면을 흘러가게 하여(도 27), 도 28에서처럼 현재 활성화된 레이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제 1 모드의 기회 이벤트 관리자로 복귀한다.
기회 관리 모드로 복귀하면,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다 복잡한 확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78)에서 클록 아이콘은 설명 텍스트가 사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버블(80)을 갖는다. 바의 좌측에 있는 이벤트 아이콘(84)에 부가된 하트(82)는 사용자용으로 매우 개인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신뢰 세트를 실행함을 나타낸다. 서비스와 연관된 이벤트 아이콘에 부가된 하트는 사용자가 그 서비스에 알려진 가입자임을 나타낸다. 개인을 나타내는 이벤트 아이콘에 부가된 하트는 이 소스가 (예를 들면, 이전의 대화로부터 또는 동료 또는 친구인) 신뢰할 수 있거나 알려진 사람임을 나타낸다.
(88)에서 이벤트 아이콘 상의 꼭지점이 아래로 향하는 삼각형(86)은 이것이 더 확장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클러스터로부터 비롯됨을 보여준다. (특히, 한 이벤트는 사용자용의 상이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기회의 그룹의 계층을 공개할 수 있음을 주목하자.) 아이콘(92)상에서 'i' 주석(90)은 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대화를 대기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30에서 핸드셋에서 실행하는(또는 핸드셋에 의해 신호를 보내는) 다수의 모니터의 상태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이 화면 영역을 사용하지 않을 때 상단 구획(14)에 도시된다. 예를 들면, 가장 좌측 열에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진행하면, 아이콘은
집이 현재 잠겨있음을(94)에서,
사용자의 주식 가격에 관해 경보가 울림을 (96)에서,
핸드셋 사운드가 활성화됨을(98)(귀 아이콘)에서,
화면이 또한 동조됨을 (100)(눈 아이콘)에서,
배터리가 낮아짐을 (102)에서,
강한 GSM 망 신호가 있음을 (104)에서
나타낸다.
모니터의 제 2 열은 날짜(106), 현재의 온도(108), 현재의 시간(110), 그리고 (112)에서 (모빌 셀 ID, GPS, RF 비컨 또는 다른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에 대한 영양학적 충고를 제안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의 호스트 장치는 PDA, 이동 전화, 랩탑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고 두 원격 소스, 비컨(122, 124)으로부터의 대화 기회를 갖는 그러한 디바이스(120)의 주요 부품을 도시한다. 비컨(122)으로부터 대화 기회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120) 외부 또는 내부에 있을 수 있는} 안테나(126)에 의해 포착되며, 수신된 데이터는 수신기와 디코더 스테이지(128)를 통하여 중앙 처리기(130)로 통과된다.
어드레스 지정 및 데이터 버스에 의해 프로세서에 적절히 링크되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수단(132)은 처리기(130)와 접속된다. (134)에서 점선으로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이, 메모리(132)는 플로피 또는 광 디스크, 메모리 스틱, 고체 메모리 카드 및 이러한 종류의 것과 같은 탈착 가능한 저장 수단에 의해 보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은 도 1 내지 30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하여 관리하도록 처리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또한 처리기(130)에 접속된다. 사용자 입력 수단은 또한 (예를 들면 개인적인 세팅 모드에서) 검출된 대화 기회와 또한 인터페이스 자체와의 사용자 대화를 지원하도록 프로세서에 접속된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유형은 전체적으로 디바이스(120)의 유형과 기능에 의해 어느 정도 까지는 지시 받을 것이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가 랩탑 컴퓨터일 경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는 완전한 문자 숫자식 키보드뿐만 아니라 x/y 커서 제어기{일체형이거나 또는 플러그 인 마우스(plugged in mouse) 또는 트랙볼 디바이스(trackball device)를 통하여}를 포함할 것이다. 디바이스가 이동 전화일 경우,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의 수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선택 메뉴 발생과 결합된 접촉 감지 화면과 같은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반적으로 액정 디바이스)(10)와 접속된 접촉식 화면 인터페이스(136)를 갖춘 PDA(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디스플레이된 아이템의 사용자 선택이 포인터 디바이스(32)의 사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를 읽으면 다른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형은 그래픽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또는 그 부품을 구비한 장치 및/또는 그 제어 방법의 분야에서는 이미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된 특성 대신 또는 그 특성에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대화 기회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이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그러나 배타적이지는 않게, 본 발명은 단일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윈도우{이하 보통 구획(pane)이라 칭함}에서 그러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와, 그러한 데이터 디스플레이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및 갱신을 관리하는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장치 사용자에 대해 대화 기회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회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접속되고 각각의 식별된 대화 기회를 위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발생하도록 프로그램된 처리기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가능한 입력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기는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하도록 배열되고, 새로이 발생된 디스플레이 아이콘은 처음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 디스플레이되며, 그 후에 다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으로 이동되고, 상기 처리기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아이콘을 배열하도록 구성되며,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의 사용자 선택시 선택된 아이콘과 관련된 추가의 데이터가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기회 식별 정보로부터 각각에 대한 각각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처리기에 의해 적용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은 상기 제 1 표기 구획의 위치와 관련된 우선순위 순으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위치를 지정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에 의해 적용된 상기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은 디스플레이 아이콘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 도달하는 순으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위치를 지정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대화 기회를 식별하고 각각의 식별된 대화 기회에 대해 제공된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유형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기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대화 기회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유형은 상기 데이터 저장 수단에 보유된 데이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아이콘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이미 디스플레이된대화 기회에 관한 추가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외양의 변경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기 정보의 도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와 접속되고 적어도 하나의 원격 소스로부터 상기 대화 기회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원격 소스에 대한 상대적 평가의 가시적 디스플레이를 상기 장치에 발생하도록 더 작동할 수 있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상기 수단은 무선 수신기인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새로운 아이콘의 발생시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도록 상기 처리기에 의해 제어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 있는 아이콘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의 한 에지로부터 맞은편 에지로 스크롤링 하도록 배열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은 상기 장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과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구획 사이에 배치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 세팅의 사용자 변경을 쉽게 하도록 더 작동할 수 있으며, 세팅을 위한 선택 사항은 각각의 엔트리에 대한 서브메뉴를 갖춘 메뉴에 내포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각각의 아이콘은, 각각의 서브메뉴 선택 사항을 나타내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나타나는 아이콘 중 한 아이콘의 선택시, 메뉴 아이템을 나타내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상기 아이콘 중하나를 선택시 상기 서브메뉴 하에서 개별 디바이스 세팅 옵션이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 도시되는 휴대용 데이터 처리 장치.
  1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대화 기회 식별 정보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하는 단계와,
    각각의 식별된 대화 기회에 대해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발생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에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아이콘을 초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아이콘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구획으로부터 다른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선정 방식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구획에 배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아이콘의 사용자 선택시, 상기 선택 아이콘과 관련된 추가의 데이터를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구획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 기회 식별 정보의 프리젠테이션 관리 방법.
  15. 제 14항의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실행 가능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04-7018924A 2002-05-23 2003-05-15 대화 기회 데이터의 관리 KR200401047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211901.4A GB0211901D0 (en) 2002-05-23 2002-05-23 Management of interaction opportunity data
GB0211901.4 2002-05-23
PCT/IB2003/002068 WO2003100591A2 (en) 2002-05-23 2003-05-15 Management of interaction opportunity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752A true KR20040104752A (ko) 2004-12-10

Family

ID=993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924A KR20040104752A (ko) 2002-05-23 2003-05-15 대화 기회 데이터의 관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159188A1 (ko)
EP (1) EP1509835A2 (ko)
JP (1) JP2005527031A (ko)
KR (1) KR20040104752A (ko)
CN (1) CN1316346C (ko)
AU (1) AU2003230141A1 (ko)
GB (1) GB0211901D0 (ko)
WO (1) WO20031005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0370A1 (en) * 2004-08-05 2006-02-09 Mobile (R&D) Ltd. Custom idle screen for a mobile device
US8402384B2 (en) 2004-11-09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bar oriented user interface
EP1659766B1 (en) * 2004-11-09 2007-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ynamic bar oriented user interface
KR100714687B1 (ko) * 2004-12-3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칼럼으로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60252442A1 (en) * 2005-05-04 2006-11-09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a PoC connection in a terminal device with a touch-screen display, an application used in the method and a terminal device
US8707205B2 (en) 2005-09-01 2014-04-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EP1764683B1 (en) 2005-09-01 2014-11-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793971B1 (ko) * 2005-12-20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우스 팝업 메뉴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방법 및인쇄제어장치
US20090122018A1 (en) * 2007-11-12 2009-05-14 Leonid Vymenets User Interface for Touchscreen Device
US8082014B2 (en) * 2008-02-27 2011-12-20 At&T Mobility Ii Llc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proximal traffic
US8250001B2 (en) 2008-12-18 2012-08-21 Motorola Mobility Llc Increasing user input accuracy on a 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
US20100218141A1 (en) * 2009-02-23 2010-08-26 Motorola, Inc. Virtual sphere input controller for electronics device
EP3907593A1 (en) * 2010-01-19 2021-11-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36333B2 (en) * 2010-08-10 2018-04-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ation and contextual-based mobile application promotion and delivery
JP5678631B2 (ja) * 2010-12-10 2015-03-0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08084A1 (en) * 2012-10-12 2014-04-17 Crestron Electronics, Inc. Initiating Schedule Management Via Radio Frequency Beacons
JP1473581S (ko) * 2012-11-16 2016-06-20
JP1470731S (ko) * 2012-11-16 2016-05-23
JP5759497B2 (ja) * 2013-02-25 2015-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メッセージ通知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292264B2 (en) 2013-03-15 2016-03-22 Paschar Llc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advertising software development kit
USD835142S1 (en) * 2016-06-07 2018-12-04 Beijing Kingsoft Internet Security Software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8570S1 (en) * 2020-05-15 2022-04-12 Barel Ip, Inc Computing device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icon
USD1026009S1 (en) * 2021-11-17 2024-05-07 Express Scripts Strategic Development, Inc. Display screen with an ic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236A (en) * 1992-03-31 1995-02-14 Klausner Patent Technologies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US5835861A (en) * 1994-11-22 1998-11-10 Lucent Technologies Inc. Enhanced automatic operation of wireless telephones
US5883942A (en) * 1996-11-20 1999-03-16 Cybiotronics, Ltd. Voice caller I.D. apparatus
US6400256B2 (en) * 1997-06-04 2002-06-04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imultaneously the latest mess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llers
US6320943B1 (en) * 1997-06-12 2001-11-20 Legerity, Inc. Electronic directory system and method
US6211858B1 (en) * 1997-09-26 2001-04-03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rotating meter icon on a portable intelligent communications device
AU2185099A (en) * 1998-03-05 1999-09-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terminal
US6173316B1 (en) * 1998-04-08 2001-01-09 Geo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arkup language based man-machine interface
DE69921956T2 (de) * 1999-02-11 2006-02-09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Edgerät für die drahtlose Telekommunikation und Verfahren zur Anzeige von Symbolen auf einer Anzeigevorrichtung eines solchen Endgerä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6438A (zh) 2005-08-17
WO2003100591A3 (en) 2004-03-11
WO2003100591A2 (en) 2003-12-04
CN1316346C (zh) 2007-05-16
US20050159188A1 (en) 2005-07-21
EP1509835A2 (en) 2005-03-02
AU2003230141A1 (en) 2003-12-12
JP2005527031A (ja) 2005-09-08
GB0211901D0 (en) 200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4752A (ko) 대화 기회 데이터의 관리
US10289371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9967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uditory icons in a mobile terminal
US8805417B2 (en) Dynamic contact list display
US66681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rioritized icons in a mobile terminal
KR100929004B1 (ko) 문맥 객체의 다단계 정렬 및 표시
US91166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N101686280B (zh) 以双视窗作为界面的移动装置
US95652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idle screen
JP7138676B2 (ja) デバイスが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ディスプレイする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
EP2998888A1 (en)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based data
KR20040105610A (ko) 이동 정보 서비스
KR20070112986A (ko) 비주얼 효과가 부여된 대기 화면 계층 제공 방법 및 그에따른 대기 화면 제공 방법
EP303565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etting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20110320939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Resizable Widget Associated with a Contacts Database
JP2011081833A (ja) コンタクト位置の視覚表示
KR20160029974A (ko) 지도 서비스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US20060205440A1 (en) Multiple page sound tone dialog in communication device
KR100717120B1 (ko) 숫자이외의 데이터 입력을 통한 전화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