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190A -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190A
KR20040104190A KR1020030035721A KR20030035721A KR20040104190A KR 20040104190 A KR20040104190 A KR 20040104190A KR 1020030035721 A KR1020030035721 A KR 1020030035721A KR 20030035721 A KR20030035721 A KR 20030035721A KR 20040104190 A KR20040104190 A KR 2004010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
plate portion
panel part
disposed
kimchi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576B1 (ko
Inventor
박철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57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측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의 전방 영역을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면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상측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사각 판상의 데코부재와; 상기 전면판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나란한 상기 데코부재의 두 연부를 각각 수용지지하는 제1데코지지부재 및 제2데코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면부의 손상 및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외관 품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OUT CASE FOR KIMCHI REFRIGERATOR}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부의 접촉에 기인한 손상 및 변형을 억제시켜 외관 품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는, 상향 개구된 상부저장실(13) 및 전면이 개구된 하부저장실(17)을 구비한 본체(11)와, 상부저장실(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1)에 결합되는 상부저장실도어(15)와, 본체(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하부저장실(17)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하부저장실도어(19)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21)와, 아웃케이스(21)의 내부에 발포재의 충전간격을 두고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어 내부에 상부저장실(13) 및 하부저장실(17)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복수의 이너케이스(22)로 구성되어 있다.
아웃케이스(21)는, 본체(11)의 후방영역에 수직하게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후판부(미도시)와, 후판부의 양 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양 측판부(24)와, 양 측판부(24)의 전면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전면판부(25)와, 전면판부(25) 및 양 측판부(24)의 상단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상판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전면판부(25)의 상부영역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26)에는 각 저장실(13,17)의 운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콘트롤패널(31)이 결합되어 있다. 콘트롤패널(31)은 기능설정을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32) 및 다이얼(33)과,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34)을 구비하고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김치냉장고에 있어서는, 전면판부(25)는 다른 물체와 접촉이 빈발하여 표면에 긁힘 등이 발생되기 쉽고, 특히 다른 물체의 모서리와 같은 부위와 접촉될 경우 찍힘 등이 발생되어 외관 품위를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부의 손상 및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외관 품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데코부재 영역의 분리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데코부재영역의 확대 종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본체 24 : 측판부
27 : 상판부 31 : 콘트롤패널
41 : 아웃케이스 45 : 전면판부
46 : 함몰부 51 : 데코부재
52 : 인쇄층 53 : 제1데코지지부재
54,58,62 : 수용홈 57 : 제2데코지지부재
61 : 제3데코지지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측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의 전방 영역을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면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상측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사각 판상의 데코부재와; 상기 전면판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나란한 상기 데코부재의 두 연부를 각각 수용지지하는 제1데코지지부재 및 제2데코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데코지지부재 및 제2데코지지부재는 상기 데코부재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데코지지부재 및 제2데코지지부재는 상기 데코부재의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전면판부의 좌우방향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전면판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콘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부에는 상기 콘트롤패널이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패널은 상기 데코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코부재는 유리부재 및 금속부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데코부재는 유리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의 일측 판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데코부재 영역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데코부재영역의 확대 종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41)는, 본체(11)의 후방영역에 좌우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는 후판부(미도시)와, 후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직각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24)와, 양 측판부(24)의 전면에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양 측판부(24)의 사이를 차단하는 전면판부(45)와, 전면판부(45)의 전면에 배치되는 데코부재(51)와, 데코부재(51)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두 연부를수용지지하는 제1데코지지부재(53) 및 제2데코지지부재(5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면판부(45)는 본체(11)의 좌우방향에 대응되는 길이와, 상판부(27)와 하부저장실(17)의 상부연부를 연결하는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부(45)의 전면에는 콘트롤패널(31) 및 데코부재(51)가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46)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콘트롤패널(31) 및 데코부재(5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데코부재(51)는 유리부재 또는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부재중 어느 하나로 사각 판상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판부(45)측 판면에 소정 모양의 인쇄층(52)이 형성된 유리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데코부재(51)의 상측 및 하측에는 데코부재(51)의 상부연부 및 하부연부를 각각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제1데코지지부재(53) 및 제2데코지지부재(57)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양 측부에는 제3데코지지부재(6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1데코지지부재(53) 및 제3데코지지부재(61)는 데코부재(51)의 상부 연부 및 양 측 연부를 각각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홈(54,62)이 형성된 “U”단면형상을 가지며, 데코부재(51)의 각 배면측에는 전면판부(45)에 선단이 체결되는 스크류(56)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55,63)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제2데코지지부재(57)는 데코부재(51)의 하부연부를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홈(58)이 형성된 “U”단면형상을 가지며, 후방 연부에는 전면판부(45)의 저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결합부(59)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59)에는 전면판부(45)의 저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스크류(56)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63)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데코부재(51)를 결합하고 자 할 때는, 먼저 제1데코지지부재(53)를 콘트롤패널(31)의 하측에 배치하여 스크류(56)로 전면판부(45)에 상호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제1데코지지부재(53)의 양 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3데코지지부재(61)가 각각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제3데코지지부재(61)의 수용홈(62)에 데코부재(51)의 양 측 연부를 삽입하여 상향 가압하면 데코부재(51)는 상향 슬라이딩 되어 상부 연부가 제1데코지지부재(53)의 수용홈(54)의 내부에 삽입된다. 데코부재(51)의 하부연부가 제2데코지지부재(57)의 수용홈(58)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제2데코지지부재(57)의 결합부(59)에 스크류(56)를 체결하여 제2데코지지부재(57)가 전면판부(45)와 상호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데코부재(51)는 사용도중 표면에 손상 또는 변형이 발생될 경우, 제2데코지지부재(57)를 분리한 후 손상 또는 변형된 데코부재(51)를 새로운 데코부재(51)로 교체할 수 있어 전면부의 손상 및 변형에 기인한 외관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양 측판부의 전방 영역을 차단하도록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면판부와, 전면판부 및 양 측판부의 상단영역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상판부와, 전면판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데코부재와, 전면판부에 결합되어 데코부재의 상호 나란한 두 연부를 수용지지하는 제1 및 제2데코지지부재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전면부의 손상 및 변형에 기인한 외관 품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가 제공된다.

Claims (6)

  1.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양 측에 각각 수직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의 전방 영역을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면판부와; 상기 양 측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상측을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상판부와; 상기 전면판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사각 판상의 데코부재와; 상기 전면판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나란한 상기 데코부재의 두 연부를 각각 수용지지하는 제1데코지지부재 및 제2데코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코지지부재 및 제2데코지지부재는 상기 데코부재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데코지지부재 및 제2데코지지부재는 상기 데코부재의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의 좌우방향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전면판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콘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판부에는 상기 콘트롤패널이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트롤패널은 상기 데코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유리부재 및 금속부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부재는 유리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데코부재의 일측 판면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KR1020030035721A 2003-06-03 2003-06-03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KR101002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721A KR101002576B1 (ko) 2003-06-03 2003-06-03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721A KR101002576B1 (ko) 2003-06-03 2003-06-03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190A true KR20040104190A (ko) 2004-12-10
KR101002576B1 KR101002576B1 (ko) 2010-12-17

Family

ID=3737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721A KR101002576B1 (ko) 2003-06-03 2003-06-03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97B1 (ko) * 2005-06-17 2007-01-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강화유리 체결구조
KR100690902B1 (ko) * 2003-06-03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668Y1 (ko) 1996-10-25 1999-06-15 이종수 오픈 쇼케이스의 전면 장식장치
KR100350444B1 (ko) 2000-02-22 2002-08-28 만도공조 주식회사 복합형 김치저장고
KR200254214Y1 (ko) * 2001-08-16 2001-11-23 만도공조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전면부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902B1 (ko) * 2003-06-03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KR100666497B1 (ko) * 2005-06-17 2007-01-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강화유리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576B1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989B1 (ko) 냉장고용 도어
KR100726453B1 (ko) 냉장고
KR100678674B1 (ko) 냉장고용 도어의 프론트패널 장착구조
KR100692223B1 (ko) 냉장고
KR101002576B1 (ko)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KR100975334B1 (ko)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EP2975346A1 (en) Refrigerator
USD411392S (en) Computer cabinet
JP4492474B2 (ja) 自動販売機の本体キャビネット
CN109210861B (zh) 冰箱的门体及冰箱
JP6592543B2 (ja) 冷蔵庫
JP2000161840A (ja) 断熱扉
US7380385B2 (en) Adjustable length decoration panel
US20030080656A1 (en) Combinational shelf
JP2796363B2 (ja) 冷蔵庫
JP2019148421A (ja) 冷蔵庫
JP4518879B2 (ja) 貯蔵庫の扉構造
KR200297198Y1 (ko) 냉장고 도어의 손잡이 장식편
US20060282986A1 (en) Door handle for refrigerators and kitchen units
US20070295676A1 (en) Display structure
KR100690902B1 (ko) 김치냉장고의 아웃케이스
KR20170019774A (ko) 냉장고
JP2006046793A (ja) 冷蔵庫用扉体
KR100605665B1 (ko) 욕실용 수납장의 프레임 구조
JP3802295B2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