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902A -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902A
KR20040102902A KR1020030034736A KR20030034736A KR20040102902A KR 20040102902 A KR20040102902 A KR 20040102902A KR 1020030034736 A KR1020030034736 A KR 1020030034736A KR 20030034736 A KR20030034736 A KR 20030034736A KR 20040102902 A KR20040102902 A KR 2004010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ed
folder
type mobi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3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902A/ko
Publication of KR2004010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3Floating cranes including counterweight or means to compensate for list, trim, or skew of the vessel or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2Luffing gear
    • B66C23/821Bracing equipment for booms
    • B66C23/823Bracing equipment acting in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은 상태에서도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액정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를 접었을 때, 본체부에 구성된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액정표시부에 구성된 주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하는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Exposed folder typ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은 상태에서도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액정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는 입력버튼을 누를 수가 없으므로 반드시 폴더를 개방해서 전화를 걸어야 하는 불편한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에 의해 폴더의 개폐 횟수가 증가하므로 힌지부의 수명도 급감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은 상태에서도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액정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부 11: 키패드부
12: 보조표시화면 13: 배터리 삽입부
20: 액정표시부 21: 주표시화면
30: 힌지연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있어서, 폴더를 접었을 때, 본체부에 구성된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액정표시부에 구성된 주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하는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를 접은 상태에서 키패드부 및 주표시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폴더를 개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를 접었을 때, 본체부(10)에 구성된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11) 및 액정표시부(20)에 구성된 주표시화면(21)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하는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더가 접혔을 때,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액정표시부(2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연결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는, 크게 탈착가능한 배터리(미도시)와 번호키, 전원키, 기능키 등의 입력버튼이 형성된 키패드부(11)와, 내부에 상기 키패드부의 입력신호를회로적 신호로 변환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및 최하단에 위치되는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0)의 소정 부위에는 보조표시화면(1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액정표시부(20)는,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 주표시화면(21)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상기 액정표시부(20)의 전면 및 후면에 듀얼 형식의 표시화면을 구성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주표시화면(21)을 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하단에는, 상기 배터리(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는, 상기 배터리(미도시)의 크기에 대응되는 홀형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3)의 소정 부위에는, 상기 배터리(미도시)의 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접촉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13)에 구비된 접촉단자는, 상기 배터리(미도시)가 상기 삽입부(13)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미도시)에 구비된 접속단자와 서로 접촉하여 상기 배터리(미도시)에 충전된 전력을 기기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액정표시부(20)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단말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키패드부(11)의 입력버튼을 이용해 전화를 걸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부(20)에 구비된 주표시화면(21)이 항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디자인 면에서도 뛰어나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가 통화시 사용자의 귀 및 입에 적절히 위치되게 상기 힌지연결부(30)가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최소 200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정표시부(20)는, 폴더를 접은 상태와 개방한 상태의 주표시화면(21)의 화면이 반전되므로,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 개방한 상태로 바뀌거나, 또는 그 반대 상황일 때 주표시화면(21)이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화면모양을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접은 상태에서도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액정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방하지 않고도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를 접은 상태에서도 항상 주화면표시부가 외부에 위치하므로, 디지인 면에서도 좋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를 접었을 때, 본체부에 구성된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부 및 액정표시부에 구성된 주표시화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하는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홀형식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액정표시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는 200도 이상의 회전이 가능한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에 구비된 주표시화면은, 폴더의 개폐유무에 상관없이 일정한 화면모양을 유지하는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34736A 2003-05-30 2003-05-30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102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736A KR20040102902A (ko) 2003-05-30 2003-05-30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736A KR20040102902A (ko) 2003-05-30 2003-05-30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902A true KR20040102902A (ko) 2004-12-08

Family

ID=3737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736A KR20040102902A (ko) 2003-05-30 2003-05-30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9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28B1 (ko) * 2004-12-10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028B1 (ko) * 2004-12-10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KR100747539B1 (ko) 듀얼 화면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3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20050107133A (ko) 2-웨이 폴더형 단말기
JP2002218030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KR20010000388U (ko) 폴더식 핸드폰
KR20040102902A (ko) 노출형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16749B1 (ko)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3735234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00012247A (ko) 휴대폰
KR100350503B1 (ko)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100639507B1 (ko) 더블 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1285428A (ja) 携帯電話機
KR200321575Y1 (ko) 단말기 케이스 외측에 스피커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기
KR100641136B1 (ko)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291017B1 (ko) 탁상형 휴대폰
KR200198699Y1 (ko)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입력버튼이 외부로 노출된 폴더형휴대폰
KR200365110Y1 (ko) 핸드폰의 슬라이딩 키패드장치
KR20040043875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JP2002237763A (ja) 携帯無線機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JP2004357117A (ja) 携帯情報端末
KR20050014096A (ko) 중앙 회전식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99823Y1 (ko) 슬라이딩 폴더형 휴대용 단말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