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898A -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 - Google Patents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898A
KR20040102898A KR1020030034729A KR20030034729A KR20040102898A KR 20040102898 A KR20040102898 A KR 20040102898A KR 1020030034729 A KR1020030034729 A KR 1020030034729A KR 20030034729 A KR20030034729 A KR 20030034729A KR 20040102898 A KR20040102898 A KR 20040102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c
lung
ppb
sbc
pp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권
Original Assignee
나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권 filed Critical 나상권
Priority to KR102003003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898A/ko
Publication of KR2004010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8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프로필렌코폴리머(PPC), 폴리프로필렌블록코폴리머(PPB), 폴리프로필렌랜덤코폴리머(PPR) 등의 플라스틱이나 또는 이들의 폐플라스틱들을 용융 혼합시켜서 만든 새로운 열가소성수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하수관(이중벽이나 다층벽관 및 다양한 구조의 하수관) 및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만든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는 PE, PP, PPC, PPB, PPR 등을 용융 혼합시킴에 있어 상용화제가 없는 상태에서 용융 블렌드 하거나,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왁스가 포함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사용하여 용융 블렌드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하수관 및 파이프는 기존의 하수관 및 파이프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며, 연성관의 과도한 처짐으로 인한 수리적 특성 및 하수관 본래의 기능 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또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Manufacturing of domestic sewage pipes and pipes with thermoplastic resins}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용화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용화제 없이 폴리에틸렌(이하 PE라 칭한다),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 칭한다), 폴리프로필렌코폴리머(이하 PPC라 칭한다), 폴리프로필렌블록코폴리머(이하 PPB라 칭한다) 및 폴리프로필렌랜덤코폴리머(이하 PPR이라 칭한다)에서 선택된 한가지 또는 두 가지 플라스틱을 용융 혼합시켜서 만든 새로운 열가소성 수지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하수관(이중벽이나 다층벽관 및 다양한 구조의 하수관) 및 다양한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이중벽 하수관은 강성이 5 Kgf/㎠이하로서 국제 규격에 미달될 뿐만 아니라, 연성관인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과도한 처짐으로 인하여 수리적 특성 및 파이프의 원래 기능이 저하되고 이와 동시에 하수관 위의 상부 구조물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하수관 매설시에는 연성관의 허용치인 5% 이내의 변형을 허용하면서 하수관을 95% 이상 압밀 다짐하여야 하지만 건설공사 시공현장의 실정을 감안하면 하수관 매설시 90∼95% 이상의 압밀 다짐은 거의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폴리에틸렌 이중벽하수관의 사용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한 가지 대안으로, 강성이 7∼8 Kgf/㎠에 이르는 폴리에틸렌 삼중벽하수관을 한 업체에서 개발하기는 했지만, 상기 삼중벽 하수관은 불량률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원료의 중량도 이중벽 하수관보다 20% 이상 높다. 또한, PVC 하수관은 강성이 9∼10 Kgf/㎠로서 하수관으로 적합하기는 하지만, PVC 제조공장의 작업 환경이 좋지 않아 특정 회사에서만 이 같은 PVC 파이프를 생산하고 있다. 결국, 현재까지 6∼10 ㎏f/㎠ 의 강성을 가지는 이중벽 하수관 제품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시설을 사용하여 순수한 또는 폐 플라스틱인 PE/PP, PE/PPC, PE/PPB, PE/PPR, PP/PPC, PP/PPB, PP/PPR, PPC/PPB, PPC/PPR, PPB/PPR 등의 블렌드나 PPC, PPB 또는 PPR를 단독 사용하여 기존 제품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는 하수관 및 파이프를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드 복합재료의 시차주사열량분석(DSC) 결과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E/PP(80/20) 블렌드의 모폴로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E/PPC(70/30) 블렌드의 모폴로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P/PPC(65/35) 블렌드의 모폴로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E/PP(80/20)-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PE/PPC(70/30)-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P/PPC(65/35)-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PE/PPC(70/30)-3phr SBC 블렌드로 제조한 이중벽하수관의 시험 성적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P/PPC(65/35)-3phr SBC 블렌드로 제조한 이중벽하수관의 시험 성적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PPC 블렌드로 제조한 이중벽하수관의 시험 성적서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PPBC 블렌드로 제조한 이중벽하수관의 시험 성적서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폐 PE/PP(75/25)-3phr SBC 블렌드의 가열 시차주사열량(DSC) 분석 결과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폐 PE/PP(75/25)-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tyrene-butadiene copolymer, 이하 SBC라 칭힌다) 또는 왁스가 포함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이하 왁스-SBC라 칭한다)를 상용화제로 사용하거나 상용화제 없이, 혼합 플라스틱 또는 폐 혼합 플라스틱을 용융 블렌드하여 제조한 열가소성수지 하수관 및 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거나 또는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여 순수한 또는 폐 플라스틱인 PE/PP, PE/PPC, PE/PPB, PE/PPR, PP/PPC, PP/PPB, PP/PPR, PPC/PPB, PPC/PPR, PPB/PPR, PPC, PPB 또는 PPR를 용융 블렌드시켜서 하수관 및 파이프를 제조한다. 여기서, PPC는 PPB와 PPR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PP에 PP 이외의 다른 모노머가 공중합된 모든 코폴리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용화제가 없는 상태와, 왁스-SBC 및 SBC를 상용화제로 첨가된 상태에서 혼합 플라스틱들의 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순수한 또는 폐 플라스틱인 PE/PP, PE/PPC, PE/PPB, PE/PPR, PP/PPC, PP/PPB, PP/PPR, PPC/PPB, PPC/PPR, PPB/PPR, PPC, PPB, PPR 등을 각각 용융 블렌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스크루나 이중스크루를 사용하여 상기 플라스틱들과 상용화제인 왁스-SBC 및 SBC를 70℃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킨 후, 플라스틱의 조성은 각각 0∼100% 범위로 하고 상용화제의 조성은 플라스틱 조성의 0∼20% 범위로하여, 혼합기로 혼합한 후 이를 용융 블렌드하였다. 용융 블렌드 온도는 120∼300℃로 하였다. 아래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용화제가 첨가된 경우는 물론 상용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혼합 플라스틱이 상용성을 가지며 따라서 고 강성의 하수관 및 파이프가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PE/PP, PE/PPC, PP/PPC 및 PPC/PPB에 대해서 각 블렌드의 구성성분의 조성비를 0∼100%로 하여 혼합한 후 압출기 용융온도를 120∼300℃로 하고 회전속도는 0∼300 rpm으로 하여 용융블렌드시키고 절단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만들었다. 상기 준비된 시료들에 대해서 가열 시차주사열량분석을 실시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이하 SEM이라 칭한다)을 사용하여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도 1은 PE, PP, PPC, PPB와 PE/PPC 및 PP/PPC 블렌드에 대한 가열 시차주사열량(DSC)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표 1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복합재료의 열적 성질을 정리한 것이다.
열가소성수지 및 복합재료의 열적 성질
조성 용융온도(Tm,℃) 용융열(ΔHm,J/g)
PE 129.50 141.4
PP 164.48 83.960
PPC 166.24 77.970
PPB 167.22 87.380
PE/PP(80/20) 129.35162.54 103.3015.210
PE/PPC(70/30) 129.39165.69 86.47021.170
PP/PPC(65/35) 165.23 79.430
PPC/PPB(65/35) 166.18 80.470
PE/PP(80/20)-3phr SBC 129.10162.54 101.8214.680
PE/PPC(75/25)-3phr SBC 129.42162.90 96.37011.300
PP/PPC(65/35)-3phr SBC 164.76 78.930
PPC/PPB(65/35)-3phr SBC 163.38 77.540
(* phr : per hundred ratio)
열분석 결과 모든 블랜드에서 PP 및 PPC의 용융온도가 낮아졌고, 용융열은 PE, PP 및 PPC 모두 낮아졌으며, 상용화제로 SBC를 사용할 경우 용융온도와 용융열이 더욱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상기 모든 블렌드에서 상용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상용화제를 사용할 경우 상용성은 더욱 좋아졌다.
도 2는 PE/PP(80/20)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도 3은 PE/PPC(70/30)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도 4는 PP/PPC(65/35)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도 5는 PE/PP(80/20)-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도 6은 PE/PPC(70/30)-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도 7은 PP/PPC(65/35)-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나타낸 것이다.
상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PE/PP와 PE/PPC는 상용성이 낮았지만 PP/PPC는 단일상을 갖는 수준의 상용성을 보였다. 또한 상용화제를 사용할 경우, 상용화제가 없는 경우보다 상용성이 향상되었다. 한편, 여기에서 제시되지 않은 PE/PPB, PE/PPR, PP/PPB, PP/PPR, PPC/PPR, PPB/PPR 등도 용융블렌드시 상용성을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PE/PP(80/20)-3phr SBC, PE/PPC(70/30)-3phr SBC, PP/PPC(65/35)-3phr SBC 블렌드에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0∼20 phr로 첨가하여 압출기 온도 120∼300℃에서 회전속도 0∼300 rpm으로 하수관 및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마스터 배치란 PVC, PP, PE, ABS, PC 등의 플라수틱 수지를 사용하여 압출, 사출성형시에 분말 형태의 첨가제를 사용할 때의 문제점, 즉 혼련성이 나빠져서 분산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기본 수지에 첨가제를 고농도로 농축하여 분산시켜 놓은 원료를 말한다. 플라스틱 수지에 상기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여 가공 성형함으로써 원하는 색상 또는 기능을 가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상기 블렌드에 대한 물성실험 결과는 표 2에 정리하였다.
직경 300㎜인 이중벽 하수관 물성실험 결과
제품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비고
PE/PP 강성 f/㎠ 4.5 QM-3500-01 자체실험
편평시험 - 이상없음 QM-3500-01 자체실험
PE/PPC 강성 kPa 363 QM-350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편평시험 - 이상없음 QM-350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회분 wt% 0.05 KS M 3408 : 2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PP/PPC 강성 kPa 938 QM-350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편평시험 - 이상없음 QM-350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회분 wt% 0.05 KS M 3408 : 2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도 8과 도 9는 상기 제조된 하수관 및 파이프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시한것이다. 도 8은 PE/PPC(70/30)-3phr SBC 블렌드를 사용하여 제조한 하수관의 시험성적서를, 도 9는 PP/PPC(65/35)-3phr SBC 블렌드를 사용하여 제조한 하수관의 시험 성적서이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혼합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하수관 및 파이프는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물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0∼30 g/min의 용융지수와 8,000∼30,000 Kgf/㎠의 굴곡강도를 갖는 PPC, PPB 또는 PPR을 사용하여 압출기 온도 120∼300℃에서 회전속도 0∼300 rpm으로 하수관 및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때 마스터배치는 0∼20 phr로 첨가하였다.
또한 0∼5 g/min의 용융지수와 8,000∼30,000 Kgf/㎠의 굴곡강도를 갖는 한 종류 이상의 PPB, PPC 또는 PPR을 각 구성성분의 조성이 0∼100%가 되도록 하여 혼합한 후 마스터배치를 0∼20 phr로 첨가하고 압출기 온도 120∼300℃에서 회전속도 0∼300 rpm으로 하수관 및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수관 및 파이프의 물성 시험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고 이들에 대한 시험성적서는 도 10과 도 1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서 제조된 하수관 및 파이프는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물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직경이 200㎜인 이중벽하수관 실험 결과
제품 시험항목 단위 결과치 시험방법 비고
PPC 강성 N/㎟ 1.39 한국플라스틱조합
편평시험 - 이상없음 한국플라스틱조합
회분 % 0.08 한국플라스틱조합
PPBC 강성 kPa 1,378 QM-350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편평시험 - 이상없음 QM-350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회분 wt% 0.05 KS M 3408:2001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표 3에서 PPC는 PPB와 PPR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PP에 PP 이외의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코폴리머를 의미한다. 또한 PPBC는 용융지수가 0∼5 g/min의 범위 내에 있고 굴곡강도가 8,000∼30,000 Kgf/㎠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PPB를 각 구성성분이 0∼100%의 조성을 갖도록 하여 용융 블렌드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PPC, PPB 또는 PPR 중에서 용융지수가 5∼30 g/min인 것과 용융지수가 0∼5 g/min인 것을 용융블렌드시키고 PE나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하수관 및 파이프를 제조한 결과, 상기 하수관 및 파이프들은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으며 상용화제를 사용할 경우 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여 주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한 하수관 및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우선 단일스크루나 이중스크루를 사용하여 폐플라스틱과 상용화제를 70℃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킨 후, 폐플라스틱의 조성은 각각 0∼100%로 하고 상용화제는 폐플라스틱 조성의 0∼20% 이하로 하여 혼합기로 혼합하고 용융 블렌드 하였다. 용융 블렌드 온도는 각 폐플라스틱의 용융온도에 따라 달리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 PE와 폐 PP, 폐 PE와 폐 PPC, 폐 PE와 폐 PPB, 폐 PE와 폐 PPR 각각에 대해서 각 구성성분의 조성이 0∼100%가 되도록 하여 압출기 용융온도 120∼300℃에서 회전속도 0∼300 rpm으로 용융 블렌드하고, 절단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때 상용화제로는 왁스-SBC 또는 SBC를 사용하였다. 폐 PE, 폐 PP 및 폐 PE/PP 블렌드의 열적 성질을 표 4에 정리하였다.
폐 PE/PP(75/25) 블렌드의 열적 성질
조성 Tg(℃) Tm(℃) ΔHm(J/g)
폐 PE - 129.50 141.4
폐 PP - 166.32 84.72
폐 PE/PP(75/25)-3phr SBC - 129.42162.90 98.1311.15
도 12는 폐 PE/PP(75/25)-3phr SBC의 가열 시차주사열량(DSC)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열분석 결과, 폐 PE와 폐 PP의 블렌드시 PP의 용융온도와 PE 및 PP의 용융열이 낮아졌는데, 이는 SBC가 폐 PE와 폐 PP 사이에 상용성을 갖게 하기 때문이다. 도 13은 SEM으로 관찰한 폐 PE/PP(75/25)-3phr SBC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나타낸 것이다. 전체적으로, 폐 PE와 폐 PP의 상용성으로 인해 홀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관찰할 수 있다. 즉, 폐 PE와 폐 PP 블렌드에서 SBC가 상용화제 역할을 하면서 상용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폐 혼합플라스틱이 상용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은 대표적인 열가소성수지의 열적 성질로서, 실험 결과를 제시하지 않은 PP를 주성분으로 하는 폐 PPC, 폐 PPB 또는 폐 PPR과 폐 PE와의 용융 블랜드 그리고 폐 PPC, 폐 PPB 또는 폐 PPR과 폐 PP와의 용융 블렌드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폐 혼합 플라스틱도 상용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폐 혼합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하수관(이중벽이나 그 이상의 다층벽관 및 다양한 구조의 하수관) 및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는 PE/PP, PE/PPC, PE/PPB, PE/PPR, PP/PPC, PP/PPB, PP/PPR, PPC/PPB, PPC/PPR, PPB/PPR 등의 블렌드나 PPC, PPB 또는 PPR를 사용하여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거나 상용화제 없이 하수관 및 파이프를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하수관 및 파이프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은 연성관의 과도한 처짐으로 인한 수리적 특성 및 본래 기능의 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하수관 위의 상부 구조물의 기능에 관계없이 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개발한 하수관은 이중벽관으로서 삼중벽 하수관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PVC와 비교되는 강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제 규격에 맞는 하수관(이중벽이나 그 이상의 복층관 및 다양한 구조의 하수관) 및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모든 블렌드와 단독 고분자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폐플라스틱을 용융 블렌드시킨 폐 혼합 플라스틱으로 제조한 하수관은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여 제조한 하수관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며,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할 수 있다는 이점도 제공한다.

Claims (19)

  1. PE와, PP, PPC, PPB, PPR 가운데 어느 하나를 용융 혼합시킴에 있어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여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2. PP와, PPC, PPB, PPR 가운데 어느 하나를 용융 혼합시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조성물에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여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8,000∼30,000 Kgf/㎠의 굴곡 강도를 갖는 PP, PPC, PPB 또는 PPR를 사용하고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5. 제 1 항에 있어서,
    8,000∼30,000 Kgf/㎠의 굴곡 강도를 갖는 PP, PPC, PPB 또는 PPR를 사용하고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8,000∼30,000 Kgf/㎠의 굴곡 강도를 갖는 PPC, PPB 또는 PPR를 사용하고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8,000∼30,000 Kgf/㎠의 굴곡 강도를 갖는 PPC, PPB 또는 PPR를 사용하고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8. PPC, PPB 또는 PPR 중에서 5∼30 g/min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과 0∼5 g/min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을 서로 섞어 용융 혼합해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조성물에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여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의 블렌드 조성물에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의 블렌드 조성물에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12. 0∼5 g/min의 용융지수 값을 갖는 PPC, PPB 또는 PPR을 단독으로 또는 두가지 이상 섞어서 용융 혼합하여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조성물에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여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드 조성물.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의 블렌드 조성물에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의 블렌드 조성물에 PE 또는 PP를 기본 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16. 폐 PE와 폐 PP, 폐 PE와 폐 PPC, 폐 PE와 폐 PPB, 폐 PE와 폐 PPR, 폐 PP와 폐 PPC, 폐 PP와 폐 PPB 또는 폐 PP와 폐 PPR을 용융 혼합시킨 블렌드 조성물에 PE 또는 PP를 기본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17. 폐 PE와 폐 PP, 폐 PE와 폐 PPC, 폐 PE와 폐 PPB, 폐 PE와 폐 PPR, 폐 PP와 폐 PPC, 폐 PP와 폐 PPB 또는 폐 PP와 폐 PPR을 용융 혼합시킨 블렌드 조성물에 PE 또는 PP를 기본수지로 하는 마스터배치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조성물에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조성물에 상용화제로 왁스-SBC 또는 SBC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KR1020030034729A 2003-05-30 2003-05-30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 KR20040102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729A KR20040102898A (ko) 2003-05-30 2003-05-30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729A KR20040102898A (ko) 2003-05-30 2003-05-30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898A true KR20040102898A (ko) 2004-12-08

Family

ID=3737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729A KR20040102898A (ko) 2003-05-30 2003-05-30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8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0938A (zh) * 2012-12-28 2013-04-10 江苏百安居管业有限公司 一种pet排水管件及其制造方法
CN113119532A (zh) * 2019-12-30 2021-07-16 泗阳联欣塑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改性塑料复合管及其制造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0938A (zh) * 2012-12-28 2013-04-10 江苏百安居管业有限公司 一种pet排水管件及其制造方法
CN113119532A (zh) * 2019-12-30 2021-07-16 泗阳联欣塑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的改性塑料复合管及其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10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high strength composites
US5030662A (en) Construction material obtained from recycled polyolefins containing other polymers
KR102124226B1 (ko) 높은 가요성 및 높은 융점을 지니는 열가소성 혼합물
US20200199330A1 (en) Cellulosic Composites Comprising Cellulose Filaments
CN1105135C (zh) 具有改进的隔离性能的高密度聚乙烯薄膜
US9238731B2 (en) Reinforcing additives for composite materials
US2005022230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highly filled materials
CA3015359C (en) Highly filled polymeric concentrates
CN104004271A (zh) 一种耐低温聚丙烯专用料
KR101263983B1 (ko) 블로우 성형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생활 용기용 폴리유산 함유 고분자 얼로이 조성물
CN103739932A (zh) 一种高刚性低翘曲玻纤增强聚丙烯材料
WO2022105149A1 (zh) 一种高透明低介电损耗增韧环状聚烯烃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912947B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623106B (zh) 耐摩擦、耐刮痕改性无规共聚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936372A (zh) 聚丙烯复合材料、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759896A (zh) 用于可降解垃圾袋的聚乙烯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229720A (zh) 高抗冲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102898A (ko) 열가소성수지에 의한 하수관 및 파이프의 제조
JP5515020B2 (ja) 樹脂組成物
CN112480646B (zh) 一种高岭土增强聚苯醚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711173B1 (ko) 가교 수지를 포함하는 분말형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N104788783A (zh) 一种薄壁高强度内镶式滴灌带及其高速生产方法
US20080051515A1 (en)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rticles
KR102029145B1 (ko) 기계적 물성이 개선된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필터 하우징
KR102209155B1 (ko) 도금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